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하네스 헤벨리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하네스 헤벨리우스는 17세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천문학자이자, 그단스크 시의 시정 담당자였다. 그는 1639년부터 천문학에 전념하여, '스테르넨부르크'라 불리는 천문대를 건설하고 다양한 관측 장비를 갖추어 태양 흑점, 달의 칭동, 혜성 등을 관측했다. 헤벨리우스는 월면 지형학의 창시자로 불리며, 망원경 없이 정밀한 관측을 수행한 마지막 천문학자로 여겨진다. 그는 7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정의하고, 여러 저서를 통해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기업인 - 야누시 팔리코트
    폴란드의 기업인이자 정치인인 야누시 팔리코트는 보드카 회사 공동 소유주였으며, 대통령 선거 출마, 소수자 옹호, 종교 비판 등 논쟁적인 활동으로 주목받았으나, 선거 자금 및 탈세 혐의로 기소되기도 했다.
  • 폴란드의 기업인 - 이그나치 루카시에비치
    이그나치 루카시에비치는 폴란드 출신의 약사이자 사업가로, 세계 최초로 등유를 증류하고 등유 램프를 개발하여 근대 석유 산업을 개척했으며, 폴란드 독립을 지지하고 유정 개발 및 정유 공장 설립을 통해 석유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 폴란드의 천문학자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폴란드 출신의 천문학자로서 태양중심설을 제안하여 천문학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저서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를 통해 자신의 이론을 발표했으나 논란을 겪었고, 과학 혁명과 현대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폴란드의 천문학자 - 알렉산데르 볼시찬
    알렉산데르 볼시찬은 폴란드 천문학자로, 데일 프레일과 함께 최초의 외계 행성 PSR B1257+12를 발견하고 펄서 공전 행성계 발견에 기여했으며, 외계 행성 탐사 분야에 공헌하여 여러 상을 받았으나, 공산주의 비밀 경찰 협력 논란도 있었다.
  • 17세기 천문학자 - 갈릴레오 갈릴레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탈리아의 과학자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 이론을 반박하고 망원경을 개량하여 천문학적 업적을 남겼으며 지동설을 옹호하다 종교재판에 회부되었지만 근대 과학 발전에 기여하여 "과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17세기 천문학자 - 요하네스 케플러
    요하네스 케플러는 행성 운동의 세 가지 법칙을 발견하여 근대 천문학과 과학 발전에 혁명적인 기여를 한 독일의 천문학자, 수학자, 점성술사이다.
요하네스 헤벨리우스
기본 정보
다니엘 슐츠의 초상화
다니엘 슐츠가 그린 초상화
이름요하네스 헤벨리우스
원어 이름Jan Heweliusz
출생일1611년 1월 28일
출생지단치히,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사망일1687년 1월 28일
사망지단치히,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분야법학
천문학
양조업
모교레이던 대학교
알려진 업적달 지형학
10개의 새로운 별자리 설정 (현재 7개 유효)
4개의 혜성 발견
헤벨리우스 서명
국적
로마자 표기Johannes Hevelius
기타
관련 링크브리태니커
갈릴레오 프로젝트
별 이야기

2. 생애

헤벨리우스는 루터교 집안 출신으로, 보헤미아에서 이주하여 맥주 양조장을 경영하는 부유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다.[42] 어린 시절 폴란드어를 배웠으며,[43] 김나지움에서 수학한 후 레이던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영국프랑스를 여행하면서 피에르 가상디, 마랭 메르센,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등과 교류하였다.

1634년 고향에 정착하여 결혼한 후, 맥주 양조 길드의 일원이 되었고 1643년부터는 길드를 이끌었다. 1651년에는 소도시의 의원이 되는 등 지방 정부의 시정을 주도하기도 했다.

1639년 이후, 헤벨리우스의 주요 관심은 천문학에 있었다. 1641년, 그는 세 채의 집을 연결하여 천문대를 짓고, 다양한 관측 기구를 갖추었다. 특히, 나무와 철사로 자작한 46m의 케플러식 망원경은 그의 천문대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장비였다.[44] 이 천문대는 '스테르넨부르크(Sternenburg,[45][46] Stellaeburgumla, Gwiezdny Zamekpl) 또는 '별의 성'이라 불렸다.[47]

헤벨리우스의 월면 지도


그는 태양의 흑점을 관측하고, 칭동을 발견하여 월면 지형학의 창시자로 불리게 되었다.

1654년부터 왕립학회의 회원이었으며,[48] 1660년에는 폴란드 왕비 루드비카 마리아 곤자가가 그의 사설 천문대를 방문하기도 했다. 헤벨리우스는 폴란드 왕의 신하로서 네 왕의 후원을 받았다.[49] 얀 2세 카지미에시 바사 왕은 1660년 헤벨리우스 가문을 귀족으로 승격시켰고,[50] 얀 3세 소비에스키 왕은 세금 면제와 맥주 판매 특권을 부여했다.[52]

헤벨리우스는 4개의 혜성을 발견하고, 이 천체들이 태양 주위를 포물선 경로로 그린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1679년 5월, 에드먼드 헬리가 헤벨리우스를 방문하여 망원경 사용을 설득하려 했으나, 헤벨리우스는 조준의사분의만으로도 충분함을 보여주었다.[53] 이로써 그는 천체망원경 없이 측정한 마지막 천문학자로 여겨지기도 한다.

1662년 첫 부인이 사망하고 1년 후 엘리자베스 쿠프만과 재혼하여 4명의 자녀를 두었다. 엘리자베스는 그의 연구를 돕고 사후에 그의 저서를 출간하여 최초의 여성 천문학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1679년 9월 26일, 화재로 천문대, 장비, 서적들이 파괴되었으나, 곧 복구하여 1680년 12월의 대혜성을 관측했다. 그는 파괴된 장비를 기념하여 육분의자리를 만들었다.

1683년 말, 빈 전투 승리를 기념하여 'Scutum Sobiescianum'(소비에스키의 방패), 즉 현재의 방패자리를 만들었다.

1679년 화재의 충격으로 건강이 나빠진 그는 1687년 1월 28일, 76세 생일에 사망하여 고향의 성 카타리나 성당에 묻혔다.

2. 1. 어린 시절 및 교육

헤벨리우스는 1611년 1월 28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그단스크(단치히)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보헤미아 출신의 독일어를 사용하는 루터교 신자였으며, 부유한 맥주 양조업자였다.[42] 어린 시절, 헤벨리우스는 곤데츠(Gądecz)로 보내져 폴란드어를 배웠다.[43]

그는 그단스크 김나지움(고등학교)에서 저명한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페테르 크뤼거(Peter Crüger)에게 수학했다. 1630년에는 네덜란드 레이던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이후 영국프랑스를 여행하며 피에르 가상디, 마랭 메르센,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등 저명한 과학자들과 교류했다.

2. 2. 천문학 연구 활동

헤벨리우스는 1639년부터 천문학에 본격적으로 몰두하였다. 1641년에는 자신의 집에 '스테르넨부르크(Sternenburg, 별의 성)'라 불리는 천문대를 건설했다.[9][20][21] 이 천문대에는 그가 직접 설계하고 제작한 다양한 천문 관측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특히 초점거리 46m의 케플러식 망원경은 당시로서는 매우 획기적인 장비였다.[4]

헤벨리우스의 초점거리 망원경 판화


1642년부터 1645년까지 헤벨리우스는 태양 흑점을 관측하고, 4년간 달 표면을 상세히 관측하여 월면도를 제작했다. 그는 달의 칭동 현상을 발견하고, 1647년 자신의 저서 《셀레노그라피아》(Selenographia, sive Lunae descriptio)에 발표하여 월면 지형학의 창시자로 불리게 되었다.[4]

1664년, 헤벨리우스는 독일인 최초로 영국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38] 왕립학회는 그를 첫 번째 독일인 회원 중 한 명으로 간주한다.[26]

1652년, 1661년, 1672년, 1677년에 걸쳐 총 4개의 혜성을 발견했다. 이 중 1661년에 발견한 혜성은 훗날 153P/이케야-장 혜성으로 확인되었다. 헤벨리우스는 혜성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혜성이 태양 주위를 포물선 궤도로 운동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1673년, 렌즈 지름 15cm, 경통 길이 45m에 달하는 거대한 굴절 망원경을 제작하여 공개 천문 관측을 실시했다.

황동 육분의를 사용하여 하늘을 관측하는 헤벨리우스와 그의 두 번째 아내 엘리자베스

2. 3. 그단스크 시정 활동

1634년 고향으로 돌아온 헤벨리우스는 1635년 3월 21일 이웃이자 두 살 연하인 카타리나 레베슈케와 결혼했다. 1636년 헤벨리우스는 맥주 양조 길드의 회원이 되었고, 1643년부터는 길드를 이끌었다. 그는 요펜(Jopen) 맥주를 양조했는데, 이 맥주는 "요펭가세(Jopengasse)"/"요페이스카(Jopejska)" 거리(1945년 이후 피브나 거리(맥주 거리)로 개명)의 이름이 되었다.[16][17][18]

2. 4. 만년

헤벨리우스와 부인 엘리자베스가 관측하는 모습


헤벨리우스는 1662년 첫 번째 부인 카타리네가 사망하자, 1년 후 상인 가문의 엘리자베스 쿠프만과 재혼하였다. 헤벨리우스와 엘리자베스 사이에는 4명의 자녀가 있었다. 엘리자베스는 헤벨리우스를 도왔고, 사후에는 그의 저서 2권을 출간하였다. 그녀는 최초의 여성 천문학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1679년 9월 26일, 헤벨리우스의 천문대, 장비, 서적들이 화재로 소실되었다. 이 사건은 그의 저서 ''Annus climactericus''(1685) 서문에 묘사되어 있다. 그는 곧바로 피해를 복구하여 1680년 12월 대혜성을 관측할 수 있었다. 그는 소실된 장비를 기리기 위해 육분의자리를 만들었다.

1683년 말, 빈 전투에서 폴란드 국왕 얀 3세 소비에스키가 이끄는 기독교 군대가 승리한 것을 기념하여, 그는 'Scutum Sobiescianum'(소비에스키의 방패)라는 별자리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현재의 방패자리이다. 이 별자리는 그의 집에 호화롭게 그려진 별자리인 'Firmamentum Sobiescianum'을 통해 알려졌다.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의 묘비명


1679년 화재의 충격으로 건강이 나빠진 그는 1687년 1월 28일, 76세 생일에 사망하였다. 그는 고향의 성 카타리나 성당에 안장되었다.[4]

사후 1690년경, 그의 유작 ''Prodromus Astronomiae''가 부인 엘리자베스에 의해 3권으로 출간되었다. 1687년으로 출간연도가 표시된 세 번째 책 ''Firmamentum Sobiescianum sive Uranographia''에는 56장의 별그림에 사냥개자리, 도마뱀자리, 작은사자자리, 살쾡이자리, 방패자리, 육분의자리, 여우자리 등 현재도 사용되는 7개의 새로운 별자리와 케르베로스자리, 'Mons Maenalus 자리', 작은삼각형자리 등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별자리들이 그려져 있다.

3. 별자리

헤벨리우스는 기존의 별자리 외에 새로운 별자리들을 추가했는데, 그중 현재까지 사용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헤벨리우스가 제안했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별자리는 다음과 같다.

4. 저술 및 업적


  • 《셀레노그라피아, 곧 달에 대한 묘사(Selenographia, sive Lunae descriptio)》(1647): 달 표면 관측 결과를 담은 책으로, 월면학의 기초를 확립했다.
  • 《토성의 본래 모습과 그 다양한 위상에 관하여》(De nativa Saturni facie ejusque varis Phasibus)》(1656)
  • 미라(Mira)》(Historiola Miraela) (1662): 주기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 미라(고래자리 오미크론)에 대한 관측 결과를 기록하고, '미라(경이로운 것)'라는 이름을 붙였다.
  • 《단치히에서 관측된 태양면 통과 수성(Mercurius in Sole visus Gedani)》(1662): 수성의 태양면 통과 현상 관측을 중심으로 다양한 천문 현상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다.
  • 혜성 서설(Prodromus cometicus)》(1665)
  • 코메토그라피아(Cometographia)》(1668)[4]: 혜성 관측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 《천체 기계(Machina coelestis)》(1673, 1679): 헤벨리우스 자신의 천문 관측 장비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관측 방법을 담고 있다. 특히 1679년에 출판된 2부는 1679년 화재로 인해 매우 희귀하다. 1부에서 언급된 육안 관측법은 망원경 없이는 거의 가치가 없다고 주장했던 로버트 훅과의 논쟁을 불러일으켰다.[34]
  • 《절정의 해, 또는 천체 관측의 49년차(Annus climactericus, sive rerum uranicarum observationum annus quadragesimus nonus)》(1685): 1679년 화재 사건과 변광성 미라에 대한 관측 결과를 기록했다.
  • 《천문학 서설(Prodromus Astronomiae)》(1690년경): 헤벨리우스 사후 그의 부인 카타리나 엘리자베타 쿠프만 헤벨리우스에 의해 출판된 미완성 유작으로, 서문, 항성 목록, 별자리 지도(Firmamentum Sobiescianum sive Uranographia) 등 세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35][36]
  • 《서설》(Prodromus): 서문과 미발표 관측 자료
  • 《항성 목록(Catalogus Stellarum Fixarum)》(1687년 작성): 1564개의 별에 대한 목록
  • 《소비에스키의 천구 또는 우라노그라피아(Firmamentum Sobiescianum sive Uranographia)》(1687년 작성): 56장으로 구성된 별자리 지도[4], 그가 새롭게 정의한 지금도 사용되는 7개의 새로운 별자리가 포함되어 있다.
  • 현재 사용되는 별자리: 사냥개자리, 도마뱀자리, 작은사자자리, 살쾡이자리, 방패자리, 육분의자리, 여우자리
  • 폐기된 별자리: 케르베로스자리, 마에날루스산자리, 작은삼각형자리
  • 1652년, 1661년, 1672년, 1677년에 헤벨리우스는 생애 동안 4개의 혜성을 발견했다. 이 중 1661년에 발견한 혜성(C/1661 C1)은 나중에 153P/이케야-장 혜성으로 동정되었다.

5. 유산 및 평가

헤벨리우스는 정밀한 천체 관측과 혁신적인 천문 장비 제작을 통해 근대 천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월면 지형 연구와 혜성 연구 분야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겼다. 그의 업적은 현대에도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 달의 분화구와 소행성에는 그의 이름을 딴 명칭이 붙여졌다.



폴란드에서는 그의 이름을 딴 페리와 수로측량선이 운용되고 있다.

  • 페리 "얀 헤벨리우스"(en:MS Jan Heweliusz) : 1977년 진수.
  • 수로측량선 "헤벨리우스"(en:ORP Heweliusz) : 폴란드 해군의 측량선. 1981년 진수.


헤벨리우스는 과학적 업적뿐만 아니라, 자신의 연구 결과를 정확하고 아름다운 그림과 함께 출판하여 과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그의 별자리 지도는 천문학자와 예술가 모두에게 영감을 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참조

[1] 웹사이트 Britannica http://www.britannic[...] 2009-11-17
[1] 서적 The Cambridge planetary handbook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11-17
[1] 서적 Stargazer: the life and times of the telescope https://books.google[...] Allen & Unwin 2009-11-17
[1] 서적 Star maps: history, artistry, and cartograph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11-17
[1] 서적 Star Galileo's instruments of credit: telescopes, images, secrec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11-17
[1] 서적 Star The rough guide to the universe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2009-11-17
[1] 서적 History of astronomy: an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Taylor & Francis 2009-11-17
[2] 서적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Scientists, Vol. 1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9-11-16
[2] 서적 The Cambridge guide to the constellation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11-16
[2] 서적 Stargazer: The life and times of the telescope https://books.google[...] Allen & Unwin 2009-11-16
[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Great Astronomers https://books.google[...] Sura Books 2009-11-16
[2] 백과사전
[2] 웹사이트 Letters of the Royal Society http://www.livesandl[...]
[2] 웹사이트 The Galileo Project http://galileo.rice.[...] Rice University 2011-08-24
[3] 서적 A History of Eastern Europe: Crisis and Chan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8
[4] 백과사전
[5] 웹사이트 Star Tales http://www.ianridpat[...] 2009-01-24
[6] 간행물 Historia astronomii w Polsce Polska Akademia Nauk. (Pracownia Historii Nauk ścisłych) 1975
[7] 서적 Encyklopedyja powszechna S. Orgelbranda:nowe stereotypowe odbicie Samuel Orgelbrand 1884
[8] 서적 Histories of Scientific Insights https://books.google[...] Lulu.com 2007
[9] 서적 The sun recorded through histo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
[10] 서적 Pieśń o Gdańsku https://books.google[...] Wydaw Morskie 1978
[11] 서적 Deutsch-polnische Beziehungen in Geschichte und Gegenwart https://books.google[...] Deutsches Polen-Institut 2000
[12] 서적 Historya literatury polskiey: wystawiona w spisie dzieł drukiem ogłoszonych 1814
[13] 간행물 Johannes Hevelius: Ein Lebensbild aus dem XVII. Jahrhundert https://archive.org/[...] 1903
[14] 웹사이트 The Galileo Project http://galileo.rice.[...] Rice University 2011-08-24
[15] 간행물 Libri Gedanenses Polska Akademia Naukowa Biblioteka Gdańska Państwowe Wydawnictwo Naukowe 2005
[16] 서적 Gdańsk przeszlość i teraźniejszość Wydawnictwo Zakladu Narodowego im. Osslińskich 1928
[17] 서적 Gdańsk Wydawnictwo Polskie 1937
[18] 서적 Neue Stadt in altem Glanz - Der Wiederaufbau Danzigs 1945-1960 https://books.google[...] Böhlau 2010
[19] 서적 The history of the telescope https://books.google[...]
[20] 서적 Celestial Treasury: from the music of the spheres to the conquest of spa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0] 서적 The history of the telescope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 2003
[20] 서적 Unusual telescop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20] 서적 Mirror mirror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03
[20] 서적 Astronomy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1] 웹사이트 Gdański dom Jana Heweliusza http://www.janheweli[...] 2011-12-02
[22] 서적 Żywot i prace Jana Hewelinsza gdańszczanina żyjacego pod panowaniem czterech królów polskich Warszawa 1860
[23] 간행물 Kwartalnik historii kultury materialnej Instytut Historii Kultury Materialnej 1991 (Polska Akademia Nauk) 1991
[24] 서적 On the 3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Johannes Hevelius: book of The International Scientific Session Ossolineum, The Polish Academy of Sciences 1992
[25] 서적 Międzynarodowy Rok Heweliusza 1987: dokumentacja obchodów trzechsetnej rocznicy śmierci Jana Heweliusza (1687-1987) Zakład Narodowy im Ossolińskich 1990
[26]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Royal Society https://books.google[...] Royal Society 2011-08-21
[27] 웹사이트 Jan Heweliusz i Royal Society Małgorzata Czerniakowska http://gnu.univ.gda.[...] 2010-08-13
[28] 서적 The price of freedom: a history of East Central Europe from the Middle Ages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1
[29] 간행물 Rocznik gdański Gdańskie Towarzystwo Naukowe, Wydział Nauk Społecznych i Humanistycznych 2005
[30] 서적 Etudes d'histoire des sciences en Pologne: Choix d'articles par les rédacteurs Ossolineum 1972
[31] 웹사이트 Colliding Stars Explain Enigmatic Seventeenth Century Explosion http://www.eso.org/p[...] 2015-06-18
[32] 서적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Scientists https://books.google[...] CRC Books 1994
[33] 웹사이트 Potomkowie Jana Heweliusza http://www.janheweli[...] 2011-12-01
[34] 웹사이트 Johannes Hevelius http://www.gap-syste[...] 2011-06-07
[35]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Naval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Command (NMOC), Hevelius - Prodromus astronomiae http://www.usno.navy[...] 2009-10-01
[36] 서적 Star maps: history, artistry, and cartography https://books.google[...]
[37]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1-28
[38]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Royal Society https://books.google[...] Royal Society 1960
[39] 웹사이트 (5703) Hevelius = 1931 VS = 1931 XH = 1964 VU = 1989 VL https://minorplanetc[...] MPC 2021-09-02
[40] 서적 A History of Eastern Europe: Crisis and Change http://books.google.[...] Routledge 1998
[41] 웹인용 Star Tales http://www.ianridpat[...] 2015-01-03
[42] 웹인용 The Galileo Project http://galileo.rice.[...] 라이스대학교 2015-01-03
[43] 간행물 Libri Gedanenses Gdańska Państwowe Wydawnictwo Naukowe 2005
[44] 서적 The history of the telescope http://books.google.[...]
[45] 서적 The sun recorded through history http://books.google.[...] Springer 2009
[46] 서적 Celestial Treasury: from the music of the spheres to the conquest of space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46] 서적 The history of the telescope http://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 2003
[46] 서적 Unusual telescopes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46] 서적 Mirror mirror http://books.google.[...] 2003
[46] 서적 Astronomy encyclopedia http://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47] 웹사이트 Gdański dom Jana Heweliusza http://www.janheweli[...] 2011-12-02
[48]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Royal Society http://books.google.[...] Royal Society 1960
[49] 서적 Żywot i prace Jana Hewelinsza gdańszczanina żyjacego pod panowaniem czterech królów polskich 1860
[50] 간행물 Kwartalnik historii kultury materialnej Instytut Historii Kultury Materialnej 1991
[51] 서적 On the 3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Johannes Hevelius: book of The International Scientific Session The Polish Academy of Sciences 1992
[52] 서적 Międzynarodowy Rok Heweliusza 1987: dokumentacja obchodów trzechsetnej rocznicy śmierci Jana Heweliusza (1687-1987) Zakład Narodowy im Ossolińskich 1990
[53] 서적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Scientists http://books.google.[...] CRC Books 1994
[54] 웹사이트 Johannes Hevelius http://www.gap-syste[...] 2011-06-07
[55] 웹인용 The United States Naval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Command (NMOC), Hevelius - Prodromus astronomiae http://www.usno.navy[...] 2015-01-05
[56] 서적 Star maps: history, artistry, and cartography http://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