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타우로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타우로라는 유타주에서 발견된 멸종된 오파비니아과의 한 속이다. 2008년 아노말로카리스의 표본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나, 2022년 오파비니아과로 재해석되어 새로운 속과 종으로 명명되었다. 이름은 발견 지역인 유타주와 로마 신화의 새벽의 여신 아우로라에서 유래되었으며, 종명은 라틴어로 '털이 많다'는 뜻으로 털로 덮인 듯한 외형에서 따왔다. 오파비니아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며, 강모깃과 꼬리지느러미의 형태에서 차이를 보인다. 오파비니아과로 분류되지만, 계통학적 위치와 관련하여 논쟁이 있으며, 초기 갯지렁이류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하강 - 오파비니아
오파비니아는 캄브리아기에 살았던 멸종된 해양 절지동물로, 5개의 눈, 코, 지느러미를 가진 몸통과 꼬리를 가지며, 절지동물 줄기군으로 분류되어 캄브리아기 대폭발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 공하강 - 팜브델루리온
팜브델루리온은 캄브리아기 중기 버제스 셰일에서 발견된 멸종된 엽족동물로, 커다란 머리 부속지, 가시돌기, 11쌍의 옆지느러미와 엽족, 그리고 얇은 큐티클을 가진 육식성 기엽족류이다. - 202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메락세스
메락세스는 2012년 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된 몸길이 10m 이상, 몸무게 4톤이 넘는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의 대형 수각류 공룡으로, 짧은 앞다리와 1.27m의 큰 두개골을 가졌으며 50세 이상의 고령 개체로 밝혀졌다. - 202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마그니프테리기우스
마그니프테리기우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살았던 몸길이 약 120cm의 작은 어룡으로, 솟아오른 등지느러미, 날씬한 체형, 배지느러미, 큰 눈을 가졌으며, 날카로운 이빨로 물고기 등을 사냥했고, 약 2억 년 전부터 유럽의 테티스 해 등지에서 서식했으며, 2011년 독일에서 완전한 화석이 발견되었고, 속명은 워크래프트의 드워프 왕에서, 종명은 고생물학자에서 유래되었다. - 캄브리아기의 절지동물 - 삼엽충
삼엽충은 고생대 캄브리아기부터 페름기까지 번성한 절지동물로, 약 5억 2천만 년 전 등장하여 2억 7천만 년 동안 생존하며 바다에 서식했다. - 캄브리아기의 절지동물 - 오파비니아
오파비니아는 캄브리아기에 살았던 멸종된 해양 절지동물로, 5개의 눈, 코, 지느러미를 가진 몸통과 꼬리를 가지며, 절지동물 줄기군으로 분류되어 캄브리아기 대폭발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우타우로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화석 범위 | 507 |
생물 분류 | |
역 | 진핵생물역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공하강 |
과 | †오파비니아과 |
속 | †우타우로라속 |
종 | †우타우로라 |
학명 | †Utaurora comosa |
학명 명명 | Pates et al., 2022 |
학명 정보 | |
학명 | Utaurora comosa |
명명자 | 우타우로라 코모사 |
2. 연구사
우타우로라의 완모표본인 KUMIP 314087은 유타주에 있는 휠러 지층(Wheeler Formation)에서 채집되었다. 이 화석은 2008년에 처음 발견되었을 때는 아노말로카리스의 표본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2022년, 페이츠(Pates) 연구팀은 이 표본을 오파비니아과로 재해석하고 새로운 속과 종으로 발표하였다.
2. 1. 이름의 유래
속명 '우타우로라'는 표본 화석이 발견된 유타주와 로마 신화 속 새벽의 여신 아우로라의 이름을 합친 혼성어이다. 아우로라 여신은 연인을 곤충으로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이는 우타우로라가 절지동물의 기원에 가까운 초기 생물이라는 점과 연관 지어 선택된 이름이다. 종소명은 라틴어로 ‘털이 많다’ 또는 ‘잎이 무성하다’는 뜻이다. 이는 겉모습이 털로 덮인 것처럼 보이는 점과 꼬리지느러미가 잎사귀처럼 배열된 모습에서 유래했다.3. 특징
우타우로라는 버지스 셰일 및 마오텐산 혈암에서 발견되었으며, 눈이 5개이고 특이한 전방 부속지가 달린 오파비니아 및 킬린시아와 매우 닮았다. 그러나 화석의 보존 상태가 불완전하여 우타우로라가 실제로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우타우로라는 오파비니아와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첫째, 강모(setal blades)가 각 옆지느러미(lateral flap)의 뒷면과 인접면을 덮고 있다. 반면 오파비니아는 옆지느러미 윗부분에만 강모가 있다. 둘째, 우타우로라의 꼬리지느러미는 최소 7쌍 이상의 꼬리깃(tail blades)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오파비니아는 3개의 꼬리깃만 가지고 있다.
4. 분류
우타우로라는 오파비니아와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오파비니아과에 분류된다.
4. 1. 계통
오파비니아와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우타우로라의 발견자들은 우타우로라를 오파비니아과(Opabiniidae)로 분류하였다. 계통학적 분석 결과, 우타우로라는 오파비니아와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이 둘은 함께 오파비니아과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파비니아과는 라디오돈타(Radiodonta) 그룹과 자매 그룹 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한편,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의 에뮤 베이 셰일 지층에서 발견된 ''미오스콜렉스''(''Myoscolex'') 역시 오파비니아류로 추정되기도 하였으나,[3] 이 분류의 근거가 되는 형태적 특징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며, 초기 갯지렁이류일 수도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4]
참조
[1]
뉴스
One of Evolution's Oddest Creatures Finds a Fossilized Family Member - Opabinia, which swam the seas of Earth's Cambrian era some 500 million years ago, was not just a one hit wonder.
https://www.nytimes.[...]
2022-02-08
[2]
저널
Ordovician opabiniid-like animals and the role of the proboscis in euarthropod head evolution
[3]
저널
The Taphonomy and Affinities of the Problematic Fossil ''Myoscolex'' from the Lower Cambrian Emu Bay Shale of South Australia
[4]
저널
Anatomy and relationships of the Early Cambrian worm Myoscolex
https://onlinelibr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