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워싱턴 육군 군관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워싱턴 육군 군관구(MDW)는 미국 육군의 주요 사령부 중 하나로, 수도 방위, 의전 및 행사 지원, 부대 지원을 주요 임무로 한다. 1862년 워싱턴 군사 지구로 창설되어 남북 전쟁 당시부터 존재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서비스 및 지원 사령부로 재편성되었다. 현재 포트 맥네어, 포트 마이어 등 여러 시설을 관할하며, 육군 군악대, 제3보병연대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워싱턴 D.C.의 부대 - 미국 육군 공병대
    미국 육군 공병대는 미국 독립 전쟁까지 역사를 가진 육군 기술 부대로, 군사 건설, 토목 공사, 전투 공병 지원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국토 안보, 기반 시설 지원, 수자원 관리, 환경 보호 등에 기여한다.
  • 워싱턴 D.C.의 부대 - 해병대 시설사령부
    해병대 시설사령부는 미국 해병대 시설을 지휘하고 지원하는 조직으로, 동부, 서부, 태평양 시설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콴티코 해병대 기지 시설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
  • 1921년 설립 - 애들레이드 공항
    애들레이드 공항은 오스트레일리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애들레이드에 위치한 국제 공항으로, 1921년 비행장으로 시작하여 시설 확장을 거쳐 국제선, 국내선, 화물 노선을 운영하며 노선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 1921년 설립 - 경복고등학교
    경복고등학교는 1921년 개교한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근대 중등교육기관 중 하나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명문 고등학교이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워싱턴 육군 군관구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미국 육군 워싱턴 군관구 견장 소매 휘장
미국 육군 워싱턴 군관구 견장 소매 휘장
별칭수도의 수호자 (Sudoui Suhoja)
모토Haec Protegimus (헤크 프로테기무스)
모토 (번역)"이것을 우리가 지킨다" (Igeoseul Uriga Jikinda)
위치포트 레슬리 J. 맥네어, 워싱턴 D.C. (Poteu Reseulli J. Maekneeo, Washington D.C.)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Gongsik Webssaiteu)
특징적 부대 휘장
특징적 부대 휘장
일반 정보
국가미국 (Migung)
군 종류미국 육군 (Migung Yukgun)
유형육군 사령부 (Yukgun Saryeongbu)
창설일1862년 3월 12일 (1862nyeon 3wol 12il)
해체일1869년 (1869nyeon)
재창설일1921년 (1921nyeon)
지휘 구조JFHQ-NCR (Sudogwon Habdong Bonbu)
현재 사령관트레버 J. 브레덴캄프 소장 (Teurebeo J. Beuredeunkampeu Sojang)
이전 사령관해리 힐 밴드홀츠, 존 T. 콜 (Haeri Hil Baendeuholcheu, Jon T. Kol)

2. 역사

워싱턴 육군 군관구(MDW)는 1862년 3월 12일 워싱턴 군사 지구로 창설되면서 미국 남북 전쟁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컬럼비아 특별구,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 메릴랜드주 포트 워싱턴 지역을 포함했으며, 제임스 S. 와즈워스 장군이 지휘했다.[1] 1863년 2월 2일 워싱턴 군관구의 일부가 되어 제22 군단의 지휘를 받다가 1869년에 해체되었다.

1921년 전쟁부가 워싱턴 지구를 창설하면서 MDW는 재편성되었다. 현재 MDW는 육군의 주요 사령부 중 하나이며, 포트 맥네어와 포트 마이어 등이 주요 시설로 포함되어 있다. 1927년 워싱턴 지구가 해체되면서 제16 보병 여단 사령관이 포트 헌트에서 군사 의식을 수행하고 수도 주둔 군인들의 규율을 관리하는 책임을 맡았다.

1942년,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지 약 5개월 후, 전쟁부는 수도의 지상 방어를 계획하기 위해 미국 육군 워싱턴 군관구를 창설했다. 당시 MDW는 워싱턴 국립공항 근처 버지니아주 그래블리 포인트의 "임시" 건물에 본부를 두었다가, 1960년대 초 워싱턴 D.C.의 사우스웨스트 세컨드 스트리트로 이전했고, 1966년에는 포트 레슬리 J. 맥네어로 이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MDW는 점진적으로 서비스 및 지원 사령부로 재편성되었다. 주요 책임 중 하나는 육군 본부 사령관을 통해 펜타곤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었고, 미국 육군 군악대 "퍼싱의 부대"도 의전 임무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제3 미국 보병 연대(구 경비대)는 독일에서 해체되었다가 1948년에 재활성화되어 MDW에 배속, 사령부의 전술 및 의전 임무를 수행했다.

MDW는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시설과 지원 책임을 얻고 잃었다. 빈트 힐 농장, 알링턴 홀 기지, 월터 리드 육군 의료 센터 등이 한때 MDW의 일부였으며, 캐머론 기지와 데이비슨 육군 비행장은 1950년대에 MDW에 합류했다. 1980년 MDW는 알링턴 국립 묘지 관리 및 일상 운영 책임을 맡았다.

1987년 펜타곤 지원 책임이 이전되고, 1988년 포트 벨보어가 주요 부속 사령부가 되었다. 1992년 데이비슨 항공 사령부는 작전 지원 항공 수송 사령부로 재편되어 미국 전역의 고정익 육군 항공기 지원과 국립 수도 지역 육군 지도부 및 고위 관리 대상 회전익(헬리콥터) 지원을 담당하게 되었다.

1993년 4월, MDW는 MACOM 참모를 재편성했고, 포트 마이어 군사 공동체는 포트 마이어, 맥네어, 캐머론 기지 지원을 위한 주둔군 참모를 구성했다. 같은 해 10월 1일, 포트 미드, 포트 리치, A.P. 힐이 MDW 시설에 합류하여 규모가 두 배 이상 증가했다. 1995년 9월 30일 캐머론 기지가 폐쇄되고, 대부분의 조직은 포트 벨보어 또는 포트 마이어로 이전되었다.

1997년 10월 6일, 뉴욕주 포트 해밀턴이 미국 육군 군사 사령부에서 MDW로 이전되었다. 2010년 6월 10일, 육군 장관 존 M. 맥휴는 알링턴 국립 묘지 관리 및 일상 운영에 대한 MDW의 책임을 철회했지만, MDW는 여전히 장례식 의전 지원과 무명 용사의 묘 경비를 유지하고 있다.

2. 1. 기원 (남북전쟁 시기)

남북 전쟁 중이던 1861년 4월 10일, 현재의 워싱턴 군관구, 버지니아 알렉산드리아, 메릴랜드주 포트 워싱턴을 포함한 지역이 워싱턴 군관구였다.[1] 1862년 3월 12일, 워싱턴 군사 지구가 창설되면서 남북 전쟁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컬럼비아 특별구,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 메릴랜드주 포트 워싱턴 지역을 포함했다. 초대 사령관은 제임스 S. 와즈워스 장군이었다.[1] 1863년 2월 2일부터 1865년 6월 27일까지 북군 워싱턴 지부 예하 제22군단의 지역대가 되었고, 1869년에 폐지되었다.

2. 2. 재창설 및 발전 (20세기 초)

1921년 전쟁부는 워싱턴 군관구(MDW)를 다시 창설했다. 메릴랜드주의 포트 워싱턴, 버지니아주의 포트 헌트와 포트 마이어를 관할 시설로 지정하였다.

1927년 워싱턴 지구가 해체되면서 제16 보병 여단의 사령관이 포트 헌트에서 군사 의식을 수행하고 수도에 주둔한 군인들의 규율을 관리하는 책임을 맡게 되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육군성은 제2차 세계 대전에 미국이 참전한 지 약 5개월 후인 1942년에 수도의 지상 방어를 계획하기 위해 미국 육군 워싱턴 군관구를 창설했다.[1] 이 당시 미국 육군 워싱턴 군관구는 워싱턴 국립공항 근처 버지니아주그래블리 포인트의 "임시" 건물에 본부를 두었다. 1960년대 초에는 워싱턴 D.C.의 사우스웨스트 세컨드 스트리트로 이전했고, 1966년에는 현재의 본부인 워싱턴 D.C.의 포트 레슬리 J. 맥네어로 이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미국 육군 워싱턴 군관구는 점진적으로 서비스 및 지원 사령부로 재편성되었다. 이 시기 미국 육군 워싱턴 군관구의 주요 책임 중 하나는 육군 본부 사령관을 통해 새로 건설된 펜타곤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미국 육군 군악대 "퍼싱의 부대"(Pershing's Own) 또한 이 기간 동안 사령부의 의전 임무에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2. 4. 전후 재편 및 현대화

1948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 연방 공화국에서 해산되었던 제3보병연대(올드가드)가 재편성되어 워싱턴 육군 군관구에 배속되었다. 이들은 육군 사령부의 전술적 임무와 의전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1]

워싱턴 육군 군관구의 임무는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시설과 부대가 편입, 제외, 재편입되었다. 버지니아주의 빈트힐 팜스 기지(1997년 폐지, 1999년 철거), 알링턴 홀, 워싱턴 D.C.의 월터 리드 육군 의료 센터(2011년 8월 27일 폐지)도 한때 워싱턴 육군 군관구의 지휘 아래 있었다.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 근처의 캐머런 기지(1995년 폐지)와 데이비슨 육군 비행장은 1950년에 워싱턴 육군 군관구 지휘하에 들어갔다.

1980년, 워싱턴 육군 군관구는 알링턴 국립 묘지의 관리와 일상 업무, 그리고 육군 사령부가 실시해 온 의식 지원을 이관받았다.

1987년, 워싱턴 육군 군관구가 수행해 온 펜타곤에 대한 업무 지원은 소관 사무에서 제외되었다. 1988년에는 포트 벨보어가 워싱턴 육군 군관구의 주요 하위 사령부가 되었다.

1992년, 워싱턴 육군 군관구 데이비슨 항공 사령부가 작전 지원 공수 사령부로 개편되어, 미국 전역에서 고정익기에 의한 육군 항공 지원을 통괄했다. 또한, 수도권에서 육군 간부와 고위 공무원에 대한 헬리콥터 지원을 수행하게 되었다.

1993년 4월, 워싱턴 육군 군관구는 사령부 조직을 개편하여, 포트 마이어 군사 커뮤니티 내에 포트 마이어, 포트 레슬리 J. 맥네어, 캐머런 기지를 지원하는 주둔지 참모의 직책을 설치했다. 10월 1일에는 메릴랜드주의 포트 미드와 포트 리치, 버지니아주의 포트 A.P. 힐이 워싱턴 육군 군관구의 지휘하에 들어갔다. 이로 인해 워싱턴 육군 군관구의 관할 구역은 9802acre에서 91889acre로 크게 증가했고, 사령부 요원이 2배 이상이 되었다. 또한 워싱턴 육군 군관구 시설에 근무하는 군인과 문관의 인원도 16,166명에서 61,531명으로 증가했다.

캐머런 기지는 1995년 9월 30일에 정식으로 폐지되었고, 대부분의 부대는 포트 벨보어나 포트 마이어로 이관되었다.

뉴욕주의 포트 해밀턴은 1997년 10월 6일에 미국 육군 사령부에서 워싱턴 육군 군관구로 이관되었으며, 현재 워싱턴 육군 군관구가 관리하는 시설 중 가장 최신 시설이 되었다. 포트 해밀턴은 1825년에 개설되었으므로, 2022년 시점에서는 197년이 경과했다.

2010년 6월 10일, 미국 육군 장관인 존 M. 맥휴는 알링턴 국립 묘지의 관리와 일상 업무를 워싱턴 육군 군관구에서 제외했다. 그러나 여전히 워싱턴 육군 군관구는 알링턴 국립 묘지에서의 군장 의식 지원과 무명 용사의 묘 경호 임무를 담당하고 있다.

2020년 9월 28일, 장병회복부대가 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5]

3. 조직

워싱턴 육군 군관구는 의전, 군악, 수송, 항공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를 지휘한다.[2][4]

주요 지휘 부대는 다음과 같다:


  • 미국 육군 군악대 ("퍼싱스 오운")
  • 미국 육군 야전 군악대
  • 제3보병연대 ("올드 가드")
  • 미국 육군 수송국
  • 육군 항공 여단


제3보병연대에는 제2대대가 전투 부대로 편성되어 있으나, 제2보병사단 제1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단의 지휘를 받는다.

3. 1. 예하 부대

워싱턴 육군 군관구의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2][4]

  • 미국 육군 군악대 "Pershing's Own"
  • 미국 육군 야전 군악대
  • 제3보병연대 "The Old Guard"
  • * 연대 본부 및 본부 중대
  • ** 마차 소대
  • ** 총사령관 경비대
  • ** 대륙 깃발 경비대
  • ** 올드 가드 피프 앤 드럼 군단
  • ** 대통령 예포대
  • ** 무명 용사의 묘 경비병
  • ** 미국 육군 의장대
  • * 제1대대 (보병)
  • ** 제1대대 본부 및 본부 중대
  • ** B 중대
  • ** C 중대
  • ** D 중대
  • ** H 중대
  • ** 제1대대 군종 참모
  • * 제4대대 (의장)
  • ** 제4대대 본부 및 본부 중대
  • ** 제529 연대 지원 중대
  • ** A 중대
  • ** 명예 경비 중대
  • ** 제289 군사 경찰 중대
  • ** 연대 피프 앤 드럼 군단
  • 미국 육군 수송국
  • 육군 항공 여단(The Army Aviation Brigade영어)
  • * 미국 육군 우선 항공 수송 (제트) 파견대
  • * 제12항공대대
  • ** 제911공병중대
  • * 중요항공수송대 (USAPAT)
  • ** 유럽 지역 비행분견대, 람슈타인 공군기지
  • ** 태평양 비행분견대, 히캄 공군기지
  • * 육군 항공 여단 비행장 사단
  • 장병회복여단 (SRB-NCR) - 버지니아주, 포트 벨보어
  • 미국 육군 의무부처 - 매릴랜드주 포트 조지 G. 미드
  • * 킴브로 외래진료원
  • 합동방공작전센터 (JADOC)


제3보병연대에는 전투 부대로 제2대대가 편성되어 있지만, 제2보병사단 제1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단의 지휘를 받는다.

3. 2. 작전 통제 시설


  • 포트 A.P. 힐
  • 포트 마이어
  • 포트 레슬리 J. 맥네어
  • 포트 벨보어
  • 포트 해밀턴
  • 포트 조지 G. 미드
  • 제24군사경찰분견대
  • * 제2대량파괴무기분견대
  • 리반나 기지
  • * FBVA 북부지역
  • 제212군사경찰분견대

4. 주요 임무

1942년에 미국 육군 워싱턴 군관구로 개편된 이래, 특별 행사 및 의식의 보호와 시행을 담당해 왔다. 또한 워싱턴 D.C. 내에서 국장이 허가된 모든 사람의 국장과, 유족의 조언과 동의 하에 워싱턴 D.C. 이외의 장소에서 거행되는 국장의 계획 및 실행도 담당한다.[1]

4. 1. 의전 및 행사 지원

워싱턴 육군 군관구는 전직 대통령을 포함한 국장을 조직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1942년에 미국 육군 워싱턴 군관구로 개편된 이래, 특별 행사 및 의식의 보호와 시행을 담당해 왔다. 이러한 행사 및 의식에는 1945년 1월 20일에 거행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4번째 대통령 취임식도 포함된다. 또한, 미국 육군 워싱턴 군관구는 워싱턴 D.C. 내에서 국장이 허가된 모든 사람의 국장도 담당한다. 전 대통령이나 상원의원, 하원의원, 기타 고위 관료가 그 대상이 된다. 미국 육군 워싱턴 군관구는 유족의 조언과 동의 하에, 워싱턴 D.C. 이외의 장소에서 거행되는 국장의 계획 및 실행도 담당한다. 이 예로, 1994년 4월 뇌졸중으로 사망한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생가에서 거행된 국장이 있다.

5. 역대 사령관

번호사진이름취임일퇴임일임기
--제임스 S. 워즈워스1862년 3월 17일1862년 9월 7일
--해리 힐 반돌츠1921년 9월 1일1923년 11월 4일
--해밀턴 S. 호킨스 3세1923년 11월 5일1924년 2월 12일
--새뮤얼 로켄바흐1924년 2월 12일1927년 7월 12일
--조지 C. 반하트1927년 7월 31일1927년 9월 23일
--가이 V. 헨리 (대령)1927년 9월 23일1927년 9월 30일
--토머스 Q. 도널드슨1927년 10월 1일1927년 12월 21일
허버트 O. 윌리엄스1927년 12월 21일1930년 5월 6일
--알프레드 T. 스미스 (대령)1930년 5월 6일1930년 10월 7일
--에드가 T. 콜린스1930년 10월 7일1932년 2월 1일
제임스 M. 페티 (대령)1932년 2월 1일1932년 4월 1일
--페리 L. 마일스1932년 4월 1일1936년 4월 1일
--찰스 D. 로버츠1936년 4월 1일1936년 9월 12일
--로렌조 D. 가서1936년 10월 26일1937년 8월 31일
--존 T. 루이스 (소장)1942년 5월 14일1944년 9월 6일
--찰스 F. 톰슨 (소장)1944년 9월 6일1945년 7월 14일
--로버트 N. 영 (준장)1945년 7월 14일1946년 6월 15일
--클로드 B. 페렌바우 (준장)1946년 6월 15일1947년 11월 6일
--호바트 R. 게이 (소장)1947년 11월 6일1949년 8월 6일
--존 T. 콜 (대령)1949년 8월 6일1950년 2월 28일
--토머스 W. 헤렌 (소장)1950년 3월 1일1952년 3월 8일
--에드윈 K. 라이트 (소장)1952년 3월 8일1954년 2월 26일
--존 H. 스토크스 주니어 (소장)1954년 4월 15일1956년 2월 5일
--존 G. 반 호튼 (소장)1956년 2월 6일1959년 5월
--찰스 K. 게일리 주니어 (소장)1959년 5월1961년 5월
--폴 A. 가반 (소장)1961년 5월1963년 7월
--필립 C. 웨일 (소장)1963년 8월1965년 8월
--커티스 J. 헤릭 (소장)1965년 10월 2일1967년 5월 31일
--찰스 S. 오말리 주니어 (소장)1967년 6월 1일1969년 9월 1일
--롤랜드 M. 글레저 (소장)1969년 9월 1일1972년 4월
--제임스 B. 애덤슨 (소장)1972년 5월 1일1973년 11월 12일
120px
프레데릭 E. 데이비슨 (소장)1973년 11월 12일1974년 9월 22일
--로널드 J. 페어필드 주니어 (소장)1974년 9월 22일1975년 8월 1일
--로버트 G. 예르크스 (소장)1975년 8월 1일1977년 7월 15일
--케네스 E. 도흘먼 (소장)1977년 8월 1일1979년
--로버트 아터 (소장)1979년1981년
--제리 R. 커리 (소장)1981년1983년
--존 L. 발렌타인 3세 (소장)1983년1986년
--도널드 C. 힐버트 (소장)1986년1990년
120px
윌리엄 F. 스트리터 (소장)1990년1993년 5월 20일
--프레드 A. 고든 (소장)1993년 5월 20일1995년 8월 29일
--로버트 F. 폴리 (소장)1995년 8월 29일1998년 8월 13일
--로버트 R. 이바니 (소장)1998년 8월 13일2000년 7월 28일
--제임스 T. 잭슨 (소장)2000년 7월 28일2003년
120px
갈렌 B. 잭먼 (소장)2003년2005년 7월 21일
--가이 C. 스완 3세 (소장)2005년 7월 21일2007년 6월 5일
--리처드 J. 로 주니어 (소장)2007년 6월 5일2009년 6월 23일
--칼 R. 호르스트 (소장)2009년 6월 23일2011년 6월 3일
--마이클 리닝턴 (소장)2011년 6월 3일2013년 6월 24일
--제프리 S. 뷰캐넌 (소장)2013년 6월 24일2015년 6월 9일
--브래들리 베커 (소장)


6. 한국과의 관계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어야 '한국과의 관계' 섹션 내용을 작성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수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서적 Eicher, p. 547
[2] 웹사이트 The U.S. Army Military District of Washington https://mdwhome.mdw.[...] 2019-11-22
[3] 서적 Eicher, p. 547
[4] 웹사이트 The U.S. Army Military District of Washington https://mdwhome.mdw.[...] 2019-11-22
[5] 뉴스 Warrior Transition Units become Soldier Recovery Units https://www.army.mil[...] United States Army Public Affairs Office 2020-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