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마의 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의 도로는 로마 제국 시대에 건설된 도로 시스템으로, 라틴어 'via'에서 유래되었으며, 영어 단어 'way'와 어원을 공유한다. 기원전 450년경 12표법은 도로 폭을 규정하고, 로마법은 도로 사용권을 '세르비투스'라는 이름으로 규정하여 공공의 영역을 강조했다. 로마 도로는 공공 도로, 사설 도로, 지역 도로로 분류되었으며, 건설 및 유지 주체, 용도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존재했다. 로마의 도로 건설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군사적 목적뿐만 아니라 경제 발전을 위한 물류와 인적 교류를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 도로에는 마일석, 만시오, 카우포나에, 무타티오네스 등 여행객을 위한 다양한 시설이 설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도로 - 아피아 가도
    아피아 가도는 기원전 312년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가 군사적 필요에 의해 건설한 고대 로마의 군사 도로로, 로마와 이탈리아 남부를 연결하며, 일부 구간은 복구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고, 역사 유적과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 로마 도로 - 트라이아나 가도
    트라이아나 가도는 로마에서 아드리아 해로 연결되어 이탈리아 남부 도시들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 위키백과에는 정보가 부족하다.
  • 고대 로마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고대 로마 - 삼두정치
    삼두정치는 세 사람이 공동으로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 체제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서 나타났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중국인
    중국인은 지리적 출생 및 거주, 민족 구성, 종족적 분류, 국적, 정치적 관점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이루어진 연방 입헌 군주국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이며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민족 간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과제로 남아있다.
로마의 도로
지도
개요
유형도로
재료흙, 자갈, 석재
건설 시작기원전 312년
건설 주체로마인
역사
기원로마 공화국
목적군사적 이동
무역
통신
특징
주요 가도비아 아피아
비아 포풀리아
비아 아우렐리아
비아 플라미니아
비아 살라리아
비아 에밀리아
비아 카실리나
비아 트라야나
비아 도미티아나
비아 클로디아
비아 포스티미아
비아 데키아
비아 율리아 아우구스타
비아 테르미나리아
거리 측정이정표 사용
로마 마일 (약 1,480 미터) 단위
건설 기술직선 경로 유지
배수 시설
다층 구조
유산
영향도로 건설 기술 발전
로마 제국 유지
유럽 교통망 발달
현대 도로로마 가도 기반으로 건설된 현대 도로 다수 존재
이미지
비아 아피아 안티카
비아 아피아 안티카
로마 도로 단면도
로마 도로 단면도
로마 도로망
로마 도로망

2. 어원

로마에서는 도로를 라틴어로 via|위아la(복수형: viae|위아이la)라고 하였다. 이 낱말은 영어 낱말 'way'(고대 영어로는 ''weg''), 'weigh'(고대 영어로는 "들어 올리다, 운반하다, 옮기다, 들다"라는 뜻)과 관련이 있다. 이들 낱말은 모두 인도유럽어로 "옮기다"를 뜻하는 *wegh-에서 나온 말이다.

3. 도로 체계

로마의 도로는 법률과 규정에 따라 체계적으로 건설되고 관리되었다. 기원전 450년경 제정된 십이표법은 도로의 최소 폭을 규정했는데, 직선 구간에서는 8 로마 피트(약 2.37m), 곡선 구간에서는 그 두 배로 정했다.[38][11] 이 법은 로마인들에게 도로를 건설할 의무를 부여했으며, 만약 도로가 파손되어 통행이 불가능할 경우 여행자가 임시로 사유지를 통과할 수 있는 권리도 명시했다.[38][11]

로마법은 도로 사용권을 'Servitus|세르위투스la'(용역)라는 개념으로 정의했다. 이는 크게 두 가지 권리로 나뉘었는데, 'ius eundila'("갈 수 있는 권리")는 사람이 걸어서 사유지를 통과할 수 있는 통행권을 의미했고, 'ius agendila'("몰 수 있는 권리")는 수레나 마차를 이용하여 지나갈 수 있는 주행권을 의미했다. 일반적으로 로마 도로(viala)는 이 두 가지 권리를 모두 포함했으며, 법적으로 정해진 기준 도로 폭(latitudo legitimala)은 8 로마 피트였다. 이러한 법률은 공공의 필요가 개인의 권리보다 우선시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로마 제국의 광대한 도로망은 제국 운영의 핵심 기반이었다. 안토니누스 도로 일람(Antonini Itinerarium) 또는 안토니누스의 여정기는 "제국 전체를 여러 길(''iter'')이 관통하고 있다"고 기록하며, 로마 관리가 파견되는 거의 모든 지역에 도로가 연결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39][9] 이 도로망은 브리타니아의 하드리아누스 장벽에서부터 라인 강, 다뉴브 강, 유프라테스 강 유역까지 뻗어 있었으며, 제국 내부의 속주들을 촘촘하게 연결했다.[39][9] 제국 경계 너머에는 포장도로가 없었지만, 보도나 흙길을 통한 교통은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9]

리비우스와 같은 역사가들은 로마 최초의 포장도로로 알려진 아피아 가도보다 더 이른 시기에 존재했던 로마 근교의 도로들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다. 이러한 초기 도로들은 포장되지 않은 평탄한 흙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39][9] 디오니시우스 할리카르나소스는 로마의 위대함이 무엇보다도 수도교, 포장 도로, 하수도 건설이라는 세 가지 업적에서 잘 드러난다고 평가했다.[8]

로마 도로는 그 기능과 관리 주체에 따라 크게 공공 도로(viae publicaela), 사설 도로(viae privataela), 그리고 지역 도로(viae vicinalesla) 등으로 구분되었다.[39][9] 각 도로 유형의 구체적인 특징과 관리 방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3. 1. 도로 유형

로마 도로는 단순한 통나무길에서부터, 배수를 위해 여러 층으로 기반을 다지고 돌로 포장한 정교한 도로까지 그 형태가 다양했다.[39] 로마법학자 울피아누스는 도로를 건설 및 유지 관리 주체, 그리고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했다.[39][9]

  • '''공공 도로'''(Viae publicae, consulares, praetoriae, militareslat): 국가가 공공 비용으로 국유지에 건설하고 유지하는 핵심 도로망이다. 주로 바다, 강, 다른 주요 도로로 연결되었으며, 건설 책임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는 경우가 많았다.[39]
  • '''사설 도로'''(Viae privatae, rusticae, glareae, agrariaelat): 개인이 자신의 토지에 건설한 도로를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 공공에 개방되기도 했다. 특정 토지나 취락으로 이어지는 역할을 했으며, 자갈길이나 흙길 형태도 포함되었다.[39]
  • '''지역 도로'''(Viae vicinaleslat): 마을이나 지방 내의 여러 취락(vicuslat)을 연결하는 도로이다. 공공 도로로 이어지기도 하고, 다른 지역 도로와 연결되기도 했다. 건설 주체에 따라 공공 도로 또는 사설 도로의 성격을 가질 수 있었다.[39]

3. 1. 1. 공공 도로 (Viae publicae, consulares, praetoriae, militares)

율피아누스(Ulpian)에 따르면, 로마 도로는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9] 그중 첫 번째 유형은 공공 도로(Viae publicae, consulares, praetoriaela 또는 militaresla)이다.

이는 국가가 공공 비용으로 국유지에 건설하고 유지 관리하는 주요 도로를 의미한다. 이 도로들은 바다, 도시, 주요 강(flumina perenniala) 또는 다른 공공 도로로 연결되었다.[9] 트라야누스 황제(재위 98년~117년) 시대의 저술가 시쿨루스 플락쿠스(Siculus Flaccus)는 이러한 도로를 "왕의 도로이자 공공 도로"(viae publicae regalesquela)라고 불렀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설명했다.[9]

  • 공공 도로는 행정관( curatoresla )의 감독 아래 건설되며, 도급자( redemptoresla )가 공공 자금으로 수리한다. 다만, 도로에 인접한 토지 소유주에게도 일정한 기여금이 부과되었다.[9]
  • 도로 이름은 보통 건설을 명령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예를 들어 아피아 가도, 카시아 가도, 플라미니아 가도 등이 있다.[9]


이스라엘 375번 지방도 인근에 있는 예루살렘에서 베이트 구브린으로 이어지는 고대 로마 도로
]로마 도로의 이름은 주로 건설 또는 재건을 지시한 로마 검열관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해당 인물이 나중에 집정관이 되더라도, 도로 이름은 검열관 임기 당시의 업적을 기준으로 했다. 만약 도로가 검열관 제도보다 오래되었거나 그 기원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목적지나 통과하는 주요 지역의 이름을 사용했다. 또한, 검열관이 도로를 포장, 재포장하거나 경로를 크게 변경하는 등 주요 공사를 지시했을 때 도로 이름이 바뀌기도 했다.[9] "왕의 도로"(viae regalesla)라는 용어는 페르시아 제국의 왕의 대로나 왕의 고속도로와 비교될 수 있으며, "군용 도로"(viae militariaela)는 영국의 이크닐드 길(Icknield Way)과 유사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9]

시간이 흐르면서 도로 건설과 같은 중요한 공공 사업에 검열관 외 다른 인물들의 이름이 붙는 경우도 생겼다.[9] 호민관이었던 가이우스 그라쿠스(기원전 123년~122년 재임)는 여러 공공 도로를 포장하거나 자갈을 깔았으며, 이정표와 기수용 발판(승마 디딤돌)을 설치하는 등 도로 정비에 힘썼다.[9] 기원전 50년 호민관이었던 가이우스 스크리보니우스 쿠리오는 인기를 얻기 위해 도로법( Lex Viariala )을 발의하여 자신을 5년 임기의 도로 최고 감독관으로 임명하려 했다.[9] 카시우스 디오는 제2차 삼두 정치(기원전 43년) 시기에 삼두정치 지도자들이 원로원 의원들에게 각자의 비용으로 공공 도로를 수리하도록 강요했다고 기록했다.[9]

3. 1. 2. 사설 도로 (Viae privatae, rusticae, glareae, agrariae)

울피아누스에 따르면 로마 도로는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그중 두 번째 범주가 사설 도로이다.[39] 이는 라틴어로 Viae privatae, rusticae, glareae, agrariae|la라고 불린다.

원래 사설 도로는 개인이 자신의 땅에 건설한 도로였으며, 건설자는 원한다면 이 도로를 공공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할 수도 있었다.[39] 이러한 도로는 특정 토지 소유주에게 이익이 되거나, 때로는 공공의 이익에도 기여했다. 사설 도로 중에는 공공 도로나 간선 도로에서 특정 토지나 취락으로 이어지는 길도 있었는데, 울피아누스는 이런 도로 역시 공공 도로의 성격을 가진다고 보았다.[39]

사설 도로에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시골 도로(viae rusticae|la)도 포함되었다.[39] 주요 도로나 보조 도로 모두 포장될 수도 있었지만, 북아프리카의 사례처럼 자갈만 깔린 비포장 상태인 경우도 있었다. 이렇게 자갈이 깔린 비포장 도로는 자갈 도로(viae glareae|la 또는 sternendae|la)라고 불렀다. 이보다 더 기본적인 형태로는 흙길(viae terrenae|la)이 있었다.[39]

3. 1. 3. 지역 도로 (Viae vicinales)

울피아누스는 로마의 도로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는데, 그중 하나가 지역 도로(Viae vicinaleslat)이다.[9][39] 이 도로는 마을이나 지방, 교차로에서 각 취락(vicuslat)으로 향하거나 그런 곳을 지나가는 도로였다.[39]

지역 도로는 공공 도로로 이어지거나, 때로는 공공 도로와 연결되지 않고 다른 지역 도로와 연결되기도 하였다.[39] 지역 도로는 처음에 건설 자금을 누가 지원했는지에 따라 공공 도로일 수도 있고 사설 도로일 수도 있었다. 하지만 개인이 건설한 도로라도 시간이 흘러 건설자에 대한 기억이 희미해지면 공공 도로로 간주되었다.[39]

시쿨루스 플라쿠스는 지역 도로에 대해 "각지를 이어주는 공공 도로이며, 다른 공공 도로와 연결되기도 한다"(de publicis quae divertunt in agros et saepe ad alteras publicas perveniuntlat)고 설명했다.[39] 이러한 도로의 수리는 해당 지역의 지방 정무관(magistri pagorumlat)이 책임졌다. 이들은 도로 주변 땅의 소유주들에게 수리에 필요한 노동력을 제공하도록 하거나, 재산 정도에 따라 특정 구간을 자신의 비용으로 수리하도록 요구할 수 있었다.[39]

4. 위치

안토니누스 도로 일람(Antonini Itinerarium)은 로마의 도로 체계가 제국 전역에 걸쳐 얼마나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는지 잘 보여준다.

하드리아누스 시대(재위 기원후 117~138년) 로마 제국의 도로망.


이처럼 로마 제국의 도로는 이탈리아 반도를 넘어 제국 영토 전반에 걸쳐 촘촘하게 건설되었다.[39] 지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로마의 영향력이 미치던 거의 모든 지역에 도로가 연결되어 있었으며, 이는 군사적 이동뿐 아니라 행정, 교역 등 제국 운영의 기반이 되었다. 다만, 공식적인 로마 도로는 제국의 국경 안쪽에 집중되었고, 국경 너머에는 포장되지 않은 보도나 흙길 형태의 교통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9] 로마 도로망의 구체적인 노선은 이탈리아 지역과 기타 지역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4. 1. 이탈리아 지역

리비우스는 로마 근처의 몇몇 초기 도로와 이정표에 대해 언급했는데, 최초의 포장도로는 아피아 가도이다.[39] 리비우스의 언급에 따르면, 가비 도로(Via Gabina)는 기원전 500년경, 라티움 도로(Via Latina)는 기원전 490년경, 노멘툼 도로(Via Nomentana)는 기원전 449년, 라비키 도로(Via Labicana)는 기원전 421년, 그리고 소금 도로(Via Salaria)는 기원전 361년에 이미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39]

이탈리아의 로마 도로 지도.


이탈리아 반도의 주요 로마 가도


이탈리아 반도를 중심으로 건설된 주요 로마 도로는 다음과 같다.

도로명건설 연도/시기주요 경로
아피아 가도 (Via Appia)기원전 312년로마카푸아베네벤토브린디시 (아풀리아)
아이밀리우스 도로 (Via Aemilia)기원전 187년리미니 (아리미눔) → 볼로냐모데나파르마피아첸차 (플라켄티아)
아우렐리우스 도로 (Via Aurelia)기원전 241년경로마피사제노바프랑스 (아를)
카시우스 도로 (Via Cassia)-로마시에나피렌체 (토스카나) → 루카
플라미니우스 도로 (Via Flaminia)기원전 220년로마나르니파노리미니 (아리미눔)
소금 도로 (Via Salaria)기원전 361년 이전로마리에티아스콜리피체노 → 포르토 다스콜리 (아드리아해)
라티움 도로 (Via Latina)기원전 490년경로마아나니프로시노네카푸아 (카실리눔, 아피아 가도와 합류)
클로디아 가도 (Via Clodia)-로마 → 브라치아노 → 토스카나 (카시아 가도와 시스템 형성)
포스투미아 가도 (Via Postumia)기원전 148년아퀼레이아베로나크레모나피아첸차제노바
율리아 아우구스타 가도 (Via Julia Augusta)기원전 8년피아첸차 (플라켄티아) → 토르토나 → 바도 리구레 → 제노바니스아를 (알레라테)
트라야나 가도 (Via Traiana)서기 109년베네벤토 → 카노사디풀리아 → 바리브린디시 (아피아 가도의 지선)
포필리아 가도 (Via Popilia)기원전 132년남부: 카푸아놀라살레르노 → 레조 칼라브리아 (레기움)
북부: 리미니 (아리미눔) → 라벤나아드리아파도바알티노 (베네토)
티부르티나 가도 (Via Tiburtina)-로마티볼리 (티부르) → 아베차노페스카라 (아테르눔)



이 외에도 이탈리아에는 다음과 같은 도로들이 건설되었다.


  • Via Aemilia in Hirpinis
  • 아에밀리아 스카우리 가도(기원전 109년)
  • 아퀼리아 가도: 아피아 가도에서 카푸아로 갈라져 히포니움(비보 발렌티아)의 바다까지 이어짐
  • 브릭시아 가도: 크레모나에서 브레시아까지
  • 카날리스 가도: 우디네, 게모나 및 발 카날레에서 카린티아의 빌라흐까지, 그리고 알프스 산맥을 넘어 잘츠부르크 또는 까지
  • 클라우디아 율리아 아우구스타 가도(기원전 13년)
  • 클라우디아 노바 가도(서기 47년)
  • 도미치아나 가도: 나폴리에서 포르미아까지의 해안 도로
  • 플라카 가도
  • 플라비아 가도: 트리에스테 (테르게스테)에서 달마티아까지
  • 게미나 가도: 아퀼레이아와 트리에스테를 거쳐 카르스트를 지나 마테리아, 오브로브, 리파, 클라나를 거쳐, 리예카 근처 트르삿 (테르사티카)까지 이어지며 달마티아 해안을 따라 계속됨
  • Via Herculia
  • 라비카나 가도: 로마에서 남동쪽으로 프라에네스티나 가도와 시스템을 형성
  • 오스티엔세 가도: 로마에서 오스티아까지
  • 프라에네스티나 가도: 로마에서 프라에네스테까지
  • 세베리아나 가도: 테라치나에서 오스티아까지
  • 티베리나 가도: 로마에서 오크리쿨룸까지
  • 트라야나 노바 가도 (이탈리아): 볼세나 호에서 카시아 가도까지. 고고학적으로만 알려짐
  • 발레리아 가도: 티부르에서 아테르눔까지
  • 발레리아 가도 (시칠리아): 메시나에서 시라쿠사까지

4. 2. 기타 지역



로마 제국의 도로는 이탈리아 반도를 넘어 유럽, 북아프리카, 중동 등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건설되었다. 제국의 팽창과 함께 도로는 속주의 주요 도시와 군사 기지를 연결하며 제국의 통치와 교역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주요 지역별 로마 도로는 다음과 같다.

'''아프리카'''

'''알바니아 / 북마케도니아 / 그리스 / 터키'''

  • 에그나티우스 도로(Via Egnatia): 기원전 146년에 건설되었으며, 아드리아 해의 디르라키움에서 테살로니키를 거쳐 비잔티움(현재 이스탄불)까지 연결되었다.


'''오스트리아 / 세르비아 / 불가리아 / 터키'''

도나우 강을 따라 이어진 로마 도로.

  • 군사 도로(Via Militaris): 비아 디아고날리스(Via Diagonalis) 또는 비아 싱기두눔(Via Singidunum)으로도 불렸으며, 중부 유럽과 비잔티움을 연결하는 중요한 도로였다.


'''불가리아 / 루마니아'''

  • 폰투스 도로(Via Pontica): 흑해 연안을 따라 이어진 도로이다.


'''키프로스'''

  • 비아 콜로수스(Via Colossus): 섬의 로마 수도였던 파포스와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항구인 살라미스를 연결했다.


'''프랑스 (갈리아)'''

프랑스에서는 로마 도로를 '부아 로맹'(voie romaine프랑스어)이라고 부른다.

  • 아그리파 도로(Via Agrippa): 여러 갈래로 나뉘어 갈리아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했다.
  • 아퀴타니아 가도(Via Aquitania): 나르본에서 시작하여 도미티아 가도와 연결되었고, 툴루즈보르도를 거쳐 대서양 연안까지 이어졌다.
  • 도미티아 가도(Via Domitia): 기원전 118년에 건설되었으며, 에서 피레네산맥까지 이어져 콜 드 파니사르(Col de Panissars)에서 아우구스투스 도로와 만났다.
  • 로마의 길(Voie romaine): 됭케르크에서 노르 데파르트망의 카셀까지 이어졌다.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독일, 벨기에, 네덜란드)'''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의 주요 로마 도로

  • 트리어에서 쾰른으로 이어지는 로마 도로
  • 비아 벨기카(Via Belgica): 불로뉴에서 쾰른까지 이어졌다.
  • 하부 게르마니쿠스 리메스: 라인강 국경을 따라 건설된 방어선과 도로망이다.
  • 하부 게르마니쿠스 리메스와 비아 벨기카 사이를 연결하는 도로들이 있었다.


'''중동'''

  • 마리스 가도(Via Maris): '해변길'이라는 뜻으로, 고대부터 이어진 주요 교역로를 로마 시대에 정비하여 사용했다.
  • 트라이아나 노바 가도(Via Traiana Nova): 트라야누스 황제 시기에 건설되었으며, 시리아아라비아 페트라이아 속주를 연결했다.
  • 페트라 로마 도로: 1세기경 요르단의 고대 도시 페트라에 건설된 도로이다.


'''루마니아 (다키아)'''

  • 철문 트라야누스 다리철문 도로: 트라야누스 황제의 다키아 정복 이후 건설되었다.
  • 트라야누스 도로(Via Traiana): 포롤리숨-나포카-포타이사-아풀룸을 잇는 도로이다.
  • 폰투스 도로(Via Pontica): 트로에스미스-피로보리다바-카푸트 스테나룸-아풀룸-파르티스쿰-루기오 등을 연결했다.


'''에스파냐와 포르투갈 (히스파니아)'''

히스파니아 또는 로마 이베리아의 로마 도로.

  • 에메리타-아스투리카 도로(Iter ab Emerita Asturicam): 세비야에서 히혼까지 이어졌다. 후에 은의 길(Vía de la Plata)로 불렸으며(이때 'Plata'는 스페인어로 '은'을 뜻하지만, 실제로는 아랍어 'balata'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됨), 산티아고의 길의 일부가 되었다. 현재의 A-66번 고속도로 노선과 유사하다.
  • 아우구스투스 도로(Via Augusta): 카디스에서 피레네산맥까지 이어졌으며, 라 혼케라 근처의 콜 드 파니사르에서 도미티아 가도와 만났다. 이 도로는 발렌시아, 타라고나(고대 타라코), 바르셀로나 등 주요 도시를 통과했다.
  • 황금의 길(Camiño de Oro): 오렌세 주의 주도인 오렌세에서 끝나며, 레볼레도 마을 근처를 지났다.
  • 비아 노바(Via Nova 또는 Via XVIII): 브라카라 아우구스타(현재 브라가)에서 아스투리카 아우구스타(현재 아스토르가)까지 이어졌다.


'''시리아'''

  • 안티오크와 칼키스를 잇는 도로가 있었다.
  • 디오클레티아누스 도로(Strata Diocletiana):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시기에 건설된 군사 도로로, 아라비쿠스 리메스(동방 국경 방어선)를 따라 팔미라다마스쿠스를 지나 아라비아 남쪽까지 이어졌다.


'''알프스산맥 횡단 도로'''

이탈리아와 현재의 독일, 스위스 등을 연결하는 도로들이 알프스산맥을 넘어 건설되었다.

250px

  • 클라우디우스 아우구스투스 도로(Via Claudia Augusta): 기원후 47년에 건설되었으며, 알티눔(현재 콰르토 달티노)에서 레셴 고개를 지나 아우크스부르크까지 이어졌다.
  • 나쁜 길(Via Mala): 밀라노에서 산 베르나르디노 고개를 거쳐 린다우로 이어졌다.
  • 데키우스 길(Via Decia)


'''피레네산맥 횡단 도로'''

히스파니아갈리아를 연결하는 도로들이 피레네산맥을 넘어 건설되었다.

  • 아스투리카-부르디갈라 도로(Ab Asturica Burdigalam)


'''터키 (소아시아)'''

터키 메르신 주 타르수스의 도시 구조 속 로마 도로

  • 터키 남부의 킬리키아 지역에 로마 도로들이 건설되었다.
  • 앙카라 주변에도 로마 도로망이 있었다.


'''영국 (브리타니아)'''



로마의 브리타니아 정복 이후 섬 전체에 걸쳐 도로망이 건설되었다.

  • 아케만 스트리트
  • 캠릿 웨이
  • 데어 스트리트
  • 어마인 스트리트
  • 펜 코즈웨이
  • 포스 웨이
  • 킹 스트리트
  • 런던-잉글랜드 서부 로마 도로
  • 페더스 웨이
  • 파이 로드
  • 실체스터에서 바스까지 이어지는 로마 도로
  • 스테인 스트리트(치체스터)
  • 스테인 스트리트(콜체스터)
  • 스테인게이트
  • 비아 데바나
  • 왓링 스트리트

5. 건설 및 공학

디오니시우스 할리카르나소스가 "로마 제국의 놀라운 위대함은 무엇보다도 세 가지, 즉 수도교, 포장 도로, 하수도 건설에서 드러납니다."[8]라고 평가했듯이, 로마의 도로는 제국의 강력한 기반 시설 중 하나였다. 고대 로마중세 동안 상당 부분 잊혔다가 근세에 이르러서야 다시 구현될 수 있었던 인상적인 기술적 성취를 이루었는데, 도로 건설 역시 그중 하나였다. 로마인들은 아치와 같은 기존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발전시켜 도로망 건설에 적용했다.

로마의 토목 기술자들은 도로 건설 시 가능한 한 직선 경로를 선호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공학 기술을 동원했다. 암석 노두나 구릉지는 절토를 통해 깎아내고, 계곡이나 낮은 지대는 성토를 통해 높이를 맞추었다. 예를 들어 다뉴브 강의 철문 협곡(Iron Gates)에서는 절벽을 깎아내고 일부 구간은 강 위에 나무 구조물을 덧대어 도로를 건설하기도 했다.[9] 또한, 강이나 깊은 계곡을 건너기 위해 견고한 다리(pontes)를 건설했는데, 특히 아치교 건설에 콘크리트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다리가 많을 정도로 뛰어난 기술력을 보여주었다.[20] 습지대에는 말뚝을 박고 그 위에 돌을 쌓아 제방도로를 만들거나, 통나무 도로(pontes longi)를 사용하기도 했다.[9] 이러한 도로들은 단순히 통행을 위한 길일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배수 구조를 갖추고 비, 얼음, 홍수 등 자연재해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을 중시하여 설계되었다.

로마 도로의 건설 및 유지보수 책임은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 초기에는 감찰관이 로마 시내 및 외곽 도로 건설 계약을 담당했으며, aedile들이 교통 관리 및 순찰을 보조했다.[9] 이후 로마 영토가 확장되면서 이탈리아 내에서는 로마군 사령관, 특별 위원, 지역 행정관 등에게 책임이 이관되었고, 속주에서는 총독이나 법무관이 도로 건설을 관리했다.[9]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기에는 quaestor들이 로마 거리 포장 책임을 맡기도 했으며,[9] 아우구스투스 이후 황제들은 공공 도로 상태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 베스파시아누스, 티투스, 도미티아누스, 트라야누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등 많은 황제의 이름이 도로 및 교량 복구 기념 비문에 기록되었다.[9] 안토니누스의 여정기와 같은 기록은 제국 전역에 뻗어 있던 촘촘한 도로망(viae)이 얼마나 체계적으로 관리되었는지를 보여준다.[9]

5. 1. 건설 방법

로마의 도로는 공공 도로인지 사유 도로인지, 사용된 자재와 건설 방법에 따라 구분되었다. 율피아누스는 도로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종류로 분류하였다.[9]

# '''비아 테레나 (Via terrena)''': 땅을 평평하게 다져 만든 단순한 흙길. 사람과 동물의 통행, 수레바퀴 자국 등으로 자연스럽게 형성되기도 했다.[16]

# '''비아 글라레아타 (Via glareata)''':[13] 자갈을 깐 흙길 또는 자갈 기반 위에 포장된 도로. 리비우스에 따르면, 로마 검열관들이 처음으로 로마 시내 거리를 부싯돌로 포장하고, 도시 외곽 도로에는 자갈을 깔았다고 한다.[15] 이러한 도로는 자갈로 표면을 다졌으며, 이후 돌 블록을 작은 돌 위에 놓는 포장 방식이 도입되었다.[16][17] 프라에네스티나 가도와 라티나 가도가 이 예시에 해당한다.[17]

# '''비아 무니타 (Via munita)''':[14] 잘 다듬어진 정규 포장도로. 현지 암석을 직사각형으로 자르거나 다각형의 화산암 블록을 사용하여 포장했다. 이시도루스 세빌리아누스는 로마인들이 이 기술을 카르타고인들에게서 배웠다고 기록했지만, 에트루리아로부터 일부 기법을 계승했을 가능성도 있다.[9]

이탈리아 아오스타 계곡(Valle d'Aosta)에 있는 갈리아 가도(Via delle Gallie)의 일부. 왼쪽의 가파른 암벽을 깎아내어 건설되었다.


정비된 도로(Via munita) 건설 과정에 대한 정보는 주로 잘 보존된 도로 유적, 비트루비우스의 기록, 그리고 스타티우스아피아 가도의 지선인 도미티아나 가도 수리에 대해 쓴 글 등에서 얻을 수 있다.[9] 건설 방법은 지역, 사용 가능한 자재, 지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기본적인 원칙은 동일했다.

먼저 토목 기술자(civil engineer)가 도로가 지나갈 경로를 정하면, 측량사(agrimensores)들이 그로마(groma)라는 측량 도구와 막대를 사용하여 도로 부지를 측량했다. 측량 보조자(gromatici)들은 막대를 세우고 '리골(rigor)'이라 불리는 선을 표시하며 직선 경로를 확보하려 노력했다. 때로는 멀리 떨어진 종착점에 불을 피워 측량사를 안내하기도 했다. 이후 평탄화 담당자(libratores)들이 쟁기을 이용해, 때로는 레기오네리의 도움을 받아 도로가 놓일 땅을 기반암이 나올 때까지 혹은 최대한 단단한 지반까지 파냈다. 이 파낸 도랑을 라틴어로 '포사(fossa)'라고 불렀으며, 깊이는 지형에 따라 달랐다.

폼페이 거리의 단면도. '''1''' 원래 지반; '''2''' 스타투멘(statumen); '''3''' 루두스(rudus); '''4''' 누클레우스(nucleus); '''5''' 도르숨(dorsum) 또는 아게르 비아이(agger viae, 도로 표면); '''6''' 크레피도(crepido), 마르고(margo) 또는 세미타(semita, 보도); '''7''' 움보네스(umbones) 또는 가장자리 돌


파낸 '포사'는 여러 겹의 재료로 채워졌다. 먼저 큰 돌과 돌무더기, 자갈 등 구할 수 있는 채움재를 바닥에 깔았다. 그 위에 모래층을 추가하기도 했다. 지표면에서 약 1m 아래까지 채워지면, 자갈을 깔고 단단하게 다져 평평한 표면, 즉 '파비멘툼(pavimentum)'을 만들었다. 이 파비멘툼을 그대로 도로 표면으로 사용하기도 했지만, 더 튼튼한 도로를 만들기 위해 추가적인 층을 쌓았다.

'스타투멘(statumen)'이라 불리는 평평한 돌로 이루어진 기초층을 석회 모르타르[18]나 시멘트로 고정하여 깔았다. 그 위에 거친 콘크리트인 '루두스(rudus)' 층을, 다시 그 위에 고운 콘크리트인 '누클레우스(nucleus)' 층을 깔았다. 마지막으로 '수마 크루스타(summa crusta)'라고 하는 다각형 또는 정사각형 모양의 포장 돌을 누클레우스 위나 안에 박아 넣었다. 이 포장층은 빗물이 잘 빠지도록 가운데가 약간 높고 양옆으로 경사지게 만들어졌으며, 도로 갓길로도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설계되었다.[33] 사투르누스 신전 옆 카피톨리누스 언덕의 초기 현무암 도로는 이러한 구조(석회화석 포장, 다각형 현무암 블록, 콘크리트 기반, 배수로)를 잘 보여준다.[19]

표준적인 로마 도로의 단면
A: 노반, B: 하층 기층(주먹 크기의 돌), C: 중층 기층(자갈, 부순 돌 등), D: 상층 기층(시멘트), E: 포장돌, F: 보도, G: 보도 경계석


표준적인 로마 가도의 너비는 두 대의 마차가 비켜갈 수 있는 4m의 차도 폭을 기준으로 했으며, 양쪽에는 폭 3m의 보도가 조성되었다.[33] 하지만 실제 너비는 약 1.1m에서 7m가 넘는 등 다양했다. 도로는 비, 얼음, 홍수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을 중시하여 건설되었으며, 수리가 최소화되도록 설계되었다. 오늘날 남아있는 도로 유적은 표면의 콘크리트가 마모되어 울퉁불퉁해 보이지만, 건설 당시에는 훨씬 평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로마인들은 가능한 한 직선 경로를 선호했다. 이로 인해 때로는 가파른 경사(평지 10~12%, 산지 15~20%)가 생기기도 했지만, 장애물을 우회하기보다는 공학적인 방법으로 극복하려 했다. 암석 지대는 깎아내고(절토), 계곡이나 낮은 지대는 흙을 쌓아(성토) 높이를 맞췄다. 다뉴브강의 철문 협곡(Iron Gates) 근처 카자네슈티(Căzănești)의 로마 도로 유적은 절벽을 약 1.5m에서 1.75m 가량 깎아내고, 강 위쪽으로는 나무 구조물을 덧대어 길을 만든 예시이다. 이 도로는 배가 강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도록 돕는 견인로 역할도 했다. 현재 이 구간은 물에 잠겼고, 세르비아의 트라야누스의 명판(Tabula Traiana)만이 남아있다.

세르비아 다뉴브 강변에 남아있는 트라야누스 황제 도로의 유적(트라야누스의 명판)


트라야누스 원주에 묘사된 로마 보조군 병사들이 다키아 전쟁(101-106) 중 부교를 건너는 모습. 다뉴브강으로 추정된다.


강이나 하천을 건너기 위해서는 다리(pontes)를 건설했다. 작은 개울은 돌판 하나로 건넜지만, 큰 강에는 나무나 돌, 또는 두 재료를 함께 사용하여 다리를 놓았다. 나무다리는 강바닥에 박은 말뚝이나 돌 기둥 위에 세웠고, 더 크고 영구적인 다리는 돌 아치교 형태로 건설했다. 특히 로마인들은 다리 건설에 콘크리트를 효과적으로 사용했으며, 이 덕분에 많은 로마 다리가 오늘날까지도 사용될 정도로 견고하게 만들어졌다.[20]

습지대 위에는 제방도로를 건설했다. 먼저 말뚝으로 경로를 표시한 다음, 그 사이에 많은 양의 돌을 쌓아 습지 위로 1.5m 이상 높이의 제방을 만들었다. 다만, 속주 지역에서는 돌 제방 대신 통나무 도로(pontes longi)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로마 가도에는 1로마 마일마다 원통형 돌기둥인 마일스톤을 세워 기점으로부터의 거리와 도로 건설 및 보수 책임자의 이름 등을 새겼다. 로마에서 시작되는 가도의 상징적인 0마일 지점은 포룸 로마눔에 위치한 황금 이정표(Milliarium Aureum)였다.[33]

6. 군사 및 민간 활용

라틴어 자막과 영어 자막이 있는 로마 도로 애니메이션


로마 도로의 역사는 기원전 312년 켄소르였던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이쿠스의 요청으로 건설된 아피아 가도(Via Appia)에서 시작된다. 이전에도 살라리아 가도(Via Salaria, "소금의 길") 등의 도로가 존재했지만, 군대의 신속한 이동을 목적으로 포장된 로마 도로는 아피아 가도가 처음이었다. 이후 건설된 로마 도로에는 도로를 건설한 켄소르나 속주 총독 등의 이름이 붙여지게 된다.

로마의 공공 도로 시스템은 그 목적과 정신에서 철저하게 군사적이었다.[9] 이는 이탈리아 본토 내외를 막론하고 로마인들의 정복 활동을 통합하고 강화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초기 로마 도로는 로마에서 이탈리아 반도의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데 그쳤으나, 영토가 넓어짐에 따라 로마 이외의 도시들을 연결하고, 최종적으로는 갈리아, 브리타니아, 이베리아 반도, 아프리카, 그리스 등 로마의 속주에도 건설되어 지중해 전역에 그물처럼 펼쳐졌다. 로마 군단은 이 도로를 통해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었다.

군사 목적으로 건설되었지만, 도로는 군사와 관계없는 제국 관리나 순례자 등 일반 시민도 이용[31]할 수 있었기 때문에 물류 이동과 인적 교류를 활발하게 하여 경제적인 면에서도 큰 영향을 미쳤다.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는 제국 전역에 우편 제도인 쿠르수스 푸블리쿠스(cursus publicus)[32]가 정비되었고, 도로를 따라 말 교환소("무타티오", mutatio)와 숙소("만시오", mansio) 같은 시설들이 마련되어 제국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왔다.

6. 1. 군사적 활용

로마의 공공 도로 시스템은 그 목적과 정신에서 철저하게 군사적이었다.[9] 이 도로는 이탈리아 본토 내외를 막론하고 로마인들의 정복 활동을 통합하고 강화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행군 중인 로마 군단은 도로를 이용했으며, 자체 수송대(impedimenta|임페디멘타la)를 데리고 다녔고, 매일 저녁 도로 옆에 자체 진영을 건설했다.

6. 2. 민간 활용

로마의 마차 (복원)


로마 도로는 본래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되었지만, 제국 내 물류 이동과 인적 교류를 활발하게 하여 경제 발전에도 크게 기여했다. 도로망을 통해 관리, 상인, 순례자, 일반 시민 등 다양한 사람들이 이동했다.[31]

도시 외곽 이동 시 로마인들은 다양한 종류의 탈것을 이용했다. 소가 끄는 수레 외에도 말이 끄는 여러 종류의 마차와 코치가 있었다. 말이 끄는 수레는 하루에 최대 40km에서 50km까지 이동할 수 있었던 반면,[22] 걸어서 여행하는 사람은 하루에 20km에서 25km 정도를 이동했다.

주요 탈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었다.

  • '''마차''': 1~2명 정도를 태우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 ''카루스''(carrus): 고대부터 내려온 표준 전차 형태로, 위쪽은 열려 있고 앞쪽은 닫혀 있었다. 말 두 마리가 끄는 것은 비가(biga), 세 마리는 트리가(triga), 네 마리는 콰드리가(quadriga)라고 불렸다.
  • ''카르펜툼''(carpentum): 천으로 된 아치형 덮개가 있는 고급 마차로, 주로 여성과 관리들이 이용했으며 노새가 끌었다.
  • ''키시움''(cisium): 위쪽과 앞쪽이 열린 가벼운 경마차 형태로, 한두 마리의 노새나 말이 끌었다. 오늘날의 택시처럼 이용되었으며, 운전사는 ''키시아니''(cisiani)라고 불렸다.

  • '''코치''': 여러 명을 태우기 위한 네 바퀴 탈것이었다.
  • ''라에다''(raeda 또는 reda): 높은 측면이 상자 형태를 이루고 내부에 좌석이 배치된 주력 코치였다. 여러 명의 승객과 함께 최대 328kg의 짐을 실을 수 있었으며, 소, 말, 노새 등이 끌었다. 날씨에 따라 천 지붕을 덮을 수 있었다. 대여용 마차인 ''Raedae meritoriae''와 정부용 마차인 ''fiscalis raeda''도 있었다.

  • '''수레''': 주로 화물 운송에 사용되었다.
  • ''플라우스트룸''(plaustrum 또는 plostrum): 바퀴와 십자목에 판자를 얹은 단순한 구조였다. 바퀴는 단단한 원반 형태였고, 짐을 싣기 위해 측면에 판자나 난간을 덧대기도 했다. 두 바퀴 형태와 네 바퀴 형태(''plaustrum maius'')가 있었다.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 정비된 공공 우편 제도인 쿠르수스 푸블리쿠스(cursus publicus)는 로마 도로망을 이용하여 주로 관리들의 우편물을 중계 방식으로 운송했다.[32] 우편물은 상자를 실은 ''키시움''으로 운반되었으나, 긴급한 경우에는 말을 탄 기수가 더 빨랐다. 말 중계 시스템 덕분에 우편 배달부는 하루 평균 80km를 이동할 수 있었다.[25] 우편 배달부는 특유의 가죽 모자인 ''페타수스''(petasus)를 썼으며, 산적이나 로마의 적들에게 표적이 되기 쉬운 위험한 직업이었다. 일반 시민들은 이 공공 우편 시스템을 이용하기 어려웠고, 부유한 사람들은 ''타벨라리이''(tabellarii)라고 불리는 사설 노예 조직을 통해 유료로 서신을 주고받았다.

도로를 따라 여행자들을 위한 편의 시설도 마련되었다. 약 10로마 마일마다 말을 교체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교환소인 "무타티오"(mutatio)가 있었고, 4~5개의 무타티오마다 숙박이 가능한 큰 규모의 시설인 "만시오"(mansio)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국영 시설은 제국 관리나 특별한 증명서(디플로마)를 소지한 사람만이 이용할 수 있었으며, 일반 여행객들은 민간 여관이나 작은 식당을 이용해야 했다.[31] 이처럼 로마 도로는 제국의 효율적인 통치와 경제 활동의 기반이었지만, 시설 이용에는 신분에 따른 차이가 존재했다.

6. 3. 도로 시설

마일석(miliarium)은 도로의 거리를 표시하는 중요한 시설이었다. 기원전 250년 이전 아피아 가도에 이미 번호가 매겨진 마일 단위로 설치되었으며, 기원전 124년 이후 대부분의 로마 도로(viaela)에도 설치되었다. 현대의 "마일"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milia passuumla''("1000보")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로마식 5피트 기준으로 약 1476m에 해당한다.

마일석(miliariumla)은 단단한 직사각형 기단 위에 세워진 원형 기둥 형태로, 땅속 약 0.61m 이상 깊이로 묻혔고 높이는 약 1.52m, 지름은 약 50.80cm, 무게는 2톤이 넘었다. 기단에는 해당 도로를 기준으로 한 마일 수가 새겨졌고, 눈높이의 패널에는 로마 포럼까지의 거리, 도로 건설 및 수리 책임자와 시기 등 다양한 정보가 기록되었다. 이 마일석들은 중요한 역사 자료로, 비문은 ''라틴 비문집''(Corpus Inscriptionum Latinarum) 17권에 수록되어 있다. 마일석 덕분에 여행자들은 거리와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로마 포럼에 있는 밀리아리움 아우레움('''')의 유적


기원전 20년,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로마 도로의 기준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 사투르누스 신전 근처에 밀리아리움 아우레움(''Miliarium Aureumla'', "황금 마일석")을 세웠다. 금박을 입힌 청동 기념물로, 모든 도로가 이곳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제국 내 주요 도시들과 그곳까지의 거리가 새겨져 있었다. 훗날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이를 움빌리쿠스 로마에(''Umbilicus Romaela'', "로마의 배꼽")라 불렀고, 콘스탄티노플에도 유사한 밀리온(Milion)을 건설했다.

정부 관리나 공무 여행자들을 위해 약 25km에서 30km 간격으로 숙박 시설인 만시오(mansio, '머무는 곳'이라는 뜻)가 설치되었다. 이용자는 신분 확인을 위한 여권이 필요했으며, 만시오는 완벽한 빌라(villa) 수준의 시설을 제공했다. 만시오 주변에는 종종 상설 군영이나 마을이 형성되기도 했다.

영국 스태퍼드셔주 월의 레토세툼(Letocetum)에 있는 만시오(mansio) 유적


말이나 마차를 교체하고 수리할 수 있는 시설로는 무타티오(mutatio, '교대소'라는 뜻)가 있었다. 이는 약 20km에서 30km 간격으로 위치했으며, 여행자들은 이곳에서 바퀴 수리공, 마차 수리공, 수의사(equarii medici)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티베리우스 황제는 이 중계소들을 이용하여 24시간 만에 296km를 이동하기도 했다.[23][24]

일반 여행객들은 만시오 근처에 세워진 사설 숙박 시설 및 식당인 카우포나(caupona)를 이용했다. 카우포나는 만시오와 비슷한 기능을 했지만, 도둑이나 매춘부들이 자주 드나들어 평판이 좋지 않은 경우도 많았다. 일부 카우포나 유적의 벽에는 당시의 낙서가 남아있다.

초기 로마 도로 시대에는 공식적인 숙박 시설이 부족하여 도로변의 집들이 여행객에게 환대를 제공할 법적 의무가 있었다. 자주 이용되던 집들은 점차 타베르나에(tabernae)라는 숙박 시설로 발전했는데, 이는 현대적인 여관보다는 호스텔에 가까웠다. 로마가 발전하면서 타베르나에도 점차 고급화되었고, 좋은 평판이나 나쁜 평판을 얻기도 했다. 예를 들어 아피아 가도의 시누에사에 있던 타베르나에 카에디키아에(Tabernae Caediciae)는 와인, 치즈, 햄 등을 보관하는 큰 창고를 갖추고 있었다. 오늘날 라인란트의 라인자베른(Rheinzabern)이나 알자스의 사베른(Saverne)과 같은 일부 도시들은 이러한 타베르나에 단지를 중심으로 성장했다.

참조

[1] 서적 Studies in ancient technology, Volume 2 https://books.google[...] Brill
[2] 서적 The American Highway: The History and Culture of Roads in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3] 서적 The Roman World Warwick Press
[4] 서적 Cyclopedia of American Horticulture, Comprising Suggestions for Cultivation of Horticultural Plants, Descriptions of the Species of Fruits, Vegetables, Flowers, and Ornamental Plants Sold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Together with Geographical and Biographical Sketches https://books.google[...] The Macmillan Co
[5] 서적 The Romans in 100 Facts Amberley Publishing 2015
[6] 서적 The Great Armies of Antiquity https://books.google[...] Praeger
[7] 서적 History of Rome Charles Scribner
[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 the Classic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10] 서적 Oxford Archaeological Guides: England
[11] 서적 The roads of Roman Italy: mobility and cultural change https://archive.org/[...] Routledge
[12] 문서 Subordinate officers under the aediles, whose duty it was to look after those streets of Rome which were outside the city walls.
[13] 문서 also, glarea strata
[14] 문서 also lapide quadrato strata or sílice strata
[15] 서적 Roman Africa; An Outline of the History of the Roman Occupation of North Africa, Based Chiefly Upon Inscriptions and Monumental Remains in That Country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
[16] 서적 Professional Papers of the Corps of Royal Engineers: Royal Engineer Institute, Occasional Papers https://books.google[...] Royal Engineer Institute
[17] 웹사이트 Ancient Roman Street re-emerges close to Colleferro http://www.thinkarch[...] 2007-10-10
[18] 서적 The Ancient Engineers Random House
[19] 서적 The Remains of Ancient Rome https://books.google[...] A. and C. Black
[20] 웹사이트 De Ferranti - Glossary - Roman bridge https://deferranti.c[...] 2022-09-23
[21] 간행물 The Itinerarium Burdigalense: politics and salvation in the geography of Constantine's Empire
[22] 서적 Travel in the Ancient World
[23] 웹사이트 Naturalis Historia http://la.wikisource[...]
[24] 서적 The General History of the Highways https://books.google[...]
[25] 간행물 New Evidence for the Speed of the Roman Imperial Post
[26] 웹사이트 The Archaeological Site of Histria http://archweb.cimec[...]
[27] 웹사이트 RRRA Home http://www.romanroad[...] Romanroads.org 2022-03-18
[28] 웹사이트 自動車前史 http://www.erca.go.j[...] 独立行政法人環境再生保全機構
[29] 웹사이트 コンクリートの有無による世界の歴史の変化 http://www.shinko-we[...]
[30] 웹사이트 奇跡の地球物語 http://www.tv-asahi.[...] テレビ朝日
[31] 서적 古代ローマ帝国1万5000キロの旅
[32] 웹사이트 クルスス・プブリクス cursus publicus https://kotobank.jp/[...]
[33] 서적 古代ローマ帝国1万5000キロの旅
[34] 서적 A Critical History of Early Rome: From Prehistory to the First Punic War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5] 서적 The American Highway: The History and Culture of Roads in the United States http://books.google.[...] McFarland
[36] 서적 The Great Armies of Antiquity http://books.google.[...] Praeger 2002
[37] 서적 History of Rome Charles Scribner 1978
[38] 서적 Cyclopedia of American Horticulture http://books.google.[...] The Macmillan Co 1900
[39] 문서 Smith (1890) 1890
[40] 서적 Road Making and Maintenance http://books.google.[...] C. Griffin and Company, Limited 1900
[41] 문서 현재 로마제국 영향 아래에 있던 국가의 주요도로나 철도망으로 재포장해서 사용된다.
[42] 웹사이트 The Archaeological Site of Histria http://archweb.cimec[...] 2005-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