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파당 (노르웨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파당은 1884년 에밀 스탕에 의해 창당된 노르웨이의 정당으로, 자유당 다음으로 노르웨이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정당이다. 1888년 선거에서 여당이 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연립 정부를 이끌었다. 2013년 총선에서 제2당이 되어 진보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했으며, 2017년에도 연정을 유지했다. 2020년 진보당이 탈퇴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유당, 기독교민주당과 연정을 통해 집권 여당 지위를 유지했으나, 2021년 총선에서 의석수가 감소하여 야당이 되었다. 이념적으로는 보수주의를 지향하며, 사회적으로는 자유주의적인 입장을 수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4년 설립된 정당 - 독일 자유사상당
독일 자유사상당은 1884년부터 1893년까지 독일 제국에서 존재했던 자유주의 정당으로, 비스마르크 수상에 반대하는 세력이 창당하여 의회주의 확대, 정교분리, 유대인 해방 등을 추진했으나 내부 분열로 해산 후 진보인민당으로 재결집하였다. - 1884년 설립된 정당 - 좌파당 (노르웨이)
좌파당은 1884년 의원내각제 도입을 옹호하며 창당되어 남성 보통 선거권,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해체, 여성 완전 참정권 등의 개혁을 주도했으나, 현재는 중도 정당으로 분류되며 유럽 연합 가입 문제에 대한 입장 변화, 녹색 자유주의 지향, 디지털 자료 공유 합법화 옹호 등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정책들을 추진하는 노르웨이의 자유주의 정당이다. - 노르웨이의 보수주의 정당 - 진보당 (노르웨이)
진보당은 1973년 안데르스 랑에에 의해 창당된 노르웨이의 정당으로, 경제적 자유주의와 우익 포퓰리즘 성향을 보이며 이민, 범죄, 외교 정책 등에서 보수적인 입장을 취한다. - 노르웨이의 보수주의 정당 - 조국동맹 (노르웨이)
조국동맹은 1920년대에 프리드쇼프 난센과 크리스티안 미켈센 등이 주도하여 창립된 노르웨이의 정치 단체로, 노동 운동 반대를 펼치며 지지를 얻었으나, 1930년대 정당으로의 재편 실패와 나치 독일에 대한 옹호적 태도로 쇠퇴하여 독일 점령 하에 해산 후 재건되지 못했다. - 노르웨이의 정당 - 녹색당 (노르웨이)
노르웨이 녹색당은 1988년 창당되어 2013년 총선에서 처음으로 의회에 진출한 유럽 녹색당 회원 정당으로, 생태적 지속 가능성, 사회 정의, 기후변화 대응을 주요 정책으로 한다. - 노르웨이의 정당 - 적색당 (노르웨이)
2007년 창당된 노르웨이의 적색당은 민주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공산주의를 표방하며 신자유주의 자본주의에 반대하고, 복지 국가 확대, 부유층 증세, 유럽 경제 지역 협정 반대, 북대서양 조약 기구 탈퇴 등을 주장하며, 2021년 총선에서 처음으로 의회에 진출, 현재 마리 스네베 마르티누센이 당 대표를 맡고 있다.
우파당 (노르웨이)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보수당 |
원어 이름 | Høyre (회이레, 보크몰) / Høgre (회그레, 뉘노르스크) |
로마자 표기 | Hoire/Høgre |
약칭 | H |
슬로건 | "Muligheter for alle" (모두를 위한 기회) |
색상 | 파란색 |
본부 | 오슬로, Stortingsgaten 20 0161 |
웹사이트 | høyre.no |
지도자 | |
대표 | 에르나 솔베르그 |
원내대표 | 에르나 솔베르그 |
조직 | |
청년 조직 | 노르웨이 청년 보수당 |
LGBT 조직 | Åpne Høyre (오프네 회이레) |
창당 | |
창당일 | 1884년 8월 25일 |
이념 | |
주요 이념 | 자유보수주의, 친유럽주의 |
정치적 위치 | 중도우파 |
종교 | 노르웨이 교회 |
국제 관계 | |
국제 연합 | 국제 민주 연합 |
유럽 | 유럽 인민당 (준회원) |
북유럽 | 보수 그룹 |
당원 | |
당원 수 | 29,690명 (2020년) |
의석 | |
스토르팅 의석수 | 36 / 169석 |
주 의회 의석수 | 167 / 777석 |
지방 자치체 의석수 | 1717 / 10620석 |
사미 의회 의석수 | 0 / 39석 |
2. 역사
우파당은 1884년 에밀 스탕에 의해 창당되어 노르웨이에서 자유당 다음으로 두 번째로 오래된 정당이다. 초기에는 의회주의에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나, 점차 의회 민주주의를 수용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1906년 연합당과 연정했으나 정권 탈환에 실패했고, 1909년 다시 집권하여 단일 의석 역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1923년 사회보장보험 법안이 통과되었으나 국가 재정 문제로 무산되었다.
노르웨이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우파당은 노동당의 규제 정책에 반대하며 사유 재산과 창의성을 강조하는 정책을 펼쳤다. 냉전 시기에는 서방 진영과 NATO를 강력히 지지했으며, 유럽 연합 가입을 추진했다.
우파당은 기독교민주당과 1983년부터 1986년까지, 그리고 1989년부터 1990년까지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 1993년 노르웨이 총선에서는 유럽 연합 가입 문제로 인해 중앙당에 밀려 3당으로 전락했고, 1997년 노르웨이 총선에서는 진보당과 기독교민주당에 연이어 밀려 4당으로 추락했다.
2001년 노르웨이 총선에서 진보당을 제치고 2당으로 복귀했다. 2004년에는 얀 페테르센이 당대표직에서 물러나고 에르나 솔베르그가 대표가 되었다. 그러나 2005년 노르웨이 총선과 2009년 노르웨이 총선에서 다시 진보당에 밀려 3당으로 전락했다.
2013년 노르웨이 총선에서는 노동당에 이어 48석을 얻어 제2당이 되었고, 진보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여 정권을 되찾았다. 2017년 노르웨이 총선에서는 진보당과의 연정이 유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유당과 기독교민주당이 추가로 합류하면서 87석의 연립 정권이 탄생했다. 2020년 진보당이 연정에서 탈퇴했음에도 불구하고, 우파당은 자유당, 기독교민주당과의 연정을 통해 집권 여당 지위를 유지했다.
2021년 노르웨이 총선 결과 의석수가 감소하여 야당이 되었다.
2. 1. 초기
1884년 에밀 스탕에 의해 창당된 정당으로 노르웨이의 정당 중에서 자유당 다음으로 노르웨이에서 두 번째로 오래되었다. 1885년에 최초로 노르웨이 선거에서 야당에 머물렀지만 1888년에 노르웨이 선거에서 최초로 여당이 되었다. 1889년 에밀 스탕이 물러나고 크리스찬 호만 슈바이고르가 당대표가 되었다. 1889년부터 1899년까지 에밀 스탕과 크리스찬 호만 슈바이고르가 번갈아 가면서 당대표를 역임했다.
노르웨이 보수당(''Høire'', 현재는 ''Høyre''로 표기하며, '우파'를 뜻함)은 노르웨이에서 의원 내각제가 시행된 1884년에 창당되었다. 법학자 에밀 스탕(Emil Stang)이 당의 초대 대표로 선출되었다. 스탕은 보수당의 활동에 중요한 원칙을 강조했다. 보수당은 의회 민주주의가 설정한 헌법적 틀 내에서 활동하는 사회 개혁 정당이 되어야 했다.
2. 2. 20세기 초
1906년에 연합당과 연정을 맺었으나 정권 획득에는 실패했다. 이후 1909년 선거에서 승리하여 집권했는데, 이는 우파당 역사상 단일 의석으로 최대 규모였다. 1923년에는 사회보장보험 법안을 통과시켰지만, 국가 재정 문제로 인해 무산되었다.[42][43][35][44][45]2. 3. 전후
노르웨이의 전후 시대에 주요 야당이었던 우파당은 노동당의 규제 정책에 반대하며, 사적 주도와 창의성에 기반한 노르웨이의 미래를 추구했다. 우파당은 복지 시스템 구축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여러 차례 사회 복지 규정의 불공정을 시정하기 위한 노력을 주도했다. 또한, 국가의 활동이 기본적인 문제와 그 해결책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냉전 기간 동안 우파당은 노르웨이의 서방 진영 지지를 강력히 지지했다. 1949년 노르웨이가 공동 창립한 NATO를 강력히 지지했으며, 범유럽 연합에 대해 노르웨이에서 가장 분명하게 지지하는 정당으로서, 1972년 국민투표와 1994년 국민투표 모두에서 노르웨이의 가입을 지지했다.[13]
우파당은 기독교민주당과 1983-86년, 1989-90년에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 1993년 노르웨이 총선에서는 유럽 총선 역사상 최초로 여성 대표가 탄생하기도 했다. 그러나 중도주의 정당인 중앙당에 밀려 3당으로 전락했고, 1997년 총선에서는 진보당과 기독교민주당에 연이어 밀려 4당으로 추락했다.
2001년 총선에서 진보당을 제치고 2당이 되었으나, 2005년 총선과 2009년 총선에서 다시 진보당에 밀려 3당으로 전락했다. 2013년 총선에서 노동당에 밀려 48석을 거두어 다시 제2당이 되었고, 진보당과 연정을 구성하여 정권을 되찾았다.[42][43][35][44][45]
2017년 총선에서는 진보당과의 연정이 이어질 뿐만 아니라, 자유당, 기독교민주당이 추가로 합류하면서 87석의 연립정권이 탄생했다. 비록 2020년 진보당이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에 자원한 노르웨이 시민을 송환시켰다는 이유로 탈퇴했음에도 현재까지 집권여당 자리를 지키고 있다.
2. 4. 1980년대 이후
우파당은 1983년부터 1986년까지, 그리고 1989년부터 1990년까지 기독교민주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13] 1993년 노르웨이 총선에서는 유럽 연합 가입 문제로 인해 중앙당에 밀려 3당으로 전락했고, 1997년 노르웨이 총선에서는 진보당과 기독교민주당에 연이어 밀려 4당으로 추락했다.[13]2001년 노르웨이 총선에서 진보당을 제치고 2당으로 복귀했다. 2004년에는 얀 페테르센이 당대표직에서 물러나고 에르나 솔베르그가 대표가 되었다. 그러나 2005년 노르웨이 총선과 2009년 노르웨이 총선에서 다시 진보당에 밀려 3당으로 전락했다.[42][43][35][44][45]
2013년 노르웨이 총선에서는 노동당에 이어 48석을 얻어 제2당이 되었고, 진보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여 정권을 되찾았다.[42][43][35][44][45] 2017년 노르웨이 총선에서는 진보당과의 연정이 유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유당과 기독교민주당이 추가로 합류하면서 87석의 연립 정권이 탄생했다. 2020년 진보당이 연정에서 탈퇴했음에도 불구하고, 우파당은 현재까지 집권 여당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2. 5. 현재
2017년 노르웨이 총선에서 진보당과의 연정이 유지되었고, 자유당, 기독교민주당이 추가로 연정에 합류하여 87석의 연립정권이 탄생했다.[42][43][35][44][45] 그러나 2020년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에 가담했던 노르웨이 시민을 송환한 문제로 진보당이 연정에서 탈퇴했음에도 불구하고, 우파당은 자유당, 기독교민주당과 함께 연정을 유지하며 집권 여당으로 남아 있었다. 이후 2021년 노르웨이 총선 결과 의석수가 감소하여 야당이 되었다.3. 이념
에드먼드 버크의 보수주의를 지향한다.[46] 노르웨이의 보수주의 정당 중에서 유일하게 노르웨이 의회의 공공 지출 삭감을 제안한다. 자유주의를 지양하지만, 점차 사회적으로 자유주의적인 입장을 수용하고 있다. 2008년 동성 결혼과 동성애자 입양 권리를 인정하는 법안에 찬성표를 던졌다.[26] 유럽 연합 가입을 지지하지만, 노르웨이 국민 여론은 반대가 우세하다.[46]
보수주의[19][20][21][22] 또는 자유 보수주의[5][22][23][24] 정당으로 묘사되며, "기독교적 문화 가치, 입헌 정부 및 민주주의에 기반한 보수 진보 정책"을 추구하는 정당이라고 정의한다.[25]
독일의 기민당(CDU)과 유사한 중도 우파 개혁 정당으로 간주된다. 노르웨이의 모든 주요 정당과 마찬가지로 북유럽 모델을 폭넓게 지지한다. 감세와 경제에 대한 비교적 적은 정부 개입을 포함하여 어느 정도의 재정적 자유 시장 정책을 옹호하는 동시에 복지 국가와 사회적 시장 경제를 지지한다.
전통적으로 군주제, 군대, 노르웨이 교회와 같은 기성 기관을 지지한다.
4. 역대 당 대표
# | 대표 | 기간 | 비고 |
---|---|---|---|
1대 | 에밀 스탕 | 1884년 ~ 1889년 | |
2대 | 크리스찬 호만 슈바이고르 | 1889년 ~ 1891년 | |
3대 | 에밀 스탕 | 1891년 ~ 1893년 | |
4대 | 크리스찬 호만 슈바이고르 | 1893년 ~ 1896년 | |
5대 | 에밀 스탕 | 1896년 ~ 1899년 | |
6대 | 프란시스 하게루프 | 1899년 ~ 1902년 | |
7대 | 올레 L. 스카트뵐 | 1902년 ~ 1905년 | |
8대 | 애덤 하비츠 | 1905년 ~ 1907년 | |
9대 | 프레드리크 스탕 데어 융어르 | 1907년 ~ 1911년 | |
10대 | 옌스 브라틀리 | 1911년 ~ 1919년 | |
11대 | 오토바르 할보르센 | 1919년 ~ 1923년 | |
12대 | 바르 리케 | 1923년 ~ 1926년 | |
13대 | 칼 요하힘 함브로 | 1926년 ~ 1934년 | |
14대 | 요한 H. 안드레 | 1934년 ~ 1937년 | |
15대 | 올레 루드 바아드뢸 | 1937년 ~ 1940년 | |
16대 | 아서 노르들레 | 1945년 ~ 1950년 | |
17대 | 칼 요하힘 함브로 | 1950년 ~ 1954년 | |
18대 | 아브 크제외스 | 1954년 ~ 1962년 | |
19대 | 수주르 린데브에케 | 1962년 ~ 1970년 | |
20대 | 카레 빌로크 | 1970년 ~ 1974년 | |
21대 | 엘링 노르비크 | 1974년 ~ 1980년 | |
22대 | 조 벤코우 | 1980년 ~ 1984년 | |
23대 | 엘링 노르비크 | 1984년 ~ 1986년 | |
24대 | 롤프 프레스더스 | 1986년 ~ 1988년 | |
25대 | 얀 페데르 시세 | 1988년 ~ 1991년 | |
26대 | 케이시 쿨만 파이브 | 1991년 ~ 1994년 | |
27대 | 얀 페테르센 | 1994년 ~ 2004년 | |
28대 | 에르나 솔베르그 | 2004년 ~ 현재 |
5. 역대 총선거 결과
연도 | 득표 | 의석 수 | 순위 | 집권 여부 | |||
---|---|---|---|---|---|---|---|
# | % | ± pp | # | ± | |||
1906년 | 88,323 | 32.8% | −12.0 | 35 / 123 | 2위 | 야당 | |
1909년 | 175,388 | 41.5% | +8.7 | 64 / 123 | 1위 | 여당 | |
1912년 | 162,074 | 33.2% | −8.3 | 24 / 123 | 40 | 2위 | 야당 |
1915년 | 179,028 | 29.0% | −4.2 | 21 / 123 | 3 | 2위 | 야당 |
1918년 | 201,325 | 30.4% | +1.4 | 49 / 126 | 28 | 2위 | 여당 |
1921년 | 301,372 | 33.3% | +2.9 | 57 / 150 | 8 | 1위 | 여당 |
1924년 | 316,846 | 32.5% | −0.8 | 54 / 150 | 3 | 1위 | 여당 |
1927년 | 240,091 | 24.0% | −8.5 | 31 / 150 | 23 | 3위 | 야당 |
1930년 | 327,731 | 27.4% | +3.4 | 44 / 150 | 13 | 2위 | 야당 |
1933년 | 252,506 | 20.2% | −7.2 | 30 / 150 | 14 | 2위 | 야당 |
1936년 | 310,324 | 21.3% | +1.1 | 36 / 150 | 6 | 2위 | 야당 |
1945년 | 252,608 | 17.0% | −4.3 | 25 / 150 | 11 | 2위 | 야당 |
1949년 | 279,790 | 18.3% | +1.3 | 23 / 150 | 2 | 2위 | 야당 |
1953년 | 327,971 | 18.6% | +0.3 | 27 / 150 | 4 | 2위 | 야당 |
1957년 | 301,395 | 18.9% | +0.3 | 29 / 150 | 2 | 2위 | 야당 |
1961년 | 354,369 | 20.0% | +1.1 | 29 / 150 | 2위 | 야당 | |
1965년 | 415,612 | 21.1% | +1.1 | 31 / 150 | 2 | 2위 | 여당 |
1969년 | 406,209 | 19.6% | −1.5 | 29 / 150 | 2 | 2위 | 여당 |
1973년 | 370,370 | 17.4% | −2.2 | 29 / 155 | 0 | 2위 | 야당 |
1977년 | 563,783 | 24.8% | +7.4 | 41 / 155 | 12 | 2위 | 야당 |
1981년 | 780,372 | 31.7% | +6.9 | 53 / 155 | 12 | 2위 | 여당 |
1985년 | 791,537 | 30.4% | −1.3 | 50 / 157 | 3 | 2위 | 여당 |
1989년 | 588,682 | 22.2% | −8.2 | 37 / 165 | 13 | 2위 | 여당 |
1993년 | 419,373 | 17.0% | −5.2 | 28 / 165 | 9 | 3위 | 야당 |
1997년 | 370,441 | 14.3% | −2.7 | 23 / 165 | 5 | 3위 | 야당 |
2001년 | 534,852 | 21.2% | +6.9 | 38 / 165 | 15 | 2위 | 여당 |
2005년 | 372,008 | 14.1% | −7.1 | 23 / 169 | 15 | 3위 | 야당 |
2009년 | 462,465 | 17.2% | +3.1 | 30 / 169 | 7 | 3위 | 야당 |
2013년 | 760,232 | 26.8% | +9.6 | 48 / 169 | 18 | 2위 | 여당 |
2017년 | 731,621 | 25.1% | -1.7 | 45 / 169 | 3 | 2위 | 여당 |
2021년 | 607,316 | 20.5% | -4.5 | 36 / 169 | 9 | 2위 | 야당 |
참조
[1]
웹사이트
Høyre - Muligheter for alle
https://hoyre.no
2021-04-05
[2]
웹사이트
Forsiden - Åpne Høyre
https://hoyre.no/aap[...]
2021-04-05
[3]
뉴스
God medlemsvekst
https://hoyre.no/akt[...]
2020-01-14
[4]
웹사이트
Høgre
http://www.nrk.no/va[...]
Norweg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1-09-18
[5]
웹사이트
Norway
http://www.parties-a[...]
2018-08-13
[6]
뉴스
Valgomaten: Riksdekkende 2007
http://tux.aftenpost[...]
2011-04-29
[7]
웹사이트
The political framework of Norway
https://www.nordeatr[...]
2019-08-28
[8]
뉴스
Norway election: Terror survivors run for parliament
https://www.bbc.com/[...]
2013-09-08
[9]
뉴스
Norway's opposition Labour party leads in opinion poll
https://www.reuters.[...]
2016-08-19
[10]
서적
Nordic, Central and Southeastern Europe 2012
https://books.google[...]
2012
[11]
웹사이트
Høyre
http://snl.no/H%C3%B[...]
2014-08-26
[12]
웹사이트
Høyre
https://hoyre.no/pol[...]
2019-06-01
[13]
간행물
Høyre
http://www.snl.no/H%[...]
Kunnskapsforlaget
2009-10-31
[14]
웹사이트
Syv grafer som viser hvor forskjellige Høyre og Frp-velgerne faktisk er
https://www.aftenpos[...]
2015-04-23
[15]
웹사이트
Eliten skyr Frp og Sp
https://arkiv.klasse[...]
[16]
웹사이트
På sitt beste har Ap ført bedre høyrepolitikk enn Høyre
https://www.civita.n[...]
2020-04-05
[17]
뉴스
Høyre – skatter, skole og frihet
http://www.nrk.no/ny[...]
2010-08-04
[18]
뉴스
Partienes historie
http://www.eidsvoll1[...]
Eidsvoll 1814
2014-04-20
[19]
서적
Europe, A Political Profile: An American Companion to European Politic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8-08-13
[20]
웹사이트
Norway - Political parties
http://www.nsd.uib.n[...]
2013-01-05
[21]
웹사이트
Høyre
http://snl.no/H%C3%B[...]
2014-08-26
[22]
논문
Political parties' framing of farm animal welfare: A fragmented picture
2022-08-18
[23]
웹사이트
Norway's political parties ahead of the elections
https://www.europarl[...]
2017-09
[24]
웹사이트
MNI POLITICAL RISK ANALYSIS – Norway Election Preview
https://roar-assets-[...]
[25]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Høyre
https://hoyre.no/om-[...]
[26]
뉴스
Historisk vedtak
http://www.nrk.no/ny[...]
NRK
2014-03-11
[27]
웹사이트
Statistisk årbok 2000, Tabell 2: Stortingsvalg. Valgte representanter, etter parti. 1906–2001
https://www.ssb.no/a[...]
2018-05-02
[28]
웹사이트
Tabell 25.3 Stortingsvalg. Godkjente stemmer etter parti1. Prosent
http://www.ssb.no/a/[...]
2018-05-02
[29]
웹사이트
Høyres ideologi
http://www.hoyre.no/[...]
Høyre Nord-Trøndelag
2014-04-20
[30]
뉴스
Høyres medlemstall faller markant
http://www.dn.no/nyh[...]
2015-01-19
[31]
웹사이트
Høgre
http://www.nrk.no/va[...]
NRK
2011-09-18
[32]
문서
http://www.valgresul[...]
[33]
뉴스
Høyres medlemstall faller markant
http://www.dn.no/nyh[...]
2015-01-19
[34]
웹사이트
Norway - Political parties
http://www.nsd.uib.n[...]
2013-01-05
[35]
웹사이트
Høyre
http://snl.no/H%C3%B[...]
[36]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37]
서적
https://books.google[...]
[38]
웹사이트
http://www.parties-a[...]
[39]
웹사이트
https://snl.no/H%C3%[...]
[4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9-06-02
[41]
서적
https://books.google[...]
[42]
웹사이트
Norway - Political parties
http://www.nsd.uib.n[...]
Norsk samfunnsvitenskapelig datatjeneste
2013-01-05
[43]
웹사이트
Høyre
http://snl.no/H%C3%B[...]
Store norske leksikon
[44]
웹사이트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The database about parliamentary elections and political parties in Europe, by Wolfram Nordsieck
http://www.parties-a[...]
[45]
뉴스
Valgomaten: Riksdekkende 2007
https://web.archive.[...]
2011-04-29
[46]
뉴스
Historisk vedtak
http://www.nrk.no/ny[...]
NRK
2008-06-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