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덕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덕역은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전철역이다. 1940년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65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며, 2008년 여객 취급이 중단되었다가 2009년 중앙선 전철역으로 개업하여 여객 영업을 재개했다. 현재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무인역으로 양평역에서 관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평군의 전철역 - 지평역
지평역은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경의·중앙선 철도역으로, 1940년 보통역으로 시작해 한국 전쟁 이후 재건 및 현대화를 거쳐 2017년 전철역이 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에서 경의·중앙선 전철, 무궁화호, 누리로, ITX-새마을호 등이 정차한다. - 양평군의 전철역 - 용문역 (양평)
용문역은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14년 용문면 명칭에서 유래하여 1941년 보통역으로 시작,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다가 복구되었으며, 2009년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과 함께 전철역이 되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1940년 개업한 철도역 - 지평역
지평역은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경의·중앙선 철도역으로, 1940년 보통역으로 시작해 한국 전쟁 이후 재건 및 현대화를 거쳐 2017년 전철역이 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에서 경의·중앙선 전철, 무궁화호, 누리로, ITX-새마을호 등이 정차한다. - 1940년 개업한 철도역 - 철암역
철암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영동선의 철도역으로, 쇠돌바위에서 유래된 역명을 가지며, 무궁화호, 누리로, 백두대간협곡열차, 동해산타열차 등이 정차하는 곳이다.
원덕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원덕흑천길 138 (원덕리 302) |
일반 정보 | |
역명 | 원덕역 |
한자 표기 | 元德驛 |
로마자 표기 | Wondeongnyeok |
부역명 | 주읍산 |
역 번호 | K136 |
개업일 | 1940년 4월 1일 |
폐지일 | 해당사항 없음 |
역 종류 | 배치 간이역 (양평역 관리)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KORAIL) |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양평관리역 |
승강장 | 2면 4선 |
구조 | 지상역 |
역사 코드 | 214 |
노선 정보 | |
노선 | [[파일:Seoul Metro Line Gyeongui-Jungang.svg|18px|link=]]경의·중앙선 (정식 노선명: 중앙선) |
영업 거리 | 청량리역 기점 53.7 km |
이전 역 | K135 양평 |
역간 거리 | 5.8 km |
다음 역 | 용문역 K137 |
역간 거리 | 4.8 km |
비고 | 중앙선의 기점 (청량리 기준) 경원선의 기점 (용산 기준) 경의·중앙선의 기점 (임진강 기준) |
통계 정보 | |
2017년 승차 인원 | 469명 |
2017년 승강 인원 | 922명 |
2. 역사
1940년 4월 1일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했고, 1965년 1월 1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3] 1977년 5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으며,[4] 1983년 2월 1일에는 수·소화물 취급도 중지되었다.[5] 1995년 12월 1일부터 역에서 승차권 발매가 중단되고 차내에서 구입하도록 변경되었다.
2005년 1월 1일 한국철도공사 관할 역이 되었다. 2008년 9월 1일 여객 취급이 중지되고 양평역에서 출발하는 셔틀 버스가 운행되었다. 2009년 2월 14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가, 2009년 12월 18일 다시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다. 2009년 12월 23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과 함께 여객 영업을 재개하였고,[6] 2014년 12월 27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되었다.
2. 1. 일제강점기
1940년 4월 1일 :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3]
2. 2. 해방 이후
1940년 4월 1일: 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3]1965년 1월 11일: 보통역으로 승격
1977년 5월 1일: 화물 취급 중지[4]
1983년 2월 1일: 수·소화물 취급 중지[5]
1995년 12월 1일: 승차권 발매 중지 (차내취급)
2005년 1월 1일: 한국철도가 한국철도공사로 변경되어 한국철도공사 역이 됨.
2008년 9월 1일: 여객 취급 중지, 양평역에서 출발하는 셔틀 버스 운행
2009년 2월 14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2009년 12월 18일: 배치간이역으로 승격
2009년 12월 23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6]
2014년 12월 27일: 경의전철선 (용산선)이 공덕역에서 용산역까지 개통하여, 중앙선과 직통 운전을 시작. 동시에 양 노선의 명칭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함.
3. 역 구조
원덕역은 2면 4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양평역에서 관리하는 무인역으로 운영된다.
3. 1. 구조
승강장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용된다. 현재 2, 3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3. 2. 승강장
쌍섬식 승강장 2면 4선으로 운용된다. 현재 2, 3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2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용문 방면 |
---|---|---|
3·4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양평·덕소·청량리·용산 방면 |
4. 이용객 변동
경의·중앙선 원덕역의 이용객 변동은 다음과 같다.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12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9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7]
5. 역 주변
- 추읍산
- 원덕초등학교
- 원덕1리 소규모 오수 처리 시설
- 주읍산
6. 인접한 역
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