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량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량리역은 서울 동쪽에 위치한 역으로, 경원선 계획 당시에는 없었으나 추가로 개설되었다. 1911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는 동경성역으로 이름이 변경되기도 했다.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으나 1959년 재건되었고, 1974년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2010년 민자역사 완공 등 여러 변화를 겪었다. 현재는 지상역과 지하역으로 운영되며, 다양한 노선이 운행되고, 환승센터, 쇼핑몰, 재래시장 등 주변 시설이 갖춰져 있다. 과거 집창촌이었던 청량리 588은 재개발 사업으로 사라졌으며, 청량리역 검수차고는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007년 민자역사 신축 공사 중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대문구의 전철역 - 회기역
회기역은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1980년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확장되었으며, 인근에 대학교와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동대문구의 전철역 - 신이문역
신이문역은 서울 지하철 1호선 상의 역으로, 이문역과의 이름 중복을 피해 명명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광운대, 의정부, 청량리, 서울, 인천 방면 열차가 운행되고 이문동 주변 지역과 인접해 있다. - 서울특별시의 철도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의 철도역 - 서빙고역
서빙고역은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에 위치한 경의·중앙선 전철역으로, 1917년 보통역으로 시작해 1978년 수도권 전철역이 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대사관 등이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 - 회기역
회기역은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1980년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확장되었으며, 인근에 대학교와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청량리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청량리역 |
모국어 표기 | 청량리역 |
한자 표기 | 淸凉里驛 |
로마자 표기 | Cheongnyangni-yeok |
주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 620-69, 왕산로 지하 205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
역사 | |
개업일 | 1911년 10월 15일 |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 1974년 8월 15일 |
경춘선 개통 | 2016년 9월 26일 |
수인분당선 개통 | 2018년 12월 31일 |
역 구조 | |
승강장 | 8 |
선로 | 8 |
이용 정보 | |
하루 평균 승객 수 (2012년 기준) | KR: 11,782명 1호선: 66,305명 중앙선: 26,488명 |
노선 정보 | |
노선 | 영동선 태백선 중앙선 경춘선 |
인접 역 | |
서울 지하철 1호선 | 회기역 (좌) 제기동역 (우) |
1호선 | 회기역 (좌) 제기동역 (우) |
경의중앙선 | 왕십리역 (좌) 회기역 (우) |
경춘선 | 회기역 (우) |
수인분당선 | 왕십리역 (우) |
중앙선 KTX | 서울역 (좌) 양평 (우) |
기타 | |
기차역 코드 | 코레일: 090, AFC: 1014 |
지하철역 코드 | 서울교통공사: 0158 |
관련 문서 |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23391 http://info.korail.com/servlets/renew.sta.sta02000.sw_sta02200_v1Svt?code=0090&name=%C3%BB%B7%AE%B8%AE |
2. 역사
청량리역은 1911년 10월 15일 경원선의 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다. 초기에는 서울의 동쪽 관문 역할을 하는 작은 역이었으나, 점차 교통량 증가와 함께 그 중요성이 커졌다. 전차 노선인 청량리선은 조선박람회를 위해 역전역을 신설하며 연장되었다. 서울역, 용산역과 함께 서울의 3대 종착역 중 하나로, 주로 한국 동부로 향하는 열차가 발착한다.
지상 한국철도공사(KORAIL) 역에는 경원본선·중앙선 2개 노선이 들어온다. 중앙선은 이 역을 기점으로 하며, 경원선과 중앙선의 분기역은 회기역이다. 중앙선은 영주·경주 방면 및 영동선·태백선 (동해 방면)으로 직통하는 일반 열차(ITX-새마을·무궁화호)의 시종착역일 뿐만 아니라, 경강선으로 직통하는 KTX(강릉선), 경춘선으로 직통하는 ITX-청춘, 경원선 관광열차 “평화열차(DMZ-train)”도 발착한다. 수도권 전철 노선에서는 경의·중앙선, 경춘선, 분당선[8] 전차가 정차한다.
지하 서울교통공사 역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들어온다. 2010년 8월 20일 환승 통로 개통 전까지는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는 별개의 역으로 취급되어 환승 업무를 하지 않았다.[9]
수도권 전철에서는 역 번호를 도입하고 있다. 경의·중앙선(경춘선 직통 포함)은 '''K117'''[10], 수인·분당선은 '''K209''', 1호선은 '''124'''가 부여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에는 '''서울시립대입구'''라는 부역명이 있다.
1938년에는 전차대(転車台)와 검수차고가 완공되었고, 2006년 9월 13일에는 검수차고가 등록문화재로 등록되었다.
2. 1. 일제강점기
1911년 10월 15일 청량리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31] 1938년 5월 1일에는 일제의 정책에 따라 역명이 '''동경성역'''(東京城驛)으로 변경되었다.[32] 이 당시 영등포역도 남경성역으로 함께 이름이 바뀌었다.[23][24] 이는 경성역의 화물 처리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이기도 했다.[21] 1937년에는 철도 직원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청량리 철도관사가 건립되었다.[22] 철도관사는 일종의 공공임대주택으로, 당시 심각한 주택난을 해소하는데 기여했다.[20]1938년 경춘선, 1939년 중앙선 개통으로 청량리역은 서울 동부 교통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1942년 6월 1일, 영등포역과 함께 원래 이름인 청량리역으로 다시 환원되었다.[33]
2. 2. 해방 이후
1950년 6월 26일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으나, 1959년 11월 6일 새로운 역사가 신축되었다.[19] 1973년 6월 20일 중앙선 청량리-제천 구간 전철화로 전기기관차가 운행되기 시작했다.[19]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1978년 12월 9일 용산-성북 간 국철 개통으로 수도권 전철 네트워크에 편입되었다.[19]1988년 11월 1일 중앙선 청량리 - 안동 구간에 새마을호 운행이 시작되었고,[19] 1990년 3월 15일에는 청량리 - 동해 (영동선) 구간에도 새마을호 운행이 개시되었다.[19]
1999년 7월, 임시 역사로 이전하면서 구 역사에는 패스트푸드점이 입점하였다.[19] 2005년 12월 16일 중앙선 전철화 완료와 함께 용산-성북 간 계통이 폐지되고 역 번호가 K125에서 K117로 변경되었다.[19] 2006년 5월 1일에는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 같은 해 9월 13일 검수차고가 등록문화재로 등록되었다.[19] 2006년 10월 31일 청량리 - 안동·강릉 간 새마을호 운행이 종료되었다.[19]
2007년 2월 구 역사가 해체되고 민자 역사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같은 해 8월 13일 공사 현장에서 약 25m 높이의 크레인이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하여 2명이 사망하기도 했다.[11]
2009년 12월 1일, 서울교통공사 역에 "서울시립대입구"라는 부역명이 추가되었다.[19] 2010년 8월 18일 민자역사가 준공되었고,[12] 8월 20일에는 연락 통로가 개통되었으며,[9] 같은 해 12월 21일 경춘선 무궁화호 운행이 종료되었다.[19] 2018년 12월 31일부터 분당선 일부 열차가 청량리역까지 운행을 시작했다.[13]
2. 3. 민자역사 시대
1999년 임시 역사로 이전 후, 2010년 8월 18일 민자역사가 완공되었다.[35] 2007년 8월 13일 민자역사 신축 공사 현장에서 약 25m 높이의 크레인 전복 사고로 2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41]2010년 8월 20일,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간 환승 통로가 개통되어 환승 편의성이 개선되었다.[40] 2017년 12월 22일 강릉선 KTX 개통, 2021년 1월 5일 중앙선 KTX-이음 운행 개시[38]로 청량리역은 고속철도 시대의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 2023년 9월 1일, 태백선 ITX-마음 운행이 개시되었다.
3. 역 구조
청량리역은 크게 지상역과 지하역으로 구분된다.
지상역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역으로, 섬식 승강장 4면 8선의 고가역 형태를 갖추고 있다. 차량기지와 여러 개의 측선이 설치되어 있다.
지하역은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지난다.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종점 역할을 하지만, 선로는 경원선 회기역과 연결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모든 열차의 기·종점 기능을 하지는 않는다.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초기에는 지상역과 지하역을 직접 연결하는 환승 통로가 없었다. 그러나 승차권에 환승 표시를 하는 방식으로 역외 환승은 가능했다.[40] 이후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과 마그네틱 종이 승차권 도입으로 환승이 제한되었다가, 2010년 8월 20일 청량리역 민자역사 준공과 함께 환승 통로가 개설되면서 자유로운 환승이 가능해졌다.[9]
3. 1. 한국철도공사 (지상)
한국철도공사 청량리역은 경원선과 중앙선이 만나는 철도역으로, 중앙선의 시작점이다. 서울역, 용산역과 함께 서울의 3대 주요 역 중 하나이며, 주로 한국 동부 지역으로 가는 열차들이 출발하고 도착한다.이 역은 고가역사 형태로 지어졌으며, 4면 8선의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중앙선을 비롯하여 경의·중앙선, 경춘선, 수인·분당선 등 여러 전철 노선과 강릉선 KTX, ITX-청춘,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 등 다양한 열차가 이곳을 거쳐 간다.
역 주변에는 차량기지가 있고, 여러 개의 측선이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7개가 있다.
3. 1. 1. 승강장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 소속 청량리역은 4면 8선의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전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27] 경원선, 중앙선의 철도역으로, 중앙선의 기점이며 이 역에서 경원선이 분기한다.중앙선 무궁화호와 태백·영동선 무궁화호의 시·종착역이며, 경춘선 ITX-청춘와 강릉선 KTX,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정차한다. 수도권 전철 경춘선 전동차가 편도 10회 시·종착하고, 수인·분당선 열차는 상·하행을 포함하여 18회 정차하며, 극히 드물게 임시 무궁화호도 다닌다.[27]
덕소역, 용문역, 춘천역 방면으로 가는 전철은 왕십리역 출발 후 청량리역 진입 이전 중앙선 선로로 진입하며, 반대로 문산역 방면으로 가는 전철은 청량리역 출발 후 경원선에 합류한다.
1 | 일반열차 | 선정릉·서현·기흥·수원·인천 방면 | |
---|---|---|---|
2 | 급행열차·일반열차 | 상봉·퇴계원·평내호평·가평·춘천 방면 | |
3 | 강릉선·중앙선 | KTX | 서원주·만종·강릉·동해·제천·안동 방면 |
4 | 급행열차·일반열차 | 회기·망우·구리·덕소·용문·지평 방면 | |
경춘선 | ITX-청춘 | 상봉·평내호평·마석·청평·가평·춘천 방면 | |
5 | 급행열차·일반열차 | 왕십리·이촌·용산·문산 방면 | |
경춘선 | ITX-청춘 | 왕십리·옥수·용산 방면 | |
6 | 강릉선·중앙선 | KTX | 행신·서울 방면 |
7~8 | 중앙선 | KTX 무궁화호 ITX-새마을 ITX-마음 | 원주·제천·영주·안동·부전 방면 |
태백선 | 태백·동해·부전 방면 | ||
정선선 | 정선아리랑열차 | 제천·민둥산·정선·아우라지 방면 |
3. 2. 서울교통공사 (지하)
서울교통공사 관할 청량리역은 서울 지하철 1호선 종점으로 유치선이 있다. 다만, 선로는 경원선 회기역과 연결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모든 열차의 기·종점 기능을 하지는 않는다. 경원지선 용산~성북 구간 열차 폐지 이전에는 경인선 일부 열차와 구로역 이남으로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들의 기·종점이었다. 신창, 천안-청량리 구간을 운행하는 급행열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하며, 완행열차는 광운대역까지 연장 운행된다(단 일부 열차는 이 역에서 시 종착한다).지상으로 올라갈 때 절연 구간이 있으며, 회기역에서 내려올 때 유치선을 통하여 천안·신창 급행 열차를 볼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가 제공하는 운행 시각표상 표기는 '''1지청'''이며, 이는 “1호선 지하 청량리"의 약자이다. 출구는 7개다.
3. 2. 1. 승강장 (서울교통공사)
서울교통공사 관할 청량리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회기역 방면 선로를 지상으로 쉽게 연결하여 경원선과 직결 운행하기 위해 승강장이 얕은 깊이에 건설되어, 지하역임에도 대합실이 아래층에, 승강장이 위층에 있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부근에 서울시립대학교가 있어 '''서울시립대입구'''라는 병기역명이 있다.[28][29]서울 지하철 1호선 종점으로 유치선이 있지만, 선로는 경원선 회기역과 연결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모든 열차의 기·종점 기능을 하지는 않는다. 경원지선 용산~성북 구간 열차 폐지 이전에는 경인선 일부 열차와 구로역 이남으로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들의 기·종점이었다. 신창, 천안-청량리 구간을 운행하는 급행열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하며, 완행열차는 광운대역까지 연장 운행된다(단 일부 열차는 이 역에서 시 종착한다).
1호선 청량리역 진입 전에 X자형 교차가 존재하며, 인천, 서동탄, 천안, 신창 방면 열차가 청량리역 신창 방면 플랫폼(2번)으로 역주행해 정차한 후, 회차선을 거치지 않고 바로 천안, 신창 방면으로 출발할 때 이 X자형 선로를 이용한다.
2019년 12월 30일부터 천안, 신창발 경부선 완행열차 대부분 시•종착역이 청량리역에서 광운대역으로 변경되었다. 단, 경부선 완행열차 일부 한정으로 다시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상행 | 광운대 · 의정부 · 양주 · 동두천 · 연천 방면 (일반, 급행) 청량리급행 당역종착 |
---|---|
하행 | 동대문 · 종로3가 · 시청 · 서울 · 부천 · 서동탄 · 천안 · 신창 방면 천안 · 신창 급행 당역출발 |
4. 운행 노선
청량리역은 서울역, 용산역과 함께 서울의 3대 종착역 중 하나로, 주로 한국 동부 지역으로 향하는 열차가 출발하고 도착한다. 지상에는 한국철도공사의 역이 있으며, 공식적으로 경원선과 중앙선 두 노선이 지난다. 중앙선은 이 역을 기점으로 하며, 회기역까지는 경원선과 선로를 공유한다.
중앙선은 영주, 경주 방면 및 영동선, 태백선을 거쳐 동해 방면으로 가는 일반 열차(ITX-새마을, 무궁화호)의 출발역이자 종착역이다. 또한 경강선으로 연결되는 KTX(강릉선), 경춘선으로 연결되는 ITX-청춘, 경원선 관광열차인 평화열차(DMZ-train)도 이 역에서 출발하고 도착한다.
수도권 전철 노선으로는 경의·중앙선, 망우역에서 오는 경춘선, 왕십리역에서 오는 분당선[8] 전철이 정차한다. 지하에는 서울교통공사 역이 있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된다. 2010년 8월 20일 환승 통로가 개통되면서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 간 환승이 가능해졌다.[9]
수도권 전철에는 역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경의·중앙선(경춘선 직통 포함)은 '''K117'''[10], 수인·분당선은 '''K209''', 1호선은 '''124'''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에는 '''서울시립대입구'''라는 부역명이 있다.
4. 1. 철도 노선
한국철도공사 소속 경원선, 중앙선의 철도역으로, 중앙선의 기점이며 이 역에서 경원선으로부터 분기한다.중앙선 무궁화호와 태백·영동선 무궁화호의 시·종착역이며, 경춘선 ITX-청춘와 강릉선 KTX,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정차한다.
수도권 전철 경춘선 전동차가 편도 10회 시·종착하고, 수인·분당선 열차는 상·하행을 포함하여 18회 정차하며, 극히 드물게 임시 무궁화호도 다닌다.[27]
노선 | 종류 | 방면 | |
---|---|---|---|
1 | Seoul Metro Line Bundang.svg|수인·분당선svg | 완행 | 선릉·수서·죽전·수원 방면 |
2 | Seoul Metro Line Gyeongchun.svg|경춘선svg | 급행·완행 | 평내호평·가평·춘천 방면 |
3 | 강릉선·영동선한국어 | KTX-이음 | 상봉·평창·진부·강릉·동해 방면 |
4 | Seoul Metro Line Gyeongui-Jungang.svg|경의·중앙선svg | 중앙급행·용산급행·완행 | 덕정·팔당·양평·용문 방면 |
경춘선 | ITX-청춘 | 평내호평·가평·춘천 방면 | |
5 | Seoul Metro Line Gyeongui-Jungang.svg|경의·중앙선svg | 중앙급행·용산급행·완행 | 용산·홍대입구·행신·일산·문산 방면 |
경춘선 | ITX-청춘 | 용산 방면 | |
6 | 강릉선·영동선 | KTX-이음 | 서울 방면 |
7·8 | 중앙선 | KTX-이음 | 원주·제천·영주·안동 방면 |
누리로 | |||
무궁화호 | 원주·제천·영주·안동·경주 방면 | ||
중앙선·태백선 | 정선아리랑열차 | 원주·제천·정선·아우라지 방면 |
4. 2. 수도권 전철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종점으로 유치선이 있다. 다만, 선로는 경원선 회기역과 연결되어 있어 실질적인 모든 열차들의 기·종점 기능을 하지는 않는다. 경원지선 용산~성북 구간 열차가 폐지되기 이전에는 경인선 일부 열차와 구로역 이남으로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들의 기·종점이었다.[28][29]신창, 천안-청량리 구간을 운행하는 급행열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하며, 완행열차는 광운대역까지 연장 운행된다(단 일부 열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지상으로 올라갈 때 절연 구간이 있으며, 회기역에서 내려올 때 유치선을 통하여 천안·신창 급행 열차를 볼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 운행 시각표상 표기는 '''1지청'''이며, 이는 “1호선 지하 청량리"의 약자로, '''서울시립대입구'''라는 병기역명이 있다. 부근에 서울시립대학교가 있다.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당시에는 직접 연결되는 환승 통로는 없었으나, 승차권에 환승 표시를 하는 방식으로 역외 환승이 가능했었다. 이후 1986년 자동 요금 징수, 마그네틱 종이 승차권 도입 등에 따라 환승이 제한되었지만, 2010년 8월 20일 청량리역 민자역사 준공과 함께 환승 통로가 개설되어 자유로운 환승이 가능해졌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전동차가 편도 10회 시·종착하고, 수인·분당선 열차는 상·하행을 포함하여 18회 정차하며, 극히 드물게 임시 무궁화호도 다닌다.[27]
덕소역, 용문역, 춘천역 방면으로 가는 전철은 왕십리역 출발 후 청량리역 진입 이전 중앙선 선로로 진입하며, 반대로 문산역 방면으로 가는 전철은 청량리역 출발 후 경원선에 합류한다.
수도권 전철에서는 역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경의·중앙선(경춘선 직통 포함)은 '''K117'''[10], 수인·분당선은 '''K209''', 1호선은 '''124'''가 부여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에는 '''서울시립대입구''' 부역명이 있다.
4면 8선의 승강장이며 전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열차 | 정차역 |
---|---|---|---|
-- 경의·중앙선 | ITX-청춘 | 왕십리역 (K116) - 청량리역 (K117) - 상봉역 (K120) | |
급행·완행 | 왕십리역 (K116) - 청량리역 (K117) - 회기역 (K118) | ||
-- 경춘선 | 급행·완행 | 청량리역 (K117) - 회기역 (K118) | |
-- 수인·분당선 | 급행·완행 | 청량리역 (K209) - 왕십리역 (K210) | |
서울교통공사 | 노선 | 정차역 | |
-- 1호선 | 회기역 (123)[14] -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 (124) - 제기동역 (125) |
5. 이용객 변동
청량리역의 최근 일일 평균 이용객 추이(단위: 명)는 다음과 같다. 2000년은 개통일인 8월 7일부터 12월 31일까지 147일간의 평균이며, ITX-청춘의 2012년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2012년 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308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연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1호선, 경의·중앙선, ITX-청춘 이용객 수 | 97,999 | 93,947 | 90,716 | 90,685 | 93,728 | 95,268 | 83,259 | 81,314 | 80,001 | 77,145 | 73,077 | 68,767 | 66,836 | 64,463 | 63,252 | 61,386 | 60,415 |
각 노선별 이용객 변동 현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5. 1. 수도권 전철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ITX-청춘의 연도별 이용객 변동 현황은 다음과 같다.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49,253 | 47,682 | 46,058 | 45,909 | 47,660 | 48,423 | 42,065 | 40,929 | 40,308 | 38,730 | [44] | |||
하차 | 48,746 | 46,265 | 44,658 | 44,775 | 46,068 | 46,845 | 41,194 | 40,385 | 39,694 | 38,414 | |||||
승하차 | 97,999 | 93,947 | 90,716 | 90,685 | 93,728 | 95,268 | 83,259 | 81,314 | 80,001 | 77,145 | |||||
1호선(중앙선) | 승차 | 6,445 | 5,493 | 7,056 | 8,687 | 5,217 | 4,990 | 4,979 | 4,932 | 4,863 | 4,842 | [45] | |||
하차 | 8,056 | 11,099 | 9,950 | 10,629 | 7,419 | 7,402 | 6,511 | 6,392 | 6,243 | 6,241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1호선 | 승차 | 36,590 | 34,632 | 33,361 | 31,869 | 31,264 | 30,257 | 29,686 | [44] | ||||||
하차 | 36,487 | 34,135 | 33,474 | 32,593 | 31,987 | 31,128 | 30,729 | ||||||||
승하차 | 73,077 | 68,767 | 66,835 | 64,462 | 63,251 | 61,385 | 60,415 | ||||||||
경의·중앙선 | 승차 | 7,432 | 10,766 | 12,076 | 14,175 | 14,772 | 15,234 | 15,330 | [45] | ||||||
하차 | 8,998 | 12,760 | 14,411 | 16,636 | 17,168 | 17,396 | 17,342 | ||||||||
ITX-청춘 | 승차 | 미개통 | 2,374 | 3,057 | 3,223 | 3,048 | 3,041 | ||||||||
하차 | 2,435 | 3,065 | 3,268 | 3,004 | 3,033 |
ITX-청춘의 2012년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2012년 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308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6. 역 주변
청량리역 주변은 상업, 교통, 교육, 의료 시설이 밀집된 지역이다. 서울시립대학교, 서울동대문경찰서 청량리파출소, 중소기업은행, 동서청과물시장, 서울지방국세청, 서울청량리우체국, NH농협은행 청량리지점 등이 있다. 롯데백화점 청량리점, 롯데마트 청량리점, 롯데시네마 청량리, 영풍문고 청량리점 등 쇼핑 및 문화 시설도 이용할 수 있다.
과거 청량리 588은 집창촌이었으나, 현재는 재개발이 진행 중이다. 청량리정신병원도 이 지역에 있었으나, 지금은 다른 시설로 바뀌고 있다.
6. 1. 주요 시설
도로 건너편도로 건너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