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자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자샹은 안후이성 징현 출신으로, 중국 공산당의 초기 활동가이자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이었다. 그는 1925년 상하이 대학 부속 중학교에 입학한 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가입하여 모스크바 쑨원 대학에서 유학했다. 28인의 볼셰비키에 합류하여 중국 혁명에 참여했으며, 쭌이 회의를 계기로 마오쩌둥을 지지하며 당내 입지를 강화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초대 주소련 대사를 역임했으나,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박해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스크바 중산 대학 동문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모스크바 중산 대학 동문 - 장원톈
장원톈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서, 중국 공산당 초기 지도부의 일원이었으며, 쭌이 회의 이후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를 역임했고, 대약진 운동 비판으로 실각했으나 사후 복권되어 당에 공헌한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류윈산
류윈산은 내몽골 출신의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의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이념 및 선전 분야에서 활동했고, 보수적인 성향으로 언론 통제 정책을 추진했으며, 2017년 은퇴했다.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저우융캉
저우융캉은 중국의 정치인으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역임하며 사법, 정보, 공안 기관을 총괄했지만, 퇴임 후 권력 남용 등의 혐의로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 1974년 사망 - 육영수
육영수는 박정희 대통령의 부인이자 퍼스트레이디로서 사회복지 사업과 민원 해결에 힘썼으며 육영재단 설립 등으로 아동 복지 증진에 기여했으나, 1974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저격으로 사망했다. - 1974년 사망 - 최두선
최두선은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이후까지 언론인, 교육자, 정치인으로 활동했으며 동아일보 사장, 초대 국무총리, 대한적십자사 총재를 역임했다.
왕자샹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06년 8월 15일 |
사망일 | 1974년 1월 25일 |
출생지 | 징현, 안후이성 |
국적 | 중화인민공화국 |
직업 | 정치인, 공산주의 혁명가 |
학력 | |
모교 | 모스크바 중산 대학 |
경력 | |
소속 정당 | 중국 공산당 |
직책 | 주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
임기 시작 | 1951년 |
임기 종료 | 1956년 |
국가 주석 | 류샤오치 |
본명 | 왕자샹 |
2. 초기 생애 및 교육
왕자샹은 1906년 안후이성 징현에서 태어났다.[2] 우후시에 있는 영어 선교 학교를 다녔으며, 1925년 9월 상하이 대학 부속 중학교에 입학했다.[2] 한 달 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가입했고, 소련으로 유학을 떠나 모스크바 쑨원 대학에서 공부했다. 이 학교는 쑨원의 제1차 국공 합작 정책에 따라 소련과 중국 공산당의 제휴로 설립되었으며, 중국으로 돌아갈 혁명가들을 양성하기 위해 쑨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 1. 출생 및 가정 환경

왕자샹은 1906년 안후이성 징현의 지주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우후시에 있는 영어 선교 학교에 다녔다.[2]
2. 2. 교육 과정
왕자샹은 안후이성 징현의 지주 집안에서 태어나 우후시에 있는 영어 선교 학교에 다녔다. 1925년 9월 상하이 대학 부속 중학교에 입학했으며,[2] 한 달 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가입했다. 그 후 소련으로 유학을 떠나 모스크바 쑨원 대학에서 공부했다. 이 학교는 쑨원의 제1차 국공 합작 정책에 따라 소련과 중국 공산당의 제휴로 설립되었으며, 중국으로 돌아갈 혁명가들을 양성하기 위해 쑨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 중국 공산당 초기 활동
1928년, 왕자샹은 모스크바에서 중국 공산당에 정식으로 입당했다.[1] 모스크바 쑨원 대학에서 유학하던 시절, 왕밍, 장원톈, 보구 등과 함께 28인의 볼셰비키를 결성하여 중국 혁명에 참여하겠다는 뜻을 함께 했다.
1930년, 모스크바 쑨원 대학 총장이자 코민테른의 중국 대표였던 파벨 미프의 지원을 받아 28인의 볼셰비키는 중국 공산당의 지도부를 맡기 위해 중국으로 파견되었다. 왕자샹은 같은 해 중국으로 귀국했으나,[2] 6월 11일, 당 장악 시도가 실패한 후 홍콩으로 파견되었다.[3]
3. 1. '28인의 볼셰비키' 합류
모스크바 쑨원 대학에서 왕자샹은 왕밍, 장원톈, 보구 등과 함께 28인의 볼셰비키를 결성했다.[1] 이들은 코민테른의 지원을 받아 중국 공산당 지도부를 장악하려 했다.[3] 왕자샹은 1928년 모스크바에서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고,[2] 1930년에 중국으로 귀국했다.[3] 그러나 같은 해 6월 11일, 당 장악 시도가 실패한 후 홍콩으로 파견되었다.[4]3. 2. 중국 귀국 및 초기 활동
모스크바 쑨원 대학에서 유학하던 시절, 왕자샹은 왕밍, 장원톈, 보구 등과 함께 28인의 볼셰비키라는 그룹을 결성하여 중국 혁명에 참여하겠다는 뜻을 함께 했다.1928년, 왕자샹은 모스크바에서 중국 공산당에 정식으로 입당했다.[1]
1930년, 모스크바 쑨원 대학 총장이자 코민테른의 중국 대표였던 파벨 미프의 지원을 받아 28인의 볼셰비키는 중국 공산당의 지도부를 맡기 위해 중국으로 파견되었다. 왕자샹은 1930년에 중국으로 귀국했다.[2]
그러나 1930년 6월 11일, 당 장악 시도가 실패한 후 왕자샹은 홍콩으로 파견되었다. 28인의 볼셰비키는 1930년 리리산과의 권력 투쟁 끝에 결국 당의 권력을 성공적으로 장악했지만, 왕자샹은 다른 동료들에 비해 당 신문 비서와 두 개의 당 저널 주 편집인이라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임무를 받았다.[3]
4. 마오쩌둥 지지와 권력 상승
왕자샹은 28명의 볼셰비키에서 이탈한 초기 인물 중 한 명으로, 1935년 쭌이 회의에서 장원톈, 양상쿤과 함께 마오쩌둥을 지지하였다.[1] 이로 인해 보구는 총서기직에서 물러나고 장원톈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으며, 왕자샹은 마오쩌둥, 저우언라이와 함께 붉은 군대를 지휘하는 위치에 올랐다.[1]
옌안 도착 후 1937년 모스크바로 파견되어 코민테른에서 중국 공산당 대표를 맡았다. 이듬해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로부터 중국 공산당의 통일 전선 활동을 승인받고 마오쩌둥의 당내 지도적 지위를 지지하는 구두 메시지를 받았다는 중요한 증언을 가지고 귀국했다.[3]
이 메시지의 진위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마오쩌둥은 이를 자신의 최고 지도자 지위를 정당화하는 결정적인 증거로 활용했다. 왕자샹은 그 대가로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위원회 부주석에 임명되었다. 당시 중일 전쟁이 발발하여 중국 붉은 군대는 팔로군으로 재편되었고, 왕자샹은 정치부 주임으로 임명되어 주더, 펑더화이와 함께 군사 지휘를 맡았다. 동시에 중국 공산당 정치국 위원이자 상무위원이 되어 당내 최고 지위에 올랐다.
1943년 왕자샹은 마오주의 개념을 처음으로 제기했으며, 옌안에서 마오쩌둥과 함께 중앙 학습 소조를 이끌면서 옌안 정풍 운동을 시작하였다.[4] 그는 마오쩌둥과 류사오치의 동맹을 강화하고, "실제적인 업무 경험"이 부족한 사람들을 비판했다.[4]
1945년 중국 공산당 제7차 전국대표대회에서 마오쩌둥은 왕자샹의 중앙위원회 진입을 옹호하며 그의 기여를 공개적으로 칭찬했다.[2]
4. 1. 쭌이 회의와 입장 변화
28 볼셰비키에서 이탈한 초기 인물 중 한 명인 왕자샹은 1935년 쭌이 회의에서 장원톈, 양상쿤과 함께 마오쩌둥 진영으로 넘어갔다.[1] 이로 인해 보구는 총서기직에서 해임되어 장원톈으로 교체되었고(정치국 위원직은 유지), 왕자샹은 마오쩌둥, 저우언라이와 함께 붉은 군대를 통제하는 자리에 올랐다.[1]4. 2. 옌안 시기 활동
옌안에 도착한 왕자샹은 1937년 모스크바로 파견되어 코민테른의 중국공산당 대표가 되었다. 이듬해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로부터 중국 공산당의 통일 전선 활동을 승인하고 마오쩌둥의 당내 지도적 지위를 지지하는 구두 메시지를 받았다는 중요한 증언을 가지고 돌아왔다.[3]이 메시지의 진위는 논란이 있지만, 마오쩌둥은 이를 자신의 최고 지도자 지위 정당성을 입증하는 결정적인 증거로 활용했다. 그 보상으로 왕자샹은 마오쩌둥의 경쟁자 왕밍을 대신하여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중일 전쟁이 발발했고, 중국 붉은 군대는 팔로군으로 재편되었으며, 왕자샹은 정치부 주임으로 임명되어 주더, 펑더화이와 함께 군사 지휘를 담당했다. 동시에 중국 공산당 정치국 위원이자 상무위원이 되어, 당 내에서 최고의 지위에 올랐다.
1943년 왕자샹은 마오주의 개념을 처음으로 옹호했으며, 옌안에서 마오쩌둥과 함께 중앙 학습 소조를 공동으로 이끌면서 모든 정치국원들이 발언하도록 강제하는 동원 회의를 감독했다. 이것은 "주관주의와 종파주의를 파괴하여 당 간부들을 구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옌안 정풍 운동의 시작을 알렸다.[4]
왕자샹은 마오쩌둥이 항상 "변증법적 유물론"을 옹호해 왔으며, 류사오치도 마찬가지였다고 주장하여 마오와 류의 동맹을 공고히 했다. 또한 왕자샹은 이론에 너무 몰두하고 "실제적인 업무 경험"이 부족한 사람들을 비판했다.[4]
마오쩌둥은 왕자샹의 관심에 보답했다. 1945년 중국 공산당 제7차 전국대표대회에서 마오쩌둥은 왕자샹의 중앙위원회 진입을 옹호하고, 왕자샹과 런비스가 소련 지역에 도착한 후 그들의 기여에 대해 이야기하며 왕자샹을 공개적으로 칭찬했다.[2]
5.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왕자샹은 초대 주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및 외교부 부부장을 역임했다.[1] 1951년에는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 부장에 임명되었다.[1] 1956년 중국 공산당 제8차 전국대표대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중앙위원회 위원 및 서기국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나,[1] 1959년 루산 회의에서 숙청된 장원천보다는 오래 정치 생명을 유지했지만, 결국 문화 대혁명은 피하지 못했다.[1]
5. 1. 외교 및 당 활동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왕자샹은 초대 주소련 중화인민공화국 대사로 임명되었고, 그 후 외교부 부부장을 역임했다.[1] 1951년에는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 부장에 임명되었다.[1] 1956년 중국 공산당 제8차 전국대표대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중앙위원회 위원 및 서기국 위원으로 선출되어 정치 경력의 정점에 올랐으나,[1] 1959년 루산 회의에서 숙청된 장원천보다는 오래 정치 생명을 유지했지만, 결국 문화 대혁명은 피하지 못했다.[1]5. 2. 문화대혁명과 몰락
1966년부터 1976년까지 지속된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왕자샹은 박해를 받았다. 그의 아내 주중리(朱仲丽)는 육군 간호사 출신으로, 제8로군에서 국제 의용군으로 활동했던 캐나다 의사 노먼 베순의 조수였다.[1] 결혼 후, 두 사람은 수십 년 동안 함께 살았다.[1] 주중리는 장칭과 마오쩌둥에 관한 회고록을 쓰는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1]참조
[1]
웹사이트
Explore Zhejiang: Chinese Ambassador Wang Jiaxiang
https://www.youtube.[...]
gbtimes
2016-03-03
[2]
서적
Mao Zedong, Zhou Enlai, and the Evolution of the Chinese Communist Leadership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3]
논문
THE CHINESE COMMUNIST PARTY DURING THE ERA OF THE COMINTERN (1919-1943)
http://www.hks.harva[...]
[4]
서적
New Perspectives on the Chinese Revolu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