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원쥔은 1919년 상하이에서 태어나 2017년 사망한 중국의 수학자이다. 대수적 위상수학, 수학사, 자동 정리 증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대수적 위상수학 분야에서 우 클래스와 우 공식을 발견하여 이름을 남겼다. 또한, 중국 수학사 연구를 통해 중국 수학의 독자성을 강조하고, 수학의 기계화 분야에서 우의 방법을 개발하여 인공지능 연구에도 기여했다. 그는 중국 과학원 원사, TWAS 회원, 국가 최고 과학기술상 등을 수상했으며, 중국 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저장 대학 교수 - 리정다오
리정다오는 양전닝과 함께 약한 상호작용에서의 패리티 비보존을 예측하여 1957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중국계 미국인 물리학자로서, 입자 물리학에 혁명적 변화를 가져왔고 통계 역학, 천체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며 중국 과학 교육 발전에도 기여했다. - 저장 대학 교수 - 장치윈
장치윈은 중화민국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국립 난징 고등 사범학교 졸업 후 여러 대학교 교수와 학장을 역임하고 대만으로 이주하여 중국 국민당 요직과 교육부 장관, 원자력 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지냈으며 원동 대학을 설립했다. - 상하이 자오퉁 대학 동문 - 장쩌민
장쩌민은 1989년부터 2002년까지 중국 공산당 총서기를 역임하고 1993년 국가주석에 취임하여 13년간 중국 최고 지도자로 집권하면서 사회주의 시장경제로의 이행과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빈부격차, 부정부패, 환경오염 등의 문제와 파룬궁 탄압 논란도 있었다. - 상하이 자오퉁 대학 동문 - 김학철 (1916년)
김학철은 1916년 함경남도 원산 출생으로, 항일 투쟁에 참여한 독립운동가이자 작가이며, 중국과 북한에서 활동하다가 중국으로 망명하여 문학 활동을 펼쳤다. - 중국과학원 원사 - 양전닝
양전닝은 중국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며, 리정다오와 함께 약한 상호작용에서의 패리티 비보존 이론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양-밀스 이론을 개발했으며, 2016년 미국 국적을 포기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취득했다. - 중국과학원 원사 - 첸쉐썬
첸쉐썬은 중국 미사일 및 우주 프로그램의 아버지로 불리는 과학자이자 엔지니어로, 미국에서 추방 후 중국으로 귀국하여 미사일 및 위성 개발을 주도하며 중국의 국방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나, 톈안먼 사건 지지, 유사과학 옹호 등 논란도 있다.
우원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吳文俊 (우원쥔) |
로마자 표기 | Wu Wenjun (우 원쥔) |
인물 정보 | |
출생 | 1919년 5월 12일 |
출생지 | 상하이, 중국 |
사망 | 2017년 5월 7일 |
사망지 | 베이징, 중화인민공화국 |
국적 | 중화인민공화국 |
직업 | 수학자 |
소속 정당 | 중국공산당 |
학력 | |
모교 | 상하이 자오퉁 대학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
박사 지도교수 | 샤를 에레스만 |
경력 | |
주요 경력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상무위원 (1978년 12월 ~ 1998년 2월) |
수상 | |
주요 수상 | 소상 수학상 (2006년) 최고 과학기술상 (2000년) |
2. 생애
우원쥔은 1919년 5월 12일 중국 상하이에서 태어나 2017년 5월 7일 97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상하이 자오퉁 대학 수학과를 1940년에 졸업하고 1947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교로 유학했다. 1951년 베이징 대학 교수로 임용된 후 중국에서 수많은 과학적, 수학적 업적을 남겼다.
2. 1. 출생과 학업
우원쥔은 1919년 5월 12일 중국 상하이에서 태어났다.[5] 저장성 자산현이 고향이다.[5]1936년 상하이 자오퉁 대학 수학과에 입학하여 1940년에 졸업했다. 졸업 후 1945년까지 위잉 중학교, 페이전 중학교, 난양 모범 여자 중학교, 항저우 대학교(나중에 저장대학교로 통합)에서 교원으로 일했다. 1946년에는 상하이 임시 대학에서 정태박 교수의 조수로, 같은 해 8월에는 중앙연구원 수학연구소 조연구원으로 부임했다.
1947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교로 유학을 떠나 1949년 샤를 에르스만의 지도 아래 ''Sur les classes caractéristiques des structures fibrées sphériques''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5] 이후 파리에서 르네 토름과 함께 연구하며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우 클래스와 우 공식을 발견했다.
1951년 베이징 대학 교수로 임명되었다.[5] 마르셀 베르제에 따르면, 우원쥔은 1949년 장제스가 중국 본토에서 쫓겨난 후 서방에서 활동하던 중국 학자들을 소환하는 물결의 일원이었을 수 있으며, 어느 날 프랑스에서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고 사라졌다고 한다.[1]
2. 2. 귀국과 교수 임용
1951년에 베이징 대학 교수로 임명되었다.[5] 마르셀 베르제의 증언에 따르면, 우원쥔은 1949년 장제스가 중국 본토에서 쫓겨난 후 서방에서 활동하던 중국 학자들을 소환하는 물결의 일원이었을 수 있으며, 어느 날 프랑스에서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고 사라졌다고 한다.[1] 1952년 10월, 중국과학원 수학연구소의 연구원으로 전임되었다. 1979년에는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2. 3. 말년
1979년에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1980년 중국과학원 계통과학연구소로, 1998년에는 수학·계통과학연구원으로 전입했다.[1]1985년 중국수학회 이사장에 취임했다. 1992년 중국과학원 수리(數理)학부 주임, 2002년 국제수학자대회 주석으로 선출되었다.[1] 2017년 5월 7일 97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였다.[1]
3. 업적 및 수상
우원쥔은 1957년 중국 과학원 학자로 선출되었고, 1990년에는 (TWAS) 학자로도 선출되었다. 1986년에는 버클리에서 열린 ICM의 초청 연사로 활동했다.[2]
위안룽핑과 함께 2000년 장쩌민 국가주석으로부터 국가 최고 과학기술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중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과학기술상으로 이때부터 시상되기 시작했다. 1990년 TWAS상[3], 2006년 쇼상도 받았다. 중국 수학회의 회장을 역임했으며, 2017년 5월 7일에 98세 생일을 5일 앞두고 사망했다.[4] 국가 영예 칭호 인민 과학자 부분에서 수상했다.
우원쥔은 대수적 위상수학, 대수기하학, 수학사, 자동 정리 증명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특히 중국 수학사 분야에서 고대부터 진나라 말기까지를 다룬 10권의 그랜드 시리즈의 주요 집필자로 활동했다.
3. 1. 주요 연구 분야
우원쥔의 연구 분야는 대수적 위상수학, 대수기하학, 게임 이론, 수학사, 자동 정리 증명 등이다.[5]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우(Wu)류와 우(Wu) 공식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자동 정리 증명 분야에서는 우의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초기 인공지능 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5]우원쥔은 중국 수학사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고대부터 진나라 후기까지를 다룬 10권짜리 《중국 수학 총서》의 편집장을 맡았다.
1970년대 우원쥔은 고대 중국 수학을 연구하여, 그리스에서 유래한 공리적 수학과 달리, 중국의 전통 수학은 매우 체계적이고 실용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5] 서양 기하학이 논리적 접근을 중시하는 반면, 고대 중국 수학은 밭을 나누고 식량을 계산하는 등 행정의 실용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확하고 단순한 문제 해결을 강조했다.[5]
우원쥔은 이진법이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에게 귀속되었지만, 이는 중국 학자들이 수세기 동안 연구해 온 체계적인 추론 이해를 모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5] 라이프니츠는 중국 선교사들과 광범위하게 서신을 주고받았다.[5]
3. 2. 수학사 연구와 중국 전통 수학
우원쥔은 1970년대 후반 중국 고대수학의 전통을 계승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중국 고대 전통의 수학과 계산기의 원리에서 영감을 얻은 우원쥔은 독창적인 기하정리의 기계화 증명을 연구함으로써 기계정리 증명을 보였다. 우원쥔의 수학기계화 방법은 세계적으로 '''우방법'''으로 불린다. 특히 이상기하학과 수학기계화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5]그는 또한 중국 수학사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고대부터 진나라 후기까지의 시기를 다룬 10권짜리 《중국 수학 총서》의 편집장을 맡았다.
1970년대에 우원쥔은 고대 중국 수학을 연구하여, 전통적인 중국의 학문적 방법이 그리스에서 유래한 공리적 수학과는 다르다는 결론을 내렸다.[5] 우원쥔의 견해에 따르면, 중국 수학은 매우 체계적이고 실용적이었으며, 이는 서양 기하학의 핵심인 논리적 접근 방식과는 대조적이었다.[5] 고대 중국 수학은 정리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밭을 나누고 식량을 계산하는 것과 같은 행정의 실용적인 과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에서 파생된 정확하고 단순한 문제 해결을 강조했다.[5]
우원쥔은 이진법이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에게 귀속되었지만, 이는 중국 학자들이 수세기 동안 연구해 온 체계적인 추론 이해를 모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5] 라이프니츠는 중국의 선교사들과 광범위하게 서신을 주고받았다.[5]
3. 3. 수상 내역
연도 | 수상 내역 |
---|---|
1956년 | 국가자연과학상 1등상[2] |
1957년 | 중국 과학원 원사[2] |
1979년 | 중국과학원 자연과학 1등상 |
1990년 | TWAS 수학상[3] |
1993년 | 천자겅 수리과학상 |
1994년 | 홍콩 구시 과학기술기금회 杰出 과학자상 |
2000년 | 국가 최고 과학기술상[4] |
2006년 | 사우이푸 수학상[4] |
기타 | 국가 영예 칭호 인민 과학자 부분 수상 |
4. 유산
상하이 자오퉁 대학에서는 우원쥔의 이름을 따서 자오퉁 대학 우원쥔 인공지능 명예박사반을 운영하고 있다. 2016년에는 우원쥔의 이름을 딴 우원쥔 AI과학기술상이 28개 항목에 수여되었다.
5. 가족
- 아버지: 우궈푸
6. Publications
- 우원쥔, 《합리 호모토피 타입: I*-측정 이론을 통한 구성적 연구》
- 우원쥔 & 쳉민더, 《21세기 중국 수학》
- 우원쥔, 《유클리드 공간 내 다면체의 매립, 침수 및 아이소토피 이론》
- 우원쥔, 《기하학에서의 기계적 정리 증명》
- 우원쥔; 조르주 레브, 《섬유 공간과 엽층 다양체에 관하여》
- 《우원쥔 선집》
- 우원쥔, 《수학의 기계화: 기계적 기하학 정리 증명, 기계적 기하학 문제 해결 및 다항식 방정식 해결》
- 우원쥔 및 후궈딩, 편집, 《컴퓨터 수학》
참조
[1]
서적
Systolic geometry and topology
https://books.googl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
서적
"In:" Selected Works Of Wen-Tsun Wu
World Scientific
[3]
웹사이트
Prizes and Awards
http://twas.org/oppo[...]
The World Academy of Sciences
2016
[4]
웹사이트
首届国家最高科技奖得主、著名数学家吴文俊逝世,享年98岁
https://www.thepaper[...]
2017-05-07
[5]
서적
The Idea of China: Chinese Thinkers on Power, Progress, and People
https://ecfr.eu/publ[...]
Europea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24-07-02
[6]
뉴스
2000年度国家最高科学技術賞獲賞人——呉文俊
https://new.qq.com/o[...]
2021-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