완얀 종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얀 종요는 금나라 태조 완안 아골타의 아들이자 세종의 아버지로, 예종으로 추존되었다. 그는 비의 복산씨의 아들로, 용모가 위풍당당하고 관대하며 포용력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남송을 토벌하러 갔다가 병으로 사망했으며, 사후 세종이 즉위한 후 예종의 묘호와 시호를 받았다. 그의 묘는 경릉이다. 배우자로는 흠자황후와 정의황후가 있으며, 자녀로는 금 세종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 태조의 황자 - 완얀 종간
완안종간은 금 태조의 서장자이며 금 희종 치세 동안 권력 투쟁을 벌였고, 남송과의 관계에서 인물을 모함하여 처형하기도 했으며, 해릉왕의 아버지로서 덕종으로 추존되었다. - 금 태조의 황자 - 완얀 종준
완얀 종준은 금 태조의 아들이자 정식 후계자로 지명되었으나 요나라 공격 중 사망했고, 아들 완안 단이 금 희종으로 즉위하면서 휘종이라는 묘호와 시호를 받았다. - 1096년 출생 - 스티븐 (잉글랜드)
스티븐은 1135년부터 1154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국왕으로, 헨리 1세의 후계자 지명을 어기고 왕위를 차지하여 "무정부 시대"로 불리는 내전을 야기했으나, 헨리 피츠엠프레스(훗날 헨리 2세)를 후계자로 인정하며 평화를 이룬 혼란의 시대의 왕이다. - 1096년 출생 - 이자슬라프 2세
이자슬라프 2세는 므스티슬라프 1세의 아들로 페레야슬라우 공작과 투라우 공작을 거쳐 1146년 키예프 대공에 즉위했으나 유리 돌고루키에게 대공위를 빼앗기기도 했으며, 다비드 가문과 동맹을 맺고 올레크 가문과 대립하다가 1154년 사망했다. - 1135년 사망 - 북송 휘종
북송 휘종은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으나 정치적 실정과 외교적 실패로 금나라에 포로로 잡혀 비참한 최후를 맞은 북송의 제8대 황제이다. - 1135년 사망 - 헨리 1세
헨리 1세는 1100년부터 1135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왕으로, 자유 헌장 선포, 노르망디 정복, 성직 임명권 분쟁 해결, 행정 및 사법 개혁을 통해 국가 기틀을 다졌지만 후계자 문제로 인해 내전의 씨앗을 남겼다.
완얀 종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이름) | 한풍 이름은 완안 종보(完顔 宗輔) → 완안 종요(完顔 宗堯) |
여진 이름 | 완안 와리타(完顔 訛里朶) |
묘호 | 예종(睿宗) |
시호 | 입덕현인계성광운문무간숙황제(立德顯仁啓聖廣運文武簡肅皇帝) |
능호 | 경릉(景陵) |
출생일 | 요나라 수창 2년(1096년) |
사망일 | 천회(天會) 13년 5월 11일 (1135년 6월 24일)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태조(太祖) 완안아골타(完顔阿骨打) |
어머니 | 선헌황후(宣獻皇后) 복산씨(僕散氏) |
배우자 | 흠자황후(欽慈皇后) 포찰수창(蒲察壽昌), 정의황후(貞懿皇后) 이씨(李氏) |
생애 및 경력 | |
재위 (추존) | (추존) |
좌부원수 재위 기간 | 1132년 4월 26일 ~ 1135년 6월 24일 |
우부원수 재위 기간 | 1127년 10월 6일 ~ 1132년 4월 26일 |
2. 생애
비의 복산씨(선헌황후)의 아들로 태어났다. 『금사』에 따르면 위풍당당한 용모를 지녔으며 관대하고 포용력이 있었다. 또한, 가신들에게 은혜를 베푸는 정치를 펼쳐 인망이 두터웠다.
천회 13년(1135년)에 남송을 토벌하러 갔을 때, 병을 얻어 41세로 사망했다. 완안종요의 죽음을 들은 가신 중에 울지 않는 자가 없었다고 한다.
후에 장남 갈왕 오록(울루)이 폭군이었던 사촌 형 디구나이(테크나이, 해릉왕)를 폐하고 제5대 황제 세종으로 즉위하자, 망부에게 '''예종'''의 묘호와 '''립덕현인계성광운문무간숙황제'''의 시호를 올리고 대방산에 정중하게 장례를 치러 "경릉"이라고 명명했다.
2. 1. 초기 생애와 성품
경릉 묘석에 따르면, 비의 복산씨(선헌황후)의 아들로 태어났다. 『금사』에 따르면 위풍당당한 용모를 지녔으며 관대하고 포용력이 있었다. 또한, 가신들에게 은혜를 베푸는 정치를 펼쳐 인망이 두터웠다.천회 13년(1135년)에 남송을 토벌하러 갔을 때, 병을 얻어 41세로 사망했다. 완안종요의 죽음을 들은 가신 중에 울지 않는 자가 없었다고 한다.
후에 장남 갈왕 오록(울루)이 폭군이었던 사촌 형 디구나이(테크나이, 해릉왕)를 폐하고 제5대 황제 세종으로 즉위하자, 망부에게 '''예종'''의 묘호와 '''립덕현인계성광운문무간숙황제'''의 시호를 올리고 대방산에 정중하게 장례를 치러 "경릉"이라고 명명했다.
2. 2. 남송 정벌과 죽음
비의 복산씨(선헌황후)의 아들로 태어났다. 『금사』에 따르면 위풍당당한 용모를 지녔으며 관대하고 포용력이 있었다. 또한, 가신들에게 은혜를 베푸는 정치를 펼쳐 인망이 두터웠다.1135년(천회 13년)에 남송을 토벌하러 갔을 때, 병을 얻어 41세로 사망했다. 완안종요의 죽음을 들은 가신 중에 울지 않는 자가 없었다고 한다.
후에 장남 갈왕 오록(울루)이 폭군이었던 사촌 형 디구나이(테크나이, 해릉왕)를 폐하고 제5대 황제 세종으로 즉위하자, 망부에게 '''예종'''의 묘호와 '''립덕현인계성광운문무간숙황제'''의 시호를 올리고 대방산에 정중하게 장례를 치러 "경릉"이라고 명명했다.
2. 3. 사후 추존
금 세종이 즉위하고 난 후에, 황제로 추존하였다. 묘호는 '''예종'''(睿宗)이고, 시호는 '''입덕현인계성광운문무간숙황제'''(立德顯仁啓聖廣運文武簡肅皇帝)이다. 능호는 '''경릉'''(景陵)이다.3. 가족 관계
3. 1. 조부모와 부모
조부 : 세조(世祖) 성숙황제(聖肅皇帝) 완안 핵리발(完顔 劾里鉢)조모 : 익간황후(翼簡皇后) 나라씨(拿懶氏)
부친 : 태조(太祖) 무원황제(武元皇帝) 완안 아골타(完顔阿骨打)
모친 : 선헌황후(宣獻皇后) 복산씨(僕散氏)
3. 2. 배우자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별칭 | 재위년도 | 생몰년도 | 국구(장인/장모) | 능묘 | 비고 |
---|---|---|---|---|---|---|---|---|
허왕비(許王妃) | 흠자황후(欽慈皇后) | 포찰 수창/蒲察 壽昌중국어 | [1] | (추존) | 경릉(景陵) | [2] | ||
허왕비(許王妃) | 정의황후(貞懿皇后) | 이씨(李氏) | [3] | (추존) | ? ~ 1153년 | 이추와지(李雛訛只) | [4] | |
비(妃) | 고교주/高巧姝중국어 |
완얀 종요의 정실은 흠자황후이며, 여진인이다.[1][2] 측실은 정의황후이며, 발해인이다. 고교주는 정강의 변의 포로 출신이다.[3][4]
3. 3. 자녀
완얀 종요에게는 여러 자녀가 있었다.[5]봉호 | 이름 | 부마 | 비고 | |
---|---|---|---|---|
1 | 초국장공주 (楚國長公主) | 완안 적발(完顔 迪鉢) | 당괄덕온(唐括 德溫) | |
2 | 기국장공주 (冀國長公主) | 완안 최가(完顔 崔哥) | 오고론 점몰갈(烏古論 粘沒曷) |
참조
[1]
문서
노천비(潞遷妃)/기왕비(冀王妃)
[2]
문서
세종 즉위 후 황후로 추존.
[3]
문서
통혜원명대사(通慧圓明大師)
[4]
문서
세종 즉위 후 황후로 추존.
[5]
문서
갈왕(葛王)/조왕(趙王)/위왕(衛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