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웅어는 발해, 황해, 동중국해 연안에 분포하는 물고기로, 몸길이 30~40cm 정도로 잎처럼 가늘고 납작하며 은백색 비늘을 가지고 있다. 플랑크톤을 먹고 초여름에 강에서 산란하며, 일본에서는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웅어는 회, 구이, 튀김 등 다양한 요리로 먹으며, 한국과 일본에서 지역 축제와 향토 요리에 활용된다. 일본 치쿠고강 유역에는 웅어가 갈대잎에서 변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멸치과 - 멸치속
멸치속은 전 세계 바다에 서식하며 대한민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멸치를 포함하는 어류 속으로, 일부 종은 어분, 사료, 비료 등으로 활용된다. - 멸치과 - 안초베타
안초베타는 페루와 칠레 연안에서 발견되는 군집성 어류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어획되는 어종 중 하나이며, 어분 생산에 주로 사용되지만 인간의 소비를 위한 형태로도 활용된다. - 등푸른생선 - 송어류
송어류는 연어아과에 속하는 *Salmo*, *Oncorhynchus*, *Salvelinus* 속의 어종을 통칭하며, 환경에 따라 색상과 무늬가 다르고 낚시 대상어, 식용으로 인기가 높지만 외래종 도입, 산불, 기후 변화 등으로 토착종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 등푸른생선 - 황새치
황새치는 칼처럼 생긴 부리를 가진 대형 어류로,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빠른 속도로 먹이를 사냥하고, 식용으로 사용되지만 수은 함량과 남획으로 인해 보존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1846년 기재된 물고기 - 멸치
멸치는 청어목 멸치과의 바닷물고기로, 10~20cm 정도 크기에 푸른 회색 등과 은백색 배를 가지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칼슘이 풍부하며 어획량이 많아 낚시 미끼나 비료로도 사용된다. - 1846년 기재된 물고기 - 뱀장어
뱀장어는 뱀장어목 뱀장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원통형 몸에 미끈한 피부를 가지며, 배지느러미가 없고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가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산란 후 죽고,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었으며, 동아시아에서 식용으로 양식된다.
웅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oilia nasus |
명명자 | Temminck and Schlegel, 1846 |
이명 | Coilia ectenes (Jordan and Seale, 1905) |
기타 이름 | 웅어 |
영어 이름 | Japanese Grenadier Anchovy |
형태 | |
최대 크기 | 41 |
서식 수심 | 50 |
생태 | |
서식지 | 중국 포양호에서 산란하는 것이 발견됨. |
먹이 | 갑각류, 작은 물고기 등 |
분포 | |
서식 지역 | 서태평양 한국 서해 연안 일본 중국 |
보존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멸종위기 II급 |
기타 | |
슬로푸드 | 웅어 - 맛의 방주 |
2. 특징
웅어는 성어의 경우 전체 길이가 30cm-40cm 정도이다.[8] 발해, 황해, 동중국해의 연안 지역에 분포하며, 평소에는 기수역과 그 주변의 바다에 서식한다. 맑고 투명도가 높은 수역보다는, 큰 강에서 유입된 실트나 점토로 인해 탁하게 보이는 물을 선호한다. 플랑크톤 식성으로, 주로 동물성 플랑크톤을 아가미로 걸러 먹는다. 산란기는 초여름이며, 알은 강을 따라 흘러내려가면서 하루 이내에 부화하지만, 염분이 짙은 곳까지 흘러가면 죽는다. 수명은 2~4년 정도이며, 산란한 어미는 거의 죽는다.[9]
2. 1. 형태
몸은 식물의 잎처럼 앞뒤로 가늘고 길며, 좌우로 납작하게 눌린 것처럼 평평하다. 몸 측면은 은백색의 둥근 비늘로 덮여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칼날과 같은 외형을 하고 있다.[8] 눈은 머리 앞쪽에 위치하며, 입은 눈 뒤까지 크게 갈라진다. 가슴지느러미 상단의 연조는 실처럼 가늘고 길게 뻗어 있다. 뒷지느러미는 앞뒤로 가늘고 길며, 몸의 후반 거의 전체에 걸쳐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작은 삼각형이며, 거의 뒷지느러미와 연속되어 있다. 얼굴 생김새나 비늘 등은 같은 과의 멸치와 비슷하지만, 우아하고 길게 뻗은 지느러미의 모양 때문에 외관은 상당히 인상이 다르게 보인다.[8] 성어는 전체 길이 30cm-40cm 정도이다.[8]2. 2. 분포
발해, 황해, 동중국해의 연안 지역에 분포한다.[8] 일본에서의 분포 지역은 치쿠고강 하구역을 중심으로 한 아리아케해 안쪽에 거의 한정된다.[8] 중국과 한반도의 개체군은 아종 ''C. n. ectenes'' 元玉袁|위안위위안중국어 (1985) , 일본의 개체군은 기본 아종 ''C. n. nasus''로 분류되며, 말뚝망둥어나 젓새치 등과 같은 대륙계 유존종으로 여겨진다.2. 3. 생태
웅어는 주로 기수역과 그 주변의 바다에 서식하며, 맑은 물보다는 큰 강에서 유입된 실트나 점토로 인해 탁하게 보이는 물을 선호한다.[8] 플랑크톤을 먹으며, 주로 동물성 플랑크톤을 아가미로 걸러 먹는다.산란기는 초여름으로, 산란을 앞둔 성어는 강을 거슬러 올라가 저녁에 지름 1mm 정도의 부성란을 산란한다.[9] 중국 양쯔강에서는 하구에서 1000km 떨어진 곳에서 성어가 발견된 예도 있다. 알은 강을 따라 흘러내려가면서 하루 이내에 부화하지만, 염분이 짙은 곳까지 흘러가면 죽어버린다. 치어는 가을까지 염분이 옅은 기수역에 머물며 성장하고, 겨울에는 해수역의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수명은 2~4년 정도이며, 산란한 어미는 거의 죽는다.[9]
3. 활용
웅어는 구이나[16] 회[17]로 먹는다.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웅어를 활용한다.
(川原慶賀(Kawahara Keiga)의 1823년과 1829년 사이의 작품)
3. 1. 한국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의 하단어촌계에서는 매년 5월 낙동강 하류에서 잡은 웅어로 웅어 축제를 연다.[17] 웅어는 주로 회나 구이로 먹는다.[16][17]
3. 2. 중국
중국에서는 동속의 물고기를 "봉미어(鳳尾魚, 펭웨이위 fèngwěiyú)"라고 통칭하며, 화동, 화남의 연안 지역에서 식품으로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한의학의 재료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상하이 시나 장쑤 성에서는 장강 주변에서 잡히는 주로 ''C. mystus''가 유통되고 있으며, 알을 가진 것이 귀하게 여겨지므로 산란기가 제철이다. 저장 성원저우 시에서는 우장에서 잡히는 것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광둥 성에서는 주강 수계의 ''C. grayi''가 잘 이용되고 있으며, 튀김으로 간을 한 것이 특산의 통조림으로 판매되고 있다. 찜, 튀김이 일반적이지만, 수프 등에도 이용된다.3. 3. 일본
일본에서는 지쿠고 강 유역에서 많이 어획되어, 대표적인 향토 요리의 식재료가 되고 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그다지 이용되지 않는다.지쿠고 강에서는 매년 5월 중순부터 7월 중순에 걸쳐 후쿠오카현 구루메시 조지마마치 부근까지 웅어가 거슬러 올라가, 주변 시정촌에서는 이를 노린 웅어 어업이 5월 1일부터 7월 20일까지 해금된다. 또한, 후쿠오카현 오카와시에서는 어획기에 맞춰 "웅어 공양제"가 열린다. 이 시기에 어업 협동 조합의 요청을 받아 국토교통성 규슈 지방 정비국은 웅어의 소상을 돕기 위해 관리하는 마츠바라 댐·시모우케 댐에서 하천 유지 방류를 실시하고 있다.
흐르는 자망이나 육수망 등으로 어획된다. 생선회나 웅어 초밥, 튀김, 회, 소금구이, 조림 등 다양한 요리로 먹는다[8]. 잔뼈가 많으므로 붕장어와 마찬가지로 뼈 바르기를 할 필요가 있으며[8], 상하기 쉬우므로 빠른 조리를 해야 한다. 그 때문에, 산지에서는 지쿠고 강에 띄운 어선 위에서 관광객 등에게 잡은 웅어를 즉시 조리하여 제공하기도 한다.
4. 보존
(소스 내용 없음)
5. 전설
일본 치쿠고강 유역에는 웅어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진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항목을 참고하면 된다.[10]
5. 1. 일본 치쿠고강 유역의 전설
옛날, 한 승려가 치쿠고강을 건널 때 뱃사공에게 줄 돈이 없어서, 근처에 자라던 갈대 잎을 꺾어 강에 띄웠더니, 순식간에 물고기(웅어)로 변했다. 이 승려는 훗날의 홍법대사(구카이)였다는 전승이 후쿠오카현, 사가현의 치쿠고강 하류 지역에 전해진다.[10]참조
[1]
웹사이트
"''Coilia nasus''"
https://www.gbif.org[...]
2014-05-30
[2]
백과사전
"''Coilia nasus''"
http://eol.org/pages[...]
2014-05-30
[3]
서적
FAO species catalogue. Vol. 7. Clupeoid fishe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the herrings, sardines, pilchards, sprats, anchovies and wolfherrings. Part 2 - Engraulididae
Food & Agriculture Org.
[4]
웹사이트
Ung-eo fish - Ark of Taste
https://www.fondazio[...]
2018-04-11
[5]
학술지
Discovery of a spawning area for anadromous Coilia nasus Temminck et Schlegel, 1846 in Poyang Lake, China
2017
[6]
학술지
Partial migration in fishes: causes and consequences
https://www.dora.lib[...]
2012
[7]
학술지
Genome and population sequencing of a chromosome-level genome assembly of the Chinese tapertail anchovy (Coilia nasus) provides novel insights into migratory adaptation
2020-01-01
[8]
뉴스
珍味エツ、観光客誘う動画 佐賀市「幻の魚がいた」制作
朝日新聞社
2017-05-26
[9]
서적
西日本民俗博物誌 上
西日本新聞社
1978-08-14
[10]
문서
宮地武彦/山中耕作『日本伝説大系』第13巻 みずうみ書房、94-96頁。
[11]
웹인용
"''Coilia nasus''"
http://www.gbif.org/[...]
2014-05-30
[12]
웹인용
"''Coilia nasus''"
http://eol.org/pages[...]
2014-05-30
[13]
서적
FAO species catalogue. Vol. 7. Clupeoid fishe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the herrings, sardines, pilchards, sprats, anchovies and wolfherrings. Part 2 - Engraulididae
[14]
웹인용
모롱이
https://stdict.korea[...]
표준국어대사전
2018-04-08
[15]
웹인용
웅어 - 생물종정보
http://www.nifs.go.k[...]
2016-07-01
[16]
서적
전통향토음식 용어사전
https://terms.naver.[...]
[17]
웹인용
[지금이 제철]<38> 웅어회
http://news.donga.co[...]
2013-04-19
[18]
웹인용
하단어촌계
http://www.grandcul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