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근 왜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근 왜곡은 사물이나 장면의 시각적 인식을 의도적으로 변형하거나 과장하는 기법으로, 예술, 건축, 사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고대 미술부터 르네상스 시대의 선 원근법 정립, 20세기 사진 및 현대 미술에서의 광각 및 망원 렌즈 사용에 이르기까지, 원근 왜곡은 시각적 표현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광학적 원리에 따르면 렌즈와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이미지의 크기와 깊이가 왜곡되며, 촬영 화각과 관찰 거리에 따라서도 왜곡의 정도가 달라진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예술가들은 특정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현실을 비판적으로 묘사하며, 영화에서는 특수 효과를 통해 시각적 흥미를 더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진 기법 - 망점
    망점은 회색조 또는 컬러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해 이미지를 다양한 크기의 점으로 분해하는 기법으로, 19세기 후반부터 기술이 발전하여 디지털 망점 기술로 대체되었으며, 현재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역망점 기술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사진 기법 - 홀로그래피
    홀로그래피는 빛의 간섭과 회절 현상을 이용해 3차원 영상을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술이며, 의료,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보안 분야에서 위조 방지 수단으로 사용되지만, 실제 홀로그래피가 아닌 유사 기술도 존재한다.
원근 왜곡

2. 역사

원근 왜곡은 사물이나 장면의 변형되거나 과장된 시각을 만들어내는 의도적인 기법을 통해 시각적 인식을 조작하는 것을 말하며, 이 개념은 수세기 동안 예술가, 건축가, 과학자들을 매료시켜 왔고 시각 문화와 광학 이론의 발달과 함께 진화해 왔다.

2. 1. 고대 및 중세

고대 이집트 미술과 메소포타미아 미술에서는 복합 원근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시점을 하나의 장면에 혼합함으로써 상징적이거나 위계적인 의미를 전달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현실감보다는 중요성을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사물이나 인물은 문화적 또는 서사적 틀에 맞게 왜곡되는 경우가 많았다.

2. 2. 르네상스 시대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 선 원근법이 정립된 것은 원근 왜곡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필리포 브루넬레스키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와 같은 인물들이 선구적으로 개척한 선 원근법은 평평한 표면에 깊이감을 표현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공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알브레히트 뒤러와 같은 예술가들은 이 기법을 완벽하게 익혔지만, 다른 예술가들은 그 한계를 실험하기 시작했다. 특정 각도에서 보지 않으면 왜곡된 이미지가 나타나는 형태의 원근 왜곡인 아나몰포시스가 이 시기에 등장했다. 한스 홀바인 (젊은이)의 대사들 (1533)은 이 기법을 사용하여, 비스듬히 보았을 때만 보이는 왜곡된 해골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삶의 덧없음을 상징한다.

2. 3. 현대

20세기에는 사진과 현대 미술에서 원근 왜곡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광각 렌즈망원 렌즈를 사용하여 과장되거나 압축된 시각을 만들어냈다. 앙드레 케르테츠와 같은 사진가들은 왜곡을 이용하여 감정적 또는 심리적 반응을 불러일으켰고, 살바도르 달리와 같은 초현실주의자들은 원근법을 왜곡하여 현실 자체에 도전했다. 프레드 리먼의 『숨겨진 이미지: 지각의 게임』은 원근 왜곡이 "유쾌한 전복"을 위해 어떻게 사용되는지, 즉 시청자에게 시각적 가정을 질문하고 적극적인 해석 과정에 참여하도록 장려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3. 광학적 원리

원근 왜곡은 이상적인 가우스 광학 시스템에서 얇은 렌즈 방정식과 배율을 통해 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 1. 얇은 렌즈 방정식

이상적인 가우스 광학 시스템에서 이미지와 물체가 동일한 매질에 있을 때, 초점이 맞춰진 물체의 경우 렌즈와 이미지 평면 사이의 거리 s_\mathrm{i}, 렌즈와 물체 사이의 거리 s_\mathrm{o}, 초점 거리 f는 얇은 렌즈 방정식에 의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rac{1}{s_\mathrm{i}} + \frac{1}{s_\mathrm{o}} = \frac{1}{f}\,.

횡 방향 배율 M은 다음과 같다.

:M = \frac{s_\mathrm{i}}{s_\mathrm{o}}\,.

s_\mathrm{o}에서의 물체의 ''축 방향 배율'' M_\text{ax}는 렌즈-물체 거리 s_\mathrm{o}가 변함에 따라 렌즈-이미지 거리 s_\mathrm{i}가 변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유한한 깊이를 가진 물체의 경우, 이미지의 깊이와 물체의 깊이의 비율로 축 방향 배율을 생각할 수 있다.

:\begin{align}

M_\text{ax} &= \left| \frac{\mathrm{d}s_\mathrm{i}}{\mathrm{d}s_\mathrm{o}} \right| = \left| \frac{\mathrm{d}}{\mathrm{d}s_\mathrm{o}} \left(\frac{1}{f} - \frac{1}{s_\mathrm{o}}\right)^{-1} \right| \\

&= \left| -\left(\frac{1}{f} - \frac{1}{s_\mathrm{o}}\right)^{-2} s_\mathrm{o}^{-2} \right| \\

&= \frac{s_\mathrm{i}^2}{s_\mathrm{o}^2} = M^2\,.

\end{align}

배율이 증가하면 축 방향 배율 대 횡 방향 배율의 비율도 증가한다. 예를 들어 M = 2이면 M_\text{ax} = 4가 되며, 이미지의 높이는 물체의 두 배, 깊이는 네 배가 된다.

3. 2. 배율

이상적인 가우스 광학 시스템에서 이미지와 물체가 동일한 매질에 있을 때, 초점이 맞춰진 물체의 횡 방향 배율 M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M = \frac{s_\mathrm{i}}{s_\mathrm{o}}\,.

여기서 s_\mathrm{i}는 렌즈와 이미지 평면 사이의 거리, s_\mathrm{o}는 렌즈와 물체 사이의 거리이다.

s_\mathrm{o}에서의 물체의 축 방향 배율 M_\text{ax}는 렌즈-물체 거리 s_\mathrm{o}가 변함에 따라 렌즈-이미지 거리 s_\mathrm{i}가 변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유한한 깊이를 가진 물체의 경우, 이미지 깊이와 물체 깊이의 비율로 평균 축 방향 배율을 생각할 수 있다. 축 방향 배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begin{align}

M_\text{ax} &= \left| \frac{\mathrm{d}s_\mathrm{i}}{\mathrm{d}s_\mathrm{o}} \right| \\

&= \left| \frac{\mathrm{d}}{\mathrm{d}s_\mathrm{o}} \left(\frac{1}{f} - \frac{1}{s_\mathrm{o}}\right)^{-1} \right| \\

&= \left| -\left(\frac{1}{f} - \frac{1}{s_\mathrm{o}}\right)^{-2} s_\mathrm{o}^{-2} \right| \\

&= \frac{s_\mathrm{i}^2}{s_\mathrm{o}^2} = M^2\,.

\end{align}

여기서 f는 초점 거리이다.

배율이 증가하면 축 방향 배율 대 횡 방향 배율의 비율도 증가한다. 예를 들어, M = 2이면 M_\text{ax} = 4가 되어, 이미지의 높이는 물체의 두 배, 깊이는 네 배가 된다.

4. 영향 요인

원근 왜곡은 카메라가 이미지를 캡처하는 화각과 피사체의 사진이 제시되거나 보여지는 화각, 이 두 가지 요인 간의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2개의 양초를 근거리와 원거리에서 촬영했을 때의 차이(양초 A와 B의 크기 비율이 다르다. 실제로는 실상이 도립된다).


압축 효과는 피사체군에서 멀어질수록 강해지는 효과이며, 망원 렌즈를 사용하면 압축 효과가 강하게 나타나는 부분을 확대할 수 있다. 흔히 "망원 렌즈(초점 거리의 길이)에 의한 효과"나 "화각에 의한 효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렌즈의 초점 거리에 의한 효과가 아니다. 표준 렌즈광각 렌즈로도 피사체군에서 멀어지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망원 렌즈와 광각 렌즈로 같은 위치에서 같은 피사체를 촬영하고, 망원 렌즈로 촬영한 이미지와 동일한 화각이 되도록 광각 렌즈로 촬영한 이미지의 주변부를 잘라내면 초점 거리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미지 센서의 크기가 다른 경우, 같은 초점 거리의 렌즈라도 더 작은 이미지 센서를 탑재한 카메라가 화각이 좁아지지만, 이 경우에도 배경과 피사체의 크기 비율은 같기 때문에 화각에도 의존하지 않는다.

일상생활에서 압축 효과를 볼 수 있는 예는 프로야구 중계이다. 투수 마운드에서 홈 베이스까지는 약 18.29m 6인치(약 18.44m)이지만, TV 화면에서 투수와 타자의 거리가 좁아 보이는 것은 구장 가장 뒤에 있는 센터 벅스 스크린에서 촬영하기 때문이다.

철도 사진 촬영 시 10량 이상의 편성 차량을 표준 렌즈로 촬영하면 맨 뒤 차량이 좁아지는 형태가 되지만, 떨어진 위치에서 촬영함으로써 선두와 맨 뒤 차량의 거리를 느끼지 못하게(좁아지지 않게) 촬영할 수 있다. 이것은 철도 차량을 촬영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기술이다. 야외의 인파나 번화함을 연출하는 수법으로, 망원 렌즈로 많은 인물들을 담는 한편, 압축 효과로 사람 사이의 거리감을 줄여 더욱 혼잡한 인상을 주는 기술이 있다.[4]

거리감을 짧게 느껴지게 함으로써, 도로의 경사는 더욱 급경사의 인상을 줄 수 있다. 돗토리현, 시마네현 경계에 걸쳐 있는 에시마 대교는, 2013년에 방영된 탄토 커스텀의 광고 촬영진에 의해 발견되어, CG로 제작한 듯한 급경사감의 이미지가 전국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5][6]

4. 1. 촬영 화각

사진을 ''일반적인 시청 거리''에서 볼 때, 이미지를 촬영하는 시야각은 원근 왜곡의 외관을 완전히 설명한다. "조작되지 않은" 사진이 장면을 왜곡할 수 없다는 일반적인 가정은 틀렸다. 원근 왜곡은 좁은 카메라-피사체 거리에서 광각 렌즈로 찍은 인물 사진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일반적으로 코가 얼굴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너무 크게 보이고 얼굴 표정을 왜곡하여 불쾌한 인상을 준다. 동일한 피사체를 중간 망원 또는 장초점 렌즈(좁은 시야각)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프레이밍하면 이미지가 더 보기 좋은 원근감으로 평평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35mm 필름 카메라의 경우, 초점 거리가 약 85~135mm인 렌즈가 일반적으로 좋은 인물 사진 렌즈로 간주된다.[2] 50mm 렌즈는 방향이 가로일 때 사람을 촬영하는 데 적합하다. 반대로, 초점 거리가 훨씬 긴 렌즈를 인물 사진에 사용하면 얼굴 특징이 더욱 극단적으로 평평해져서 보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줄 수도 있다.[2]

다음은 동일한 위치에서 세 개의 다른 렌즈(광각 렌즈, 표준 렌즈, 망원 렌즈)로 촬영한 동일한 장면을 보여주는 세 개의 사진이다. 이미지의 비율은 시야각에 따라 변하지 않으므로, 광각 렌즈와 표준 렌즈로 촬영한 사진을 망원 렌즈로 촬영한 사진과 동일한 장면을 포함하도록 잘라낸다면 이미지 내용은 정확히 동일하다. 비율의 겉보기 차이는 표준 렌즈 사진과 광각 렌즈 사진에서 프레임 가장자리에 추가된 내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다음은 네 개의 다른 렌즈로 가능한 한 동일하게 프레임을 구성한 일련의 사진이다. 각 렌즈의 서로 다른 시야각의 결과로, 사진작가는 각 사진에서 피사체에 더 가까이 다가갔다. 시야각이 크게 변경되었으며(각 사진의 배경을 비교해 보세요) 객체 간의 거리는 각 이미지에서 더 크게 나타난다. 오른쪽 하단의 네 번째 이미지에서는 가장 넓은 렌즈로 촬영되었으며, 피사체 뒤의 건물이 실제보다 훨씬 멀리 떨어져 보인다.

압축 효과는 피사체군에서 멀어질수록 강해지는 효과이며, 망원 렌즈를 사용하면 압축 효과가 강하게 나타나는 부분을 확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망원 렌즈(초점 거리의 길이)에 의한 효과"나 "화각에 의한 효과"로 오해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렌즈의 초점 거리에 의한 효과가 아니기 때문에, 표준 렌즈광각 렌즈로도 피사체군에서 멀어지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망원 렌즈와 광각 렌즈로 같은 위치에서 같은 피사체를 촬영하고, 망원 렌즈로 촬영한 이미지와 동일한 화각이 되도록 광각 렌즈로 촬영한 이미지의 주변부를 잘라내면 초점 거리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미지 센서의 크기가 다른 경우, 같은 초점 거리의 렌즈라도, 더 작은 이미지 센서를 탑재한 카메라가 화각이 좁아지지만, 이 경우에도 배경과 피사체의 크기 비율이라는 의미에서는 같기 때문에 화각에도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압축 효과를 볼 수 있는 예시는 프로야구 중계이다. 투수 마운드에서 홈 베이스까지는 약 18.29m 6인치(약 18.44m)이지만, TV 화면에서 투수와 타자의 거리가 좁아 보이는 것은 구장 가장 뒤에 있는 센터 벅스 스크린에서 촬영하기 때문이다.

철도 사진 촬영 시 10량 이상의 편성 차량을 표준 렌즈로 촬영하면 맨 뒤 차량이 좁아지는 형태가 되지만, 떨어진 위치에서 촬영함으로써 선두와 맨 뒤 차량의 거리를 느끼지 못하게(좁아지지 않게) 촬영할 수 있다. 이것은 철도 차량을 촬영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기술이다.

야외의 인파나 번화함을 연출하는 수법에서, 망원 렌즈로 많은 인물들을 담는 한편, 압축 효과로 사람 사이의 거리감을 줄여 더욱 혼잡한 인상을 주는 기술이 있다.[4]

거리감을 짧게 느껴지게 함으로써, 도로의 경사는 더욱 급경사의 인상을 줄 수 있다. 돗토리현, 시마네현 경계에 걸쳐 있는 에시마 대교는, 2013년에 방영된 탄토 커스텀의 광고 촬영진에 의해 발견되어, CG로 제작한 듯한 급경사감의 이미지가 전국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5][6]

4. 2. 사진 관찰 거리

사진은 대개 대각선 길이와 거의 같은 거리에서 본다. 이 거리에서 사진을 보면 촬영 시 사용된 화각으로 인해 생긴 왜곡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다.[2] 하지만 이론적으로, 확장이 나타나는 사진(광각)을 더 가까운 거리에서 보면 제시되는 시야각이 넓어져 현상이 완화된다. 이와 유사하게 압축이 나타나는 사진(망원)을 더 먼 거리에서 보면 제시되는 시야각이 좁아져 효과가 줄어든다. 두 경우 모두, 임계 거리에 도달하면 왜곡이 완전히 사라진다.

5. 예술적 활용

원근 왜곡은 예술적인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확장(광각) 왜곡은 장면의 일부 요소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다른 요소보다 커 보이게 하고 공간적으로 분리되게 한다. 압축(망원) 왜곡은 멀리 떨어진 물체 사이의 거리를 압축된 것처럼 보이게 하여 혼잡한 느낌을 전달하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 망원 렌즈는 피사체를 더 확대하여 거리를 압축하는 것처럼 보이며, 피사계 심도가 얕아져 배경이 흐려진다. 광각 렌즈는 물체 간의 거리를 확대하는 경향이 있으며 더 넓은 피사계 심도를 허용한다.

광각 렌즈를 사용할 때 카메라가 피사체에 수직으로 정렬되지 않으면 더 큰 원근 왜곡이 나타난다. 평행선은 표준 렌즈와 동일한 속도로 수렴하지만, 전체 시야가 더 넓기 때문에 더 많이 수렴한다. 예를 들어, 건물이 지면에서 위로 카메라를 향했을 때, 동일한 거리에서 표준 렌즈로 촬영했을 때보다 더 심하게 뒤로 넘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광각 촬영에서 피사체 건물 중 더 많은 부분이 보이기 때문이다.

렌즈가 다르면 피사체의 크기를 유지하기 위해 다른 카메라-피사체 거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야각을 변경하면 간접적으로 원근감을 왜곡하여 피사체와 배경의 상대적인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동일한 화각을 유지하면 광각 렌즈는 크기 차이를 도입하여 피사체를 더 크게 보이게 하며, 피사체와 배경 사이의 거리를 늘려 주변 공간을 더 광대하게 보이게 한다(확장된 원근감).

5. 1. 기술적 배경

초점 거리가 원근감에 미치는 영향: 18mm(광각), 34mm(표준), 55mm(단초점 망원)은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거리를 다르게 하여 동일한 화각을 얻었습니다. 초점 거리가 짧을수록, 시야각이 넓을수록, '''원근 왜곡'''과 크기 차이가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원근 왜곡은 의도하지 않은 경우 종종 거슬리지만, 예술적인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확장(광각) 왜곡은 특정 요소를 다른 요소보다 커 보이게 하고 공간적으로 분리되게 하여 강조하는 데 사용된다. 압축(망원) 왜곡은 멀리 떨어진 물체 사이의 거리를 압축하여 혼잡한 느낌을 주기 위해 사용된다. 망원 렌즈는 피사체를 더 확대하여 거리를 압축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며, 피사계 심도가 얕아져 배경이 흐려진다. 광각 렌즈는 물체 간의 거리를 확대하고 더 넓은 피사계 심도를 허용한다.

광각 렌즈를 사용할 때 카메라가 피사체에 수직으로 정렬되지 않으면 평행선이 표준 렌즈와 동일한 속도로 수렴하지만, 전체 시야가 더 넓기 때문에 더 많이 수렴한다. 예를 들어, 건물이 지면에서 위로 카메라를 향했을 때, 동일한 거리에서 표준 렌즈로 촬영했을 때보다 더 심하게 뒤로 넘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광각 촬영에서 피사체 건물 중 더 많은 부분이 보이기 때문이다.

렌즈가 다르면 피사체의 크기를 유지하기 위해 다른 카메라-피사체 거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야각을 변경하면 간접적으로 원근감을 왜곡하여 피사체와 배경의 상대적인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동일한 화각을 유지하면 광각 렌즈는 앞서 언급한 수렴선과 함께 크기 차이를 도입하여 피사체를 더 크게 보이게 하며, 피사체와 배경 사이의 거리를 늘려 주변 공간을 더 광대하게 보이게 한다(확장된 원근감).

일상생활에서 압축 효과를 볼 수 있는 예시는 프로야구 중계이다. 투수 마운드에서 홈 베이스까지는 18.44m이지만, TV 화면에서 투수와 타자의 거리가 좁아 보이는 것은 구장 가장 뒤에 있는 센터 벅스 스크린에서 촬영하기 때문이다.

철도 사진 촬영 시 10량 이상의 편성 차량을 표준 렌즈로 촬영하면 맨 뒤 차량이 좁아지는 형태가 되지만, 떨어진 위치에서 촬영함으로써 선두와 맨 뒤 차량의 거리를 느끼지 못하게(좁아지지 않게) 촬영할 수 있다. 이것은 철도 차량을 촬영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기술이다.

야외의 인파나 번화함을 연출하는 수법에서, 망원 렌즈로 많은 인물들을 담는 한편, 압축 효과로 사람 사이의 거리감을 줄여 더욱 혼잡한 인상을 주는 기술이 있다[4]

거리감을 짧게 느껴지게 함으로써, 도로의 경사는 더욱 급경사의 인상을 줄 수 있다. 돗토리현, 시마네현 경계에 걸쳐 있는 에시마 대교는, 2013년에 방영된 탄토 커스텀의 광고 촬영진에 의해 발견되어, CG로 제작한 듯한 급경사감의 이미지가 전국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5][6]

5. 2. 분위기 효과 및 활용 사례

직선 극단적인 광각 렌즈로 얻을 수 있는 원근 왜곡은 이미지를 기괴하고 불안정하게 보이게 한다. 이는 곡선 어안 렌즈가 배럴 왜곡을 표시하는 것만큼 비현실적으로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 효과는 피사체에 카메라가 가까울수록 특히 두드러지며, 동일한 시야에서 초점 거리가 짧을수록 그 양이 증가한다.

원근 왜곡은 영화와 사진 촬영 기법에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분위기 연출 및 활용 사례가 존재한다.

5. 2. 1. 영화에서의 활용

테리 길리엄은 극단적인 원근 왜곡으로 정의되는 독특한 스타일을 얻기 위해 직선 초광각 렌즈를 자주 사용한 감독이다.[3] 스탠리 큐브릭(영광의 길, 닥터 스트레인지러브)과 오슨 웰스(심판)도 이러한 촬영 기법을 사용했다.[3] 길리엄의 영향을 받은 프랑스 영화 제작자 장피에르 주네와 마르크 카로는 델리카트슨과 로스트 시티에서 그의 광각 촬영술을 사용했다.

광각 렌즈 특유의 기괴하고 불안정한 분위기는 기괴하고 초현실적인 풍자, 판타지, 블랙 코미디 영화(길리엄, 주네 & 카로, 웰스,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와 사회 비판적인 영화 (영광의 길, 어둠의 표적, 오펜스)에 사용된다. 사회 비판 영화에서는 사회적 관습, 집단, 지도자의 동기와 행동을 기괴하고 터무니없게 묘사하며, 획일주의적 가치를 지닌 폭군적 인물이 등장하기도 한다.

레니 리펜슈탈의지의 승리에서 망원 렌즈를 사용하여 군중을 압축하고, 아돌프 히틀러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로우 앵글로 촬영했다.

돌리 줌은 카메라가 피사체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줌 아웃하여 피사체 크기는 유지하고 배경 크기만 변경하는 특수 효과이다. 이 효과는 현기증과 죠스에서 사용되었다.

5. 2. 2. 사진에서의 활용

광각 왜곡은 피사체를 강조하고, 망원 왜곡은 배경을 압축하는 효과를 낸다. 돌리 줌과 같은 특수 효과는 원근 왜곡을 활용하여 극적인 장면을 연출한다.

풀 프레임 35mm 카메라의 18mm 렌즈로 촬영한 "광각" 왜곡의 예시.


풀 프레임 35mm 카메라의 300mm 렌즈로 촬영한 "망원" 왜곡의 예시.


일상생활에서 압축 효과를 볼 수 있는 예는 프로야구 중계이다. 투수 마운드에서 홈 베이스까지는 18.44m이지만, TV 화면에서 투수와 타자의 거리가 좁아 보이는 것은 구장 가장 뒤에 있는 센터 벅스 스크린에서 촬영하기 때문이다.

철도 사진 촬영 시 10량 이상의 편성 차량을 표준 렌즈로 촬영하면 맨 뒤 차량이 좁아지는 형태가 되지만, 떨어진 위치에서 촬영함으로써 선두와 맨 뒤 차량의 거리를 느끼지 못하게(좁아지지 않게) 촬영할 수 있다. 이것은 철도 차량을 촬영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기술이다.

야외의 인파나 번화함을 연출하는 수법에서, 망원 렌즈로 많은 인물들을 담는 한편, 압축 효과로 사람 사이의 거리감을 줄여 더욱 혼잡한 인상을 주는 기술이 있다[4]

거리감을 짧게 느껴지게 함으로써, 도로의 경사는 더욱 급경사의 인상을 줄 수 있다. 돗토리현, 시마네현 경계에 걸쳐 있는 에시마 대교2013년에 방영된 다이하츠 탄토 커스텀의 광고 촬영진에 의해 발견되어, CG로 제작한 듯한 급경사감의 이미지가 전국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5][6]

5. 3. 한국에서의 활용 사례

사카이미나토시마쓰에시에 걸쳐 있는 에시마 대교는 광고에서 압축 효과를 활용하여 급경사처럼 보이게 연출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2013년에 방영된 탄토 커스텀 광고를 통해 CG로 제작한 듯한 급경사 이미지로 전국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5][6]

프로 야구 중계에서도 원근 왜곡을 활용한다. 투수 마운드에서 홈 베이스까지는 18.44m이지만, TV 화면에서 투수와 타자의 거리가 좁아 보이는 것은 구장 가장 뒤에 있는 센터 벅스 스크린에서 촬영하기 때문이다.

철도 사진 촬영 시 10량 이상의 편성 차량을 표준 렌즈로 촬영하면 맨 뒤 차량이 좁아지는 형태가 되지만, 떨어진 위치에서 촬영함으로써 선두와 맨 뒤 차량의 거리를 느끼지 못하게(좁아지지 않게) 촬영할 수 있다. 이것은 철도 차량을 촬영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기술이다.

야외의 인파나 번화함을 연출하는 수법으로, 망원 렌즈로 많은 인물들을 담는 한편, 압축 효과로 사람 사이의 거리감을 줄여 더욱 혼잡한 인상을 주는 기술이 있다.[4]

참조

[1] 서적 Mark Galer, Photography Foundations for Art and Design, page 73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Best viewing distance for photographers - determining at what distance a photograph should be viewed - PSA Journal - Find Articles at BNET https://www.findarti[...] PSA Journal 2008-05-06
[3] 뉴스 Terry Gilliam talks ''Tideland'' http://www.smart.co.[...] Dreams
[4] 웹사이트 「吉祥寺は人出が多い」報道に市長が怒り。実際の人出を見に行ってみた https://joshi-spa.jp[...] 女子SPA! 2020-04-25
[5] 웹사이트 ベタ踏み坂撮影スポット https://tripnote.jp/[...] trip note
[6] 웹사이트 山陰総合:ベタ踏み」江島大橋が話題に https://web.archive.[...] 山陰中央新報 2014-01-09
[7] 서적 Mark Galer, Photography Foundations for Art and Design, page 73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