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보스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보스코는 1815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사제이자 교육자이다. 그는 가난한 소년들을 위한 사목 활동을 시작하여 살레시오회와 마리아 도움의 딸들 수녀회를 설립했고, 예방 교육 시스템을 통해 청소년 교육에 헌신했다. 그는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1888년 사망 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그는 청소년, 가톨릭 출판업자, 마술사들의 수호성인으로 숭배받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그의 이름을 딴 교육 기관과 기념물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살레시오회 - 도미니코 사비오
도미니코 사비오는 19세기 이탈리아 소년으로 요한 보스코의 제자이자 살레시오회 학생이었으며, 깊은 신앙심과 성덕으로 가톨릭교회의 성인으로 시성되었고, 특히 순교 없이 성덕으로 성인이 된 가장 어린 성인 중 한 명으로 청소년과 학생들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살레시오회 - 사그랏 코르
사그랏 코르는 스페인 바르셀로나 티비다보 산 정상에 위치한 가톨릭 교회이며, 19세기 말 건설이 시작되어 고딕 리바이벌 양식의 외관과 비잔틴 양식의 지하 예배당을 갖추고 있으며, 꼭대기에는 예수상이 있다. - 교황 비오 11세가 시복한 복자 - 베르나데타 수비루
프랑스 루르드에서 성모 마리아의 발현을 목격했다고 주장한 베르나데타 수비루는 가난한 방앗간 집안의 딸로 태어나 마사비엘 동굴에서 18차례의 성모 발현을 증언하여 루르드를 가톨릭 순례지로 만들었으며, 네베르 자선 수녀회 수녀로서 봉사 후 가톨릭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교황 비오 11세가 시복한 복자 - 마리아 미카엘라 데메지에르
마리아 미카엘라 데메지에르는 스페인 귀족 출신으로 가난하고 소외된 여성을 돕는 데 헌신했으며, 매춘 여성 보호소 설립과 성체와 애덕의 시녀회 창설 후 콜레라 환자를 간호하다 사망하여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아스티도 출신 - 안젤로 소다노
안젤로 소다노는 이탈리아 로마 가톨릭 성직자이자 외교관으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국무원장 추기경과 칠레 교황 대사를 역임했으나 아동 성 학대 은폐 논란으로 추기경단 단장직에서 사임 후 코로나19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 아스티도 출신 - 피에트로 바돌리오
피에트로 바돌리오는 이탈리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 참전하고, 무솔리니 실각 후 총리로 임명되어 연합국과 휴전 협정을 체결했으나, 전쟁 범죄 비판을 받다 1956년 사망했다.
요한 보스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인 |
이름 | 요한 보스코 |
존칭 접미사 | SDB |
칭호 | 사제이자 고해사제, "젊은이들의 아버지이자 스승" |
출생일 | 1815년 8월 16일 |
출생지 | 카스텔누오보 돈 보스코, 피에몬테, 사르데냐 왕국 |
사망일 | 1888년 1월 31일 |
사망지 | 토리노, 이탈리아 왕국 |
축일 | 1월 31일 |
숭배 대상 | 가톨릭교회, 성공회 |
주요 성지 | 토리노의 성모 마리아 도움의 대성당, 토리노, 이탈리아 |
상징물 | 수단, 비레타 |
수호 | 기독교 견습생 편집자 출판업자 학생 어린 아이 마술사 청소년 범죄자 피우라, 페루 브라질리아, 브라질 |
시복일 | 1929년 6월 2일 |
시복 장소 | 로마 |
시복 집전자 | 비오 11세 |
시성일 | 1934년 4월 1일 |
시성 장소 | 로마 |
시성 집전자 | 비오 11세 |
개인 정보 | |
이탈리아어 이름 | Giovanni Melchiorre Bosco |
피에몬테어 이름 | Gioann Melchior Bòsch |
로마자 표기 | Gioan Melchiore Boseukeo |
추가 정보 | |
종교 단체 창설 | 살레시오회 마리아 도움의 그리스도인 협회 살레시오 협력자 |
2. 생애
요한 보스코는 1815년 8월 16일, 이탈리아 피에몬테 주 카스텔누오보 근처 베키 마을에서 태어났다. 1835년부터 1841년까지 키에리의 대신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하고, 1841년 토리노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다.
아홉 살 때 꾸었던 꿈을 통해 가난하고 버려진 청소년들을 위해 헌신하는 삶을 살게 되었다. 19세기 후반 이탈리아 통일 운동과 산업 혁명으로 청소년들이 방치되는 현실을 보며, 가난한 청소년들을 위해 평생을 바치기로 결심했다.
사제 서품 후 토리노에서 주세페 카페소와 함께 사목 활동을 시작한 보스코는,[29]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빈민가에 사는 가난한 가족들을 보았다.[29] 감옥을 방문하며 소년범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그는 고아와 버려진 소년들을 돕기 시작했다.[29] 소년들에게 교리를 가르치고 일자리를 찾아주었으며, 후작부인 줄리아 디 바로로가 설립한 여자 기숙 학교인 리푸지오(피난처)의 자선 담당자로 일하며 죄수 방문, 교리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30]
보스코는 전통적인 본당 사역 방식이 비효율적임을 깨닫고, 소년들이 일하는 곳에서 그들을 직접 만났다. 오라토리오(Oratorio)는 단순한 자선 단체가 아닌 그의 영구적인 직업이 되었다. 실업자들을 위해 일자리를 찾고, 잠자리가 없는 소년들을 위해 숙소를 제공했으며,[31] 1847년에는 어머니와 함께 한 어린 소년을 수용했고, 이후 그가 보호한 소년들은 최대 800명에 이르렀다.[31] 그러나 보스코와 오라토리오는 여러 곳에서 쫓겨나기도 했다.[32]
1859년 보스코는 살레시오회를 설립하고,[59] 1869년 교황으로부터 정식 인가를 받았다.[59] 1872년에는 마리아 도움의 딸들 수도회를 설립하여 소녀들을 위한 교육 사업을 시작했고, 살레시오 협력자를 조직하여 평신도들도 청소년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59] 1874년 4월 3일, 살레시오회의 회헌이 교황으로부터 공식 승인되어 교황 직할 수도회가 되었다.[59]
보스코는 억압적인 교육 시스템 대신 '예방 교육 시스템'을 고안하여 오라토리오 운영과 소년 교육에 활용했다. 1877년 3월 12일, 니스의 청소년 센터 개관식에서 이 시스템을 처음으로 '예방 시스템'이라고 언급했다.[45] 토리노로 돌아온 후, 그는 '청소년 교육에서의 예방 시스템'이라는 에세이를 출판하여 살레시오회 규칙 초안에 포함시켰다.[46] 이 에세이는 이성, 종교, 사랑과 친절을 중시하며, "훌륭한 크리스찬과 정직한 시민" 양성을 목표로 했다.[12]
요한 보스코는 청소년 교육과 살레시오회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주제로 글을 썼다. 종교, 역사, 교리 교육, 전기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분야를 다루었으며, 가톨릭 교리와 전통을 옹호하고 반가톨릭 정서에 맞서는 글을 발표했다. 또한, 청소년들이 쉽게 읽을 수 있는 교육적인 책을 저술하여 살레시오회 학교에서 교재로 활용했다.
1888년 1월 31일, 성 요한 보스코는 선종하였다. 그의 장례식에는 수천 명이 참석했고, 토리노 대교구는 그를 성인으로 선포할 만한 자격이 있는지 조사했다. 살레시오회, 살레시오 수녀회, 협력자들은 지지 증언을 했다.[59] 교황 비오 11세는 1929년 6월 2일에 보스코를 복자로 선포했고, 1934년 부활절에 성인으로 시성하며 "청소년의 아버지이자 스승"이라는 칭호를 부여했다.
2. 1. 탄생과 유년 시절
요한 보스코는 1815년 8월 16일 저녁, 이탈리아 베키 언덕 마을에서 태어났다. 베키는 카스텔누오보 다스티라고 불리던 지역에 위치해 있었으며, 나중에 성인을 기리기 위해 카스텔누오보 돈 보스코로 이름이 바뀌었다.[14] 그는 프란체스코 보스코(1784–1817)와 마르게리타 오키에나(1788–1856)의 막내 아들이었다. 안토니오와 주세페(1813–1862)라는 두 형이 있었다.[15] 베키의 보스코 가문은 모글리안 가문의 농부였다. 그는 나폴레옹 전쟁의 참혹함과 1817년의 가뭄으로 피에몬테 시골에 큰 궁핍과 기근이 닥친 시기에 태어났다.[16]보스코가 겨우 두 살 남짓 되었을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세 아들을 부양하는 것은 그의 어머니의 몫이 되었다.[3] 그녀는 보스코의 성장과 인격 형성에 큰 역할을 했으며,[17] 아들의 이상을 일찍부터 지지했다.[18]
1825년, 그가 아홉 살이 되었을 때, 보스코는 그의 인생관과 활동에 영향을 미칠 일련의 꿈을 꾸기 시작했다. 그의 회고록에 따르면 이 첫 번째 꿈은 "그의 남은 생애 동안 깊은 인상을 남겼다."[19] 보스코는 매우 가난한 소년들이 놀고 신성 모독을 하는 것을 보았고, "품위 있는 모습으로, 남자답고 인상적인 태도"를 가진 한 남자가 나타나 그에게 이렇게 말했다. "너는 매질이 아니라 부드러움과 친절로 너의 친구들을 얻어야 한다. 그러니 지금부터 그들에게 죄는 추악하고 덕은 아름답다는 것을 보여주어라."[19]

열 살이 되었을 때 보스코는 급우들의 태도를 관찰하기 시작했고, 싸움이 있을 때마다 심판을 보았다. 나이가 많은 소년들은 그의 강점과 약점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를 두려워했다.[20] 인근 언덕에서 열린 지역 축제에서 여행하는 연예인들이 공연을 했을 때, 그는 저글러의 기술과 곡예사의 비밀을 관찰하고 연구했다. 그런 다음 그는 저글러, 마술사, 곡예사로서 자신의 기술을 선보였고,[21] 공연 전후에 기도를 했다.[22] 그 쇼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돈은 그가 사냥한 새를 팔아서 얻거나 그의 어머니가 주었다.[23]
가난은 그가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하게 했다. 어린 시절을 양치기로 보냈고,[3] 처음으로 돈 칼로소로부터 교육을 받았는데, 돈 칼로소는 "존이 인근 교구 미션에서 들었던 설교에 대한 기억력과 이해력에 감명을 받았다."[24] 그의 어린 시절 경험은 그가 사제가 되도록 영감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 사제는 당시 농부보다는 특권 계층의 직업으로 여겨졌다.[25]
2. 2. 청소년기와 사제 서품
요한 보스코는 1815년 8월 16일, 피에몬테 주 카스텔누오보 교외 베키 마을에서 태어났다. 1835년부터 1841년까지 키에리의 대신학교에서 철학, 신학을 배운 후, 1841년에 당시 사르데냐 왕국의 수도 토리노에서 사제로 서품받았다.그는 아홉 살 때 꿈을 꾸었는데, 이 꿈은 평생 그와 함께 했다. 꿈속에서 그는 많은 소년들이 싸우는 것을 보았고, 한 인물이 나타나 "주먹이 아닌 친절로 이 아이들을 대하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여성은 "겸손하고 강하고 굳세어라"라고 조언했다. 이 꿈은 훗날 요한 보스코가 가난하고 버려진 청소년들을 위해 헌신하는 삶을 살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훗날 조셉 카파소 신부는 그의 꿈을 영혼의 선을 위한 신성한 계획의 일부로 인정하라고 조언한다. 특히 '주먹 대신 친절하게 이 소년들을 때릴 게'라는 문구는 돈 보스코의 미래 예방 체계의 근간이 되어 살레시오회의 영성을 고취시킬 것이다.
19세기 후반의 이탈리아 통일 운동과 산업 혁명 속에서 청소년들이 방치되는 현실에 직면하여, 그는 가장 가난한 청소년들을 위해 평생을 바칠 것을 결의했다.
2. 3. 초기 사목 활동과 오라토리오 설립
보스코는 사제 서품을 받은 후, 토리노로 가서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연구소에서 카페소와 함께 사목 활동을 시작했다.[29] 당시 토리노는 산업화와 도시화의 영향으로 수많은 가난한 가족들이 도시 빈민가에 살고 있었다.[29] 보스코는 감옥을 방문하면서 소년범들의 재범 문제에 대해 깊이 우려하게 되었고, 고아와 버려진 소년들을 돕기 시작했다.[29] 그는 소년들에게 교리를 가르치고 일자리를 찾도록 도왔으며, 후작부인 줄리아 디 바로로가 토리노에 설립한 여자 기숙 학교인 리푸지오(피난처)의 자선 담당자로 임명되어 죄수 방문, 교리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30]보스코는 인구 증가와 도시로의 이주로 인해 전통적인 본당 사역 방식이 비효율적임을 깨달았다. 그는 새로운 형태의 사도직을 시도하기 위해 소년들이 일하고 모이는 상점과 시장에서 그들을 만나기 시작했다. 그들은 포장공, 석공, 미장공 등이었다.
오라토리오(Oratorio)는 단순한 자선 단체가 아니라, 돈 보스코의 영구적인 직업이 되었다. 그는 실업자들을 위해 일자리를 찾았고, 잠자리가 없는 소년들을 위해 자신의 집에서 숙소를 제공하기도 했다.[31] 1847년 5월, 그는 어머니와 함께 발도코의 빈민가에서 임대하고 있던 세 개의 방 중 하나에 발렌시아 출신의 한 어린 소년을 수용했고, 이후 그가 보호한 소년들은 최대 800명에 이르렀다.[31]
보스코와 그의 오라토리오는 몇 년 동안 도시를 옮겨 다녔고, 여러 곳에서 쫓겨났다. 성 마틴 교회에 기반을 둔 지 두 달 만에, 주변 이웃들은 아이들의 놀이 소리에 불쾌감을 표시했고, 그들에 대한 공식적인 불만이 시에 제기되기도 했다. 또한 사제가 소년들과 함께하는 모임이 위험하다는 소문이 돌았고, 그들의 오락이 정부에 대한 혁명으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이었다. 결국 그 그룹은 쫓겨났다.[32]
2. 4. 살레시오회 설립과 발전
토리노의 살레시오 수도회 문서 보관소에는 1851년 11월에 작성된 견습 계약서, 1852년 2월 8일에 작성된 40센트짜리 인지세가 붙은 계약서 및 이후 날짜의 계약서들이 있다. 이들은 토리노에서 발견된 최초의 견습 계약서들 중 일부이다. 이 계약서들은 고용주, 견습생, 돈 보스코(요한 보스코)의 서명을 받았다. 돈 보스코는 이 계약서들을 통해 많은 민감한 문제들을 다루었다. 일부 고용주들은 관습적으로 견습생들을 하인이나 설거지 소년으로 부렸는데, 돈 보스코는 그들에게 소년들을 인정된 직업에만 고용하도록 계약을 맺게 했다. 고용주들이 소년들을 때리는 관행에 대해서는 말로만 훈계하도록 계약을 요구했다. 그는 견습생들의 건강을 돌보고 축일과 연례 휴가를 주도록 요구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당시 견습생들의 상황은 여전히 어려웠다.[31]우르바노 라타치는 피에몬테의 법무부 장관으로, 정치적으로는 반성직자주의 성향이었지만 보스코의 작업에 어느 정도 가치를 두었다.[33][34] 라타치가 종교 단체를 탄압하는 법안을 사르데냐 의회에 통과시키려 할 때, 그는 보스코에게 법을 피하는 방법을 조언하며 창립자 사후에도 오라토리오를 유지할 수 있도록 종교 단체를 찾도록 했다.[33] 보스코는 자신의 조력자들을 성 프란치스코 드 살레시오의 수도회 형태로 조직하고, 사제가 될 나이 많은 소년들을 훈련시켰다. 교황 비오 9세는 보스코의 비전을 지지했다.[35]
보스코는 프랑스 혁명 과정에서 유입된 루소와 볼테르를 "불신앙의 두 악한 지도자"라고 비판하며,[36] 교황의 최고 권위를 인정하는 교황주의적 관점을 선호했다. 1854년, 사르데냐-피에몬테가 수도원을 폐쇄하고 교회 재산을 몰수하는 법을 통과시키려 하자, 보스코는 "궁정의 대규모 장례식"에 대한 꿈을 보고했다.[37]
1854년 11월, 보스코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국왕에게 교회 재산 몰수와 수도회 폐지에 반대하도록 권고했지만, 국왕은 응답하지 않았다.[38] 이탈리아 역사가 로베르토 페토이아가 "명백한 협박 의도"를 가졌다고 묘사한 그의 행동은[39] 카밀로 벤소, 카보르 백작 총리의 개입 후에야 중단되었다. 1855년 1월부터 5월까지, 국왕의 어머니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사, 아내 오스트리아의 아델라이드, 4개월 된 아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제노바 백작), 유일한 형제 제노바 공작 페르디난도가 사망했다.[37][38]
보스코와 그의 사업에 대한 반대는 여러 곳에서 나왔다. 전통주의 성직자들은 그가 젊은이들과 노인들을 자신의 교구에서 빼앗아간다고 비난했다. 민족주의 정치인들은 그의 수백 명의 젊은이들을 혁명을 위한 모집 기지로 보았다. 토리노 경찰서장인 카보르 후작은 야외 교리 교육을 노골적인 정치적 위협으로 간주하고, 교황 권력에 대한 보스코의 지지를 의심했다. 보스코는 여러 차례 심문을 받았지만 기소되지는 않았다. 국왕의 명령으로 보스코를 방해하지 못하게 되어 폐쇄가 막혔을 수도 있다.[40] 보스코에 대한 암살 시도(칼, 둔기, 총격)도 여러 차례 있었다. 초기 전기는 이를 발도파의 영향력 증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41]
1859년 살레시오회를 설립하고,[59] 1869년 교황으로부터 정식 인가를 받았다.[59] 1872년 협력자 성모회를 설립했다.[59] 1874년 4월 3일, 살레시오회의 회헌이 교황으로부터 공식 승인되어 교황 직할 수도회가 되었다.[59]
2. 5. 예방 교육 시스템


요한 보스코는 오라토리오 운영과 소년들의 교육에 있어, 억압적인 교육 시스템 대신 그가 고안한 '예방 교육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1877년 3월 12일, 보스코는 니스의 성 베드로 청소년 센터 개관식에서 이 시스템을 처음으로 '예방 시스템'이라고 언급했다.[45]
토리노로 돌아온 보스코는 이 연설을 '청소년 교육에서의 예방 시스템'이라는 제목의 에세이로 출판하였는데, 이는 살레시오회 규칙 초안에 포함되었다.[46] 이 에세이는 "훌륭한 크리스찬과 정직한 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이성, 종교, 사랑과 친절을 중시하는 가치를 강조했다.[12] 보스코는 교육 소설과 서사적 교수법을 통해 자신의 교육 철학을 설명했다.[47]
보스코의 교육 시스템은 당시 유럽의 처벌적 교육 시스템에 대한 비판에서 비롯되었으며, 그는 이러한 비판을 실천에 옮긴 선구자 중 한 명이었다.[48]
2. 6. 저술 활동
요한 보스코는 청소년 교육과 살레시오회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주제로 글을 썼다. 그의 저술은 종교, 역사, 교리 교육, 전기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분야를 다루었다.[1]그는 가톨릭 교리와 전통을 옹호하고, 당시 반가톨릭 정서에 맞서는 글을 발표했다. 또한, 청소년들이 쉽게 읽을 수 있는 교육적인 내용의 책을 저술하여 살레시오회 학교에서 교재로 활용했다.[1]
요한 보스코의 주요 저서로는 이탈리아 역사, 가톨릭 교회사, 성인전 등이 있다. 이러한 저술 활동을 통해 그는 청소년 교육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살레시오회의 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했다.[1]
2. 7. 선종과 시성
성 요한 보스코는 1888년 1월 31일에 선종하였다. 그의 장례식에는 수천 명이 참석했다. 토리노 대교구는 보스코가 성인으로 선포될 만한 자격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조사했으며, 증인들을 소환했다. 살레시오회, 살레시오 수녀회, 그리고 협력자들은 지지적인 증언을 했다.[59] 교황 비오 11세는 보스코를 알고 있었고, 그의 시성을 추진했다. 비오 11세는 1929년 6월 2일에 보스코를 복자로 선포했고, 1934년 부활절 일요일(4월 1일)에 그를 성인으로 시성했으며, 이때 그는 "청소년의 아버지이자 스승"이라는 칭호를 받았다.3. 유산과 영향
요한 보스코는 19세기 후반 이탈리아 통일 운동과 산업 혁명 속에서 방치된 청소년들을 위해 평생을 바쳤다. 1888년 1월 31일 선종했고, 장례식에는 10만 명이 참례했다.[59] 193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59] 살레시오회를 설립하여 학교와 사회 사업을 통해 많은 사람들을 이끌었다.
그의 유산은 살레시오회를 통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그의 교육 철학은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경쟁보다는 사랑과 이해를 중시하는 '예방 교육' 방식은 현대 사회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3. 1. 전 세계적인 살레시오회 활동
1859년 요한 보스코가 설립한 살레시오회[59]는 전 세계적으로 청소년 교육 및 사회 사업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1872년에는 살레시오 수녀회가 설립되었고,[59] 1869년 교황으로부터 정식 인가를 받았다.[59] 또한, 평신도들로 구성된 살레시오 협력자회도 조직되어[59] 살레시오회의 이상을 함께 실천하고 있다. 이들은 학교, 청소년 센터, 직업 훈련소, 출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가난하고 소외된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과 지원에 힘쓰고 있다. 현재 살레시오회 본부는 로마에 있으며,[59] 전 세계 130여 개국에서 요한 보스코의 정신을 이어받아 청소년 교육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3. 2. 한국에서의 영향
대한민국에서는 살레시오회와 살레시오 수녀회가 요한 보스코의 정신을 이어받아 활동하고 있다. 살레시오회는 학교 운영, 청소년 지원 사업 등을 통해 한국 사회에 기여하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 교육에 힘쓰고 있다. 살레시오 수녀회 역시 학교 운영과 청소년들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요한 보스코의 교육 철학이 재조명받고 있다. 그의 '예방 교육'은 경쟁과 억압보다는 사랑과 이해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을 지도하는 방식으로, 학교폭력과 입시 경쟁에 지친 한국 사회에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3. 3. 대중문화 속의 요한 보스코
성 요한 보스코는 1935년 고프레도 알레산드리니가 감독하고 배우 잔 파올로 로스미노가 출연한 전기 영화 ''돈 보스코''의 주제였다. 그는 또한 이탈리아 영화 ''돈 보스코''(1988)와 ''성 요한 보스코: 사랑의 사명''(2004)의 주제이기도 했다.[54]많은 교육 기관들이 그를 기려 호주, 인도, 필리핀, 파키스탄, 레바논, 미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뉴사우스웨일스주 잉게딘에는 세인트 존 보스코 본당, 세인트 존 보스코 초등학교, 세인트 존 보스코 칼리지가 설립되었다. 아르헨티나 킬메스에는 그의 이름을 딴 지역이 있으며, 캐나다 몬트리올의 빌-에마르 지역에는 그의 이름을 딴 이탈리아 교회 산 조반니 보스코가 있다.
보스코는 브라질리아의 수호성인으로, 브라질 중부에 번성할 특별한 새로운 문명에 관한 꿈을 꿨다고 여겨진다. 그는 대중적으로 마술사들의 수호성인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2002년 1월 30일 실비오 만텔리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게 보스코를 무대 마술사들의 수호성인으로 공식 선포해 달라고 청원했다.[56] 복음 마술을 행하는 가톨릭 무대 마술사들은 그의 축일에 소외된 아이들에게 무료 마술 쇼를 제공함으로써 보스코를 공경한다.[56]
4. 기념물과 기념비
참조
[1]
웹사이트
Saint John Bosco | Biograph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6-29
[2]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2-07-19
[3]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t. John Bosco (Don Bosco)
http://www.newadvent[...]
2023-06-29
[4]
간행물
1965–1988
[5]
간행물
2012
[6]
웹사이트
Bosco
http://www.dipionlin[...]
2021-01-11
[7]
간행물
1999
[8]
간행물
2004
[9]
서적
Biographical Memoirs of St. John Bosco
Salesiana Publishers
1967
[10]
웹사이트
ADMA - Association Mary Help of Christians, Torino-Valdocco {{!}} 16
http://www.donbosco-[...]
2017-11-27
[11]
간행물
1965–1988
[12]
웹사이트
The Salesian Bulletin in the World
http://www.sdbmedia/[...]
Eircom.net, Dublin
2010-05-02
[13]
웹사이트
Salesian Cooperators
http://www.salesians[...]
Salesians of Don Bosco, Province of Mary Help of Christians, Melbourne
2012-03-09
[14]
웹사이트
St. John Bosco - Patron Saint of Young People and Editors / Publishers {{!}} Christian Apostles.com
https://christianapo[...]
2021-01-09
[15]
간행물
1965–1988
[16]
문서
The Piedmont drought lasted from 1817 to 1819. See The Majesty of Charleston by Peter Beney, p.64, 2005 edition.
[17]
간행물
1965–1988
[18]
웹사이트
Venerable Margaret Occhiena
http://www.sdb.org/E[...]
Salesian Society of Don Bosco
1995-02-08
[19]
간행물
1965–1988
[20]
서적
Memorias del oratorio
[21]
웹사이트
Magician priest wants patron saint of magic
http://news.bbc.co.u[...]
2002-06-02
[22]
웹사이트
31 January: Saint John Bosco
http://magnificat.ca[...]
2008-11-14
[23]
서적
Memoirs of the Oratory of Saint Francis de Sales 1815 – 1855: The autobiography of Saint John Bosco
2007-12-06
[24]
웹사이트
www.salesians.org.uk/uploads/footprintsvocationdonbosco.pdf
https://www.salesian[...]
[25]
간행물
1965–1988
[26]
웹사이트
Don Bosco, Friend of the Youth
http://www.donbosco.[...]
Salesians of Australia
[27]
간행물
1965–1988
[28]
문서
Now hosts an exhibition dedicated to the John Bosco.
[29]
웹사이트
Saint John Bosco
https://www.francisc[...]
[30]
서적
Life of Don Bosco
https://books.google[...]
Burns & Oates
[31]
웹사이트
"Don Bosco's Story", ewtn
http://www.ewtn.com/[...]
[32]
서적
Don Bosco: A Sketch of His Life and Miracles
1884
[33]
서적
This Saint's for You!
https://books.google[...]
Quirk Books
2007
[34]
서적
Holy People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ABC-CLIO
2004
[35]
서적
The Life of Don Bosco: Founder of the Salesian Society
https://books.google[...]
Burns & Oates
[36]
서적
Giovanni Bosco: 'Storia ecclesiastica ad uso delle scuole'
Editrice LAS
1976
[37]
서적
Journal of Salesian Studies
http://www.bosconet.[...]
2007-07-12
[38]
서적
Memoirs of the Oratory of Saint Francis de Sales 1815 – 1855: The autobiography of Saint John Bosco
2007-12-06
[39]
간행물
I sinistri presage di Don Giovanni Bosco
2007-06
[40]
문서
Butler
1999
[41]
문서
Don Bosco: A Sketch of His Life and Miracles
Charles D'Espiney
1884
[42]
웹사이트
Bl. Michael Rua (Beatified: 1972)
http://www.salesianm[...]
Salesian Missions
2017-11-07
[43]
웹사이트
MARIA DOMENICA Mazzarello, santa in "Dizionario Biografico"
http://www.treccani.[...]
[44]
웹사이트
"Associazione Cooperatori Salesiani"
http://www.laici.va/[...]
Pontifical Council for the Laity
[45]
웹사이트
The Salesian Preventive System of St. John Bosco (Don Bosco) (Educational Philosophy of Don Bosco - Don Bosco's Way, Style, Approach, Method, System, etc.... of Educating and Accompanying Young People Today)
http://www.donboscow[...]
Don Bosco West
2020-04-15
[46]
간행물
Regolamento per le case della Società di S. Francesco di Sales
1877
[47]
서적
Salesian Sources 1: Don Bosco and his work
LAS – Kristu Jyoti
[48]
웹사이트
The "Preventive System": Walking Alongside
https://humanumrevie[...]
Humanum Review
2020-04-15
[49]
간행물
Il Sistema Preventivo di Don Bosco
2003
[50]
서적
A Compendium of Italian History from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Tr. and Completed to the Present Time by J.D. Morell
https://books.google[...]
Creative Media Partners, LLC
2018-10-22
[51]
문서
Under Joseph Cafasso, Bosco would later become a priest when he started the work. It has since spread worldwide through the religious congregation that he founded: the Salesians of Don Bosco. He has also been declared a saint and their hometown has been renamed in his honor.
[52]
웹사이트
The Life of St. Dominic Savio
http://olrl.org/book[...]
Our Lady of the Rosary Library
2020-04-15
[53]
웹사이트
Writings of Don Bosco
http://homepage.eirc[...]
2023-07-15
[54]
웹사이트
San Giovanni Bosco – Opere Edite. Elenco cronologico
http://www.donboscos[...]
2023-06-28
[55]
간행물
EXPO' 84 and Don Bosco's peerless-to- paper-to-print presentation
https://www.salesian[...]
Institute of Salesian Studies Berkeley California
2023-06-28
[56]
웹사이트
Magicians Want Don Bosco Declared Their Patron
http://www.zenit.org[...]
Zenit News Agency
2002-01-29
[57]
웹사이트
聖ヨハネ・ボスコ生誕200年:教皇、サレジオ会総長に書簡 バチカン放送局
http://ja.radiovatic[...]
[58]
웹사이트
聖人カレンダー 1月31日聖ヨハネ・ボスコ司祭 Laudate 女子パウロ会
http://www.pauline.o[...]
[59]
웹사이트
創立者ドン・ボスコとサレジオ会の歩み サレジオ会日本管区
http://salesians.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