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기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기니는 6세기 힌두교 문헌에서 처음 언급된 여성적 존재로, 베다 전통에 기원을 두고 있다. 힌두교, 불교 탄트라에서 여신 데비의 측면으로 묘사되며, 탄트라 불교에서는 깨달음을 얻은 여성 구도자를 지칭하기도 한다. 요기니는 64명의 집단으로 나타나며, 인간과 신성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존재로 여겨졌다. 9~12세기에 걸쳐 인도에 요기니 사원이 건립되었으며, 숭배 의식은 초자연적인 힘을 얻는 것을 목표로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교도 - 요기
    요기는 요가를 수행하는 남성 수행자를 지칭하며 여성 수행자는 요기니라고 불리고, 넓게는 요가 및 명상 수행자를 통칭하며, 힌두교에서는 윤리적 계율을 따르는 수행자를 뜻하고, 역사적으로 케신으로부터 기원하여 나트 시다 전통과 관련되었다.
  • 힌두 여신 - 두르가
    두르가는 "넘을 수 없는"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힌두교 여신으로, 마히샤수라마르디니라고도 불리며 나바라트리 축제의 중심인물이자 고대 기원을 가진 여신이다.
  • 힌두 여신 - 바라트 마타
    바라트 마타는 19세기 후반 인도 독립 운동과 함께 등장한 인도의 의인화된 어머니 상징으로, 민족주의의 중요한 상징이 되었으나, 힌두 민족주의와 연관되어 종교적, 정치적 논쟁을 야기하기도 한다.
요기니

2. 역사

요기니의 역사는 베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힌두교불교의 발전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해 왔다.

인도학자이자 요가-탄트라 학자인 데이비드 고든 화이트는 요기니가 6세기 힌두교 아그니 푸라나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그 기원은 베다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보았다. 요기니의 발전은 베다적 요소와 고전 힌두교적 요소의 융합을 반영한다. 요기니의 특징은 다음과 같은 베다 및 힌두교 자료에서 찾을 수 있다.

# 베다 여신들, 압사라스(천상의 님프), 그라히스 또는 그라하나스(여성 소유자), 약시니(나무 정령) 및 다키니(소음 제조자 또는 비행자)

# 베다 의례의 중심에 있는 수많은 모성 신들과 기타 여성 존재들의 다양한 그룹

# 요기니 전통과 관련된 상징과 관행에 영향을 미친 여성과 여성성에 대한 광범위한 사회적 견해

비드야 데헤지아는 요기니 숭배가 역사적 베다 종교 외부에서 시작되었으며, 지역 마을 여신인 ''그라마 데바타'' 숭배에서 시작되었다고 설명한다.[2] 각 여신은 마을을 보호하며, 때로는 전갈의 침으로부터의 안전과 같은 특정한 이점을 제공한다. 점차적으로 탄트라를 통해 이 여신들은 강력하다고 여겨지는 수로 묶였으며, 가장 흔히 64명으로 묶여 힌두교의 유효한 일부로 받아들여졌다.[2] ''요기니 카울라''에 대한 역사적 증거는 이 관행이 10세기까지 힌두교 및 불교 탄트라 전통 모두에서 확립되었음을 시사한다. 요기니의 본질은 전통에 따라 다른데, 탄트라에서는 사납고 무서운 반면, 인도에서는 독신 여성 사냐신이 스스로를 요기니라고 칭할 수 있다.[3]

2. 1. 베다 시대

초기 베다 문헌에는 요기니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화이트에 따르면 요기니의 기원은 베다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여신, 압사라스(천상의 님프), 여성 정령 등 다양한 여성 존재들에게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고 한다. 비드야 데헤지아는 요기니 숭배가 역사적 베다 종교 외부의 지역 마을 여신인 ''그라마 데바타'' 숭배에서 시작되었다고 설명한다.[2]

2. 2. 힌두교

인도학자이자 요가-탄트라 학자인 데이비드 고든 화이트에 따르면, 요기니는 6세기 힌두교 아그니 푸라나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그 기원은 베다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요기니의 특징은 베다 여신, 압사라스(천상의 님프), 여성 소유자, 약시니(나무 정령) 및 다키니(소음 제조자 또는 비행자)와 베다 의례의 중심에 있는 수많은 모성 신들과 기타 여성 존재들 그리고 여성과 여성성에 대한 광범위한 사회적 견해 등에서 찾을 수 있다.[2]

비드야 데헤지아에 따르면, 요기니 숭배는 역사적 베다 종교 외부에서 시작되었으며, 지역 마을 여신인 ''그라마 데바타'' 숭배에서 시작되었다. 각 여신은 마을을 보호하며, 때로는 전갈의 침으로부터의 안전과 같은 특정한 이점을 제공한다. 점차적으로 탄트라를 통해 이 여신들은 강력하다고 여겨지는 수로 묶였으며, 가장 흔히 64명으로 묶여 힌두교의 유효한 일부로 받아들여졌다. ''요기니 카울라''에 대한 역사적 증거는 이 관행이 10세기까지 힌두교 및 불교 탄트라 전통 모두에서 확립되었음을 시사한다. 요기니의 본질은 전통에 따라 다르다. 탄트라에서는 사납고 무서운 반면, 인도에서는 독신 여성 사냐신이 스스로를 요기니라고 칭할 수 있다.

고대 및 중세 힌두교 텍스트에서 요기니는 여신 데비와 관련되거나 데비의 직접적인 측면으로 묘사된다. 11세기의 신화 모음집인 ''카타사리트사가라''에서 ''요기니''는 마법의 힘을 가진 여성 집단 중 하나로, 때로는 8명, 60명, 64명 또는 65명으로 열거되는 마녀이다.[2] ''하타 요가 프라디피카''는 요기니를 언급한다. 데비는 때때로 64 요기니의 차크라, 즉 바퀴가 겹쳐진 채로 묘사되어, 요기니들을 데비의 측면으로 위치시킨다.

"요기니"라는 용어는 11세기경에 설립된 나트 요가 전통에 속한 여성을 지칭하는 데 중세 시대부터 사용되어 왔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시바 전통에 속하지만, 일부 나트는 바이슈나바 전통에 속하기도 한다. 어느 쪽이든, 데이비드 로렌젠은 그들이 요가를 수행하며 그들의 주요 신은 '니르구나', 즉 형태가 없고 반일원론적인 경향을 보인다고 말한다. 이는 중세 시대에 아드바이타 베단타 힌두교, 마드야미카 불교, 그리고 탄트라의 영향을 받았다. 인간 요기니는 이 전통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으며, 많은 2천 년대 그림들이 그들과 그들의 요가 수행을 묘사하고 있다. 로렌젠은 나트 요기들이 남아시아의 농촌 지역에서 인기가 있었으며, 나트 요기에 대한 중세 시대의 이야기들이 오늘날에도 데칸, 인도 서부 및 북부 주, 그리고 네팔에서 기억되고 있다고 말한다.

2. 3. 불교

불교 탄트라 전통에서 요기니는 여성 수행자와 여성 신격을 모두 지칭하는 중요한 존재로 등장하며, 티베트 불교에서는 다키니가 요기니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된다.[3] 탄트라 불교에서 미란다 쇼는 돔비요기니, 사하자요기친타, 락슈미카라, 메칼라, 칸칼라, 갱가다라, 시다라즈니 등 많은 여성들이 깨달음의 길에서 존경받는 요기니이자 진보된 구도자였다고 말한다.

3. 주요 특징

요기니는 10세기 무렵부터 64명의 집단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여신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탄트라의 인간 여성 수행자들은 필멸의 여성으로 나타날 수 있는 이들 여신을 "모방하고 심지어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인간과 신성 사이의 모호하고 흐릿한 경계를 만든다.[6] 요기니는 신성한 존재이든 인간이든 씨족에 속하는데, 시바교에서 가장 중요한 씨족은 8명의 어머니(마뜨리스 또는 마트리카) 씨족이다. 요기니는 종종 수수께끼 같은 존재로, 동물의 형태를 하거나 동물 머리를 가진 여성상으로 표현된다. 이들은 여성 동물의 "실제 변신"과 다른 사람을 변신시키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6]

요기니는 해골과 같은 탄트라 상징을 지니고, 화장터 및 다른 경계 장소에서 수행하는 바이라바와 연결된다. 이들은 강력하고 위험하며, 비밀 탄트라 지식을 보호하고 전파한다. 또한 비행 능력을 포함한 시디라는 특별한 힘을 가지고 있다.[6] 많은 요기니는 새의 형태를 하고 있거나 새를 바하나 (동물 운송 수단)로 삼는다.[6] 후기 탄트라 불교에서 비행 능력을 가진 여성 영인 다키니는 종종 요기니와 동의어로 사용된다.[6] 학자 셰이먼 해틀리는 전형적인 요기니는 "자율적인 하늘 여행자(''khecari'')"이며, 이 힘은 "''siddhi''를 추구하는 수행자에게 궁극적인 성취"라고 설명한다.[6]

20세기 후반까지 요기니는 인도에서 "평범한" 사람들 사이에 "깊은 두려움과 경외심"을 불러일으켰다. 비디야 데헤자는 이러한 두려움이 오래되었을 수 있으며, ''브라흐만다 푸라나''와 ''그나나르나바 탄트라'' 모두 비입문자에게 비밀 지식을 전수하는 것은 요기니의 저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한다고 언급한다.[2]

4. 64 요기니

64 요기니는 힌두교불교 탄트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그룹이다. 산스크리트 문헌에서 요기니는 두르가의 수행원이나 화신으로 묘사되며, 슘바와 니슘바라는 악마와 싸우는 데 관여한다. 주요 요기니는 마트리카와 동일시된다.[1]

64명의 요기니 이름에 대한 보편적으로 합의된 목록은 없다. 여러 문헌에서 다양한 목록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목록들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64 요기니에 대한 다양한 전통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데헤지아(Dehejia)는 약 30개의 서로 다른 목록을 찾아 비교했는데, 거의 일치하지 않았으며, 64명에 관한 다양한 전통이 있었음이 분명하다고 밝혔다.

4. 1. 구성

산스크리트 문헌에서 요기니는 두르가의 수행원 또는 화신으로 묘사되며, 슘바와 니슘바 악마와 싸우는 데 관여한다. 주요 요기니는 마트리카와 동일시된다.[1] 다른 요기니는 하나 이상의 마트리카에서 태어난 것으로 묘사된다. 8명의 마트리카에서 64명의 요기니가 파생되는 것이 일반적인 전통이다. 11세기 중반까지 요기니와 마트리카의 연관성은 일반적인 지식이 되었다. 요기니의 만다라(원)와 차크라는 번갈아 사용되었다. 81명의 요기니는 9명의 마트리카 그룹에서 진화하는데, 7명의 어머니 또는 샙타마트리카(브라흐미, 마헤슈바리, 카우마리, 바이슈나비, 바라히, 인드라니(아인드리) 및 차문디)에 찬디와 마하락슈미를 결합하여 9-마트리카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각 마트리카는 요기니로 간주되며 8명의 다른 요기니와 관련되어 총 81명(9 곱하기 9)의 무리를 이룬다.[2] 일부 전통에서는 7명의 마트리카만 있어서 요기니의 수가 더 적다.

4. 2. 이름

64명의 요기니 이름에 대한 보편적으로 합의된 목록은 없다. 데헤지아는 약 30개의 서로 다른 목록을 찾아 비교했는데, 거의 일치하지 않았으며, 64명에 관한 다양한 전통이 있었음이 분명하다고 밝혔다. 그녀는 이 목록들을 요기니에 마트리카를 포함하고 요기니에게 높은 지위를 부여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말한다. 높은 지위는 요기니가 위대한 여신 데비의 측면이거나 그녀의 조력자임을 의미한다.

칼리카 푸라나는 요기니 안에 16명의 마트리카를 포함하고 있다. 이 마트리카 중 9명은 브라흐미 계열이다. 데헤지아는 이 전통에서 요기니는 "데비 자신을 구성하는 64가지 측면"이며 "개별적으로" 숭배되어야 한다고 언급한다.

아그니 푸라나는 요기니 안에 마트리카를 포함하지 않지만, 그들이 관련되어 있다고 말한다. 이 텍스트는 요기니를 8개의 가족 그룹으로 나누며, 각 그룹은 마트리카가 이끌고 있으며, 이 마트리카는 각 요기니의 어머니 또는 다른 친척이다.

아그니 푸라나, 스칸다 푸라나 및 칼리카 푸라나는 각기 내용이 완전히 다른 두 개의 요기니 목록('나마발리스')을 담고 있다. 스리 마토타라 탄트라는 '케차리 차크라'와 '요기니 차크라'가 모두 64명의 요기니로 이루어진 원인 반면, '물라 차크라'는 81개의 원을, '말리니 차크라'는 50개의 원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숫자 8은 상서로운 숫자이며, 그 제곱인 64는 "훨씬 더 강력하고 효과적"이다. 탄트라 텍스트에는 64개의 아가마와 탄트라, 64명의 바이라바, 64개의 만트라, 여신에게 신성한 64개의 장소('피타스'), 64개의 특별한 힘(시디s)이 있다고 한다. 데헤지아는 요기니가 '시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지적한다.

5. 요기니 사원

인도에는 9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지어진 64 요기니 사원이 여러 곳 남아있다. 이 사원들은 일반적인 인도 사원과는 달리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탑, 문, 정교한 조각 등이 없어 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4]

5. 1. 구조

요기니 사원은 일반적인 인도 사원과 비교하여 단순하며, 학문적 관심을 끄는 일반적인 탑, 문, 정교한 조각이 없다.[4]

9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인도에 지어진 64명의 요기니(''차우사티 조간'')의 주요 현존하는 하이페스럴 (야외) 사원으로는 오디샤의 히라푸르와 라니푸르 자리알에 있는 2곳, 마디아프라데시의 카주라호, 베다가트에 3곳,[4][5][6] 모레나 지역의 마타올리에 있는 보존이 잘된 언덕 꼭대기 사원이 있다.[7]

다양한 사원에 있는 요기니 조각상의 도상학은 통일되지 않으며, 각 64개의 세트에서 요기니도 동일하지 않다. 히라푸르 사원에서는 모든 요기니가 ''바하나''(동물 탈것)를 가지고 서 있는 자세로 묘사되어 있다. 라니푸르-자리알 사원에서는 요기니 이미지가 춤추는 자세로 되어 있다. 베다가트 사원에서는 요기니가 ''라리타사나'' 자세로 앉아 있다.[3]

5. 2. 대표적인 사원

요기니 사원은 일반적인 인도 사원과 비교하여 단순하며, 학문적 관심을 끄는 일반적인 탑, 문, 정교한 조각이 없다.

9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인도에 지어진 64명의 요기니(''Chausathi Jogan'')의 주요 현존하는 하이페스럴 (야외) 사원으로는 오디샤의 히라푸르와 라니푸르 자리알에 있는 2곳,[4] 마디아프라데시에는 카주라호, 베다가트에 3곳,[5][6] 모레나 지역의 마타올리에 있는 보존이 잘된 언덕 꼭대기 사원도 있다.[7]

다양한 사원에 있는 요기니 조각상의 도상학은 통일되지 않으며, 각 64개의 세트에서 요기니도 동일하지 않다. 히라푸르 사원에서는 모든 요기니가 ''바하나'' (동물 탈것)를 가지고 서 있는 자세로 묘사되어 있다. 라니푸르-자리알 사원에서는 요기니 이미지가 춤추는 자세로 되어 있다. 베다가트 사원에서는 요기니가 ''라리타사나'' 자세로 앉아 있다.[3]

6. 요기니 숭배

요기니 숭배는 초자연적인 힘, 즉 ''시디''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졌다. 《푸라나》와 탄트라 문헌에는 요기니 숭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디''가 묘사되어 있다.[1]

《스리 마토타라 탄트라》는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에 나오는 8가지 주요 능력을 설명한다.[2]

능력설명
아니마미세하게 작아져 세상의 작동 방식을 알 수 있다.
마히마거대해져 전체 태양계와 우주를 볼 수 있다.
라기마무중력 상태가 되어 몸에서 벗어나 공중 부양과 아스트랄 여행을 할 수 있다.
가리마매우 무겁고 강력해진다.
프라캄야거부할 수 없는 의지력을 가져 타인의 마음을 조종할 수 있다.
이쉬트바신체, 정신, 모든 생물을 통제한다.
바쉬트바비, 가뭄, 화산, 지진 등 자연 현상을 통제한다.
카마바샤이타모든 소망과 보물을 얻을 수 있다.



《스리 마토타라 탄트라》에는 숭배자들이 요기니를 올바르게 소환하면 얻을 수 있는 다른 마법적 능력들도 열거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죽음, 환멸, 마비, 의식 불명, 도발, 기쁨을 주는 시, 유혹 등이 포함된다.[3]

6. 1. 의식

요기니 숭배는 초자연적인 힘을 얻기 위해 '마하야가'라고 불리는 일련의 의식을 행했다. 이러한 의식은 마법을 행하기에 적합한 원형 사원의 성스러운 공간에서 이루어졌다. 요기니들은 술, 살, 피를 공물로 바쳐 소환되었다. ''스리 마토타라 탄트라''는 요기니들이 술을 즐기고 취하는 모습을 묘사하는데, 그중 한 명은 실제로 수라프리야(술을 사랑하는 자)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쿨라르나바 탄트라''는 요기니의 음료를 만드는 레시피를 제공하는데, 마른 생강, 레몬 껍질, 흑후추, 꽃, 꿀, 자구리 설탕을 물에 넣고 12일 동안 끓이는 것이다. ''브리하드하르마 푸라나''에 따르면, 요기니들은 피와 술을 마시며 춤을 추었다. ''카울라발리 니르나야''는 요기니를 숭배하기 위해 피와 고기가 필요하다고 덧붙인다. 아삼의 카마크야 사원에서는 동물을 희생하는 의식이 행해지며, 그곳에서 64명의 요기니가 계속 숭배받고 있다.

샤돌, 베라가트, 라니푸르-자리알과 같은 일부 요기니 사원의 조각상들은 요기니를 ''카르타리'' 칼, 인간 시체, 잘린 머리, 해골 컵과 함께 묘사한다. 음식과 포도주를 64명의 요기니에게 바치고, 시체 위에 앉아 프라나야마를 수행하도록 하는 ''비라 탄트라''에 묘사된 바와 같이, 시체 의식인 ''샤바 사다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 ''비라 쿠다마니''는 나체의 수행자(''사다카'')와 그의 파트너가 시체 위에 앉아 탄트라 섹스인 마이투나를 수행하도록 요구한다.[1] ''스리 마토타라 탄트라''는 시체가 온전하고, 아름다우며, 신선해야 한다고 지시한다.[1] 데헤지아는 이것이 인신 제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최고의 시체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언급한다.[1] 어머니의 원에서, 바이라바 조각상 앞에서 시체는 목욕하고, 백단향 페이스트로 덮고, 한 번의 칼질로 머리를 잘라야 한다. 어머니들은 하늘에서 이것을 지켜볼 것이고, ''사다카''는 8가지 주요 싯디를 얻게 될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다.[1] 또한, 시체의 살을 먹는다.[1] 데헤지아는 이 관행이 "드물지 않다"고 말하며, 카마크야에서는 화장 전에 시체를 하룻밤 동안 방치하는 것을 "탄트라 수행자에게 빼앗길까 봐 두려워" 피한다고 말한다.[1]

데헤지아는 요기니 사원에는 의례적인 성행위인 마이투나를 묘사한 조각상이 없고, 어떤 요기니 조각상의 받침대에도 포옹하는 작은 인물이 조각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마이투나가 마하야가 의례 중 하나였던 것은 "꽤 확실하다"고 적고 있다.[2] ''쿨라르나바 탄트라''는 "8개와 64개의 ''미투나''(포옹하는 커플)"를 언급하고 있으며, 64명의 요기니가 "64명의 바이라바스와 포옹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야 하고, 그 결과의 이미지를 숭배해야 한다고 제안한다.[2] ''즈나나르나바 탄트라''는 8명의 마트리카가 8명의 바이라바스와 짝을 이루는(''유그마 유그마'') 모습을 묘사한다.[2]

요기니 차크라는 카울라 차크라 또는 바이라비 차크라고도 불리며, 최소 8명의 사람들로 이루어진 원(''차크라'')으로 형성되며, 남녀의 수가 동일하다. 데헤지아는 이는 사람들이 커플로 도착하기보다는 무작위로 짝을 이루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이 카울라 텍스트에서 신체를 도포하고 양쪽 파트너를 자극하기 위해 신체 부위를 만지는 것과 같은 주의 깊은 성적 준비를 설명한다고 적고 있다. 이러한 ''차크라 푸자''(원 숭배) 동안에는 카스트가 무시되었으며, 원 안의 모든 남자는 시바였고, 모든 여자는 데비였으며, 가장 낮은 카스트의 여성들이 그 역할에 가장 적합하다고 여겨졌다.[2]

데헤지아는 또한 이러한 관행이 요구하는 "사생활과 은밀함"이 요기니 사원이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외딴 언덕 꼭대기에 위치한 이유를 쉽게 설명한다고 지적하며, "채식주의를 선호하고 술에 반대하는 정통 브라만 사상"이 있는 곳에서는 사원 의례 중에 마이투나가 행해질 여지가 없었다.[2]

데이비드 고든 화이트는 '"신탄트라 섹스"'(그의 인용 부호)의 현대적인 관행은 중세 시대의 관행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적고 있다.[3]

6. 2. 목표

요기니 숭배의 목표는 《푸라나》와 탄트라 모두에 묘사된 바와 같이, ''시디''의 획득이었다.[1]

《스리 마토타라 탄트라》는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에 명시된 8가지 주요 능력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2]

능력설명
아니마미세하게 작아져 세상의 작동 방식을 알게 해준다.
마히마거대해져 전체 태양계와 우주를 볼 수 있게 해준다.
라기마무중력 상태가 되어 신체에서 벗어나 공중 부양과 아스트랄 여행을 가능하게 해준다.
가리마매우 무겁고 강력해진다.
프라캄야거부할 수 없는 의지력을 갖게 되어 타인의 마음을 조종할 수 있다.
이쉬트바신체와 정신, 그리고 모든 생물을 통제한다.
바쉬트바비, 가뭄, 화산, 지진 등 자연 현상을 통제한다.
카마바샤이타모든 소망과 어떤 보물이라도 얻게 해준다.



《스리 마토타라 탄트라》는 또한 요기니를 올바르게 소환함으로써 숭배자들이 얻을 수 있는 다른 많은 마법적 능력들을 열거하고 있는데, 죽음을 초래하고, 환멸을 느끼게 하고, 마비시키거나 의식을 잃게 하는 능력에서부터 도발, 기쁨을 주는 시, 유혹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3]

7. 한국 불교와 요기니

한국 불교에서는 '요기니'라는 용어가 직접 사용되지는 않지만, 여성 수행자와 관련된 다양한 전통이 존재한다. 고려 시대에는 여성의 출가와 수행을 장려하는 분위기 속에서 비구니 승단이 활발하게 운영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유교의 영향으로 여성의 출가가 억제되었지만, 민간 신앙에서는 여성 신격 존재와 여성 수행자에 대한 믿음이 이어졌다.

현대 한국 불교에서는 여성 수행자의 역할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여성 불교 지도자 양성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여성의 사회적 참여와 권익 신장을 강조하며, 여성 불교 지도자 양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8. 현대적 해석과 의의

요기니 전통은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 여성주의적 관점에서는 요기니를 여성의 힘과 영성을 상징하는 존재로 재해석하고, 억압적인 가부장제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심리학적 관점에서는 요기니를 내면의 무의식적인 힘을 상징하는 존재로 해석하고, 개인의 성장과 변화를 위한 영감의 원천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사회문화적 관점에서는 요기니 전통을 통해 인도 사회의 다양한 종교적, 문화적 층위를 이해하고, 여성의 역할과 지위에 대한 역사적 변화를 탐구할 수 있다.[1]

참조

[1] 사전 Monier-Williams Sanskrit Dictionary 1899 List https://www.sanskrit[...] Oxford University Press 2022-11-09
[2] 서적 Sanskrit Dictionary 1899
[3] 간행물 Origin of Tantricism and Sixty-four Yogini Cult in Orissa http://www.orissa.go[...] 2004-10
[4] 간행물 Monumental Efflorescence of Ranipur-Jharial http://orissagov.nic[...] 2004-08
[5] 웹사이트 Jabalpur district official website – about us http://jabalpur.nic.[...]
[6] 웹사이트 Chausath Yogini Temple – Site Plan, Photos and Inventory of Goddesses http://www.devata.or[...]
[7] 웹사이트 Ekattarso Mahadeva Temple http://www.asibhop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2020-10-26
[8] 사전 Monier-Williams Sanskrit Dictionary 1899 List https://www.sanskrit[...] Oxford University Press 2022-1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