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각동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각동역은 1899년 9월 18일 경인선 인천~노량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나, 1906년 2월 10일 폐지된 간이역이다. 역 주변은 당시 인천 교외 지역으로 여객 수요가 적었지만, 미국 공사 알렌의 별장이 인근에 위치해 설치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현재 역의 위치는 석정로와 새천년로 삼거리 부근이며, 과거 선로는 도로 선형으로 남아있다. 1897년 3월 22일에는 경인철도 기공식이 열렸던 장소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폐지된 철도역 - 문학역
    문학역은 1937년 정류장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나 일제강점기에 폐지되었다.
  • 경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경인선 - 구로역
    구로역은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복잡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1974년 보통역으로 승격,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구로차량사업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상업시설과 공공기관이 인접해 있다.
우각동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역명우각동역
모국어 표기우각동
읽기우가クドン
로마자 표기Ugakdong
소속 노선경인선
이전 역제물포
다음 역동인천
소재지대한민국인천광역시미추홀구
소속 사업자대한제국궁내부 내장원 서북철도부
부가 정보 이름 1역 종류
부가 정보 1폐역
부가 정보 이름 2역 등급
역 구조지상역
개업 연월일1899년 9월 18일
폐지 연월일1906년 2월 10일
철도역 정보
역명우각동
우각동역에 열차가 정차한 것으로 추정되는 모습 (인천 방면)
우각동역에 열차가 정차한 것으로 추정되는 모습 (인천 방면)
소재지대한제국 경기도 인천부 부내면
개업일1899년 9월 18일
폐지일1906년 2월 10일
관할경부철도주식회사
한국의 사물
한글우각동역
한자牛角洞驛
히라가나ぎゅうかくどうえき
가타카나우가クドンニョク
알파벳Ugakdong Station

2. 역사

경인선 개통 초기부터 운영되었으나,[1] 역이 위치했던 곳은 당시 인천의 교외 지역이어서 이용객이 많지 않았다.[4] 그럼에도 역이 설치된 배경에는 당시 미국 공사였던 알렌(Horace N. Allen)의 별장이 인근 쇠뿔고개(우각현, 牛角峴)에 있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5]

그러나 알렌이 미국으로 돌아간 직후인 1906년 초 우각동역은 폐지되었다. 이는 경인선 부설권을 사들인 일본 측의 결정 때문이라는 추측이 있다.[6] 이후 1908년 12월에는 우각동역 앞뒤를 지나던 선로마저 다른 곳으로 옮겨지면서 완전히 폐지되었다.

현재 우각동역이 있었던 자리는 석정로새천년로가 만나는 삼거리 부근으로 추정된다. 또한, 당시 기차가 다니던 길은 현재 도로의 모습으로 남아 있는데, 서쪽부터 '석정로107번길 - 새천년로 2 - 박문삼거리 - 석정로162번길' 구간이 이에 해당한다.

2. 1. 경인선 기공식

우각동역 일대는 1897년 3월 22일 미국인 사업가 모스(James R. Morse)에 의해 경인선 철도 기공식이 거행된 역사적인 장소이다.[2][3] 본래 경인선은 우각동역 서쪽에서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현재의 신포동으로 이어질 계획이었으나, 해당 지역 토지를 소유하고 있던 일본인들의 반대로 인해 현재와 같은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이러한 노선 변경은 갑작스럽게 이루어졌으며, 1897년 3월 29일까지 기공식을 마쳐야 하는 촉박한 일정 속에서, 당시 이미 노선이 확정되어 있던 우각동역 부근에서 기공식을 열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연구자들은 보고 있다.[2][3] 이후 일본이 철도 부설권을 인수한 뒤, 1899년 4월 23일에는 인천역에서 2차 착공식이 열렸다.

2. 2. 연혁

참조

[1] 신문기사 皇城新聞 十八日行(1899年9月16 日) https://nl.go.kr/new[...]
[2] 뉴스 "[질주하는 역사 철도·21]남기고 싶은 이야기 - 경인선의 이모저모"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21-01-24
[3] 뉴스 "[기획칼럼] 손길신 前 철도박물관장의 철도歷史 이야기<제2話>" http://www.mcnews.co[...] 매일건설신문 2021-01-24
[4] 뉴스 "미추홀 이야기 ⑨ ‘우각로 문화마을’" https://enews.incheo[...] i-View 2021-01-24
[5] 뉴스 "옛 종교·사학 성지…예술·문화 순례 발길 여전"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21-01-24
[6] 서적 개항과 양관역정 경기문화사 1959
[7] 뉴스 十八日行 https://nl.go.kr/new[...] 황성신문 2021-01-25
[8] 뉴스 경인 철도 리슈 https://nl.go.kr/new[...] 독립신문 2021-01-25
[9] 서적 한국 철도의 역사와 발전 II BG북갤러리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