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준 (군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준은 전한 말기부터 신나라 시기까지 흉노와의 외교 및 군사 활동에 참여한 인물이다. 전한 시대에는 중랑장으로 흉노에 사절로 파견되었고, 신나라 시기에는 오위장으로 흉노에 사절단을 이끌고 가 인새와 금품을 하사했다. 또한, 왕망의 흉노 선우 칭호 변경 이후 흉노 토벌에 참여하여 분무장군으로 장액에서 출격하기도 했다. 이후 서역도호 이숭과 함께 흉노를 공격하다가 언기국과의 전투에서 휘하 병사들의 반란으로 전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나라의 장군 - 장우 (신)
    장우는 신나라 시기에 활동하며 흉노 정벌과 고구려 공격에 참여하고 녹림군을 진압하는 등 군사적 역할을 수행했으며, 곤양 전투 패배 후 유망에게 투항하여 경시제의 공격을 막았으나 유신에게 패하여 사망했다.
  • 신나라의 장군 - 녹병
    녹병은 전한 시대에 법률을 공부하여 장작대장을 지내고 몽향후에 봉해졌으며, 신나라 시대에는 대사마를 지냈으나 일식의 책임을 지고 면직된 인물이다.
  • 전한의 재상 - 사마천
    사마천은 중국 전한 시대의 역사가, 천문학자, 역법가로서 중국 최초의 통사로 평가받는 『사기』를 저술하여 기전체를 확립하고 역사 서술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이릉 변호 사건으로 궁형을 받는 고난을 겪었으며 태초력 제정에도 참여하는 등 천문학과 역법에도 업적을 남겼다.
  • 전한의 재상 - 병천
    병천은 전한 초 유방을 도와 진나라 평정과 항우 격파에 공을 세워 고원후에 봉해졌고, 중위를 지낸 인물이다.
왕준 (군공)
왕준 (명예후)
위키프로젝트 아이콘
이 사람은 위키프로젝트 중국사의 범위를 벗어났습니다.
생년(추정) 1331년
몰년1394년
봉작명의후(明義侯)
시호양민(襄敏)
국적명나라
활동 시기홍무제 시대
주요 관직병부상서(兵部尚書)
태자첨사(太子詹事)
왕준 (군공)
인물 사진 없음
인물 사진 없음
몰년1370년
작위오천위익사(五千戶益師) → 지휘사(指揮使) → 오천호(五千戶)
국적명나라
활동 시기홍무제 시대
주요 활동군공(軍功)

2. 생애

왕준(王駿, ? ~ 16년)은 전한 말기부터 신나라 시기까지 활동했던 장군으로, 자는 군공(君公)이며 경조윤 장안현 출신이다.

전한 시기에는 집금오, 보병장군 등을 지냈으며, 왕망 집권 후에는 그의 휘하에서 활동했다. 동군태수 적의가 반란을 일으키자 토벌군에 참여했으나 큰 공을 세우지는 못했다.

또한 전한 말부터 흉노 관련 외교 및 군사 활동에 관여했다. 신나라 건국 후에는 사신으로 파견되기도 했으며, 이후 흉노 토벌 작전에도 참여했다. 천봉 3년(16년), 서역에서 흉노 관련 작전을 수행하던 중 휘하 부대의 배신으로 전사했다.

2. 1. 전한 시기 활동

원시 3년(3년), 집금오에 임명되었고, 2년 후인 원시 5년(5년)에는 보병장군(步兵將軍)으로 자리를 옮겼다.

거섭 2년(7년) 9월, 동군태수 적의가 왕망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당시 명의후(明義侯)였던 왕준은 왕망으로부터 강노장군(強弩將軍)에 임명되어, 분무장군(奮武將軍) 손건, 호아장군(虎牙將軍) 왕읍 등 다른 여섯 명의 장군과 함께 적의 토벌에 나섰다. 같은 해 12월, 손건과 왕읍 등은 여(圉, 진류군)에서 적의 군대를 성공적으로 섬멸했으나, 왕준은 별다른 군공을 세우지 못했다. 이 때문에 이듬해인 거섭 3년(8년) 정월에 장군직에서 해임되었다.

한편, 왕준은 전한 말기부터 흉노와의 외교 사절 임무를 맡기도 했다. 정확한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전한 말에 중랑장으로서 왕창과 함께 사절단의 장이 되어 흉노 선우에게 파견된 바 있다.

2. 2. 대흉노 외교 활동

왕준은 전한 말기부터 흉노와의 외교 활동에 참여했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중랑장으로서 왕창과 함께 사절단의 장이 되어 흉노 선우에게 파견된 기록이 있다.

왕망이 신나라를 세운 후인 시건국 원년(9년), 왕준은 오위장(五威將)으로서 다시 흉노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그는 신나라의 인새(印璽)와 금품 등을 선우에게 전달했다. 그러나 왕망이 기존 의 것과 다르게 만든 인장 글씨는 흉노의 반발을 사, 결국 신나라와의 관계가 틀어지는 원인이 되었다.

이듬해인 시건국 2년(10년) 12월, 왕망은 흉노 선우의 칭호를 항노복우(降奴服于)로 강등시키고 대대적인 흉노 토벌을 계획했다. 입국장군(立國將軍) 손건이 총지휘를 맡아 12명의 장군을 다섯 길로 나누어 진격시켰는데, 이때 왕준도 분무장군(奮武將軍)으로서 12장군 중 한 명으로 참전하여 정호장군(定胡將軍) 왕안과 함께 장액군 방면에서 출격하였다.

천봉 3년(16년), 왕준은 서역도호 이숭과 함께 다시 흉노를 치기 위해 서역으로 나아갔다. 서역의 여러 나라가 군대를 지원했지만, 그중 언기국은 거짓으로 항복한 뒤 왕준을 공격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이를 간파한 왕준은 사차국과 구자국 등에서 지원받은 병력 7천 명을 이끌고 선제적으로 언기국을 공격했다. 그러나 전투 중 왕준 휘하에 있던 고묵국, 위리국, 위수국 병사들이 반란을 일으키는 바람에 크게 패하였고, 왕준 자신도 이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2. 3. 흉노 토벌과 최후

시건국 원년(9년), 오위장(五威將)이 된 왕준은 신나라의 사신으로서 흉노로 파견되었다. 그는 선우에게 새로운 인새와 금품 등을 전달하였으나, 이때 왕망이 기존 한(漢)의 것과 다르게 제작한 인새는 흉노 측의 반감을 사 훗날 신나라와의 관계가 틀어지는 원인이 되었다.

이듬해인 시건국 2년(10년) 12월, 왕망은 흉노 선우의 칭호를 강압적으로 항노복우(降奴服于)로 바꾸고, 입국장군(立國將軍) 손건에게 12명의 장군을 이끌고 다섯 갈래로 나아가 흉노를 대대적으로 토벌하도록 명령했다. 이때 왕준은 다시 분무장군(奮武將軍)으로 임명되어 12명의 장군 중 한 명으로 참여했으며, 정호장군(定胡將軍) 왕안과 함께 장액군 방면에서 출격하였다.

천봉 3년(16년), 왕준은 서역도호 이숭과 함께 흉노를 치기 위해 서역으로 나아갔다. 당시 서역의 여러 나라들은 왕준의 군대를 지원하였으나, 그중 하나인 언기국은 거짓으로 항복한 뒤 기회를 엿보아 공격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이를 간파한 왕준과 이숭은 사차국과 구자국 등의 병력 7천 명을 동원하여 선제적으로 언기국을 공격했다. 그러나 전투 중 왕준의 지휘 아래 있던 고묵국·위리국·위수국(危須國)의 병사들이 돌연 반란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전세가 뒤집혀 왕준의 군대는 패배하였다. 왕준 본인도 이 전투에서 목숨을 잃었다.

3. 관직

원시 3년(3년)에 집금오에 임명되었고, 원시 5년(5년)에는 보병장군으로 자리를 옮겼다.

거섭 2년(7년) 9월, 동군 태수 적의왕망 타도를 내걸고 봉기하자, 당시 명의후(明義侯)였던 왕준은 왕망에 의해 강노장군(彊弩將軍)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분무장군(奮武將軍) 손건, 호아장군(虎牙將軍) 왕읍 등 다른 여섯 명의 장군과 함께 적의 토벌에 나섰다. 같은 해 12월, 손건과 왕읍 등은 여(圉, 진류군)에서 적의의 군대를 격파했지만, 왕준은 특별한 군공을 세우지 못하여 거섭 3년(8년) 정월에 장군직에서 해임되었다.

왕준은 전한 말기부터 흉노와의 외교 사절 임무를 맡기도 했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전한 말에 중랑장으로서 왕창(王昌)과 함께 사절단의 장이 되어 흉노 선우에게 파견된 기록이 있다. 왕망신(新)을 건국한 후인 시건국 원년(9년), 오위장(五威將)이 된 왕준은 다시 사절단의 장으로 임명되어 신의 사절로서 인장과 금품 등을 흉노 선우에게 전달했다. 그러나 이때 왕망이 기존 한(漢) 시대의 인장을 고쳐 만든 새로운 인장을 전달하면서, 이는 훗날 흉노가 신나라에 반감을 가지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시건국 2년(10년) 12월, 왕망은 흉노 선우의 칭호를 강노복우(降奴服于)로 격하하고, 입국장군(立國將軍) 손건에게 12명의 장군을 거느리고 다섯 길(五路)로 나뉘어 흉노를 토벌하도록 명령했다. 이때 왕준도 분무장군(奮武將軍)으로서 12명의 장군 중 한 명으로 참전했으며, 정호장군(定胡將軍) 왕안(王晏)과 함께 장액군 방면으로 출격했다.

천봉 3년(16년), 왕준은 서역도호(西域都護) 이숭과 함께 흉노 토벌을 위해 서역으로 출정했다. 당시 서역의 여러 나라들은 왕준의 군대를 지원했으나, 그중 언기국(焉耆國)은 거짓으로 항복하고 왕준 등을 공격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 왕준 등은 사차국(莎車國), 구자국(龜茲國) 등의 병사 7천 명을 이끌고 언기국을 공격했다. 그러나 왕준의 지휘하에 있던 고묵국(姑墨國), 울려국(尉犁國), 위수국(危須國)의 병사들이 배반하면서 왕준은 전투에서 패배하고 전사했다.

4. 출전


  • 반고, 《한서
  • * 권19하 백관공경표 下
  • * 권84 적방진전
  • * 권94 흉노전 下
  • * 권96상 서역전 上
  • * 권99중 왕망전 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