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산소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산소나무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소나무의 일종으로, 남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선사 시대에는 북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지역에도 분포했으며, 현재는 이탈리아 로마의 아피아 가도와 같은 지역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우산소나무는 최대 25m까지 자라며, 잣을 얻기 위한 재배 외에도 관상수, 분재, 나뭇진 채취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된다. 1990년대 후반에는 소나무허리노린재와 솔가지바구미의 유입으로 병해충 피해를 입었으며, 최근에는 대한민국에서도 피해가 보고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나무속 - 곰솔
곰솔은 흑갈색 껍질과 굵은 잎을 가진 소나무과의 상록침엽수로, 해송이라고도 불리며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지만 소나무재선충병에 취약하다. - 소나무속 - 눈잣나무
눈잣나무는 왜송이라고도 불리는 땅을 기듯이 자라는 소형 소나무과 식물로, 가지가 많이 갈라져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내리는 독특한 수형을 가지며 고산지대에 분포하고 극한 환경에 적응하여 관상용으로도 재배된다. - 관상수 - 나한송
나한송은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껍질이 벗겨지는 특징이 있고 건축재나 약재로 쓰이며 정원수로도 심는데, 종자는 독성이 있지만 붉은 종탁은 먹을 수 있다. - 관상수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 식용 씨앗과 견과류 - 커피콩
커피콩은 커피나무 열매 속 씨앗으로, 볶아서 커피 음료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생두와 볶은 콩으로 나뉘고,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브라질이 최대 생산국이다. - 식용 씨앗과 견과류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우산소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구과식물문 |
아문 | 마쓰아문 |
강 | 마쓰강 |
목 | 마쓰목 |
과 | 마쓰과 |
속 | 소나무속 |
아속 | Pinus subsect. Pinaster |
종 | 이탈리아카사마쓰 |
학명 | Pinus pinea L. |
기본 정보 | |
![]() | |
![]() | |
상태 | LC (관심 필요) |
영어 이름 | European nut pine 등 |
일본어 이름 | イタリアカサマツ (Itariakasa-matsu) |
한국어 이름 | 우산소나무 |
설명 | |
특징 | 지중해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소나무 종 |
용도 | 식용 종자 생산, 조경 |
참고 문헌 | |
참고 | "" 는 처리하지 않음. |
참고 | "" 는 처리하지 않음. |
기타 | |
비고 | "Japanese umbrella-pine or Swiss stone pine" 는 처리하지 않음. |
비고 | "" 는 처리하지 않음. |
2. 분포
선사 시대에는 현재보다 기후가 습윤하여, 북아프리카의 마그레브(현재의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리비아) 지역과 사하라 사막까지 분포하였다. 현재 우산소나무의 자연 분포 지역은 주로 지중해 연안의 지중해 숲, 덤불 및 관목 생물군계에 집중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다.
- 남유럽: 이베리아반도(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남부, 이탈리아(시칠리아, 사르데냐 포함), 아드리아해 동안(크로아티아, 알바니아), 터키 서부, 그리스 남부 발칸반도. 이탈리아 북부 해안가에는 예솔로, 바르콜라 등 우산소나무 공원이 조성된 곳도 있다.
- 그리스에서는 흔하게 발견되지는 않지만,[4][17] 펠로폰네소스반도 서부 스트로필리아 지역에는 지중해와 석호 사이에 약 13km 길이에 달하는 넓은 우산소나무 숲이 존재한다.[5][18] 이 숲은 알레포소나무(''Pinus halepensis'')와 혼합되어 분포하며,[6][19] 현재는 알레포소나무가 우점종인 경우가 많다.[7][20] 또한 에게해의 스키아토스 섬 남서쪽 쿠쿠나리에스에도 석호와 바다 사이에 약 800m 길이의 우산소나무와 알레포소나무 숲이 있다.[8][21]
- 서아시아: 터키 아나톨리아 남부 산악 지대, 시리아, 레바논, 이스라엘 북부.
- 북아프리카: 모로코와 알제리의 지중해 연안 삼림 지대.
우산소나무는 잣을 식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기원전부터 재배되었으며, 관상용으로도 공원이나 정원에 널리 심어졌다. 이러한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원산지 외의 다른 지역으로도 퍼져나갔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 웨스턴케이프 주에는 17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이주한 위그노들이 씨앗을 가져와 심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지 아프리칸스어로는 kroonden|크룬덴afr이라고 불린다.
- 기타 지역: 카나리아 제도,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주 등 지중해성 기후를 가진 다른 지역에도 도입되었다. 북아프리카로의 이입은 수천 년 전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우산소나무는 왕립원예협회의 가든 메리트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15]
3. 외관
우산소나무는 침엽수의 상록수로, 최대 25m 이상 자랄 수 있지만 보통 높이 12m에서 20m 내외로 자라는 교목이다. 어린 나무 시기에는 둥글고 무성한 형태를 보이지만, 자라면서 굵은 줄기 위에 특징적인 우산 모양의 수관을 형성한다. 완전히 자란 나무는 너비가 8m 이상 되는 넓고 평평한 수관을 갖게 된다.[22][2] 고대 로마의 학자 대 플리니우스는 베수비오 산의 플리니식 분화 모습이 마치 우산소나무 같다고 묘사하기도 했다.
수피는 두껍고 적갈색을 띠며, 세로 방향으로 깊게 갈라진 모습을 보인다.
잎은 두 종류가 있다. 성숙한 나무의 잎은 두 개씩 묶여 나며, 길이는 10cm에서 20cm 정도이고 예외적으로 30cm까지 자라기도 한다. 이 잎은 탄력 있고 뾰족하며 녹색을 띤다. 반면, 5년에서 10년생 정도까지의 어린 나무에서는 다른 형태의 잎이 나는데, 이를 유묘 잎이라고 한다. 유묘 잎은 하나씩 나며 길이는 2cm에서 4cm 정도로 짧고, 청록색 또는 회청색을 띤다. 나무가 4~5년생이 되면 성숙한 잎이 유묘 잎과 섞여 나기 시작하며, 약 10년생이 되면 완전히 성숙한 잎으로 대체된다. 다 자란 나무라도 가지가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입으면 새로 돋아나는 순에서는 어린잎 형태가 다시 나타날 수 있다.
솔방울은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는 8cm에서 15cm 정도이다. 이 솔방울이 완전히 성숙하기까지는 36개월이 걸리는데, 이는 다른 소나무 종류에 비해 긴 시간이다.
씨앗은 흔히 잣이라고 부르며, 길이는 약 2cm이다. 옅은 갈색을 띠고 표면에는 쉽게 벗겨지는 검은색 가루가 묻어 있다. 씨앗에는 4mm에서 8mm 길이의 작은 날개가 달려 있지만, 이 날개는 씨앗을 바람에 날려 멀리 퍼뜨리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않다. 따라서 씨앗의 확산은 주로 동물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과거에는 이베리아까치 등이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최근에는 주로 사람에 의해 퍼져나가고 있다.
4. 이용
인간은 씨앗(잣)을 먹기 위하여 최소 6,000여 년 전부터 우산소나무를 재배하였으며, 우산소나무의 씨앗은 고대부터 주요한 물물교환 품목 중 하나였다.[23][14] 이 나무는 지중해 지역 전역에서 오랫동안 재배되어 귀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원래 서식지를 넘어 분포 지역이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여러 지역에 토착화되었다.[14]
우산소나무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식 정원의 중요한 미적 요소 중 하나였으며,[11] 로마의 아피아 가도를 비롯한 여러 역사적인 로마의 도로를 따라 심어진 우산소나무는 로마의 상징이 되었다.[11]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관상용으로 이스탄불의 보스포루스 해협 언덕에 심기도 하였다. 1700년대부터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캘리포니아, 오스트레일리아 등 세계의 다른 지중해성 기후 지역에 정원이나 공원의 관상수로 많이 심어졌다. 이후 일부 지역에서는 토착화되었는데,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도시를 넘어 자연화되어 침입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14] 서유럽에서는 스코틀랜드 남부까지, 미국 동부 연안에서는 뉴저지까지 심어졌다.
작은 나무는 분재로 이용되며, 높이 20cm에서 30cm 정도의 일년생 묘목은 탁상용 크리스마스 트리로 판매되기도 한다.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다른 생산물로는 나뭇진, 타닌 추출을 위한 수피, 연료로 사용되는 빈 솔방울 껍질 등이 있다.[14] 한편, 지중해 연안 지역에서는 해안 사구의 안정화, 토양 보존, 해안가 농경지 보호 등 환경 보호를 목적으로 심기도 한다.[23][14]
영국에서는 왕립 원예 협회로부터 정원 공로상(Award of Garden Merit)을 수상했다.[12][13][15]
5. 병해충
1990년대 후반 미국 서부에서 수입된 목재와 함께 이탈리아 북부로 우연히 유입된 소나무허리노린재(서부 구과 씨앗 노린재, Leptoglossus occidentalis)가 확산되었다.[24][9][16] 이 해충은 어린 솔방울의 수액을 빨아먹어 씨앗의 발육을 저해하고 시들게 만든다.[24][9] 피해는 유럽 전역으로 확대되었으며, 특히 이탈리아에서는 이로 인해 많은 우산소나무가 고사하고 원시림이 손실되는 등 큰 피해를 입어 원산지 서식지에서 우산소나무를 위협하고 있다.[24][9][16]
또한, 포르투갈에서는 2020년에 새로운 병원균인 Pestalotiopsis pini(자낭균류에 속하는 곰팡이)가 우산소나무에서 발견되었다. 이 병원균은 소나무 과수원과 도시 지역에서 싹 마름병 및 줄기 괴사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해충 및 질병 발생은 해당 지역의 식용 잣 생산량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 곰팡이는 우산소나무의 잎, 싹, 줄기뿐만 아니라 해송(Pinus pinaster)에서도 발견되어, 지중해 분지 소나무 숲 전체의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다.[10]
6.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Pinus pinea''"
2013
[2]
웹사이트
"''Pinus pinea''"
http://apps.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3-07-23
[3]
논문
Classification of the Mediterranean lowland to submontane pine forest vegetation
https://onlinelibrar[...]
2021-01
[4]
웹사이트
Pinus pinea
http://www.conifers.[...]
2013-07-23
[5]
웹사이트
Strofylia – Greece
http://www.factsproj[...]
2013-07-23
[6]
웹사이트
GR098 Kalogria lagoon, Strofilia forest, and Lamia marshes
http://www.ornitholo[...]
Hellenic Ornithological Society
2013-07-23
[7]
웹사이트
Pinus halepensis invasion in Pinus pinea habitat
http://users.auth.gr[...]
Elsevier
2013-07-23
[8]
웹사이트
NatureBank – Βιότοπος NATURA – SKIATHOS: KOUKOUNARIES KAI EVRYTERI THALASSIA PERIOCHI
http://filotis.itia.[...]
[9]
웹사이트
Italy's pine nut pest
http://www.theworld.[...]
Public Radio International
2010-10-20
[10]
논문
"''Pestalotiopsis pini'' sp. nov., an Emerging Pathogen on Stone Pine (''Pinus pinea'' L.)"
2020
[11]
뉴스
Rome's Iconic Umbrella Pines Imperiled by Pests and the Ax
https://www.nytimes.[...]
2023-08-14
[12]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Pinus pinea''
https://www.rhs.org.[...]
2018-04-30
[13]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8-04-25
[14]
서적
"Italian stone pine − ''Pinus pinea'': Technical guidelines for genetic conservation and use"
http://www.euforgen.[...]
European Forest Genetic Resources Programme
2004
[15]
웹사이트
"''Pinus pinea''"
http://apps.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3-07-23
[16]
웹사이트
Italy’s pine nut pest
http://www.theworld.[...]
Public Radio International
2012-06-20
[17]
웹인용
Pinus pinea
http://www.conifers.[...]
2013-07-23
[18]
웹인용
Strofylia − Greece
http://www.factsproj[...]
2013-07-23
[19]
웹인용
GR098 Kalogria lagoon, Strofilia forest, and Lamia marshes
http://www.ornitholo[...]
Hellenic Ornithological Society
2013-07-23
[20]
웹인용
Pinus halepensis invasion in Pinus pinea habitat
http://users.auth.gr[...]
Elsevier
2013-07-23
[21]
문서
http://filotis.itia.ntua.gr/biotopes/c/GR1430003/
[22]
웹인용
"''Pinus pinea''"
http://apps.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3-07-23
[23]
서적
"Italian stone pine − ''Pinus pinea'': Technical guidelines for genetic conservation and use"
http://www.euforgen.[...]
European Forest Genetic Resources Programme
2004
[24]
웹인용
Italy’s pine nut pest
http://www.theworld.[...]
Public Radio International
2012-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