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에스카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에스카도는 스페인 북동부에 위치한 주로, 면적은 15,626km²이며 2018년 기준 인구는 약 219,345명이다. 피레네 산맥의 일부를 포함하는 산악 지형이 대부분이며, 아네토 산과 오르데사 이 몬테 페르디도 국립 공원 등 자연 경관이 뛰어나 등산, 스키 등 관광지로 유명하다. 아라곤 왕국의 발상지이며, 아라곤어와 카탈루냐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현재 10개의 코마르카와 202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우에스카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스페인 내 우에스카 주 위치
스페인 내 우에스카 주 위치
마르보레 호수
마르보레 호수와 몬테 페르디도, 실린드로 데 마르보레
기본 정보
유형
행정
국가스페인
자치 공동체아라곤 주
주도우에스카
면적
총 면적15626 km²
면적 순위6위
스페인 면적 비율3.10%
인구
총 인구219,345 명
인구 조사 년도2018년
인구 순위43위
인구 밀도auto
주민오스켄세
언어
사용 언어스페인어, 아라곤어, 카탈루냐어
기타 정보

2. 지리

우에스카도는 아라곤 지방 북동부에 위치하며, 면적은 15626km2이다.[2] 2018년 기준 총 인구는 219,345명으로[2], 주도인 우에스카에 인구의 약 4분의 1이 거주한다. 인구 밀도는 14.62명/km²로 낮은 편이며, 이 덕분에 풍부한 계곡과 강, 높은 산맥 등 자연환경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동쪽으로는 례이다 주, 남쪽으로는 사라고사 주, 서쪽으로는 나바라 지방과 접하며, 북쪽으로는 피레네산맥을 경계로 프랑스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지형은 크게 북부의 산악 지대와 남부의 평야 지대로 나뉜다. 북부 산악 지대는 피레네산맥의 일부로, 피레네산맥에서 가장 높은 산인 아네토산과 오르데사 이 몬테 페르디도 국립공원 등이 위치하여 수려한 자연 경관을 자랑한다. 이 지역은 가축 방목이 주로 이루어지며, 등산, 스키 등 다양한 산악 레저 활동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남부 평야 지대에서는 관개 농업이 발달하여 올리브, 사탕무, 포도주 등이 생산된다.[13]

아라곤 왕국의 발상지이기도 한 우에스카도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피레네 산맥의 일부 계곡에서는 아라곤어가 사용되며, 동부 지역에서는 카탈루냐어 사용 지역도 존재한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일부인 "아라곤의 길"이 이곳을 통과한다. 페르디도 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2. 1. 산악 지대

"모르라노의 알" 또는 "페냐 팔코네라" 바위 지형 ().


우에스카도는 면적이 15626km2에 달하며, 대부분이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2] 낮은 인구 밀도(14.62명/km²) 덕분에 우에스카의 풍부한 계곡, 강, 그리고 높은 산맥들은 비교적 개발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북부의 산악 지대에서는 주로 가축 방목이 이루어진다.[13]

이 지역은 장엄한 자연 경관으로 유명하다. 피레네산맥에서 가장 높은 산인 아네토산과 몬테 페르디도와 같은 만년설산이 이곳에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오르데사 이 몬테 페르디도 국립공원은 풍부한 동식물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지정된 페르디도 산을 포함하고 있어 중요한 자연 보호 구역으로 관리되고 있다.

이러한 자연환경 덕분에 우에스카는 등산객, 동굴 탐험가, 패러글라이더, 급류 래프팅 애호가들에게 인기 있는 목적지이다. 또한 겨울 스포츠를 즐기기 위한 유명 스키 리조트들도 다수 운영되고 있다.

주요 스키 리조트
리조트 이름
칸단추
포르미갈
아스툰
판티코사
세를레르



우에스카도의 산악 지대에는 '이본(Ibón)'이라 불리는 다수의 빙하호가 존재한다.

주요 이본 (빙하호)
호수 이름
바치마냐 알토 이본
에스칼라르 이본
에스타네스 이본
테바라이 이본



아라곤 왕국의 발상지이기도 한 이곳의 피레네 산맥 계곡 지역에서는 아라곤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일부인 "아라곤의 길"이 이 지역을 통과한다.

2. 2. 평야 지대

우에스카주의 남부에 위치한 평야 지대는 올리브, 사탕무, 포도주 생산을 비롯한 관개 농업이 주를 이룬다.[13]

2. 3. 기후

(작성할 내용 없음)

3. 역사

로마인들은 우에스카 지역을 식민화하여 히스파니아 타라코네시스 속주의 북쪽을 형성했고, 5세기 서고트족이 도래할 때까지 이곳에 거주했다.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진 변경 지역이었기에 통치가 쉽지 않았다.

중세 초기에는 한때 나바라 왕국에 속하기도 했으나, 이후 분리되어 프랑크인들과 동맹을 맺었다. 이를 통해 초기 무어인의 침략을 막아내고 프랑크 왕국의 봉건 변경백령이 되었다. 이러한 북부 변경백들의 독립성과 주권은 아라곤 왕국의 탄생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아라곤 연합왕국을 거쳐 궁극적으로 스페인 왕국의 전신이 되었다.

1833년 스페인 지방 행정 구역 개편으로 스페인 전역에 49개의 주가 설치될 때 우에스카 주도 공식적으로 설치되었으며, 주도는 우에스카로 정해졌다. 당시 우에스카 주는 다른 두 주(사라고사, 테루엘)와 함께 '역사적 지역'인 아라곤 지역으로 묶였으나, 이 '역사적 지역'에는 별도의 권한이나 행정 기관이 존재하지는 않았다.

1939년부터 1975년까지 이어진 프랑코 독재 체제 이후, 스페인 민주화 이행기를 거치면서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 사이에 스페인 전역에 17개의 자치주가 설치되었다. 1982년 8월 16일에는 우에스카 주를 포함한 3개 주(우에스카, 사라고사, 테루엘)로 구성된 아라곤 자치주가 발족했다.

4. 행정 구역

우에스카도는 10개의 코마르카(comarcaes)와 202개의 무니시피오(municipioes, 기초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는 6개의 사법 관할구로 나뉜다.

4. 1. 코마르카

현재 우에스카주는 10개의 코마르카와 202개의 지방자치단체로 구성된다.

코마르카중심 도시
알토 가예고사비냐니고
바호 신카프라가
신카 메디오몬손
오야 데 우에스카우에스카
하세타니아하카
라 리테라타마리테 데 리테라
모네그로스사리녜나
리바고르사그라우스, 과거 베나바레
소브라르베아인사, 볼타냐
소모타노 데 바르바스크로바르바스트로



다음 코마르카들은 우에스카주에 중심 도시를 두고 있지만, 사라고사주의 지방자치단체를 일부 포함하고 있다:


  • 바호 신카: 메키넨사
  • 오야 데 우에스카: 무리요데가예고, 산타에울랄리아데가예고
  • 하세타니아: 아르티에다, 미아노스, 살바티에라데에스카, 시궤스
  • 모네그로스: 라알몬다, 부하랄로스, 파를레테, 레시녜나, 모네그릴로, 페르디게라

4. 2. 주요 도시

(2011년)1우에스카52,443오야 데 우에스카2몬손17,215신카 메디오3바르바스트로17,085소몬타노 데 바르바스트로4프라가14,426바호 신카5하카13,299하세타니아6사비냐니고10,345알토 가예고7비네파르9,482라 리테라8사리녜나4,402모네그로스9타마리테 데 리테라3,711라 리테라10그라우스3,697리바고르사


4. 3. 사법 관할구

주는 6개의 사법 관할구로 나뉜다.[4]

우에스카 주의 사법 관할구 및 소속 자치체
사법 관할구중심 자치체소속 자치체
바르바스트로 사법 관할구[5]바르바스트로아비에고, 아다우에스카, 알케사르, 아렌, 아사라, 아솔, 바르바스트로, 발부냐레스, 베나바레, 비엘제, 보난사, 카페야, 카스티갈레우, 카스티예스롤로, 콜리고, 엘 그라도, 그라우스, 오스 이 코스테안, 이사베나, 라스셀라스=폰사노, 라스쿠알레, 라스파울레스, 모네스마 이 카히갈, 몬타누이, 나발, 오르베나, 페랄티야, 페랄루아, 포산 데 베로, 라 푸에블라 데 카스트로, 푸엔테 데 몬타냐나, 살라스 알타스, 살라스 바하스, 산타 마리아 데 두르시스, 산타리에스트라 이 산 키레스, 세카스티야, 소페이라, 토르바, 토레 라 리베라, 베라크루스, 비아캄프 이 리테라
볼타냐 사법 관할구[6]볼타냐아비산다, 아이사=소브랄베, 발카보, 베나스케, 비엘사, 비사우리, 볼타냐, 브로트, 캄포, 카스테혼 데 소스, 치아, 판로, 피스칼, 폴다다 델 토스카르, 라 푸에바, 히스타인, 라벨다, 라스푸냐, 팔로, 플란, 푸에르토라스, 엘 푸에지요 데 아라구아스, 사운, 산 후안 데 플란, 세이라, 세세, 테야=신, 토르라, 바예 데 발다히, 바예 데 리에르프, 비야노바
프라가 사법 관할구[7]프라가알바라테 데 신카, 알코레아 데 신카, 바요바르, 베르베르 데 신카, 칸다스노스, 차라멜라, 에스풀스, 프라가, 온티녜나, 오소 데 신카, 페냐르바, 토렌테 데 신카, 발파르타, 베리야 데 신카, 벤시존, 사이딘
우에스카 사법 관할구[8]우에스카알바라티요, 알베로 알토, 알베로 바호, 알베루엘라 데 투보, 알칼라 데 그레아, 알칼라 델 오비스포, 아르비에레, 아레레, 알무데바르, 알무니엔테, 앙구에스, 안티혼, 알가비에소, 아르기스, 아옐베, 바나스타스, 발부에스, 비스카레스, 브레쿠아 이 토레스, 카푸데사소, 카스바스 데 우에스카, 카스테혼 데 모네그로스, 카스테르플로리테, 치미야스, 그라녠, 그레아 데 가예고, 우에르토, 우에스카, 이비에카, 이글리에스, 라르에사, 라나하, 로아레, 로포르사노, 로스콜라레스, 루피녠=오르티야, 몬플로리테=라스카사스, 노바레스, 누에노, 페랄타 데 알코페아, 페르투사, 피라세스, 포레니노, 키세나, 로브레스, 살리야스, 상갈렌, 살리녠, 세나, 세네스 데 아르비에레, 세사, 시에타모, 라 소토네라, 타르디엔타, 티에르스, 트랄바 데 아라곤, 토레스 데 아르카나드레, 토레스 데 발부에스, 트라마세드, 비시엔, 비야누에바 데 시헤나
하카 사법 관할구[9]하카아구에로, 아이사, 안소, 아라구에스 델 푸에르토, 바이로, 비에스카스, 보라우, 칼데아레나스, 카날 데 베르둔, 캄프란, 카스티예요 데 하카, 파고, 오스 데 하카, 하카, 하사, 판티코사, 라스 페냐스 데 리그로스, 푸엔테 라 레이나 데 하카, 사비냐니고, 사젠토 데 가예고, 산타 실리아, 산타 크루스 데 세로스, 바예 데 에초, 비야누아, 제브라 데 바사, 제세로
몬손 사법 관할구[10]몬손알베르다, 알칸페르, 알판테가, 알무니아 데 산 후안, 알트리콘, 아사누이=알린스, 바에르스, 발데조우, 베르베갈, 비나세드, 비네파르, 캄포렐스, 카스테혼 델 푸엔테, 카스티혼로이, 에스타다, 에스타디야, 에스토피냔 델 카스티요, 폰스, 이르체, 라르엔가, 라페르디게라, 몬손, 페랄타 데 카라산스, 푸에지요 데 산타 크루스, 산 에스테반 데 리테라, 산 미겔 델 신카, 타마리테 데 리테라


5. 인구

우에스카도의 역사적 인구 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

우에스카도의 연도별 인구 변화
연도인구
1877256,425
1887260,585
1900255,100
1910264,984
1920265,603
1930257,777
1940247,135
1950237,681
1960234,014
1970221,761
1980214,907
1990207,810
2000206,502
2010225,962
2020222,687


6. 언어

스페인어가 이 주의 주요 언어이다. 그러나 우에스카주 중부와 북부 지역에서는 지역 언어인 아라곤어가 사용되는데, 이는 종종 '''파블라'''(fabla|파블라arg)라고 불린다. 아라곤어는 현재 코마르카 중 최북단 지역, 예를 들어 하세타니아의 아라곤 강 계곡, 알토 가예고, 소브라르베, 그리고 리바고르사 등지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 지역들은 내륙에 위치하고 고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21세기까지도 아라곤어가 비교적 잘 보존될 수 있었다.

한편, 우에스카주 동쪽 끝 지역에서는 카탈루냐어의 변종이 사용된다. 이 지역의 리바고르산 방언은 아라곤어와 카탈루냐어의 특징이 섞여 있어 명확히 어느 한쪽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과도기적 특징을 보인다.

참조

[1] 웹사이트 Nombre oficial de la ciudad según la ley de creación de la comarca de ''Hoya de Huesca/Plana de Uesca'' - (BOA 27/2002, 26 de noviembre) http://benasque.arag[...] 2011-06-11
[2] 웹사이트 Aragon https://ec.europa.eu[...] 2018-03-17
[3] 웹사이트 Población, superficie y densidad por CCAA y provincias y población, superficie y densidad. http://www.ine.es/ja[...] INE(スペイン国立統計局) 2011-12-30
[4] 웹사이트 Partidos judiciales de la provincia de Huesc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1-12-30
[5] 웹사이트 Barbastro, partido judicial nº1 de Huesc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1-12-30
[6] 웹사이트 Boltaña, partido judicial nº2 de Huesc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1-12-30
[7] 웹사이트 Fraga, partido judicial nº3 de Huesc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1-12-30
[8] 웹사이트 Huesca, partido judicial nº4 de Huesc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1-12-30
[9] 웹사이트 Jaca, partido judicial nº5 de Huesc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1-12-30
[10] 웹사이트 Monzón, partido judicial nº6 de Huesca http://www.cgpe.es/p[...] Consejo General de los Procuradores de España 2011-12-30
[11] 웹인용 Nombre oficial de la ciudad según la ley de creación de la comarca de ''Hoya de Huesca/Plana de Uesca'' - (BOA 27/2002, 26 de noviembre) http://benasque.arag[...] 2019-07-20
[12] 웹인용 Aragon https://ec.europa.eu[...] 2018-03-17
[13] Encyclopaedia 우에스카 http://premium.bri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