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조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조윤은 중국 역사에서 수도 주변 지역을 관할하는 행정구역 또는 그 장관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전한 시대에 처음 설치되어, 이후 위, 서위, 수,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시대에 따라 관할 지역과 역할이 변화했다. 특히 당나라 시대에는 수도 장안을 관할하는 행정 장관을 경조윤으로 불렀다. 한국사에서는 한성부판윤을, 일본에서는 교직의 장관을 경조윤이라고 칭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조윤 - 이사공
이사공은 당나라 말기 황소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이씨 성을 하사받고 하국공에 봉해진 군벌로, 후일 서하 건국의 기반을 마련했다. - 경조윤 - 사마방
후한 말기 관료 사마방은 '사마팔달'이라 불리는 여덟 아들을 두었으며 낙양현령, 경조윤, 상서우승 등을 역임했고, 그의 아들들은 뛰어난 재능으로 가문을 서진 황족으로 만들었다. - 산시성 (섬서성)의 군 - 한중군
한중군은 중국 역사 속 여러 왕조에서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으로, 한수 유역의 한중 분지에 위치하며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산시성 (섬서성)의 군 - 서하군
서하군은 전한 무제가 상군 북부를 분할하여 설치한 군으로, 삭방자사부에 소속되어 현재의 어얼둬쓰 시, 뤼량 시, 위린 시 일대에 걸쳐 있었으나, 왕망의 신나라 때 잠시 귀신군으로 개칭되었고, 후한 시대, 전조, 북위, 북주, 수나라를 거치며 행정 구역의 변화를 겪다가 당나라 때 호주, 분주로 개칭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경조윤 |
---|
2. 역사
경조윤은 전한의 수도권을 관할하던 중요한 직책이었다. 좌풍익, 우부풍과 함께 '삼보'라고 불렸으며, 군의 태수와 유사한 직무를 수행했지만, 수도를 관할하고 조정에도 참여했기 때문에 더 높은 지위에 있었다. 경조윤은 재상 후보의 자질을 시험하는 자리로 여겨지기도 했다.[7]
2. 1. 전한
경조윤은 전한의 수도권을 관할하는 중요한 직책이었다. 좌풍익, 우부풍과 함께 '삼보'라고 불렸으며, 군의 태수와 유사한 직무를 수행했지만, 수도를 관할하고 조정에도 참여했기 때문에 더 높은 지위에 있었다. 경조윤은 재상 후보의 자질을 시험하는 자리로 여겨지기도 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9만 5702호, 68만 2468명을 관할했다. 원시 4년(4년)에는 경사(京師)를 나누어 전휘광과 후승렬이라는 두 군을 설치했으나, 후한 때 다시 복구되었다.[7]2. 1. 1. 설치 배경
전한 수도권을 관할하는 직책에는 경조윤, 좌풍익, 우부풍이 있었으며, 이들은 모두 전한의 내사와 관련이 있다. 고제는 새(塞)나라를 정복하고 위남군과 하상군을 설치했는데, 경조윤의 관할 영역은 이 중 위남군에 해당한다. 고제 9년(기원전 198년), 전한의 수도권 지역의 군을 폐지하고 진나라처럼 내사를 두면서 위남군도 폐지되었다. 무제 건원 6년(기원전 135년)에 내사의 관할 영역을 좌우로 나누면서, 우내사에 옛 위남군과 중지군이 속하고 좌내사에 옛 하상군이 속했다. 태초 원년(기원전 104년)에 우내사를 고쳐 처음으로 경조윤을 두었다.[7]진나라 시대에 수도 함양 주변을 통치할 목적으로 설치된 내사가 그 전신이다. 전한이 성립하자 기원전 206년(고제 원년)에 '''새국'''으로, 이듬해 '''위남군'''으로 개칭되었으나, 기원전 197년에 다시 '''내사'''의 관할로 변경되었다. 기원전 135년(건원 6년)에 내사가 좌우로 분할되었을 때 '''우내사'''의 관할이 되었고, 기원전 104년에 우내사의 관할이 다시 분할되어 '''경조윤'''으로 개칭되었다.
2. 1. 2. 역할과 위상
전한 수도권을 관할하는 경조윤은 좌풍익, 우부풍과 함께 삼보라 불렸으며, 군의 태수와 비슷한 일을 했다. 하지만 기내를 다스리고 조정에도 참여했기 때문에 태수보다 높은 위치에 있었다. 경조윤은 재상 후보의 자질을 평가하는 자리였으며, 관위는 2천 석이었다.[7]경조윤은 진나라가 수도 함양 주변을 다스리기 위해 설치한 내사에서 비롯되었다. 전한이 건국된 후 기원전 206년 (고제 원년)에는 '''새국'''으로, 이듬해에는 '''위남군'''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나, 기원전 197년에 다시 '''내사'''의 관할이 되었다. 기원전 135년 (건원 6년)에 내사가 좌우로 나뉘면서 '''우내사'''의 관할이 되었고, 기원전 104년에 우내사의 관할이 다시 분할되어 '''경조윤'''으로 바뀌었다.[7]
후한 시대에 수도가 낙양으로 옮겨가면서 (낙양 주변은 하남윤이 다스렸다) 경조윤의 지위는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2. 1. 3. 관할 구역
전한 수도권을 관할하는 직책은 경조윤, 좌풍익, 우부풍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전한의 내사와 관련이 있다. 고제는 새(塞)나라를 정복하고 위남군과 하상군을 세웠는데, 경조윤의 관할 영역은 이 중 위남군에 상당한다. 고제 9년(기원전 198년) 전한의 수도권 지역 군을 폐지하고 진나라처럼 내사를 두면서 위남군도 폐지되었다. 무제 건원 6년(기원전 135년) 내사의 관할 영역을 좌우로 나누면서, 우내사에 옛 위남군과 중지군이 속하고 좌내사에 옛 하상군이 속했다. 태초 원년(기원전 104년) 우내사를 고쳐 처음으로 경조윤을 두었다.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19만 5702호, 68만 2468명을 관할했다. 원시 4년(4년) 경사(京師)를 나누어 전휘광과 후승렬이라는 2군을 설치했으나 후한 때 이를 회복시켰다.[7] 현대의 시안시 대부분과 웨이난시의 웨이허 이남 지역에 해당한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장안현 | 長安縣 | 시안시 웨이양구 한 장안성 유적 | 고제 5년(기원전 202년) 설치. 8만 8백 호, 24만 6200명 관할. |
신풍현 | 新豊縣 | 시안시 린퉁구 북동 | 여산(驪山)이 남쪽에 있으니 주나라 시대의 여융(驪戎). 진(秦)나라의 이읍(酈邑)으로 고제 7년(기원전 200년) 처음 설치. 응소에 따르면 태상황의 향수를 달래기 위해 고제가 고향 풍(豊)과 비슷한 마을을 만들어 신풍이라 했다고 한다.[8] 성제 때 진탕·해만년의 건의로 희향(戲鄕)을 창릉현(昌陵縣)으로 개편하여 능읍을 조성하려다가 실패.[9] |
선사공현 | 船司空縣 | 웨이난시 퉁관현 북 | |
남전현 | 藍田縣 | 시안시 란톈현 서 | 산에서 아름다운 옥이 난다. 호후산사(虎候山祠)가 있다. 진헌공이 세웠다. |
화음현 | 華陰縣 | 웨이난시 화인시 동 | 옛 음진(陰晉)으로, 진나라 혜문왕 6년 영진(寧秦)으로 개명, 고제 8년(기원전 199년) 화음으로 개명. 태화산(太華山)이 남쪽에 있어 사당이 있으니 예주산(豫州山). 집령궁(集靈宮)은 무제가 세웠다. |
정현 | 鄭縣 | 웨이난시 화저우구 | 정 환공의 첫 봉지로 정나라라는 국명의 유래. 철관이 있다. |
호현 | 湖縣 | 싼먼샤시 링바오 시 서 | 주천자사(周天子祠) 두 곳이 있다. 원래 이름은 호(胡)로 건원 원년에 개명. |
하규현 | 下邽縣 | 웨이난시 북동 | |
남릉현 | 南陵縣 | 시안시 동 | 문제 7년 설치. 기수(沂水)가 남전곡(藍田谷)에서 나와 북으로 패릉에 이르러 패수(霸水)로 들어간다. 패수도 남전곡에서 나와 북으로 위수로 들어간다. |
봉명현 | 奉明縣 | 시안시 북서 | 선제의 아버지 유진의 무덤인 봉명원(奉明園)이 소재한 곳으로, 본래 광명(廣明)이었으나 선제가 고침. |
패릉현 | 霸陵縣 | 시안시 북동 | 원래는 지양(芷陽)으로 문제가 개명. |
두릉현 | 杜陵縣 | 시안시 남서 | 옛 두백국(杜伯國)으로, 원래 두(杜)였던 것을 선제가 개명. 주우장군두주사(周右將軍杜主祠) 네 곳이 있다. |
2. 1. 4. 주요 경조윤
경조윤은 전한의 수도권을 관할하는 직책으로, 좌풍익, 우부풍과 함께 삼보라고 불렸다. 이들은 모두 전한의 내사와 관련이 있다. 고제는 새(塞)나라를 정복하고 위남군과 하상군을 설치했는데, 경조윤의 관할 영역은 이 중 위남군에 해당한다. 고제 9년(기원전 198년), 전한의 수도권 지역의 군을 폐지하고 진나라처럼 내사를 두면서 위남군도 폐지되었다. 무제 건원 6년(기원전 135년)에 내사의 관할 영역을 좌우로 나누었고, 태초 원년(기원전 104년)에 우내사를 고쳐 처음으로 경조윤을 두었다.[7]경조윤의 직무는 군의 태수와 유사했지만, 기내를 관할하고 조정에도 참여했기 때문에 재상 후보의 적성을 시험하는 현직이었다. 관위는 2천 석이었다.(『한서』백관공경표상). 후한 시대에는 수도가 낙양으로 옮겨가면서 경조윤의 지위는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경조윤을 역임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3]
역임 시기 | 이름 |
---|---|
태초 원년(기원전 104년) ~ | 무기 |
~ 정화 2년(기원전 91년) | 간기연 (형사) |
~ 후원 3년(기원전 88년) | 건 (형사) |
시원 원년(기원전 86년) ~ 시원 5년(기원전 82년) | 준불의 (병면) |
시원 6년(기원전 81년) | 번복 |
원봉 4년(기원전 77년) | 팽조 |
본시 원년(기원전 73년) | 성 |
본시 3년(기원전 71년) ~ 원강 원년(기원전 65년) | 조광한 (형사) |
원강 원년(기원전 65년) ~ | 유 |
원강 3년(기원전 63년) | 황패 |
신작 원년(기원전 61년) ~ 감로 원년(기원전 53년) | 장창 |
감로 4년(기원전 50년) | 성 |
초원 원년(기원전 48년) ~ 초원 2년(기원전 47년) | 진수이 |
초원 2년(기원전 47년) ~ | 창 |
초원 4년(기원전 45년) ~ | 성 |
영광 4년(기원전 40년) ~ 건소 원년(기원전 36년) | 장담 |
건소 5년(기원전 34년) ~ 건시 원년(기원전 32년) | 왕창 |
건시 원년(기원전 32년) ~ | 송평 |
건시 2년(기원전 31년) ~ 건시 4년(기원전 29년) | 견존 |
건시 4년(기원전 29년) ~ 하평 2년(기원전 27년) | 왕준[4] |
하평 2년(기원전 27년) ~ 하평 4년(기원전 25년) | 송등[5] |
하평 4년(기원전 25년) ~ 양삭 원년(기원전 24년) | 왕장 (옥사) |
양삭 원년(기원전 24년) ~ 양삭 4년(기원전 21년) | 봉신 |
양삭 4년(기원전 21년) ~ 홍가 원년(기원전 20년) | 왕준 |
홍가 원년(기원전 20년) ~ 홍가 2년(기원전 19년) | 등의 |
홍가 2년(기원전 19년) ~ 홍가 3년(기원전 18년) | 유위 (사망) |
홍가 3년(기원전 18년) ~ 영시 2년(기원전 15년) | 적방진 |
영시 2년(기원전 15년) ~ 영시 4년(기원전 13년) | 종정자설 |
영시 4년(기원전 13년) ~ 원연 원년(기원전 12년) | 하무 |
원연 원년(기원전 12년) ~ | 왕건 |
원연 2년(기원전 11년) ~ 원연 3년(기원전 10년) | 손보 |
수화 원년(기원전 8년) ~ 수화 2년(기원전 7년) | 설선 |
수화 2년(기원전 7년) | 주박 |
수화 2년(기원전 7년) | 병한 |
수화 2년(기원전 7년) ~ 건평 2년(기원전 5년) | 왕가 |
건평 3년(기원전 4년) | 무장륭 |
건평 4년(기원전 3년) ~ 원수 원년(기원전 2년) | 신도박 |
원수 원년(기원전 2년) ~ | 적맹 |
원수 3년(기원전 1년) ~ 원시 원년(1년) | 손의 |
원시 원년(1년) | 금흠 |
원시 4년(4년) ~ | 종의 |
원시 5년(5년) ~ | 무상 |
연대 불명 | 왕백[6] |
2. 2. 신
왕망이 신나라를 세우면서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전한 | 신 |
---|---|
장안(長安) | 상안(常安) |
선사공(船司空) | 선리(船利) |
화음(華陰) | 화단지(華壇) |
패릉(霸陵) | 수장(水章) |
두릉(杜陵) | 요안(饒安) |
2. 3. 후한
후한대에 낙양으로 수도를 옮기면서 수도로서의 자리를 박탈당했지만, 제2의 도시로서 윤(尹)의 자리는 유지되었다. 10현 53,299호 285,574명이 이곳에 살고 있었다. 후한 말엽 헌제 탈출전이 일어나는 동안 여러 군벌들의 전투로 인해 삼보(三輔)가 크게 황폐화되고 인구가 급감하였다.[1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장안현 | 長安縣 | 변함없음 | 전한대의 수도였다. |
패릉현 | 覇陵縣 | 지도정(枳道亭)과 장문정(長門亭)이 있다. | |
두릉현 | 杜陵縣 | 풍읍(酆邑)이 현 서남쪽에 있다. | |
정현 | 鄭縣 | ||
신풍현 | 新豊縣 | 여산(驪山)이 있다. | |
남전현 | 藍田縣 | 옥이 채굴된다. | |
장릉현 | 長陵縣 | 셴양시 북동 | |
상현 | 商縣 | 상뤄시 단펑현 | 홍농군에서 이관되었다. |
상락후국 | 上洛侯國 | 상뤄시 | 총영산(冢領山)이 있다. 낙수가 나오며 본래 홍농군에 속했다. |
양릉현 | 陽陵縣 | 셴양시 북동 | 좌풍익에서 이관되었다. |
2. 4. 위진
위진시대에 관중일대를 옹주로 분리했고, 경조윤 또한 군으로 강등되면서 옹주로 이관되었다. 서진대엔 상현과 상락현이 상락군으로 분리되었고 9현 40,000호를 거느렸다.[12] 영가의 난이 발발했을 때, 한의 침공으로 낙양이 점령당한 뒤에 서진이 장안으로 수도를 옮겼다. 그러나 이 장안마저도 한의 침공으로 무너지면서 진나라는 화북을 점령당했다.[12]현명 | 한자 | 비고 | |
---|---|---|---|
장안현 | 長安縣 | 장안성이 있다. | |
두릉현 | 杜陵縣 | ||
패성현 | 覇城縣 | 패릉현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 |
남전현 | 藍田縣 | ||
고육현 | 高陸縣 | ||
만년현 | 萬年縣 | 본래의 역양현(櫟陽縣)이었다. | |
신풍현 | 新豊縣 | ||
음반현 | 陰般縣 | 셴양시 창우현에 있는데, 안정군에서 이관되었고 지금의 진시황릉 북쪽으로 교치되었다. | |
정현 | 鄭縣 | ||
상현 | 商縣 | 상뤄시 단펑현 | 홍농군에서 이관되었다. |
상락현 | 上雒縣 | 상뤄시 | 총영산(冢领山)이 있다. 낙수가 나오며 본래 홍농군에 속했다. |
삼국 시대의 황초 연간에 위에 의해 경조윤 관할 구역은 경조군으로 개칭되었고, 그 장관은 '''경조태수'''로 개칭되었다. 남북조 시대가 되자 서위에 의해 경조태수는 '''경조윤'''으로 개칭되었다.
2. 5. 북조
고환이 집권한 이후 북위 문제가 장안에 있던 우문태에게 의탁하면서 북위가 동위, 서위로 분열되었을 때, 서위의 수도가 되었고 서위에서 우문씨가 직접 황위를 빼앗고 세워진 북주의 수도가 있었다.[13]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장안현 | 長安縣 | 시안 시 한장안성유적 | |
두현 | 杜縣 | 시안 시 서남 | 두릉현, 두성현이라 부르던 것을 고쳤다. |
호현 | 鄠縣 | 시안시 후이구 | 진나라 시평군에 속했던 것을 446년(태평진군 7년)에 경조군으로 옮겼다. |
산북현 | 山北縣 | 시안 시 창안 구 포리향 | |
신풍현 | 新豊縣 | 시안 시 린퉁 구 북동 영구가도 일대 | |
패성현 | 覇城縣 | 시안 시 신성가도일대 | |
음반현 | 陰槃縣 | 시안 시 린퉁 구 동 | 446년 신풍현에 통폐합했다가 487년(태화 11년)에 복구했다. |
남전현 | 藍田縣 | 시안 시 란톈현 맹촌진일대 | 446년 패성현에 통폐합했다가 487년 복구했다. |
2. 6. 수
수나라 수 문제 양견은 이전까지의 장안성에서 지금의 시안 시 북쪽에 새로운 성인 대흥성(大興城)을 쌓고 그 성을 새로운 장안의 도성으로 삼았다. 583년 (수 문제 개황 3년) 경조군 일대에 옹주(雍州)를 설치했고, 607년 (수 양제 대업 3년) 주현제에서 군현제로 지방행정을 바꾸면서 경조군으로 개명되었다. 윤(尹)이 군의 민정을 맡았으며, 22현 308,499호를 거느렸다.[14]수 초에는 경조군 장관으로서 경조윤이 설치되었으나, 개황 초년에 폐지되었다.
2. 7. 당
唐중국어 초기, 618년(당 고조 무덕 원년) 수나라의 경조부를 옹주로 바꾸고 수도로 삼았다. 620년(당 고조 무덕 3년)까지 현의 이름이 바뀌거나, 새로운 현이 신설되거나, 일부 현이 주로 신설되었다.620년, '''직주(稷州)'''와 '''천주(泉州)'''가 분리 신설되었다. 직주는 627년(당 태종 정관 원년)에 폐지되었고, 직주로 넘어갔던 무공현, 호치현, 주질현, 부풍현 중 부풍현을 제외한 전역이 본부로 이관되었다. 643년(당 태종 정관 17년), '''의주(宜州)'''를 통폐합했다. 666년(당 고종 건봉 원년)부터 684년(당 고종 문명 원년)까지 명당현, 건봉현, 미원현, 봉천현이 신설되었다. 측천무후가 즉위한 690년(천수 원년), 1년 동안 옹주를 경조군으로 개명했다.
691년(천수 2년), 시평현, 무공현, 봉천현, 주질현, 호치현에서 직주가, 운양현, 경양현, 예천현, 삼원현, 부평현, 미원현에서 의주가 신설되었다. 하지만 701년(대족 원년) 홍주(鴻州), 의주, 정주(鼎州), 직주를 모두 폐지하고 17개 현을 다시 옹주로 내속시켰다. 702년(장안 2년), 건봉현, 명당현이 폐지되었다. 709년(당 중종 경룡 3년), 빈주와 상주에서 각각 1개 현이 1년 동안 내속되었다가 다시 넘어갔다.
713년(당 현종 개원 원년), 옹주에서 '''경조부(京兆府)'''로 바뀌었다가 옹주로 바뀌었다. 716년(당 현종 개원 4년), 동주 포성현을 봉선현으로 개명, 경조부에 내속시켰다가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서경(西京)'''으로 격상되었다. 748년(당 현종 천보 7재), 정부현이 신설되었다가 752년(당 현종 천보 11년) 폐지되었다.
본래 18개 현, 27,650호 923,320명을 거느렸으나 천보 연간에는 23현, 362,921호 1,967,100명을 거느리고 휘하 88개 부를 다스리는 대규모 행정구역이 되었다.[15]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만년현 | 萬年縣 | 시안시 당 장안성 | 618년 수나라 대흥현(大興縣)에서 개명되었다. 666년 명당현이 신설됐지만 702년 폐지, 만년현으로 흡수되었다. 748년 함녕현(咸寧縣)으로 개명했다가 건원 연간에 원래 이름으로 돌아왔다. |
장안현 | 長安縣 | 시안 시 당 장안성 | 666년 건봉현(乾封縣)이 회직방(懷直坊)을 치소로 두고 분리되었으나 702년 통폐합되었다. |
남전현 | 藍田縣 | 시안 시 란톈현 | 618년 백록현(白鹿縣)이 신설되었다. 620년, 옥산현(玉山縣)이 신설되었다. 627년, 백록현에서 개명된 영인현이 통폐합되었다. |
위남현 | 渭南縣 | 웨이난시 | 618년 화주로 이관되었으나 622년 옹주로 돌아왔다. 691년 홍주(鴻州)로 이관되고 홍문현(鴻門縣)이 신설되었고 홍주는 위남현, 경산현, 고릉현, 역양현, 홍문현 5개 현을 관할했지만 얼마 못가 옹주로 돌아왔고 701년 모둔현이 내속되었다. |
소응현 | 昭應縣 | 시안 시 린퉁구 | 수나라 신풍현성 북쪽에 치소를 두었다. 686년, 경산현(慶山縣)으로 개명되었으나 705년(신룡 원년) 신풍현으로 돌아왔다. 743년, 회창현(會昌縣)이 분리 신설했으나 748년 신풍현을 폐지하고 회창현을 소응현으로 칭했다. 치소는 온천궁 서북쪽에 두었다. |
삼원현 | 三原縣 | 셴양시 싼위안현 북 담촌진(淡村镇) 일대 | 621년, 치소를 청곡(淸谷) 남쪽 옛 임성(任城)으로 옮기고 지양현(池陽縣)으로 개명되었다. 2년 뒤 치소가 옛 치소로 옮겨져 화지현(華池縣)으로 개명되고 일부가 삼원현으로 분리되어 북천주로 이관되었다. 627년, 삼원현이 폐지되었고 화지현을 삼원현(三原縣)으로 되돌리고 옹주로 내속했다. 1년 후 만년현에 통폐합되었다. 634년 종남현이 통폐합되었다. 635년, 691년 의주로 분리되었다. 하지만 701년, 의주, 직주가 폐지되면서 본부로 내속되었다. |
부평현 | 富平縣 | 웨이난 시 푸핑현 | 691년 의주로 분리되었으나 701년 돌아왔다. 711년 중종 정릉을 현 경계로 삼았다. |
역양현 | 櫟陽縣 | 시안 시 린퉁 구 동 역양가도 일대 | 618년 만년현에서 개명되었다. 평릉현이 신설되었다. 619년 지양현(芷陽縣)이 신설되었다. 634년 속읍현을 흡수했다. 692년 홍주(鴻州)에 흡수되었으나 701년 본부로 돌아왔다. |
함양현 | 咸陽縣 | 셴양 시 | 619년 경양현과 시평현에서 재설치되었다. 처음에는 포교(鮑橋)에 치소를 두었으나, 치소를 두우(杜郵)로 옮겼다. 691년 측천무후의 어머니가 묻힌 순릉을 본현 경계이 두었고 적(赤)급 현으로 격상시켰다. 하지만 당 중종이 집권하면서 일반 속현으로 복구되었다. |
고릉현 | 高陵縣 | 시안 시 가오링구 | 619년 록원현(鹿苑縣)이 신설되었다. 627년, 록원현이 통폐합되었다. 691년 홍주에 속했으나 701년 본주로 돌아왔다. |
경양현 | 涇陽縣 | 셴양 시 징양현 | 619년 함양현이 신설되었다. 691년 정주(鼎州)로 이관되었으나 701년 본주로 돌아왔다. |
예천현 | 醴泉縣 | 셴양 시 리취안현 감하상촌(泔河常村) | 618년 온수현(溫秀縣)이 신설되었다. 619년 호치현(好畤縣)이 신설되었다. 620년 시평현에서 예천현이 신설되었을 때 예천현과 다르다. 691년 의주로 분리되었다. 하지만 701년, 의주, 직주가 폐지되면서 본부로 내속되었다. |
운양현 | 雲陽縣 | 셴양 시 징양 현 운양진 | 618년 석문현(石門縣)이 신설되었다. 627년 지양현(池陽縣)으로 개명되었다. 634년 지양현에 통폐합되었고, 지양현이 운양현으로 개명되었다. 691년 의주로 분리되었다. 하지만 701년, 의주, 직주가 폐지되면서 본부로 내속되었다. |
무공현 | 武功縣 | 셴양 시 우궁현 장녕향(長寧鄕) | 620년 직주로 분리되었다가 627년 본부로 내속되었다. 691년 직주로 분리되면서 분리되었다. 하지만 701년, 의주, 직주가 폐지되면서 본부로 내속되었다. |
호치현 | 好畤縣 | 셴양 시 융서우현 장화촌(庄和村) 일대 | 619년 예천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620년, 직주로 분리되었으나 627년 재내속되었다. 691년 직주로 분리되면서 분리되었다. 하지만 701년, 의주, 직주가 폐지되면서 본부로 내속되었다. |
평릉현 | 平陵縣 | 618년 역양현에서 신설되었는데, 619년 일부 지역이 속읍현(粟邑縣)이 신설되었다. | |
주질현 | 盩厔縣 | 시안 시 저우즈현 | 619년, 종남현(終南縣)이 신설되었다. 620년, 직주로 분리되었으나 627년 재내속되었다. 691년 직주로 분리되면서 분리되었다. 하지만 701년, 의주, 직주가 폐지되면서 본부로 내속되었다. |
백록현 | 白鹿縣 | 시안 시 란톈 현 석문촌(石門村) | 619년 남전현에서 신설되었다. 620년 영인현(寧人縣)으로 개명되었으나 627년 남전현에 통폐합되었다. |
화원현 | 華原縣 | 퉁촨시 야오저우구 | 643년 의주가 폐지되면서 본부로 내속되었다. |
동관현 | 同官縣 | 퉁촨 시 | 643년 의주가 폐지되면서 본부로 내속되었다. |
의군현 | 宜君縣 | 646년 신설되었다. | |
명당현 | 明堂縣 | 666년 신설되었다가 702년 폐지되었다. | |
건봉현 | 乾封縣 | 시안 시 | 666년 신설되었다가 702년 폐지되었다. |
미원현 | 美原縣 | 웨이난 시 푸핑 현 설진향(薛镇乡) | 670년 신설되었다. 691년 의주로 분리되었다. 하지만 701년, 의주, 직주가 폐지되면서 본부로 내속되었다. |
봉천현 | 奉天縣 | 셴양 시 첸현 | 684년 신설되었다. 691년 직주로 분리되면서 분리되었다. 하지만 701년, 의주, 직주가 폐지되면서 본부로 내속되었다. |
시평현 | 始平縣 | 619년 함양현이 신설되었다. 691년 직주로 분리되면서 분리되었다. 하지만 701년, 의주, 직주가 폐지되면서 본부로 내속되었다. | |
영수현 | 永壽縣 | 셴양 시 융서우현 | 709년 빈주에서 내속되었으나 1년 뒤 빈주로 돌아갔다. |
안업현 | 安業縣 | 상뤄시 전안현 | 709년 상주에서 내속되었으나 1년 뒤 상주로 내속되었다. |
봉선현 | 奉先縣 | 웨이난 시 푸청현 | 716년, 동주 포성현(蒲城縣)에서 개명되어 본부로 내속되었다. |
정부현 | 貞符縣 | 748년 신설되었다. |
한국에서는 한성부판윤을 경조윤이라고도 했다.
일본에서는 교직의 장관인 "사쿄대부", "우쿄대부"를 당명으로 "경조윤"(京兆尹, けいちょうのいん일본어)이라고 칭했다.[2] 무로마치 시대에 막부의 관령을 맡았던 호소카와 가쓰모토 등의 호소카와 씨 적류를 교조가라고 부르는 것은 여기에서 유래한다.
[1]
웹사이트
京兆尹(1)
2024-12-17
수나라 초에는 경조군 장관으로서 경조윤이 설치되었으나, 개황 초년에 폐지되었다. 당나라 대에는 개원 초년에 옹주가 '''경조윤'''으로 개칭되었으나, 후에 폐지되어 경조윤은 관직 제도상에서는 소멸되었다. 그러나 그 후에도 경사(京師) 소재지의 행정 장관을 경조윤으로 부르는 관습이 남았다.
3. 한국사에서의 경조윤
4. 일본에서의 경조윤
참조
[2]
웹사이트
京兆尹(2)
2024-12-17
[3]
웹사이트
漢籍全文資料庫
http://hanchi.ihp.si[...]
[4]
서적
漢書
[5]
서적
漢書
[6]
서적
漢書
[7]
서적
한서 권12 평제기
[8]
사기
사기 권8 고조본기제8
https://zh.wikisourc[...]
[9]
한서
한서 권10 성제기제10
https://zh.wikisourc[...]
[10]
한서
한서 권28 상 지리지제8 상
https://zh.wikisourc[...]
[11]
속한지
《속한지》19권 군국 제1 사례 경조윤
https://zh.wikisourc[...]
[12]
진서
《진서》14권 지리지 上 옹주 경조군
https://zh.wikisourc[...]
[13]
위서
《위서》106권 下 지형지 3 옹주 경조군
https://zh.wikisourc[...]
[14]
수서
《수서》29권 지 제29 지리지 上 옹주 경조윤
https://zh.wikisourc[...]
[15]
구당서
《구당서》38권 지 제18 지리지 1 관내도 경조부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