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워드넷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워드넷은 1985년 조지 A. 밀러 교수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개발한 영어 어휘 데이터베이스이다. 동의어, 상위어, 하위어 등 단어 간의 다양한 의미 관계를 제공하며,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한국어 워드넷을 포함한 다양한 언어의 워드넷이 개발되었으며, 자연어 처리, 정보 검색, 기계 번역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워드넷은 동의어 집합(synset)을 기반으로 하며, 전 세계 워드넷을 연결하고 표준화를 촉진하기 위해 글로벌 워드넷 협회가 운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뭉치언어학 - 토픽 모델
    토픽 모델은 텍스트 데이터에서 문서의 주제를 찾기 위해 사용되는 통계적 모델링 방법으로, 잠재 의미 분석(LSI)에서 잠재 디리클레 할당(LDA)까지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어 텍스트 데이터 분석 외 여러 분야에 응용되며, Mallet, Gensim 등의 도구로 사용 가능하다.
  • 말뭉치언어학 - N-그램
    N-그램은 텍스트나 음성 데이터에서 나타나는 n개의 항목 시퀀스로, 언어 모델링, 텍스트 분석, DNA 서열 분석 등에서 데이터의 특성을 파악하고 예측하는 데 활용된다.
  • 오픈 데이터 - 오픈스트리트맵
    오픈스트리트맵(OSM)은 전 세계 사용자들이 참여하여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세계 지도로, 오픈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스(ODbL)에 따라 배포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 오픈 데이터 - 열린 정부
    열린 정부는 투명성, 참여, 책무성을 통해 정부 활동에 대한 시민 이해를 돕고 정책 결정 참여를 장려하여 책임성을 강화하는 개념으로, OECD는 정부 조정, 시민 참여, 정보 접근 등의 범주로 접근하며, 전자 참여를 통해 시민의 거버넌스 직접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 사전 - 전화번호부
    전화번호부는 전화 가입자의 정보가 담긴 책자로, 시립 안내 책자에서 시작하여 디지털 전화번호부와 휴대 전화 보급으로 필요성이 줄고 환경 및 개인 정보 문제로 비판받기도 한다.
  • 사전 - 국제인명센터
    국제인명센터는 영국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인명 관련 서적 출판 기관이지만, 상업적인 상 수여 및 비용 지불자 등재 논란으로 서호주 정부로부터 사기 행위로 분류되기도 했다.
워드넷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개요
WordNet의 자체 정의 스냅샷
WordNet의 자체 정의 스냅샷
개발자프린스턴 대학교
최초 출시1980년대 중반
최신 버전3.1
최신 버전 출시일2011년 6월
프로그래밍 언어프롤로그
운영 체제유닉스
리눅스
솔라리스
윈도우
크기16MB (175,979개의 synset으로 구성된 155,327개의 단어, 총 207,016개의 단어-의미 쌍 포함)
지원 언어200개 이상의 언어
장르어휘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스BSD 유사 라이선스
웹사이트WordNet 공식 웹사이트
상세 정보
유형전산 사전
모델의미망

2. 역사 및 개발

워드넷은 1985년 심리학 교수 조지 A. 밀러의 지휘 아래 프린스턴 대학교 인지 과학 연구소에서 영어로 처음 만들어졌으며, 이후 크리스티안 펠바움이 이끌었다. 이 프로젝트는 처음에 미국 해군 연구소에서 자금을 지원받았으며, 이후 DARPA, 국립 과학 재단, 파괴적 기술 사무소 (구 첨단 연구 개발 활동) 및 REFLEX를 포함한 다른 미국 정부 기관에서도 지원을 받았다. 조지 밀러와 크리스티안 펠바움은 워드넷 작업으로 2006년 안토니오 잠폴리 상을 받았다.

글로벌 워드넷 협회(Global WordNet Association, GWA)는 전 세계 모든 언어의 워드넷을 논의, 공유 및 연결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비영리 단체이다.[5]

3. 데이터베이스 내용

워드넷은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를 서로 구분하여 수록하는데, 이는 각 품사가 서로 다른 문법적 규칙을 따르기 때문이다.[69] 2006년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에는 15만 단어가 11만 5천 개의 동의어 집합(synset)과 총 20만 7천 개의 단어-의미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압축된 형태의 용량은 약 12MB 정도이다.[69] 전치사, 한정사 및 기타 기능어는 포함하지 않는다.

워드넷에서는 단어의 다의성 정도(polysemy count; 어구가 속하는 synset의 수)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는데, 어떤 단어가 여러 synset에 속하는 경우(여러 의미를 가지는 경우), 어떤 의미는 다른 의미보다 일반적으로 사용된다는 관계를 빈도 점수(frequency score)라는 수치로 나타낸다. 빈도 점수는 샘플 문서에서 단어가 특정 의미로 나타나는 빈도에 따라 계산된다.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배포되는 형태소 분석 도구를 통해 단어로부터 어간이나 원형을 추정할 수 있다. 불규칙 형태는 목록에 저장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ate"를 검색하면 "eat"이 반환된다.

워드넷의 "햄버거" 예시 항목

3. 1. 동의어 집합 (Synset)

동의어 집합(synset)은 단어의 동의어 집합 또는 연어 관계를 포함한다. 연어 관계는 단어들이 순서대로 놓여 특정 의미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로 다른 의미의 단어는 서로 다른 synset에 포함된다. synset의 의미는 간략하게 정의하는 주석(정의 또는 예문)으로 보다 명확해진다.[69]

대부분의 synset은 다른 동의어 집합과 몇 개의 의미적 관계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관계들은 단어의 유형에 따라 다르다.[6]

  • 명사
  • * '''상위어'''(hypernym) : X가 Y의 한 종류이면 Y는 X의 상위어이다.
  • * '''하위어'''(hyponym) : Y가 X의 한 종류이면 Y는 X의 하위어이다.
  • * '''등위어'''(coordinate term) : X와 Y가 동일한 상위어를 가지고 있으면 Y는 X의 등위어이다.
  • * '''전체어'''(holonym) : X가 Y의 부분이면 Y는 X의 전체어이다.
  • * '''부분어'''(meronym) : Y가 X의 부분이면 Y는 X의 부분어이다.
  • 동사
  • * '''상위어'''(hypernym) : X라는 행동이 Y의 한 종류라면 동사 Y는 동사 X의 상위어이다. (움직이다는 여행하다의 상위어)
  • * '''양태어'''(troponym) : Y라는 행동이 특정 상황에서 X를 하는 경우라면 동사 Y는 X의 양태어이다. (더듬다는 말하다의 양태어)
  • * '''함의'''(entailment) : X를 할 때 반드시 Y를 하게 된다면 X는 Y를 함의하는 것이다.(코골이는 잠을 함의함)
  • * '''등위어'''(coordinate terms)
  • 형용사
  • * '''관계있는 명사'''(related nouns)
  • * '''동사의 분사'''(participle of verb)
  • 부사
  • * '''파생된 형용사'''(root adjectives)


synset에 포함된 어구는 같은 의미를 가진 동의어이므로 의미적인 관계는 synset 내 전체에 적용되지만,[6] 단독의 어구가 다른 어구와 반의어나 파생어 등의 관계를 맺기도 한다.

3. 2. 의미적 관계

대부분의 신셋(synset; 동의어 집합)은 다른 동의어 집합과 몇 가지 의미적 관계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관계는 단어의 유형에 따라 다르며, 아래 표에 정리되어 있다.

워드넷의 의미적 관계
품사관계
명사상위어(hypernym), 하위어(hyponym), 등위어(coordinate term), 전체어(holonym), 부분어(meronym)
동사상위어(hypernym), 양태어(troponym), 함의(entailment), 등위어(coordinate terms)
형용사관계있는 명사, 동사의 분사
부사형용사에서 파생


3. 2. 1. 명사


  • '''상위어'''(hypernym): X가 Y의 한 종류이면 Y는 X의 상위어이다.
  • '''하위어'''(hyponym): Y가 X의 한 종류이면 Y는 X의 하위어이다.
  • '''등위어'''(coordinate term): X와 Y가 동일한 상위어를 가지고 있으면 Y는 X의 등위어이다.
  • '''전체어'''(holonym): X가 Y의 부분이면 Y는 X의 전체어이다.
  • '''부분어'''(meronym): Y가 X의 부분이면 Y는 X의 부분어이다.

3. 2. 2. 동사


  • '''상위어'''(hypernym): X라는 행동이 Y의 한 종류라면 동사 Y는 동사 X의 상위어이다. (예: "이동"은 "여행"의 상위어)[69]
  • '''양태어'''(troponym): Y라는 행동이 특정 상황에서 X를 하는 경우라면 동사 Y는 X의 양태어이다. (예: "콧소리로 말하다"는 "말하다"의 양태어)[69]
  • '''함의'''(entailment): X를 할 때 반드시 Y를 하게 된다면 X는 Y를 함의하는 것이다. (예: "코를 골다"는 "잠자다"를 함의)[69]
  • '''등위어'''(coordinate terms): X와 Y가 동일한 상위어를 가지고 있으면 Y는 X의 등위어이다.[69]

3. 2. 3. 형용사

3. 2. 4. 부사

형용사에서 파생되었다.

4. 지식 구조

명사와 동사는 모두 상위어 또는 ''IS A'' 관계에 의해 정의된 계층 구조로 구성된다. 최상위 수준에서 이러한 계층 구조는 명사에 대해 25개, 동사에 대해 15개의 초급 "트리"로 구성된다.[6] 명사 계층 구조는 동사 계층 구조보다 훨씬 더 깊다.

예를 들어, ''개''라는 단어의 한 의미는 다음과 같은 상위어 계층 구조를 갖는다. 같은 수준의 단어는 유의어 집합 구성원을 나타낸다.


  • 개, 집개, Canis familiaris
  • * 개과 동물, 개과
  • ** 육식 동물

태반, 태반 포유류, 진수류, 진수류 포유류
* 포유류
** 척추 동물, 두개골 동물
*** 척삭 동물
동물, 생물, 야수, 짐승, 생물체, 동물군
* ...

형용사는 계층적인 트리로 구성되지 않는다. 대신 "뜨거운"과 "차가운"과 같은 두 개의 "중심" 반의어가 이진 극을 형성하고, "김이 나는"과 "쌀쌀한"과 같은 '위성' 동의어는 "유사성" 관계를 통해 각 극에 연결된다. 형용사는 "트리"가 아닌 "덤벨"로 시각화할 수 있다.

5. 심리언어학적 측면

워드넷 프로젝트의 초기 목표는 1960년대 후반에 개발된 인간의 의미 기억 이론과 일치하는 어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심리학적 실험에 따르면 화자는 개념에 대한 지식을 경제적이고 계층적인 방식으로 구성했다. 개념적 지식에 접근하는 데 필요한 검색 시간은 화자가 지식에 접근하기 위해 "횡단"해야 하는 계층의 수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화자는 카나리아가 명금이기 때문에 ''카나리아는 노래할 수 있다''는 것을 더 빨리 확인할 수 있었지만, ''카나리아는 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데는 (상위 수준에서 "새"라는 개념에 접근해야 하는 경우) 약간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고, ''카나리아는 피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데는 (최대 "동물"까지 여러 하위어 수준을 거쳐 검색해야 함) 훨씬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7]

이러한 심리언어학 실험과 기본적인 이론은 비판을 받아왔지만, 워드넷의 일부 구성은 실험적 증거와 일치한다. 예를 들어, 명칭 실어증은 화자가 특정 의미 범주, 즉 워드넷 계층에서 단어를 생성하는 능력에 선택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반의어 형용사(워드넷의 덤벨 구조에서 중심이 되는 형용사)는 우연보다 훨씬 더 자주 함께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많은 언어에서 유지되는 사실로 밝혀졌다.

6. 한계점

워드넷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 개념 표현의 한계: 일부 의미 관계는 추상적인 개념보다 구체적인 개념에 더 적합하다.
  • 어원 및 발음 정보 부재: 단어의 어원이나 발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 사용법 정보 부족: 단어 사용법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이다.
  • 전문 용어 부족: 일상적인 단어는 대부분 포함하지만, 특정 분야의 전문 용어는 많이 포함하지 않는다.
  • 지나치게 세분화된 의미: 의미 구분이 지나치게 세밀하다는 비판이 있다.
  • 비하적/공격적 단어 포함: 비하적이거나 공격적인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18] 이는 사전이나 유의어 사전 등 다른 어휘 자원에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이다.
  • 데이터베이스 수정의 어려움: 데이터베이스가 편집용 파일과 별도 도구(grind)로 생성되어 직접 수정이 어렵다.
  • 부정확한 개별 단어 정의: 비슷한 의미의 단어를 묶어 하나의 synset(유의어 집합)으로 정의하므로, 개별 단어의 정의가 항상 정확하지는 않다.

7. 응용 분야

워드넷은 단어 의미 중의성 해소, 정보 검색, 자동 텍스트 분류, 자동 텍스트 요약, 기계 번역 및 자동 십자말 풀이 생성 등 정보 시스템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워드넷의 일반적인 사용 사례는 단어 간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워드넷의 그래프 구조에서 단어와 동의어 집합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알고리즘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동의어 집합 간의 간선 수를 세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직관적으로 두 단어 또는 동의어 집합이 가까울수록 그 의미도 유사하다는 것이다. 워드넷 기반 단어 유사성 알고리즘의 일부는 WordNet::Similarity라는 펄 패키지[21]와 파이썬 패키지인 NLTK에 구현되어 있다.[22] 다른 더 정교한 워드넷 기반 유사성 기술에는 자바로 구현된 ADW가 있다.[23] 워드넷은 다른 어휘들을 상호 연결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24]

8. 관련 프로젝트 및 확장

글로벌 워드넷 협회(Global WordNet Association, GWA)는 전 세계 모든 언어의 워드넷을 논의, 공유 및 연결하기 위한 공공 및 비영리 단체이다.[26] GWA는 여러 언어 워드넷 간의 표준화를 촉진하여,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는 단어의 의미(synset, 동의어 집합)를 일관되게 나타낼 수 있도록 돕는다.

다음은 GWA에서 관리하는 전 세계 워드넷 목록의 일부이다.[27]

언어프로젝트명설명개발 기관
아랍어아랍어 워드넷(Arabic WordNet)아랍어 워드넷-
아랍어아랍어 온톨로지(Arabic Ontology)워드넷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매핑된 언어학적 온톨로지-
불가리아어BulNet(불넷)워드넷의 불가리아어 버전불가리아어 연구소(Institute for Bulgarian Language)
중국어CWN(중국어 워드넷 또는 中文詞彙網路)중국어 워드넷국립 대만 대학교(National Taiwan University)
핀란드어FinnWordNet영어 워드넷의 모든 항목을 번역한 핀란드어 버전-
독일어GermaNet(게르마넷)워드넷의 독일어 버전튀빙겐 대학교
인도의 18개 지정 언어IndoWordNet(인도워드넷)[37]아삼어(Assamese), 벵골어(Bangla), 보도어(Bodo), 구자라트어(Gujarati), 힌디어(Hindi), 칸나다어(Kannada), 카슈미르어(Kashmiri), 콘칸어(Konkani), 말라얄람어(Malayalam), 메이테이어(Meitei)(마니푸리어), 마라티어(Marathi), 네팔어(Nepali), 오디아어(Odia), 펀자브어(Punjabi), 산스크리트어(Sanskrit), 타밀어(Tamil), 텔루구어(Telugu), 우르두어(Urdu)의 연결된 어휘 지식 기반-
프랑스어JAWS (Just Another WordNet Subset)Wiktionary와 의미 공간을 사용하여 구축된 프랑스어 버전-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https://www.aclweb.org/anthology/Y11-1027.pdf WordNet Bahasa]말레이어 및 인도네시아어 워드넷난양 공과 대학교(Nanyang University of Technology)
말라얄람어말라얄람어 워드넷(Malayalam WordNet)말라얄람어 워드넷코친 과학 기술 대학교(Cochi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스페인어, 카탈루냐어, 바스크어, 갈리시아어, 포르투갈어Multilingual Central Repository (MCR)영어에 연결된 동일한 유로워드넷 프레임워크에 통합-
이탈리아어MultiWordNet(멀티워드넷)프린스턴 워드넷과 강력하게 정렬된 이탈리아어 워드넷-
네덜란드어OpenDutchWordNet네덜란드어 어휘 의미 데이터베이스-
브라질 포르투갈어OpenWN-PT원래 워드넷의 브라질 포르투갈어 버전-
폴란드어plWordNet(플워드넷)워드넷의 폴란드어 버전브로츠와프 공과 대학교(Wrocław University of Technology)
폴란드어PolNet워드넷의 폴란드어 버전 (CC BY-NC-ND 3.0 라이선스)아담 미츠키에비츠 대학교(Adam Mickiewicz University in Poznań)
프랑스어WOLF (WordNet Libre du Français)워드넷의 프랑스어 버전-



BalkaNet[30]과 EuroWordNet[33] 같은 프로젝트는 여러 유럽 언어(불가리아어, 체코어, 그리스어, 루마니아어, 터키어, 세르비아어 등)에 대한 워드넷을 제작하고 서로 연결했다. EuroWordNet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지만, Global Wordnet project(글로벌 워드넷 프로젝트)는 모든 언어에 대한 워드넷 제작 및 연결을 목표로 한다.[34] 옥스퍼드 영어 사전(Oxford English Dictionary)의 출판사인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Oxford University Press)는 자체 온라인 경쟁 워드넷을 만들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관련 프로젝트 및 확장이 존재한다.


  • 바벨넷(BabelNet):[51] 워드넷과 위키백과를 자동 매핑 알고리즘으로 통합하여 얻은 수백만 개의 개념을 가진 대규모 다국어 의미망이다.
  • SUMO(SUMO):[52] 모든 워드넷 동의어 집합과 SUMO(워드넷에 주어진 SUMO 용어에 대한 단어 의미가 포함된 경우 도메인 온톨로지 포함) 간의 완전한 수동 매핑을 제공한다.[53]
  • 오픈사이클(OpenCyc):[54] 일상적인 상식 지식의 개방형 온톨로지 및 지식 베이스로, 워드넷 동의어 집합에 연결된 12,000개의 용어를 가지고 있다.
  • DOLCE(DOLCE):[55] WonderWeb Foundational Ontologies Library(WFOL)의 첫 번째 모듈로, 철학적 전통에서 영감을 얻은 엄격한 온톨로지 원칙에 따라 언어와 인지를 명확하게 지향하여 개발되었다. OntoWordNet[56]은 워드넷의 상위 레벨과 DOLCE의 실험적 정렬 결과이다.
  • DBpedia(DBpedia):[57] 구조화된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워드넷에 연결되어 있다.
  • 확장된 워드넷(eXtended WordNet):[58] 텍사스 대학교 댈러스(University of Texas at Dallas)의 프로젝트로, 워드넷의 주석을 의미적으로 분석하여 지식 처리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하게 한다. 워드넷과 유사한 라이선스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 GCIDE: 퍼블릭 도메인인 1913년 웹스터 사전(Webster's Dictionary)을 일부 워드넷 정의 및 자원 봉사자가 제공한 자료와 결합하여 사전을 제작했다. GPL로 배포된다.
  • 이미지넷(ImageNet): 워드넷 계층 구조(현재는 명사만 해당)에 따라 구성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로, 각 노드는 수백만 개의 이미지로 묘사된다.[59]
  • SentiWordNet: 의견 마이닝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한 자원으로, 모든 워드넷 3.0 동의어 집합에 긍정성, 부정성, 중립성 정도를 태깅하여 얻었다.[63]
  • 프레임넷(FrameNet): 워드넷과 유사점을 공유하고 참조하는 어휘 데이터베이스이다.
  • 어휘 마크업 프레임워크(LMF): 워드넷을 포함한 어휘집 구축을 위한 공통 표준 프레임워크를 정의하기 위해 ISO/TC37 내에서 지정된 ISO 표준이다.

8. 1. 라이선스

워드넷은 BSD 스타일의 오픈 소스 라이선스로 배포된다. 프린스턴 대학교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 및 환경을 사용하여 워드넷에 접근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목록을 제공한다.[25]

오픈 멀티링구얼 워드넷[20]은 다양한 언어로 된 오픈 소스 라이선스 워드넷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며, 이들은 모두 영어의 프린스턴 워드넷(PWN)에 연결되어 있다.

워드넷 데이터베이스는 다음 소프트웨어를 위한 사전 패키지(일반적으로 단일 파일)로 배포된다.

  • 바빌론[65]
  • 골든딕트(GoldenDict)[66]
  • 링고스[67]
  • [https://lexsemantic.com 렉스시맨틱(LexSemantic)]

참조

[1] 웹사이트 WordNet News https://wordnet.prin[...]
[2] 웹사이트 WordNet Search - 3.1 http://wordnetweb.pr[...]
[3] 논문 WordNet: An online lexical database 1990
[4] 웹사이트 WordNets in the World http://globalwordnet[...] 2020-01-19
[5] 웹사이트 About Global WordNet Association http://globalwordnet[...] 2020-01-19
[6] 웹사이트 WordNet Statistics http://wordnet.princ[...] Wordnet.princeton.edu 2018-06-22
[7] 논문 Experiments on Semantic Memory and Language Comprehension Wiley, New York 1972
[8] 웹사이트 Integration of WordNet 1.7 in WebKB-2 http://www.webkb.org[...] Webkb.org 2014-03-11
[9] 서적 The OntoWordNet Project: Extension and Axiomatization of Conceptual Relations in WordNet http://www.w3.org/20[...]
[10] 간행물 Restructuring WordNet's Top-Level: The OntoClean approach 2002
[11] 학술지 Lexical Perspective on Wordnet to Wordnet Mapping 2018
[12] 학술지 Linking and Extending an Open Multilingual Wordnet https://www.aclweb.o[...] 2020-01-20
[13] 학술지 Challenges for a multilingual wordnet 2012
[14] 논문 Word Sense Disambiguation: A Survey http://www.dsi.uniro[...] 2009
[15] 간행물 Clustering WordNet Word Senses 2003
[16] 간행물 Meaningful Clustering of Senses Helps Boost Word Sense Disambiguation Performance http://acl.ldc.upenn[...] 2006
[17] 간행물 Learning to Merge Word Senses http://www.aclweb.or[...] 2007
[18] 웹사이트 The viral selfie app ImageNet Roulette seemed fun – until it called me a racist slur http://www.theguardi[...] 2022-10-14
[19] 논문 A survey of wordnets and their licenses http://web.mysites.n[...] 2012
[20] 웹사이트 Open Multilingual Wordnet http://compling.hss.[...] 2018-04-10
[21] 웹사이트 Ted Pedersen - WordNet::Similarity http://www.d.umn.edu[...] D.umn.edu 2014-03-11
[22] 문서 NLP using Python NLTK https://likegeeks.co[...]
[23] 논문 Align, Disambiguate and Walk: A Unified Approach for Measuring Semantic Similarity. http://wwwusers.di.u[...] 2013
[24] 학술지 Linking geographic vocabularies through WordNet 2014
[25] 웹사이트 Related projects - WordNet - Related projects http://wordnet.princ[...] Wordnet.princeton.edu 2018-06-22
[26] 웹사이트 globalwordnet.org http://www.globalwor[...] globalwordnet.org 2014-03-11
[27] 웹사이트 Wordnets in the World http://www.globalwor[...]
[28] 간행물 The Arabic WordNet Project 2006
[29] 학술지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Arabic WordNet coverage and usability 2013
[30] 논문 Balkanet: Aims, methods, results and perspectives. A general overview http://www.racai.ro/[...] 2004
[31] 웹사이트 BulNet http://dcl.bas.bg/Bu[...] dcl.bas.bg 2015-05-07
[32] 문서 Chinese Wordnet (中文詞彙網路) official page http://lope.linguist[...] National Taiwan University
[33] 서적 EuroWordNet: A Multilingual Database with Lexical Semantic Networks Kluwer, Dordrecht, The Netherlands 1998
[34] 웹사이트 The Global WordNet Association http://www.globalwor[...] Globalwordnet.org 2014-01-05
[35] 웹사이트 FinnWordNet – The Finnish WordNet - Department of General Linguistics http://www.ling.hels[...] Ling.helsinki.fi 2014-01-05
[36] 웹사이트 GermaNet http://www.sfs.uni-t[...] Sfs.uni-tuebingen.de 2014-03-11
[37] 간행물 IndoWordNet 2010-05
[38] 논문 JAWS : Just Another WordNet Subset http://www.iro.umont[...] 2010
[39] 웹사이트 Website http://malayalamword[...]
[40] 웹사이트 MCR 3.0 | Adimen http://adimen.si.ehu[...] Adimen.si.ehu.es 2022-03-21
[41] 논문 MultiWordNet: Developing an aligned multilingual database http://multiwordnet.[...] 2002
[42] 웹사이트 Open Dutch WordNet http://wordpress.let[...] Wordpress.let.vupr.nl 2015-10-28
[43] 웹사이트 arademaker/openWordnet-PT — GitHub https://github.com/a[...] Github.com 2014-01-05
[44] 웹사이트 official webpage http://plwordnet.pwr[...]
[45] 웹사이트 official webpage http://www.ltc.amu.e[...]
[46] 웹사이트 Русский WordNet http://www.pgups.ru/[...] Pgups.ru 2014-01-05
[47] journal Russian WordNet From UML-notation to Inter net/Intranet Database Implementation http://hnk.ffzg.hr/b[...] 2003
[48] 웹사이트 RussNet: Главная страница http://project.phil.[...] Project.phil.spbu.ru 2014-03-11
[49] 웹사이트 UWN: Towards a Universal Multilingual Wordnet - D5: Databases and Information Systems (Max-Planck-Institut für Informatik) http://www.mpi-inf.m[...] Mpi-inf.mpg.de 2011-08-14
[50] 논문 Building a free French wordnet from multilingual resources http://alpage.inria.[...] 2008
[51] 논문 BabelNet: Building a Very Large Multilingual Semantic Network http://www.aclweb.or[...] 2010-07-11–16
[52] 논문 Toward a Standard Upper Ontology: A large ontology for the Semantic Web and its applications https://www.research[...] 2001
[53] 논문 Linking Lexicons and Ontologies: Mapping WordNet to the Suggested Upper Merged Ontology https://www.research[...] 2003
[54] 논문 Mapping Ontologies into Cyc http://www.cyc.com/d[...] 2002
[55] 간행물 WonderWeb Deliverable D17. The WonderWeb Library of Foundational Ontologies and the DOLCE ontology http://www.loa-cnr.i[...] 2002-08-15
[56] 간행물 Sweetening WordNet with DOLCE http://www.loa-cnr.i[...] 2003
[57] 논문 DBpedia – A crystallization point for the Web of Data http://www.wiwiss.fu[...] 2009
[58] 논문 WordNet 2 – A Morphologically and Semantically Enhanced Resource http://www.ldc.upenn[...] 1999
[59] 논문 ImageNet: A Large-Scale Hierarchical Image Database https://nlpainter.go[...]
[60] 논문 Building a BIOWORDNET by Using WORDNET’s Data Formats and WORDNET’s Software Infrastructure – A Failure Story http://www.aclweb.or[...] 2008
[61] 논문 Large-Scale Taxonomy Mapping for Restructuring and Integrating Wikipedia http://ijcai.org/pap[...] 2009-07-14-17
[62] 논문 Knowledge-rich Word Sense Disambiguation rivaling supervised systems https://aclanthology[...] 2010
[63] 논문 SentiWordNet 3.0: An Enhanced Lexical Resource for 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http://nemis.isti.cn[...] 2010
[64] 서적 Wordnet-LMF: a standard representation for multilingual wordnets ISTE / Wiley 2013
[65] 웹사이트 Babylon WordNet http://www.babylon.c[...] Babylon.com 2014-03-11
[66] 웹사이트 GoldenDict - Browse /dictionaries at Sourceforge.net http://sourceforge.n[...] Sourceforge.net 2010-12-01
[67] 웹사이트 Lingoes WordNet http://www.lingoes.n[...] Lingoes.net 2007-11-16
[68] 논문 Development of Japanese WordNet http://compling.hss.[...] 2008
[69] 웹인용 WNSTATS(7WN) manual page https://web.archive.[...] 2008-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