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병은 유번의 여덟 번째 아들로, 손권과 손책 밑에서 벼슬을 지냈다. 오나라에서 황문랑, 상서시중을 역임했으며, 서진의 오나라 침략 당시 서진에 항복하여 제음 태수를 지냈다. 그는 정의를 지키고 가난한 사람들을 도왔으며, 천문학에 통달하여 저서 『궁천론』을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오의 군인 - 우충
우충은 오나라 손책 휘하 유번의 아들이며, 육기, 위천 등 인재를 등용하고 의도태수를 지내다 서진의 침공에 맞서 싸우다 전사한 용맹하고 절개있는 관리였다. - 동오의 군인 - 우용
우용은 손권 휘하의 월기교위와 정위를 거쳐 오나라 멸망 후 서진의 하간국 재상을 지낸 인물로, 인재 등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검소한 장례 문화를 실천했으며 천문학 연구에 몰두하여 '궁천론'을 제시했다. - 회계 우씨 - 우세남
우세남은 수나라와 당나라 초기의 문신이자 서예가로, 당 태종을 섬기며 홍문관 학사, 비서감 등을 역임했고, 지영에게 서예를 배워 해서에 능했으며, 『공자묘당비』, 『소인사비』, 문집 『우비감집』, 저서 『북당서초』, 『제왕략론』, 『필수론』 등을 남겼다. - 회계 우씨 - 우번
우번은 삼국 시대 오나라의 학자이자 정치가로, 《역경》에 능통하고 손책과 손권을 섬기며 회계 업무를 담당했으며,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아 손권의 미움을 사 교주로 유배되어 사망했다. - 위야오시 출신 - 장멍린
장멍린은 1886년 중국에서 태어나 교육자, 정치가로 활동하며 베이징 대학 총장, 중화민국 교육부 부장 등을 역임하고, 대만에서 농촌 부흥 사업에 기여하다 1964년 사망했다. - 위야오시 출신 - 왕수인
왕수인은 왕양명으로 널리 알려진 명나라의 유학자, 관료, 군인, 사상가로서, 육구연의 심학을 계승하여 양명학을 집대성했으며, 그의 사상인 심즉리, 지행합일, 치양지는 주자학에 대한 대안으로 명나라와 조선 사상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우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우병 |
한자 표기 | 虞昺 |
자 | 세문(世文) |
아버지 | 우번 |
관직 정보 | |
관직 | 제음태수(濟陰太守) |
임기 시작 | 280년 이후 |
통치자 | 진 무제 |
2. 생애
우병은 유번의 여덟 번째 아들로,[1][2] 회계군 위요현(餘姚縣; 현재의 위야오 저장성) 출신이다.[3] 젊었을 때부터 남다른 포부를 가졌으며, 오나라에 출사하여 황문랑(黃門郎), 상서시중(尚書侍中) 또는 상서시랑(尚書侍郎)을 지냈다.[4][7]
280년 서진이 오나라를 침략하자(태강의 역), 무창 지역의 군사 지휘를 맡았으나, 오나라가 멸망하자 서진에 항복했다.[5][7] 서진에서는 제음군(濟陰郡; 현재의 딩타오현 산둥성) 태수로 임명되어, 정의를 세우고 약자를 보호하여 명성을 얻었다.[5][7]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어 『궁천론』(穹天論)을 저술했으며,[7] 형인 우용보다 먼저 사망했다.[7]
2. 1. 오나라
우병은 유번의 여덟 번째 아들로,[1][2] 어릴 때부터 남다른 포부를 가졌다. 성장하여 오나라에 출사하여 황문랑(黃門郎)이 되었으며, 이후 상서시중(尚書侍中)으로 승진했다.[4] 다른 기록에 따르면, 주군 손호의 질문에 적절하게 답변하여 뛰어난 재능을 인정받아 파격적으로 상서시랑(尚書侍郎)에 임명되었다고도 한다.[7]280년, 서진이 오나라를 침략했을 때(태강의 역), 오나라 황실은 우병에게 지절(持節)을 하사하고 무창(武昌; 현재의 어저우 후베이성)으로 보내 상류 지역의 군사 업무를 총괄하도록 했다.[5][7] 그러나 오나라 군대가 진나라 군대에게 궤멸되자, 우병은 가지고 있던 절(節), 개(蓋), 인수(印綬)를 오나라 조정에 반납하고 서진에 항복했다.[5][7]
2. 2. 서진
280년, 서진 군대가 오나라를 침공하자, 오나라 황실은 우병에게 지절(持節)을 하사하고 무창(어저우 후베이성) 지역의 군사 업무 총괄을 맡겼다.[5][7] 그러나 오나라 군대가 궤멸되자, 우병은 지절, 개(蓋), 인수(印綬) 등 받은 모든 권한과 상징물을 오나라 조정에 반납한 뒤 서진에 항복했다.[5][7]오나라 멸망 후, 우병은 서진 조정으로부터 제음군(濟陰郡; 현재의 딩타오현 산둥성) 태수로 임명되었다.[5] 그는 태수로 재임하는 동안 권력자들의 횡포를 억누르고 약자들을 도우며 정의를 세우는 데 힘썼으며, 이로 인해 백성들 사이에서 좋은 평판을 얻었다.[5][7] 그는 형인 우용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7]
또한 우병은 천문학에도 능통하여 『궁천론』(穹天論)이라는 저서를 남겼다. 이 책에서 그는 "하늘의 형태는 삿갓과 같고, 땅은 그 아래 떠 있는 공기 위에 있다"고 주장하며 당시 다른 학설들보다 진일보한 관점에서 대기의 상태를 설명하고자 했다.[7]
3. 학문적 업적
우병은 천문학에도 능통했다. 그는 저서 『궁천론』에서 "하늘의 형태를 한 돔은 삿갓과 같으며, 지표는 떠 있는 공기 위에 있다."라고 주장하며, 당시 다른 학설들보다 대기의 상태를 과학적으로 설명하려 시도했다.[7]
4. 가계
우병은 우번의 아들이며, 10명의 형제가 있었다.[6] 그 중에서도 넷째 형 우사, 다섯째 형 우중, 여섯째 형 우송이 알려져 있다.
형 우사에게는 아들 우비[8]와 우곡이 있었다. 다른 형 우중에게는 아들 우담[9], 우흘, 우소부가 있었다.
우병에게는 아들 우찰[10]이 있었고, 우찰은 다시 아들 우희와 우예[11]를 두었다.
참조
[1]
서적
Sanguozhi vol. 57
[2]
서적
Kuaiji Dianl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57
[3]
서적
Sanguozhi vol. 57
[4]
서적
Kuaiji Dianl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57
[5]
서적
Kuaiji Dianl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57
[6]
서적
Sanguozhi vol. 57
[7]
서적
会稽典録
[8]
서적
晋書 巻76
[9]
서적
晋書 巻76
[10]
서적
三国志 巻57裴注の引く『会稽典録』
[11]
서적
晋書 巻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