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하네스 라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하네스 라우는 독일의 정치인으로, 1999년부터 2004년까지 독일의 대통령을 지냈다. 그는 부퍼탈에서 태어나 나치즘에 저항하는 고백교회에서 활동했으며, 출판업에 종사하다가 정계에 입문하여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회 의원, 시장, 주총리를 역임했다. 라우는 1999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었으며, 재임 기간 동안 이민, 생명 윤리, 세계화 등 사회적 주제에 관심을 가졌다. 2000년에는 홀로코스트 이후 독일 국가원수 최초로 이스라엘 국회에서 연설했다. 그는 2006년 심장병으로 사망했으며, "화합하고, 분열시키지 말라"는 좌우명을 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당대표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은 1875년 설립된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60만 명의 당원들이 지역 단위에서 의결권을 행사하며, 사회적 시장경제를 지향하고, 빌리 브란트, 헬무트 슈미트, 게르하르트 슈뢰더, 올라프 숄츠 등 여러 총리를 배출했다. - 독일의 당대표 -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는 독일의 정치인이자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총리실장, 외무장관, 부총리를 거쳐 2017년부터 독일 제12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으며, 동방 정책 추진과 민스크 협정 체결에 기여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으로 바뀌었다. - 사회당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은 1875년 설립된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60만 명의 당원들이 지역 단위에서 의결권을 행사하며, 사회적 시장경제를 지향하고, 빌리 브란트, 헬무트 슈미트, 게르하르트 슈뢰더, 올라프 숄츠 등 여러 총리를 배출했다. - 사회당 -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는 독일의 정치인이자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총리실장, 외무장관, 부총리를 거쳐 2017년부터 독일 제12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으며, 동방 정책 추진과 민스크 협정 체결에 기여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으로 바뀌었다. - 부퍼탈 출신 - 율리우스 리하르트 페트리
독일의 세균학자 율리우스 리하르트 페트리는 로베르트 코흐의 조수로서 미생물 배양에 널리 사용되는 페트리 접시를 발명하고 단백질 화학, 산업 위생, 살균법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 부퍼탈 출신 - 볼프강 아벤트로트
볼프강 아벤트로트는 독일의 법학자이자 정치학자로, 공산주의 및 저항 운동에 참여했고, 동독 대학교수에서 서독 마르부르크 대학교 정치학 교수로 이주하여 학문적 업적을 남겼으며, 사회민주당 출당 후에도 사회주의 운동에 헌신했다.
요하네스 라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요하네스 라우 |
원어 이름 | Johannes Rau |
출생일 | 1931년 1월 16일 |
출생지 | 독일국 프로이센 자유주 라인 주 뷔르펠탈 (현재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
사망일 | 2006년 1월 27일 |
사망지 | 독일 베를린 |
배우자 | 크리스티나 라우 (결혼 전 성씨: 델리우스) |
자녀 | 3명 |
직업 | 정치인 출판인 |
![]() | |
정당 | |
소속 정당 | 전독일인민당 (1950년–1957년) 사회민주당 (1957년–2006년) |
독일 연방 대통령 | |
직책 | 연방대통령 |
임기 시작 | 1999년 7월 1일 |
임기 종료 | 2004년 6월 30일 |
총리 | 게르하르트 슈뢰더 |
이전 대통령 | 로만 헤어초크 |
다음 대통령 | 호르스트 쾰러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총리 | |
직책 | 주총리 |
임기 시작 | 1978년 9월 20일 |
임기 종료 | 1998년 6월 9일 |
부총리 | 호르스트루트비히 리머 부르카르트 히르슈 디터 포저 헤르베르트 슈노어 미하엘 베스퍼 |
이전 주총리 | 하인츠 퀸 |
다음 주총리 | 볼프강 클레멘트 |
독일 연방참의원 의장 | |
직책 | 연방참의원 의장 |
임기 시작 | 1994년 11월 1일 |
임기 종료 | 1995년 10월 31일 |
이전 의장 | 클라우스 베데마이어 |
다음 의장 | 에드문트 슈토이버 |
독일 연방참의원 제1 부의장 | |
직책 | 연방참의원 제1 부의장 |
임기 시작 | 1982년 11월 1일 |
임기 종료 | 1983년 10월 31일 |
이전 부의장 | 한스 코슈니크 |
다음 부의장 |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내각 | |
직책 | 연방 업무부 장관 |
장관 | 본인 |
임기 시작 | 1980년 6월 4일 |
임기 종료 | 1980년 8월 18일 |
이전 장관 | 크리스토프 최펠 |
다음 장관 | 디터 하크 |
직책 | 과학 연구부 장관 |
장관 | 하인츠 퀸 |
임기 시작 | 1970년 7월 28일 |
임기 종료 | 1978년 9월 20일 |
이전 장관 | 신설된 직책 |
다음 장관 | 라이무트 요힘젠 |
뷔퍼탈 시장 | |
직책 | 시장 |
임기 시작 | 1969년 |
임기 종료 | 1970년 |
이전 시장 | 헤르만 헤르베르츠 |
다음 시장 | 고트프리트 구를란트 |
의회 선거구 | |
직책 | 주의회 뷔퍼탈 III 선거구 의원 |
임기 시작 | 1958년 7월 21일 |
임기 종료 | 1999년 6월 30일 |
이전 의원 | 신설된 선거구 |
다음 의원 | 마리안 도멘 |
2. 생애
요하네스 라우는 1931년 1월 16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뷔퍼탈에서 태어났다. 개신교 집안에서 성장했으며, 어린 시절 나치스에 저항하는 고백교회에서 활동했다. 1949년 학교를 중퇴하고 저널리스트와 신문 발행인으로 일했다. 1952년 구스타프 하이네만이 창당한 전독일인민당에 입당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했고, 1957년 당 해산 후 독일사회민주당에 합류했다.
1958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주의회 의원에 당선된 후, 1970년 주 정부 과학교육상, 1978년 주총리를 역임했다. 1987년 연방총리 후보로 출마했으나 헬무트 콜에게 패했다. 1999년 독일 연방의회에서 제8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대통령 재임 중 라우는 이민, 생명 윤리, 세계화 등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특히 2000년 홀로코스트 이후 독일 국가원수로는 처음으로 이스라엘 국회에서 연설하여 과거사에 대해 사과하고 용서를 구했다.[1] 2004년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후, 2006년 1월 27일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부퍼탈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강한 개신교 집안이었다. 소년 시절, 라우는 나치스에 저항하던 독일 개신교회의 동아리인 고백교회 활동가였다.1949년 학교를 떠나 개신교 청소년 발행집의 저널리스트와 신문 발행인으로 일하였다. 라우는 5남매 중 셋째로, 라인주 부퍼탈의 바르멘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식료품 상인이면서 부업으로 프로테스탄트 설교사였다. 학교를 자주 빠지던 라우를 본 아버지의 의견에 따라 1948년 김나지움을 중퇴하고 1949년 뷔퍼탈과 쾰른의 출판사에서 수습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학생 시절, 라우는 나치즘에 저항한 고백교회에서 활동했다.
수습을 마친 후 1952년부터 뷔퍼탈에서 출판 관련 일을 하다가 1953년 비텐의 작은 출판사에서 편집자가 되었다. 그 후 유겐트디엔스트(Jugenddienst)-펠라크(Verlag)(출판사)에 근무하여 1965년에는 사장이 되었다. 1953년에는 청년의 자아와 예수와의 만남을 그린 두 편의 단편 소설, 『Keine spielt wie Gisela』와 『Klaus und das Feuer』를 쓰고 실명으로 발표하기도 했다.
1952년 초대 연방 내무장관인 구스타프 하이네만은 독일 재군비에 대한 항의로 장관직을 사퇴하고 2년 후에는 자신이 설립에 참여했던 독일 기독교민주연합을 탈당했다. 이후 전독일인민당을 설립했는데, 라우는 이 당에 입당하여 뷔퍼탈 지역 대표가 되었다. 그러나 이 당은 1957년 해산되었고, 라우는 하이네만과 다른 당원들과 함께 독일사회민주당에 입당했다. 후에 하이네만은 제3대 연방대통령(1969~1974년)에 취임했고, 그 후 손녀가 라우의 부인이 되었다.
2. 2. 정치 경력
라우는 구스타프 하이네만이 설립한 전독일인민당(GVP)의 당원이었다. 이 당은 독일의 재통일을 제한하기 위한 당으로 알려졌으며, 1957년에 해산되었다.[1]1958년 그와 하이네만은 사회민주당(SPD)에 입당하여 부페르탈 총회에서 활동하였다. 그는 부페르탈 사회민주당 의장을 역임하고, 시의회(1964~1978)에 선출되었으며, SPD 의원단 의장(1964~1967)을 거쳐 시장(1969~1970)을 지냈다.
1958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의회 의원으로 처음 선출되었고, 1967년 주의회 사민당 의장이 되었다. 1970년 하인츠 퀸 내각에서 과학교육상이 되었다. 그는 개혁적인 정책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1970년대 대규모 교육 캠페인의 일환으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에 5개의 대학교를 설립하고, 하겐에 독일 최초의 원격교육 대학교를 설립하였다.
1977년 라우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사민당 의장이 되었고, 1978년부터 1998년까지 주총리를 역임했다. 주총리 재임 기간 동안 SPD는 네 번의 선거에서 모두 승리하여 매번 지방의회에서 최대 정당이 되었고, 1980년, 1985년, 1990년, 1995년에는 과반수를 차지했다. 1995년부터 라우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 SPD-녹색당 연정을 이끌었다. 1982/83년과 1994/95년 두 차례에 걸쳐 의장을 역임했다.
1987년 라우는 사민당 총리 후보로 출마했으나, 기독교민주당(CDU)의 헬무트 콜에게 패했다. 1994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1994년 독일 대통령 선거에서 로만 헤어초크에게 패하였다.
1998년 사민당 의장과 주총리직에서 물러난 후, 1999년 5월 23일 1999년 독일 대통령 선거에서 독일 연방의회에 의해 제8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2004년 6월 30일까지 재임하였다.[2][3]
2000년 홀로코스트 이후 독일 국가원수로는 처음으로 이스라엘 국회인 크네세트에서 연설하였다. 이 연설은 일부 이스라엘 사절단의 항의 퇴장을 야기했지만, 모셰 카차브 이스라엘 대통령은 양국 관계 개선에 기여한 그의 노력을 높이 평가했다.
2. 3. 연방 대통령
1999년 5월 23일, 독일 사회민주당(SPD)의 요하네스 라우는 1999년 독일 대통령 선거에서 독일 연방의회에 의해 독일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1994년 독일 대통령 선거에서 로만 헤어초크에게 패배한 경험이 있었지만, 1999년 선거에서는 두 번째 결선 투표 끝에 당선되어 7월 1일에 제8대 연방 대통령에 취임했다. 2004년 7월 1일, 그는 호르스트 쾰러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2][3]연방 대통령으로서 라우는 국민들에게 친근한 언어로 이야기했으며, 이민 수용 문제, 생명 윤리, 세계화 등 사회적인 주제를 많이 다루었다. 또한 상징적인 역할의 연방 대통령으로서는 이례적으로 직설적인 언어로 정치인과 재계에 책임감과 명예 존중을 요구했다. 2002년 6월 22일에는 내정에 간섭하지 않는다는 연방 대통령의 관례를 깨고 이민법안 통과와 관련된 연방참의원의 여야 갈등을 날카롭게 비판하기도 했다. 이는 "대립이 아닌 화해"라는 라우의 신념에 기반한 이민자와 난민 수용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러나 연방헌법재판소는 라우의 의향과는 반대로 통과 무효 판결을 내렸다.
독일 연방 대통령은 실권이 없지만, 국가 원수로서 라우는 76회의 해외 순방을 했다. 2000년 2월 16일에는 이스라엘 국회인 크네세트에서 홀로코스트 이후 처음으로 독일 국가원수가 독일어로 연설했다. 라우는 홀로코스트에 대해 사과하고 용서를 구했지만, 일부 이스라엘 국회의원들은 이에 항의하며 회의장을 떠나기도 했다. 그러나 모셰 카차브 이스라엘 대통령은 두 국가 간의 간극을 메운 그의 공헌을 칭찬했다.[1] 2002년 6월에는 2002 FIFA 월드컵 관전을 겸해 일본을 방문, 명치 천황, 공동 개최국인 대한민국의 김대중 대통령, 그리고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 등과 함께 결승전을 관전했다.
2003년 9월 4일, 라우는 이듬해 치러질 연방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지 않고 한 번의 임기만 마치고 사퇴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2004년 6월 29일, 라우는 퇴임식을 거행하고 후임인 호르스트 쾰러에게 직무를 인계했다.
2. 4. 말년
대통령 직을 떠난 후, 라우는 가족과 함께 베를린에서 살았다. 2006년 1월 27일 베를린에서 오랫동안 앓아온 심장병으로 사망하였다.[1]
라우는 오랜 기간 심장 질환을 앓았고, 75세 생일 11일 후인 2006년 1월 27일에 사망했다. 장례식은 2월 7일에 베를린의 도로테엔슈타트 묘지에서 가족과 친지들만 참석한 가운데 국장으로 거행되었다.[1]
라우는 1995년부터 복부 대동맥류를 앓고 있었지만, 직무에 지장이 있을까 염려하여 오랫동안 수술을 거부했다. 2000년 7월에 에센 대학교에서 처음으로 수술을 받았다. 2004년 8월에는 심장 인공 판막 교체 수술을 받았지만, 두 달 후 대동맥류 복강내출혈로 인해 재수술을 받았다. 라우가 마지막으로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2005년 5월 졸링겐에서 열린 독일-터키 우호상 시상식과 같은 해 10월 드레스덴에서 열린 성모 교회 재건 낙성식이었다. 이듬해 2006년 1월 대통령궁에서 열린 그의 75세 생일 축하 행사에는 이미 참석할 수 없는 건강 상태였으며, 그로부터 9일 후인 1월 27일 오전 8시 30분경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숨을 거두었다. 2월 6일 베를린 대성당에서 국장이 치러졌고, 같은 날 가족장으로 장례가 치러졌다.[1]
3. 사상과 신념
라우의 좌우명은 "화합하고, 분열시키지 말라"였다.[5]
라우는 개인적인 모토로 고백교회의 표어인 "teneo, quia teneor|나는 붙잡혀 있기 때문에 붙잡는다de"를 채택했다.
당선 연설에서 라우는 "나는 결코 민족주의자가 되고 싶지 않고 애국자가 되고 싶다. 애국자는 조국을 사랑하는 사람이고, 민족주의자는 다른 나라의 조국을 비난하는 사람이다."라고 주장했다.[6] 이 인용문은 프랑스 작가 로맹 가리에게서 온 것이다.[7]
4. 수상 및 서훈
라우는 명예 박사 학위 15개를 받았다. 2001년에는 관용과 사회 정의 증진을 위한 인도주의적 활동으로 레오 바이크 메달을 받았다.[1]
수여 년도 | 대학교 | 학부 |
---|---|---|
1985년 | 부다페스트 대학교 신학 아카데미 | 신학 |
1985년 | 하인리히 하이네 대학교(뒤셀도르프) | |
1986년 | 하이파 대학교(이스라엘) | (독일인 최초 수상)[1] |
1991년 | 하겐 통신대학교 | 경제학부 |
1997년 | 보훔 대학교 | 프로테스탄트 신학부 |
1998년 | 벤구리온 대학교(이스라엘) | |
1998년 | 빌레펠트 대학교 | |
2000년 | 테크니온 이스라엘 공과대학교(이스라엘, 하이파) | |
2003년 | 난징대학교(중화인민공화국) | |
2004년 | 도르트문트 공과대학교 | 건축학부 |
수여 년도 | 도시 |
---|---|
1991년 | 부퍼탈 (라우의 고향)[1] |
1996년 | 마롤츠바이자흐[1] |
2000년 | 슈피켈로크 (라우의 가족이 매년 휴가를 즐겼던 곳)[1] |
2001년 | 본[1] |
2004년 | 베를린[1] |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1차 득표율 | 1차 득표수 | 2차 득표율 | 2차 득표수 | 3차 득표율 | 3차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94년 선거 | 독일의 대통령 | 7대 | 독일 사회민주당 | 38.1% | 505표 | 42.2% | 559표 | 45.7% | 605표 | 2위 | 낙선 |
1999년 선거 | 독일의 대통령 | 8대 | 독일 사회민주당 | 49.1% | 657표 | 51.6% | 690표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lightgrey;" | | 1위 |
수정 사항:
1. 템플릿 제거: `` 템플릿은 허용되지 않는 문법이므로 제거하고, 해당 템플릿이 표현하던 득표율과 득표수는 일반 텍스트로 작성했습니다.
2. colspan 속성 유지: `colspan="2"` 속성은 표의 셀 병합을 위해 필요하므로 유지했습니다.
3. 이미지 문법 수정: `--|]]|25px]]` 에서 `width=25px`를 `25px`로 수정했습니다.
4. 기타: 가독성을 위해 표의 각 셀 사이에 공백을 추가했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Johannes Rau
https://biography.yo[...]
[2]
웹사이트
Großer Zapfenstreich für Johannes Rau
https://www.sueddeut[...]
2010-05-10
[3]
뉴스
Bundespräsident: Großer Zapfenstreich für Johannes Rau
https://www.faz.net/[...]
2022-08-10
[4]
웹사이트
Heute letzter Arbeitstag für Johannes Rau: Gestern "Großer Zapfenstreich" vorm Schloss Bellevue – B.Z. – Die Stimme Berlins
https://www.bz-berli[...]
2004-06-30
[5]
웹사이트
Germany Mourns Outstanding Former President Johannes Rau
https://apd.media/ne[...]
2023-12-20
[6]
서적
Peoples and international law
https://www.worldcat[...]
2013
[7]
웹사이트
The patriotic prejudice of George Orwell
https://www.abc.net.[...]
2024-06-20
[8]
웹사이트
Reply to a parliamentary question about the Decoration of Honour
http://www.parlament[...]
2012-11-01
[9]
웹사이트
Icelandic Presidency Website
http://falkadb.forse[...]
2003-07-01
[10]
웹사이트
State honours
http://www.slovak-re[...]
2001
[11]
웹사이트
Boletín Oficial del Estado
http://www.boe.es/bo[...]
[12]
웹사이트
The ceremony conferred the Order of the State – History
http://www.tccb.gov.[...]
Presidency of Republic of Turkey
2000-04-06
[13]
학술지
Speech Given on Receiving the Leo Baeck Prize of the "Zentralrat der Juden in Deutschland"
https://www.jstor.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