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주 검열 가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주 검열 가설은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에서 발생하는 특이점 중 외부 관측이 가능한 "노출 특이점"의 존재를 금지하는 가설이다. 1969년 로저 펜로즈가 처음 제창했으며, 약한 우주 검열 가설과 강한 우주 검열 가설로 나뉜다. 약한 가설은 미래의 무한대에서 볼 수 있는 특이점의 부재를, 강한 가설은 일반 상대성 이론이 결정론적이어야 함을 주장한다. 이 가설은 아직 증명되지 않았으며, 반례와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설 - 효율적 시장 가설
    효율적 시장 가설은 자산 가격이 이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반영하며, 시장 참여자들이 초과 수익을 얻기 어렵다는 이론으로, 시장 효율성은 정보 반영 정도에 따라 약형, 준강형, 강형으로 분류된다.
  • 가설 - 왕조교체설
    왕조교체설은 일본 역사학자들이 《고사기》와 《일본서기》 분석을 통해 일본 왕실 계보에 왕조 교체가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학설로, 미즈노 유의 주장을 기반으로 여러 학자들의 논쟁을 거치며 일본 고대사 연구에 영향을 미쳤으나 증거 부족 비판도 있다.
  • 블랙홀 - 초대질량 블랙홀
    초대질량 블랙홀은 10만 태양 질량 이상으로 은하 중심에 위치하며 활동은하핵과 퀘이사의 에너지원으로 여겨지는 천체로, 사건 지평선 망원경을 통해 이미지가 최초로 포착되었고 형성 과정과 질량 한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블랙홀 - 중력붕괴
    중력 붕괴는 천문학에서는 항성이, 지질학에서는 산체나 사면 등이 자신의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붕괴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 일반 상대성이론 - 양자 중력
    양자 중력은 양자역학과 일반 상대성이론을 통합하여 중력이 강한 극한 조건에서 발생하는 이론적 모순을 해결하려는 시도로, 재규격화 불능성과 시공간 배경 의존성 차이 등의 난제 해결을 위해 끈 이론, 루프 양자 중력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이 연구되고 있으며,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데이터 등을 이용한 실험적 검증이 시도되고 있다.
  • 일반 상대성이론 - 중력 특이점
    중력 특이점은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시공간이 정의되지 않고 물리량이 무한대로 발산하는 지점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론에 따라 존재가 부정되거나 사건 지평선 뒤에 숨겨져 있다고 여겨지기도 하고 블랙홀의 엔트로피와 관련된 호킹 복사 이론과도 관련된다.
우주 검열 가설
일반 정보
분야물리학, 우주론
유형가설
상태미해결 문제
내용
내용특이점이 블랙홀의 사건 지평면으로 가려져 외부에서는 관측할 수 없다는 가설
추가 설명강한 우주 검열 가설과 약한 우주 검열 가설로 나뉨
관련 정보
관련 개념특이점 정리, 블랙홀
관련 이론일반 상대성 이론

2. 정의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석에 따르면 특이점 정리에 의해 일반적으로 특이점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특이점의 대부분은 사건의 지평선에 둘러싸여있기 때문에 외부세계와 고립되어 물리법칙을 적용시키는데 있어 문제가 없다. 그러나 사건의 지평선에 둘러싸이지 않은 특이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이것을 노출 특이점이라고 한다.[1]

노출 특이점이 자연계에 존재하면 특이점보다 과거의 사건은 물리적으로 예측 불가능하게 되어버린다. 그래서 노출 특이점을 마치 누군가가 검열하여 금지하는 것처럼 어떤 물리 법칙으로 금지되고 있다는 가설을 세우기에 이르렀다.[1]

1969년 로저 펜로즈가 제창한 시점에서 우주 검열 가설에 대한 명확한 설명으로 주어진 것은 없었다. 오히려 명확한 설명이 될 무언가를 찾는 것이 연구 목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1]


  • 약한 우주 검열 가설(weak cosmic censorship hypothesis)은 우주에는 빅뱅이 일어날 당시의 특이점이 아닌 노출 특이점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설이다.
  • 강한 우주 검열 가설(strong cosmic censorship hypothesis)은 시공간에 존재하는 특이점은 모두 사건의 지평선에 숨겨져있다는 가설이다.

3. 우주 검열 가설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석에 따르면 특이점 정리에 의해 일반적으로 특이점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특이점의 대부분은 사건의 지평선에 둘러싸여있기 때문에 외부세계와 고립되어 물리법칙을 적용하는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사건의 지평선에 둘러싸이지 않은 특이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것을 노출 특이점이라고 한다.

노출 특이점이 자연계에 존재하면 특이점보다 과거의 사건은 물리적으로 예측 불가능하게 되어버린다. 그래서 노출 특이점을 마치 누군가가 검열하여 금지하는 것처럼 어떤 물리 법칙으로 금지되고 있다는 가설을 세우기에 이르렀다.

로저 펜로즈는 1969년에 우주 검열 가설을 처음으로 공식화했다.


1969년 로저 펜로즈가 제창한 시점에서 우주 검열 가설에 대한 명확한 설명으로 주어진 것은 없었다. 오히려 명확한 설명이 될 무언가를 찾는 것이 연구 목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2][3]

특이점의 물리적 거동이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만약 특이점을 시공간의 나머지 부분에서 관찰할 수 있다면, 인과율이 붕괴될 수 있으며, 물리학은 예측 능력을 잃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펜로즈-호킹 특이점 정리에 따르면, 물리적으로 합당한 상황에서 특이점의 발생은 불가피하기 때문에 피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출 특이점이 없는 경우, 일반 상대성 이론에 의해 묘사되는 우주는 결정론적이다.[1] 즉, 어떤 특정 시점(더 정확하게는, 공간적 3차원 초곡면인 코시 곡면의 모든 곳)에서 우주의 상태만 알면 우주의 전체적인 진화를 예측할 수 있다(특이점의 사건 지평선 안에 숨겨진 유한한 공간 영역을 제외하고). 우주 검열 가설의 실패는 결정론의 실패로 이어진다. 특이점의 인과적 미래에서 시공간의 거동을 예측하는 것이 아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우주 검열은 단순히 형식적인 관심사 문제가 아니다. 어떠한 형태의 우주 검열은 블랙홀의 사건 지평선이 언급될 때마다 가정된다.

3. 1. 약한 우주 검열 가설 (Weak Cosmic Censorship Hypothesis)

우주에는 빅뱅의 초기 특이점 이외의 노출 특이점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설이다. 특이점은 블랙홀사건 지평선에 의해 무한대에 있는 관찰자로부터 숨겨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수학적으로, 일반적인 초기 데이터의 경우, 인과 구조가 최대 코시 전개가 완전한 미래 널 무한대를 갖도록 한다는 것을 명시한다.[4]

3. 2. 강한 우주 검열 가설 (Strong Cosmic Censorship Hypothesis)

강한 우주 검열 가설은 시공간에 존재하는 모든 특이점이 사건의 지평선에 숨겨져 있다는 가설이다. 이 가설은 일반 상대성 이론이 고전 역학과 같이 결정론적인 이론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모든 관찰자의 고전적인 운명은 초기 데이터로부터 예측 가능해야 한다. 수학적으로, 일반적인 콤팩트 또는 점근적으로 평평한 초기 데이터의 최대 코시 전개가 일반적인 로렌츠 다양체로서 국소적으로 확장 불가능하다고 명시한다.[4]

우주 검열 가설을 인정하면, 털없음 정리에 따라 자연계에 존재하는 안정된 상태의 블랙홀 계량은 커-뉴먼 계량으로 한정된다.

4. 우주 검열 가설의 의의 및 한계

우주 검열 가설은 아직 증명되지 않은 가설이다. 이 가설이 참이라면 털없음 정리에 의해 자연계에 존재하는 안정된 상태의 블랙홀은 커-뉴먼 계량으로 한정된다.[1] 특이점은 물리적으로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만약 특이점을 시공간의 나머지 부분에서 볼 수 있다면 인과율이 무너지고 물리학은 예측 능력을 잃을 수 있다. 페로즈-호킹 특이점 정리에 따르면, 물리적으로 합당한 상황에서 특이점은 반드시 발생하기 때문에 이 문제는 피할 수 없다. 그러나 나체 특이점이 없다면 일반 상대성 이론으로 설명되는 우주는 결정론적이다.[1] 즉, 어떤 특정 시점(공간적 3차원 초곡면인 코시 곡면)에서 우주의 상태만 알면 특이점의 사건 지평선 안에 숨겨진 유한한 공간 영역을 제외하고 우주의 전체적인 진화를 예측할 수 있다. 우주 검열 가설이 실패하면 결정론도 실패한다. 특이점의 인과적 미래에서 시공간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우주 검열은 단순한 형식적인 관심사가 아니며, 블랙홀사건의 지평선이 언급될 때마다 어떤 형태로든 가정된다.

이 가설은 1969년 로저 펜로즈에 의해 처음 공식화되었지만,[2] 완전한 형식적인 방식으로 표현되지는 않았다. 어떤 의미에서는 일종의 연구 프로그램 제안과 같으며, 연구의 일부는 물리적으로 합리적이고, 반증 가능성이 있으며, 흥미로울 정도로 충분히 일반적인 적절한 형식적 진술을 찾는 것이다.[3] 이 진술은 엄격하게 형식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최소한) 두 가지 독립적인 형태, 즉 약한 형태와 강한 형태가 존재할 수 있다.

케르 계량은 질량 M과 각운동량 J를 가진 블랙홀에 해당하며, 적도(회전에 의해 정의됨)에 국한된 입자 궤도에 대한 유효 퍼텐셜을 유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퍼텐셜은 다음과 같다:[5]

:V_{\rm{eff}}(r,e,\ell)=-\frac{M}{r}+\frac{\ell^2-a^2(e^2-1)}{2r^2}-\frac{M(\ell-a e)^2}{r^3},~~~

a\equiv \frac{J}{M}

여기서 r은 좌표 반경이고, e\ell은 검사 입자의 보존된 에너지와 각운동량이다( 킬링 벡터로부터 구성됨).

''우주 검열''을 유지하기 위해 블랙홀은 a < 1의 경우로 제한된다. 특이점 주변에 사건의 지평선이 존재하려면 a < 1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5] 이는 블랙홀의 각운동량이 임계 값 미만으로 제한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그 이상에서는 지평선이 사라진다.

4. 1. 문제점

우주 검열 가설을 형식화하는 데는 여러 어려움이 따른다.

  • 특이점 개념을 적절하게 형식화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렵다.[6]
  • 물리적으로 합당하지 않은 노출 특이점을 포함하는 시공간을 구성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예를 들어, "초 극단"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해는 사건의 지평선으로 둘러싸이지 않은 특이점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황을 배제하기 위한 가설이 필요하다.[6]
  • 중력 붕괴의 단순화된 모델에서 코시가 특이점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는 일반 상대성 이론과는 관련이 없다.[6]
  • 중력 붕괴의 컴퓨터 모델은 특정 상황에서 노출 특이점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지만, 이는 특수한 상황에 의존한다.[6]


1991년, 존 프레스킬과 킵 손스티븐 호킹의 가설이 틀렸다고 주장하며 내기를 걸었다. 호킹은 1997년, 특수한 상황을 "기술적인 문제"로 규정하고 내기에서 졌다. 이후 호킹은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를 배제하도록 내기를 수정했다. 수정된 내기는 아직 진행 중이다.[6]

5. 반례 및 논쟁

1985년 마크 D. 로버츠는 스칼라-아인슈타인 방정식(R_{ab}=2\phi_a\phi_b)의 해를 통해 우주 검열 가설의 반례를 제시했다.[7]

:ds^2=-(1+2\sigma)\,dv^2+2\,dv\,dr+r(r-2\sigma v)\left(d\theta^2 + \sin^2 \theta \,d\phi^2\right),\quad \varphi = \frac{1}{2} \ln\left(1 - \frac{2\sigma v}{r}\right),

:여기서 \sigma는 상수이다.

2016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5차원 우주의 점근적으로 평탄한 시공간에서도 노출 특이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8][9] 이는 고차원 우주에서 약한 우주 검열 가설이 깨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6. 예시: 커 계량

커 계량은 질량 M과 각운동량 J를 가진 회전하는 블랙홀을 나타낸다. 이 블랙홀이 우주 검열 가설을 만족하려면, 즉 사건의 지평선이 존재하려면 a < 1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5] 여기서 a \equiv \frac{J}{M}이다. 이는 블랙홀의 각운동량이 특정 임계값 미만으로 제한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사건의 지평선이 사라진다.[5]

참조

[1] 서적 Handbook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Elsevier
[2] 논문 Gravitational Collapse: the Role of General Relativity
[3] 뉴스 A Bet on a Cosmic Scale, And a Concession, Sort Of https://www.nytimes.[...] 1997-02-12
[4] 간행물 Mathematicians Disprove Conjecture Made to Save Black Holes https://www.quantama[...] 2020-03-29
[5] 서적 Gravity: an introduction to Einstein's general relativity Addison-Wesley 2003
[6] 웹사이트 New bet on naked singularities http://www.theory.ca[...] 1997-02-05
[7] 논문 Scalar field counterexamples to the cosmic censorship hypothesi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1989-09
[8] 논문 아인슈タインの一般相対性理論が破綻か?5次元ブラックホール解析で「裸の特異点」を算出 http://japanese.enga[...] engadget 2016-02-23
[9] 논문 End Point of Black Ring Instabilities and the Weak Cosmic Censorship Conjecture http://link.aps.org/[...] 201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