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전 (전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전은 전국 시대 진나라의 장군으로, 진나라의 통일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기원전 236년 조나라를 공격하여 여러 성을 함락시켰으며, 이후 조나라를 멸망시키는 데 결정적인 공헌을 했다. 또한 연나라를 정복하고 초나라를 정벌하여 진나라의 통일에 기여했다. 왕전은 뛰어난 지략과 처세술을 발휘하여 진시황제의 신임을 얻었으며, 사마천은 그의 능력을 극찬했지만, 그의 처세술을 비판하기도 했다. 왕전의 손자인 왕리는 거록 대전에서 항우에게 패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이난시 출신 - 장유샤
    장유샤는 중국 공산당 장군 장쭝쉰의 아들이자 중국 군인 및 정치인으로, 현재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겸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하며 중국의 군사 정책 결정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 웨이난시 출신 - 북주 무제
    북주 무제 우문옹은 권신 우문호를 제거하고 친정을 통해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폐불 정책을 통해 재정을 확보하였으며, 북제를 멸망시키고 화북을 통일했으나 진나라 공격을 앞두고 병사한 북주의 제3대 황제이다.
  • 진나라의 장군 - 여불위
    여불위는 전국 시대 말기 위나라 출신 상인이자 진나라의 정치가로서, 자초를 왕위에 옹립하고 승상이 되었으며 《여씨춘추》 편찬과 '일자천금' 고사로 명성을 얻었으나, 몰락하여 자살했고 진시황의 친부 논란 등 복잡한 면모로 대중문화 작품에서 재해석된다.
  • 진나라의 장군 - 항우
    항우는 초나라 명문가 출신으로 진나라에 대항하여 봉기하여 서초 패왕이 되었으나, 유방과의 초한전쟁에서 패배하여 자결한 인물이다.
  • 춘추 전국 시대 사람 - 열자
    열자는 전국 시대의 제자백가 철학자로,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그의 저작과 생애에 대한 증거 부족으로 인해 가상의 인물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 춘추 전국 시대 사람 - 혜시
    혜시는 전국 시대 위나라의 학자이자 정치가로, 공손룡과 함께 명가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동일성과 차이의 상대성을 논하는 역설적인 주장을 펼쳤고, 장자와 교류하며 서로의 사상에 영향을 주었으며, 위나라 혜왕과 양왕을 섬겨 재상을 지냈다.
왕전 (전국)
인물 정보
이름왕전
한자 표기王翦
로마자 표기Wang Jian
시대진나라
직업장군
생애
출생불명
출생지빈양현 동향
사망불명
사인불명
가족 관계
자녀왕분
관직 및 작위
관직장군
작위중경 → 소상조
기타 정보
주군영정(진 시황제)

2. 생애

왕전은 기원전 236년에 환의, 양단화 등과 함께 조나라의 업을 공격하여 9개 성을 함락시키고, 정예 부대를 편성하여 업 등을 함락시켰다. 기원전 229년에는 강외, 양단화와 함께 조나라를 공격, 정형을 함락시켰다. 조나라 장수 이목과 사마상이 대항했지만, 이목은 참언으로 처형되고 사마상은 해임되었다.[3][4] 기원전 228년, 왕전은 이목이 처형된 지 3개월 후 조나라 수도 한단을 함락시키고, 유목왕을 사로잡았다.[5][6]

기원전 227년, 신승과 함께 연나라를 공격, 연·대 연합군을 격파했다.[6] 기원전 226년에는 아들 왕분과 함께 연나라 수도 를 공격, 태자 단의 군대를 격파하고 계를 평정했다.[6] 그러나 연왕 희는 요동으로 도망쳐 명맥을 유지했다. 이후 왕전은 노병을 이유로 장군직을 사임하고 귀향했다.

기원전 224년, 진 시황제의 요청으로 다시 군의 장이 되어 초나라를 공격, 진에서 남쪽 평여까지의 땅을 점령하고 초왕 부추를 사로잡았다. 기원전 223년에는 몽무와 초나라를 공격, 창평군은 전사하고 장군 항연은 자결했다. 기원전 222년, 왕전은 초나라 강남을 평정하고 동월의 왕을 항복시켜 회계군을 설치, '''무성후''' 칭호를 받았다.

왕전은 진 시황제에게 전후 포상으로 비옥한 토지와 저택을 요구하는 등, 반란의 의심을 피하기 위한 처세술을 보였다. 그는 진왕 정의 짐작이 강함과 냉혹함을 잘 이해하고, 자신의 의견이 채택되지 않자 은퇴를 신청하기도 했다. 초나라 평정 후에도 의심받지 않고 천수를 다했다.

사마천은 왕전의 공적이 탁월했지만, 진 시황제를 보좌하여 덕정을 펼치지는 못했다고 평가했다.[33]

2. 1. 초기 활동 및 조나라 정복

왕전은 빈양(頻陽) 동향(東鄕)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병법을 좋아했으며 진 시황제를 섬겼다.[9]

기원전 236년(진시황 11), 왕전은 환의 · 양단화 등과 함께 조나라을 공격하여 9성을 빼앗았다.[10] 이때에 왕전은 연여(閼與) · 요양(橑楊)을 공격하였으며, 모든 군대를 통합하였다. 왕전은 18일 동안 군대를 통솔하며 군중에서 공로가 두식(斗食) 이하인 자들을 돌려보냄으로써 군사들의 수를 1/5로 줄이고 정예병만을 남겼다. 이후 왕전이 업과 안양(安陽)을 빼앗은 후 환기에게 군대의 통솔권을 넘겼다.[11]

기원전 229년(진시황 18), 진나라가 대대적으로 군대를 일으켜 조나라를 공격했다. 이때에 왕전은 양단화 · 강외(羌瘣) 등과 함께 출전하여 상지(上地)의 군대를 거느리고 조나라의 정형(井陘, 지금의 허베이성)을 함락시켰다.[12] 이후 왕전은 1년 남짓 동안 조나라를 공격하였다.[13] 이때에 왕전은 조나라의 명장인 이목 · 사마상(司馬尙) 등과 대치하였다. 그러자 왕전은 조나라 왕의 총애를 받던 곽개(郭開)에게 뇌물을 주어서 이목과 사마상이 진나라에 붙으려 한다는 거짓 보고를 하게 하였다. 이를 믿은 조나라 왕은 이목을 죽이고 사마상을 해임하고 말았다.[14]

기원전 228년(진시황 19), 왕전은 강외와 조나라의 동양(東陽)을 모두 평정하여 빼앗았으며 조나라의 마지막 왕인 유류왕을 사로잡았다.[15] 그 후에 왕전은 연나라를 공격하기 위하여 중산에 주둔하였다.[15] 한편 조나라의 공자 가(嘉)가 종족들을 거느리고 대(代)로 달아나서 스스로 왕이 되고는 연나라와 연합하여 상곡에 군사를 주둔시켰다.[16]

2. 2. 연나라 정복

기원전 227년(진시황 20), 연태자 단이 자객 형가를 보내 진시황을 암살하려 하였으나 실패했다. 왕전은 이를 보복하기 위하여 신승(辛勝)과 함께 연나라를 공격하였다. 이에 연나라가 대왕 가와 연합하여 진나라 군대와 맞섰다. 그러자 왕전은 역수(易水) 서쪽에서 연나라 군대를 격파하였다.[17]

기원전 226년(진시황 21), 왕전은 병력을 증원받은 후 연태자 단의 군대를 격파하고 연나라의 도읍인 계성(薊城)을 점령하였다. 연나라의 마지막 왕인 연왕 희는 요동으로 달아났다.[18]

《사기》 연소공세가에 의하면, 연태자 단은 이후 요동에서 아버지인 연왕 희에게 살해당하였으며 그 머리가 진나라에 바쳐졌다.[19] 그 외의 다른 기록에서는 계성 점령 당시에 왕전에게 목이 베였다고도 하고,[20] 혹은 연수(衍水)에서 진나라의 장수 이신에게 패하여 붙잡혔다고도 한다.[21] 이후 기원전 222년(진시황 25)에 연왕 희가 왕전의 아들인 왕분(王賁)에게 사로잡히면서 연나라는 완전히 멸망했다.[22]

2. 3. 초나라 정복과 진나라의 통일

기원전 224년, 왕전은 몽무와 함께 초나라를 공격했다. 왕전은 일부러 보루를 쌓고 초나라 군대가 수차례 싸움을 걸어도 응하지 않았다. 오히려 군사들을 휴식시키며 잘 씻기고 잘 먹이며 다독거렸고, 몸소 병사들과 식사하는 등 군중의 사기를 진작시켰다. 이윽고 왕전이 사람을 시켜 군중을 둘러보니 군사들이 스스로 투석(投石, 돌던지기)과 초거(超距, 장애물넘기) 놀이를 하고 있었는데, 이를 듣고서야 왕전은 군사들이 싸울 준비가 끝났다고 생각했다. 이후 초나라 군대가 동쪽으로 이동하자, 왕전이 이들을 추격하여 크게 무찔렀다. 그리고 마침내 기(蘄)에서 초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그 장군 항연을 죽였다.[27]

기원전 223년, 왕전은 몽무와 함께 다시 초나라를 공격하여 초나라의 마지막 왕인 초왕 부추를 사로잡았으며,[28] 진(陳)의 남쪽부터 평여(平輿)에 이르는 땅을 빼앗았다.[29]

기원전 222년, 왕전은 초나라의 강남(江南)을 평정하였으며, 또한 월군(越君)을 항복시키고 회계군을 설치했다.[30] 그리고 이듬해인 기원전 221년, 왕전의 아들인 왕분제나라를 공격하여 멸망시키면서 마침내 전국시대가 종결되고 중국이 최초로 통일되었다.[31]

한편 왕전이 초나라를 평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기록에 따라 모순이 있다. 《사기》 진시황본기에서는 왕전이 기원전 224년에 초왕 부추를 사로잡았고, 이듬해인 기원전 223년에 왕전이 초나라 왕으로 추대된 창평군을 격파하여 죽였으며 항연은 자결했다고 하였다. 이에 반하여 《사기》 육국연표 · 초세가 · 백기왕전열전 · 몽염열전 등에 기록된 초나라의 멸망과정은 그 앞뒤의 과정이 바뀌어 있다. 그런데 1975년, 호북성 운몽현의 진나라 시대 관료의 무덤에서 발굴된 《운몽수호지진간》(雲夢睡虎地秦簡)의 〈연기〉(年記)에서는 진나라가 기원전 223년에 초나라를 공격하였고, 기원전 224년에 초왕 부추를 사로잡았던 것을 추측케하는 기록이 있어서 《사기》 진시황본기의 서술을 믿기 어렵다는 주장이 유력하게 되었다.[32]

2. 4. 왕전의 지략과 처세술

왕전은 뛰어난 지략과 처세술로 진나라의 천하통일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그는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자신의 이익과 안전을 도모하는 데 능숙했다.

초나라 정벌을 앞두고 진 시황제가 필요한 병력 규모를 묻자, 왕전은 60만 대군을 요구했다. 반면 이신은 20만 명으로 충분하다고 답했다. 시황제는 이신의 의견을 채택했지만, 초나라 군대에 대패하고 만다. 결국 시황제는 직접 왕전을 찾아가 사과하고, 60만 대군을 주어 초나라 정벌을 맡긴다.[25]

왕전은 출정 전, 시황제에게 많은 땅과 저택을 요구하고, 출정 후에도 계속해서 사자를 보내 같은 요구를 반복했다.[26] 이는 진왕이 자신을 의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행동이었다. 왕전은 진왕이 의심이 많은 성격임을 간파하고, 자신이 재물에만 욕심이 있고 반란에는 뜻이 없음을 보여주려 한 것이다.[26]

왕전의 예상대로 진 시황제는 왕전에게 전권을 맡기면서도 그를 의심했다. 왕전은 이러한 의심을 역이용하여 자신의 안전을 확보하고, 결국 초나라를 멸망시키는 데 성공한다.

사마천은 왕전의 공적은 탁월했지만, 진 시황제를 보좌하여 덕정을 펼치고 국가의 기반을 굳건히 할 수는 없었다고 평가한다.[33]

3. 평가

사마천은 《사기》에서 백기와 왕전의 열전을 함께 엮었다. 사마천은 왕전을 "진나라의 장수가 되어 여섯 나라를 멸망시켰다. 당시에 왕전은 숙장(宿將)이 되었으니, 진시황도 그를 스승으로 모셨다."라며 그의 능력을 극찬하였다. 그러나 왕전의 처세술을 비꼬아 "능히 진나라의 덕을 세워서 그 근본을 다지지 못하고 구차하게 합취(合取)하다가 죽었다."라고 말하며, 그의 손자 왕리가 포로가 된 것 또한 당연한 이치라고 비판하였다.[36]

남조 시대의 문인 주흥사는 《천자문》에서 "기전파목(起翦頗牧) 용군최정(用軍最精)"이라 하였는데, 이는 곧 전국 시대에 백기 · 왕전 · 염파 · 이목 등이 군사를 가장 잘 부렸다는 뜻이다.[37]

왕전은 진(秦) 왕 정(진 시황제)을 도와 조나라와 초나라를 멸망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진시황은 왕전을 스승으로 여길 정도로 그의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 하지만 왕전은 진시황에게 자신의 욕심을 드러내며 의심을 피하는 처세술을 보였고, 이는 사마천에게 비판받기도 했다. 사마천은 왕전이 뛰어난 장수였지만, 진나라의 덕을 세우고 근본을 다지는 데는 부족했다고 평가했다.[36]

4. 가계

왕전에게는 아들인 왕분과 손자인 왕리가 있었다.[38] 왕분은 통무후(通武侯)의 작위를 받았고, 왕리는 무성후(武城侯)의 작위를 받았다.[39]

후대의 기록인 《신당서》에 따르면, 왕전의 손자인 왕리는 왕원(王元)·왕위(王威) 두 아들을 두었다고 한다. 이후 진나라가 멸망할 때 왕원이 전란을 피해 낭야로 이주하였다고 전한다. 이후 전한의 왕길·왕준·왕숭, 조위의 왕웅, 서진왕상·왕도·왕돈·왕희지 등의 인물을 배출하였다. 위진남북조 시대에 문벌로써 이름을 떨쳤던 낭야 왕씨 집안도 왕전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즉 낭야 왕씨는 왕리의 먼 후손이 되는 것이다.[40]

다만 《한서》 왕길전에는 왕리와 왕길 사이에 대한 관련을 적고 있지 않아서 《신당서》의 계도에 대해 신뢰성이 의심받고 있다.

5. 대중문화 속의 왕전

만화 및 애니메이션 킹덤에서 왕전은 왕씨 가문의 수장으로 등장하며, 조용하고 재능 있는 전술가로서 침착하고 냉철한 태도를 지니고 있다. 그는 뛰어난 전쟁 지략을 갖춘 최고의 전략가이자 장군 중 한 명이며, 그의 뛰어난 업적으로 인해 진나라 왕 영정으로부터 중국 통일을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진 육대장군"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1]


: 처음에는 몽오의 부장이자 왕전군을 이끌고 있다. 그 후, 새로운 진나라 육대 장군 중 한 명이 된다.[1]

참조

[1] 서적 Thousand-Character Classic
[2] Shiji Vol. 73, biography of Wang Jian
[3] 웹사이트 卷二十一 趙策四 http://www.chinesecl[...]
[4] 웹사이트 趙世家第十三 http://www.chinesecl[...]
[5] 웹사이트 六國年表第三 http://www.chinesecl[...]
[6] 웹사이트 秦始皇本紀第六 http://www.chinesecl[...]
[7] 사기 李信이 요동에 달아난 태자 단을 포로로 잡았다고 기록됨
[8] Wikisource 史記・白起王翦列傳第十三
[9] 사기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10] 사기 《사기》 권6 진시황본기,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11] 사기 《사기》 권6 진시황본기
[12] 사기 《사기》 권6 진시황본기
[13] 사기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14] 전국책 《전국책》 권21 조책4 〈秦使王翦攻趙〉
[15] 사기 《사기》 권6 진시황본기
[16] 사기 《사기》 권6 진시황본기
[17] 사기 《사기》 권6 진시황본기
[18] 사기 《사기》 권6 진시황본기
[19] 사기 《사기》 권34 연소공세가
[20] 사기 《사기》 권6 진시황본기
[21] 사기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22] 사기 《사기》 권6 진시황본기, 《사기》 권34 연소공세가
[23] 사기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24] 사기 《사기》 권6 진시황본기,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25] 사기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26] 사기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27] 사기 《사기》 권15 육국연표, 《사기》 권40 초세가,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사기》 권88 몽염열전
[28] 사기 《사기》 권15 육국연표, 《사기》 권40 초세가,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사기》 권88 몽염열전
[29] 사기 《사기》 권6 진시황본기
[30] 사기 《사기》 권6 진시황본기
[31] 사기 《사기》 권6 진시황본기 ;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32] 서적 인간 시황제 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2017
[33] 사기 《사기》 권6 진시황본기
[34] 사기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35] 사기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36] 서적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37] 서적 천자문
[38] 서적 사기 권73 백기왕전열전
[39] 서적 사기 권6 진시황본기
[40] 서적 신당서 권72 中 재상세계표2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