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셀 베르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셀 베르제는 20세기 후반의 리만 기하학 분야에 기여한 프랑스의 수학자이다. 그는 고등사범학교와 파리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하고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니스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또한 프랑스 고등과학연구소(IHÉS)의 소장을 역임했으며, 프랑스 수학회 회장을 지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홀로노미 군, 닫힌 측지선, 시스톨 기하학 등이며, '리만 기하학의 파노라마적 시각'과 같은 저서를 출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하학자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이자 수학자로, 수학적이고 기하학적인 구성과 심리 표현이 특징이며, 《참십자가의 역사》, 《그리스도의 세례》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수학적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하학자 - 라울 보트
    라울 보트는 1923년 헝가리에서 태어나 전기 공학을 전공하고 수학자로서 모스 이론을 활용하여 보트 주기성 정리를 증명했으며, K-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베블런상, 스틸상, 울프상을 수상했다.
  • 미분기하학자 - 존 포브스 내시
    미국의 수학자 존 포브스 내시는 게임 이론의 내시 균형 개념을 제시하고 미분기하학과 편미분 방정식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며 조현병을 극복하고 노벨 경제학상과 아벨상을 수상한 인물로, 그의 삶은 영화 《뷰티풀 마인드》로 알려졌다.
  • 미분기하학자 - 그리고리 페렐만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은 푸앵카레 추측과 기하화 추측을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필즈상과 밀레니엄 문제 상금을 거부하며 은둔 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프랑스의 수학자 - 블레즈 파스칼
    블레즈 파스칼은 1623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수학, 물리학, 철학, 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확률론, 유체역학 연구, 철학적 사상 등을 통해 과학 혁명에 기여했다.
  • 프랑스의 수학자 - 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로 유명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로, 근대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해석기하학 창시 등 수학과 과학에도 기여했고, 방법적 회의와 이원론 철학으로 서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르셀 베르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8년 마르셀 베르제 (MFO 촬영)
1968년 마르셀 베르제 (MFO 촬영)
본명Marcel Yves Marie Joseph Berger 마르셀 이브 마리 조제프 베르제
출생일1927년 4월 14일
출생지파리, 프랑스
사망일2016년 10월 15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국적프랑스
분야수학
근무지스트라스부르 대학교
니스 소피아 앙티폴리스 대학교
파리 제7대학교
IHÉS
모교고등사범학교 (파리)
파리 대학교
학위 논문 제목리만 다양체 및 비틀림 없는 아핀 다양체의 홀로노미 그룹에 대하여
학위 논문 URLhttps://dx.doi.org/10.24033/bsmf.1464
학위 논문 발표 연도1954년
박사 지도 교수앙드레 리히네로비츠
박사 제자장피에르 부르기뇽
이브 콜랭 드 베르디에르
실베스트르 갈로
도미니크 훌랭
프랑수아 라부리
피에르 팡수
알려진 업적베르제-카즈단 비교 정리
베르제 분류
베르제 구
아인슈타인 다양체에 대한 베르제 부등식
수상르콩트상 (1978년)
웹사이트마르셀 베르제 개인 웹사이트

2. 생애 및 학문적 경력

마르셀 베르제는 고등사범학교파리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이후 여러 대학에서 교수직을 역임했다.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니스 대학교, 파리 제7대학교 등에서 가르쳤고,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방문 교수로 활동했다. 1985년부터 1993년까지는 IHÉS의 소장을 지내며 미하일 그로모프의 영입에 기여했다.[1][2]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48년부터 1951년까지 파리에 있는 고등사범학교에서 공부하였으며, 이후 1954년 파리 대학교에서 앙드레 리슈네로비츠의 지도를 받아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

2. 2. 교수 경력

1954년 파리 대학교에서 앙드레 리슈네로비츠의 지도를 받아 박사 학위를 받은 후,[1] 베르제는 본격적인 교수 경력을 시작했다. 1958년부터 1964년까지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서 가르쳤으며, 이 기간 동안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방문 교수를 지내기도 했다. 이후 1964년부터 1966년까지 니스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1966년에는 파리 제7대학교로 자리를 옮겼다.

2. 3. IHÉS 소장 재직

마르셀 베르제는 1985년부터 1993년까지 IHÉS의 소장으로 재직했다. 그는 미하일 그로모프가 파리 대학교와 IHÉS 양쪽에서 자리를 잡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

3. 주요 연구 분야 및 업적

마르셀 베르제는 20세기 후반 미분기하학리만 기하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긴 수학자이다. 그의 연구는 현대 기하학의 여러 분야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베르제의 가장 중요한 기여 중 하나는 리만 다양체의 홀로노미 군에 대한 연구이다. 그는 가능한 홀로노미 군을 분류하는 '베르제 분류 정리'를 통해, 리만 다양체의 국소적 기하 구조가 가질 수 있는 대칭성의 종류가 매우 제한적임을 밝혔다. 이 연구는 이후 특수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진 다양체 연구의 기초를 마련했다. (''자세한 내용은 #홀로노미 군 연구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또한 베르제는 미하일 레오니도비치 그로모프의 연구에 영향을 받아 시스톨 기하학 분야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시스톨 개념과 그 응용을 소개하고 해설하는 데 기여했다. (''자세한 내용은 #시스톨 기하학 연구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이 외에도 베르제는 비콤팩트 대칭 공간, 양(+)의 곡률을 가진 균질 리만 다양체, 리만 다양체의 스펙트럼 등 다양한 주제에 걸쳐 중요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베르제는 연구 활동 외에도 다수의 영향력 있는 교과서를 저술하여 후학 양성에 크게 기여했다. 그의 저서들은 미분기하학, 리만 기하학[5][6], 그리고 일반 기하학 분야에서 표준적인 참고 문헌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의 저술들은 명료하고 깊이 있는 설명으로 정평이 나 있으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 기하학 연구자들에게 읽히고 있다.

3. 1. 홀로노미 군 연구

마르셀 베르제는 미분기하학 분야에서 홀로노미 군에 대한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1955년에 발표한 논문 "Sur les groupes d'holonomie homogènes des variétés à connexion affine et des variétés riemanniennes|아핀 접속을 가진 다양체와 리만 다양체의 균질 홀로노미 군에 관하여프랑스어"은 이 분야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이 논문에서 베르제는 아핀 접속을 가진 다양체와 리만 다양체의 가능한 균질 홀로노미 군을 분류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베르제 분류 정리'로 알려져 있으며, 리만 다양체의 홀로노미 군이 될 수 있는 리 군들의 목록을 제시한다. 이 정리에 따르면, 일반적인 리만 다양체의 홀로노미 군은 매우 제한된 종류만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SO(n) 전체이거나, 켈러 다양체의 경우 U(n), 하이퍼켈러 다양체의 경우 Sp(n),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경우 SU(n), G₂ 다양체의 경우 G₂, Spin(7) 다양체의 경우 Spin(7) 등 특별한 기하학적 구조와 관련된 군들만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혔다.

베르제의 홀로노미 군 분류는 이후 리만 기하학 및 이론물리학 등 관련 분야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특수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진 다양체들을 탐구하고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기초를 제공하며, 현대 기하학 연구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3. 2. 닫힌 측지선 연구

아서 베세(Arthur L. Besse)가 저술하여 1978년 슈프링어에서 출판한 '모든 측지선이 닫힌 다양체'(Manifolds all of whose geodesics are closed)는 이 주제에 대한 대표적인 저서 중 하나이다.

3. 3. 시스톨 기하학 연구

마르셀 베르제는 시스톨 기하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수학자이다. 그는 특히 미하일 레오니도비치 그로모프가 정립한 시스톨 개념과 그 응용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1993년, 베르제는 부르바키 세미나에서 "Systoles et applications selon Gromov|그로모프에 따른 시스톨 및 응용프랑스어"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하며 그로모프의 연구 결과를 해설하고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발표 내용은 리만 다양체에서 가장 짧은 닫힌 측지선의 길이를 연구하는 시스톨 기하학 분야에서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베르제는 2008년 미국 수학회 공지(AMS Notices)에 "What is... a systole?|시스톨이란 무엇인가?영어"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하여 시스톨의 개념을 보다 넓은 수학계에 소개하는 데 기여했다.

3. 4. 기타 연구 업적

베르제는 홀로노미 군 분류 외에도 미분기하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비콤팩트 대칭 공간에 대한 연구 와 리만 다양체의 스펙트럼에 관한 연구 는 그의 주요 업적 중 하나로 꼽힌다.

그는 또한 아핀 접속을 가진 다양체와 리만 다양체의 균질 홀로노미 군, 양(+)의 곡률을 가진 단일 연결 정규 균질 리만 다양체, 그로모프의 연구와 관련된 시스톨 기하학 및 그 응용 등 폭넓은 주제를 다루었다.

이 외에도 베르제는 미분기하학, 리만 기하학[5][6], 그리고 일반적인 기하학 에 대한 다수의 교과서와 저술을 남겨 후학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의 저서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고 있다.

4. 수상 경력

wikitext

연도상 이름수여 기관
1956년페코상콜레주 드 프랑스
1962년모리스 오댕상
1969년카리에상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1978년르콩트상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1979년가스통 쥘리아상
1991년레스터 R. 포드상 [8]


5. 주요 저서


  • Sur les groupes d'holonomie homogène des variétés à connexion affine et des variétés riemanniennesfra (아핀 접속을 가진 다양체와 리만 다양체의 균질 홀로노미 군에 관하여). Bull. Soc. Math. France 83 (1955), 279–330.
  • Les espaces symétriques noncompactsfra (비콤팩트 대칭 공간). Ann. Sci. École Norm. Sup. (3) 74 (1957), 85–177.
  • Les variétés riemanniennes homogènes normales simplement connexes à courbure strictement positivefra (곡률이 엄밀히 양수인 단일 연결 정규 균질 리만 다양체). Ann. Scuola Norm. Sup. Pisa (3) 15 (1961), 179–246.
  • Berger, Marcel; Gauduchon, Paul; Mazet, Edmond: Le spectre d'une variété riemanniennefra (리만 다양체의 스펙트럼).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Vol. 194. Springer-Verlag, Berlin-New York, 1971.
  • Berger, Marcel: Geometry I. M. Cole과 S. Levy 번역 (프랑스어 원본). Universitext. Springer-Verlag, Berlin, 1987. xiv+428 pp. ISBN 3-540-11658-3. (1994년 수정 재판: xiv+427 pp. ISBN 3-540-11658-3; 2009년 재판: ISBN 978-3-540-11658-5)
  • Berger, Marcel: Geometry II. M. Cole과 S. Levy 번역 (프랑스어 원본). Universitext. Springer-Verlag, Berlin, 1987. (2009년 재판: ISBN 978-3-540-17015-0)
  • Berger, Marcel; Gostiaux, Bernard: Differential geometry: manifolds, curves, and surfaces (미분 기하학: 다양체, 곡선 및 곡면). Silvio Levy 번역 (프랑스어 원본).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115. Springer-Verlag, New York, 1988. xii+474 pp. ISBN 978-0-387-96626-7.
  • Berger, Marcel: Systoles et applications selon Gromovfra (그로모프에 따른 시스톨 및 응용). Séminaire Bourbaki, Vol. 1992/93. Astérisque No. 216 (1993), Exp. No. 771, 5, 279–310.
  • Berger, Marcel: Encounter with a Geometer, Part I. Notices of the AMS 47 (2) (Feb 2000), 183–194. [https://www.ams.org/notices/200002/fea-berger.pdf 전문]
  • Berger, Marcel: Encounter with a Geometer, Part II. Notices of the AMS 47 (3) (Mar 2000), 326–340. [https://www.ams.org/notices/200003/fea-berger.pdf 전문]
  • Berger, Marcel: [https://books.google.com/books?id=mz-GkuFS9FgC Riemannian geometry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20세기 후반의 리만 기하학). University Lecture Series, 17.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Providence, RI, 2000. x+182 pp. ISBN 0-8218-2052-4. (1998년 원본 재판)
  • Berger, Marcel: [https://books.google.com/books?id=d_SsagQckaQC A Panoramic View of Riemannian Geometry] (리만 기하학의 파노라마적 시각). Springer-Verlag, 2003. xxiv+824 pp. ISBN 3-540-65317-1.[9][10]
  • Berger, M.: What is... a Systole? (시스톨이란 무엇인가?). Notices of the AMS 55 (3) (2008), 374–376. [https://www.ams.org/notices/200803/tx080300374p.pdf 전문]
  • Berger, M.: [https://books.google.com/books?id=pN0iAVavPR8C Geometry revealed] (기하학 드러내기). Springer, Heidelberg, 2010. ISBN 978-3-540-70996-1.

참조

[1] MathGenealogy
[2] 웹사이트 Décès de Marcel Berger | Société Mathématique de France http://smf.emath.fr/[...] 2016-10-19
[3] 웹사이트 Anciens Présidents | Société Mathématique de France http://smf.emath.fr/[...] 2016-10-23
[4] 학술지 Convexity http://www.maa.org/p[...]
[5] 학술지 Review of A Panoramic View of Riemannian Geometry 2005-01-01
[6] 학술지 Review of A Panoramic View of Riemannian Geometry 2005-01-01
[7] 웹인용 Décès de Marcel Berger | Société Mathématique de France http://smf.emath.fr/[...] 2016-10-19
[8] 저널 Convexity http://www.maa.org/p[...] 2018-01-24
[9] 저널 Review of A Panoramic View of Riemannian Geometry 2005-01-01
[10] 저널 Review of A Panoramic View of Riemannian Geometry 200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