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강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화강역은 울산광역시 남구에 있는 철도역으로, 1921년 울산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1935년 현재 위치로 이전했으며, 2010년 경부고속철도 2단계 개통과 함께 동해남부선 역명이 태화강역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동해선, 동해선 광역전철, ITX-마음, KTX-이음 열차가 운행하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주변에는 태화강, 이마트 울산점, 롯데백화점 울산점 등 편의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 남구의 전철역 - 개운포역
울산광역시 남구 용연동에 위치한 개운포역은 1992년 선암신호장으로 개업하여 2021년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여객 영업을 시작한 무배치 간이역으로, 역명은 인근 개운포성지에서 유래했다. - 울산항선 - 야음역
야음역은 1953년 신호소로 시작하여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나 울산도심구간 철도 이설로 1992년 폐지된 역이다. - 울산항선 - 울산항역
울산항역은 1951년 영업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 울산항선의 화물역으로, 태화강역과 울산항을 연결하며 역 주변에 울산항, 장생포고래박물관 등의 시설이 있다. - 장생포선 - 장생포역
장생포역은 1952년 개업하여 2024년 폐역된 장생포선의 종착역으로, 전용선 화물 취급역이었으나 2018년 영업이 종료되고 역사와 선로가 철거되었다. - 장생포선 - 야음역
야음역은 1953년 신호소로 시작하여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나 울산도심구간 철도 이설로 1992년 폐지된 역이다.
태화강역 |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태화강역 |
로마자 표기 | Taehwagangnyeok |
한자 표기 | 太和江驛 |
역 번호 | K132 |
주소 | 울산광역시 남구 산업로 654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지역본부 |
개업일 | 1921년 10월 25일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4선 |
이전 역 이름 | 울산역 |
노선 정보 | |
노선 | 동해선 울산항선 장생포선 |
광역철도 노선 | 동해선 광역전철 |
영업 거리 (부산진 기점) | 68.4 km |
영업 거리 (태화강 기점) | 울산항선: 0.0 km 장생포선: 0.0 km |
이전 역 | 개운포 |
다음 역 | 북울산 울산항 장생포 |
역간 거리 | 개운포 - 태화강역: 4.9 km 태화강역 - 북울산: 9.7 km 태화강역 - 울산항: 4.6 km 태화강역 - 장생포: 3.6 km |
서비스 정보 | |
광역전철 서비스 | 동해선 광역전철 종점 |
지역 서비스 | |
무궁화호 (부전-동대구) | 이전 역: 남창 다음 역: 북울산 |
무궁화호 (부전-청량리) | 이전 역: 남창 다음 역: 북울산 |
무궁화호 (부전-동해) | 이전 역: 남창 다음 역: 북울산 |
무궁화호 (순천-포항) | 이전 역: 남창 다음 역: 북울산 |
기타 정보 |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비치역 |
이미지 정보 | |
![]() |
2. 연혁
- 1921년 10월 25일 : '''울산역'''으로 영업 개시 (구 울산군 성남리 소재)[5]
- 1935년 12월 1일 : 표준궤 개통과 함께 구 울산군 학성리로 이전[6]
- 1953년 4월 26일 : 5급역으로 승격[5]
- 1971년 9월 10일 :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 지정[5]
- 1979년 8월 21일 :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 지정 취소(단, 동년 10월 15일까지 잠정 취급)[5]
- 1987년 : 울산 도심 철도 이설 계획 발표[5]
- 1989년 10월 22일 : 서울 - 울산 간 새마을호 운행[5]
- 1990년 10월 27일 : 남구 삼산동에 신축 역사 착공[5]
- 1992년 8월 20일 : 남구 삼산동에 신축 역사 준공 및 현 위치로 이전[5][6]
- 2006년 7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5]
- 2007년 6월 1일 : 서울 - 울산 간 새마을호를 부전역까지 연장 운행[5]
- 2010년 11월 1일 : 경부고속철도 2단계 개통으로 부전 - 서울 간 새마을호를 부전 - 동대구로 단축하고, 동해남부선 상의 역명을 '''울산역'''에서 '''태화강역'''으로 변경[7]
- 2012년 11월 1일 : 부전 - 동대구 새마을호 폐지, 무궁화호로 전환[8]
- 2013년 11월 7일 : 부산진 기점 70.0km로 변경[8]
- 2016년 4월 29일 : 부산진 기점 69.3km로 변경[9]
- 2016년 12월 30일 : 동해선으로 편입[1]
- 2017년 12월 18일 : 장생포선, 울산항선 상의 역명이 '''태화강역'''으로 변경[10]
- 2021년 3월 13일 : 신역사 완공[11]
- 2021년 8월 26일 : 부산진 기점 68.4km 로 변경[12]
- 2021년 12월 28일 : 동해선 광역전철 (일광~태화강 간) 연장 개통. 일부 전동열차는 망양역에서 시종착.
- 2023년 12월 18일 : ITX-마음 운행 개시
- 2024년 6월 28일 : 장생포선 장생포역 방향 폐선[13]
- 2024년 12월 20일 : KTX-이음 운행 개시.[14]
- 2029년 : 울산도시철도1호선 태화강~신복 구간 개통 시 환승역이 될 예정.
2. 1. 울산역 시절 (1921년 ~ 2010년)
1921년 10월 25일, '''울산역'''(蔚山驛)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구 울산군 성남리에 위치하였다.[5] 1935년 12월 1일 표준궤 개통과 함께 구 울산군 학성리로 역사를 이전하였다.[6] 1953년 4월 26일 5급 역으로 승격되었다.[5]1971년 9월 10일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으로 지정되었으나, 1979년 8월 21일 지정이 취소되었다. 다만, 1979년 10월 15일까지는 임시로 취급하였다.[5]
1987년 울산 도심 철도 이설 계획이 발표되었고,[5] 1989년 10월 22일 서울역과 울산역 사이를 운행하는 새마을호가 운행을 시작하였다.[5] 1990년 10월 27일 남구 삼산동에 새로운 역사를 짓기 시작하여, 1992년 8월 20일 완공과 함께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5][6]
2006년 7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5] 2007년 6월 1일 서울-울산 간 새마을호 노선이 부전역까지 연장 운행되었다.[5]
2010년 11월 1일, 경부고속철도 2단계 개통으로 부전-서울 간 새마을호는 부전-동대구 구간으로 단축되었다. 또한, 동해남부선 상의 역명이 '''울산역'''에서 '''태화강역'''(太和江驛)으로 변경되었다.[7]
2. 2. 태화강역으로 변경 이후 (2010년 ~ 현재)
- 2010년 11월 1일: 경부고속철도 2단계 개통으로 부전 - 서울 간 새마을호가 부전 - 동대구로 단축되고, 동해남부선 상의 역명이 '''울산역'''에서 '''태화강역'''(太和江驛)으로 변경되었다.[7]
- 2012년 11월 1일: 부전 - 동대구 새마을호 폐지, 무궁화호로 전환.
- 2013년 11월 7일: 부산진 기점 70.0km로 변경.[8]
- 2016년 4월 29일: 부산진 기점 69.3km로 변경.[9]
- 2016년 12월 30일: 부산진 기점 69.3km로 변경 및 동해선으로 편입.[1]
- 2017년 12월 18일: 장생포선, 울산항선 상의 역명이 '''태화강역'''(太和江驛)으로 변경.[10]
- 2021년 3월 13일: 신역사 완공.[11]
- 2021년 8월 26일: 부산진 기점 68.4km 로 변경.[12]
- 2021년 12월 28일: 동해선 광역전철 (일광~태화강 간) 연장 개통. 일부 전동열차는 망양역에서 시종착.
- 2023년 12월 18일: ITX-마음 운행 개시.
- 2024년 6월 28일: 장생포선 장생포역 방향 폐선.[13]
- 2024년 12월 20일: KTX-이음 운행 개시.[14]
- 2029년: 울산도시철도1호선 태화강~신복구간 개통시 환승역이 될 예정.
3. 역 구조
태화강역은 2면 4선의 지상역이다. 여객업무는 주로 내선 승강장에서 처리하며, 화물업무를 위한 측선이 많이 있다. 광역전철 고상홈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태화강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고 있다. 주로 여객 업무는 내선 승강장에서 처리하며, 화물 업무를 위한 많은 측선이 있다. 광역전철 이용을 위한 고상홈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운행 노선
동해선, 울산항선, 장생포선 3개 노선이 들어온다. 2021년 12월 28일 동해선 광역전철 운행이 시작되었다.
노선 | 열차 종류 | 목적지 | |
---|---|---|---|
1·2 | 동해선(상행)·대구선·중앙선·영동선 | 무궁화호 | 경주·포항·동대구·안동·영주·강릉·제천·청량리 방면 |
3·4 | 동해선(하행)·경부선·경전선 | 무궁화호 | 신해운대·부전·구포·마산·순천 방면 |
4. 1. 여객 열차
KTX무궁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