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고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고산역은 2010년 울산세계옹기문화엑스포 개최를 위해 임시 승강장으로 설치되어 운영되었던 역이다. 2010년 9월 30일부터 10월 24일까지 운영되었으며, 주말에는 무궁화호가 8회, 평일에는 6회 정차했다. 엑스포 종료 후 여객 영업이 중단되었고, 2014년 1월 27일 폐지되었다. 동해선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선로가 이설되면서 역사는 철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폐지된 철도역 - 에사시역
에사시역은 1936년 개통한 에사시선의 철도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나, 2014년 폐선으로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기념물과 자료가 남아있다. - 2014년 폐지된 철도역 - 요시오카 정점
요시오카 정점은 1988년 개통된 요시오카 해저역으로 시작하여 '도라에몽 해저 월드'와 '도라에몽 해저 열차'가 운행되기도 했으나, 홋카이도 신칸센 공사로 정기 열차 운행이 중단된 후 2014년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비상 대피 시설 및 신칸센-재래선 공용 구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울산광역시의 폐지된 철도역 - 호계역
호계역은 1921년 영업을 개시한 경부선 철도역이었으나, 동해선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2021년 폐지되었으며, 문학 작품 속 배경으로도 등장한다. - 울산광역시의 폐지된 철도역 - 장생포역
장생포역은 1952년 개업하여 2024년 폐역된 장생포선의 종착역으로, 전용선 화물 취급역이었으나 2018년 영업이 종료되고 역사와 선로가 철거되었다. - 임시승강장 - 양원역 (봉화)
양원역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영동선 철도역으로, 지역 주민들의 노력으로 설치된 임시승강장에서 시작하여 백두대간협곡열차 등이 정차하는 지상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마을 이름에서 유래했고, 2021년에는 역 설치 과정을 다룬 영화가 제작되기도 했다. - 임시승강장 - 주례역 (한국철도공사)
1989년 개업 후 2014년 폐지된 주례역은 한국철도공사 가야선의 역으로, 인근에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주례역, 동서대학교, 보훈병원 등이 있었다.
외고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외고산역 |
한자 표기 | 外高山驛 |
로마자 표기 | Oegosan |
종류 | 폐역 |
위치 정보 | |
소재지 |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고산리 |
노선 정보 | |
노선 | 동해선 |
영업 거리 | 부산진 기점 57.6 km |
이전 역 | 남창 |
이전 역 거리 | 1.6 km |
다음 역 | 덕하 |
다음 역 거리 | 7.7 km |
역사 | |
개업일 | 2010년 9월 30일 |
폐지일 | 2014년 1월 27일 |
2. 연혁
- 2010년 9월 30일: 울산세계옹기문화엑스포 개최를 위해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시작했다.[1]
- 2010년 10월 25일: 여객 영업을 중지했다.
- 2014년 1월 27일: 폐지되었다.[2]
2. 1. 설치 배경
외고산역은 2010년 울산세계옹기문화엑스포 관람객 수송을 위해 설치된 임시승강장이었다.[4] 2010년 9월 30일부터 10월 24일까지 엑스포 기간 동안 무궁화호 열차가 주말에는 하루 8회(상·하행 4왕복), 평일에는 하루 6회(상·하행 3왕복) 정차했다. 새마을호 이용객은 남창역이나 태화강역에서 버스로 환승하여 이동할 수 있었다.2. 2. 운영
2010년 울산세계옹기문화엑스포 관람객의 편의를 위해 2010년 9월 30일부터 10월 24일까지 임시 승강장으로 영업했다.[4] 옹기 엑스포 기간 동안 무궁화호는 금, 토, 일요일에는 하루 8회(상·하행 4왕복), 평일(월~목)에는 하루 6회(상·하행 3왕복) 정차했다. 새마을호 이용객은 남창역이나 태화강역에서 버스로 환승해야 했다.2. 3. 폐지
2010년 10월 25일 여객 영업이 중지되었고, 2014년 1월 27일 폐지되었다.[4][5] 2014년 1월 24일 개정된 열차 운전 시행 세칙 제6조 임시 승강장 항목에서 외고산역의 이름이 삭제되었다. 옹기 엑스포가 종료된 후 폐쇄되었으나, 승강장은 존재했다. 동해선 복선화 및 선로 이설로 인해 외고산역은 해체되었다.3. 역명 표기
대한민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역명판의 영어 표기가 '''station'''으로 끝나지만, 외고산역은 '''Oegosan-Special Tracks'''인 것이 특징이다.[1] 이는 2010년 9월 30일부터 10월 24일까지 개최된 울산세계옹기문화엑스포 관람객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임시 승강장이었기 때문이다.[1]
4. 사진
참조
[1]
간행물
大韓民国官報国土海洋部告示 第2010-658号
2010-09-30
[2]
간행물
韓国鉄道公社第2014-013号 列車運転施行細則
2014-01-24
[3]
뉴스
'옹기가 만든 기차역'…동해남부선 '외고산역'
http://news.naver.co[...]
네이버 뉴스
[4]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658호
2010-09-30
[5]
간행물
한국철도공사 제2014-013호 열차운전시행세칙
2014-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