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타는 마오리어로 "Wetapunga"에서 유래된 뉴질랜드 고유 곤충으로, 아노스토스토마과와 꼽등이과에 속하는 여러 종을 아우른다. 이들은 뉴질랜드, 호주, 태즈메이니아 등지에 분포하며, 자이언트웨타, 나무웨타, 땅웨타, 동굴웨타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웨타는 곤충 중 크기가 크고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야행성이다. 인간의 활동과 외래종 유입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뉴질랜드의 시각 효과 회사인 웨타 디지털의 상징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뚜기목 - 여치아목
여치아목은 물어뜯는 구기, 변형된 앞가슴, 점프에 적합한 뒷다리, 발음 기관을 가진 곤충 분류군으로, 긴 더듬이를 가지며 수컷은 앞날개로 소리를 내고 귀뚜라미, 땅강아지, 꼽등이, 베짱이 등이 속한다. - 메뚜기목 - 대만철써기
대만철써기는 아시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몸길이 65~75mm이고 녹색 또는 갈색을 띠며, 야행성 곤충으로 칡 등을 먹는다. - 뉴질랜드의 고유종 동물 - 키위 (새)
키위는 뉴질랜드를 상징하는 날지 못하는 조류로, 야행성이며 후각과 촉각이 발달했고, 5종으로 분류되며 뉴질랜드의 국조로 사용되고 개체 수 감소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뉴질랜드의 고유종 동물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웨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상위 분류 | 여치아목 |
포함하는 과 | 어리여치상과의 일부 Anostostomatidae 꼽등이상과 꼽등이과 (Rhaphidophoridae) |
2. 어원
웨타(Weta)라는 말은 마오리족의 말인 "Wetapunga"에서 유래했다. 이 말은 "못생긴 것의 신"이라는 뜻으로, 웨타의 생김새를 보고 생긴 언어이다.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섬 등지에 서식한다. 하지만 자이언트웨타(''Deinacrida'' sp)처럼 뉴질랜드의 몇몇 섬에서만 서식하는 종류도 있다.
많은 웨타는 곤충 기준으로 크며[5] 일부 종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무거운 종에 속한다. 이들의 외형은 여치, 긴 뿔을 가진 메뚜기 또는 귀뚜라미(cricket (insect))와 유사하지만 뒷다리 다리가 굵고 보통 매우 가시가 많다. 많은 종이 날개가 없다. 온도 변화에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웨타는 고산 지대, 숲, 초원, 동굴, 관목지 및 도시 정원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야행성이며, 뉴질랜드의 모든 종은 날지 못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의 날개 달린 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6] 종에 따라 식단이 다르다. 대부분의 웨타는 다른 무척추동물을 잡아먹는 포식자 또는 잡식성이지만, 나무 웨타와 거대 웨타는 주로 지의류, 잎, 꽃, 씨앗, 과일을 먹는다.[7][8]
웨타는 크게 아노스토스토마과와 꼽등이과로 나뉜다. 이 두 과는 메뚜기목에 속하며, 화석은 러시아, 중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 뉴질랜드 등지에서 발견되었다. 과학자들은 이 화석들의 관계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대부분의 웨타는 남반구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뉴질랜드가 곤드와나 대륙에서 분리되기 전, 고대 곤드와나에 웨타가 이미 존재했음을 시사한다.[18]
웨타는 차용어로, 이 거대한 곤충 무리를 통칭하는 마오리어 단어 ''wētā''에서 유래했으며, 일부 웨타 종류는 고유한 마오리 이름을 가지고 있다.[2] 뉴질랜드 영어에서는 "weta" 또는 "wētā"로 표기하며, 마크롱이 있는 형태가 공식적인 글쓰기에서 점점 더 흔하게 사용된다. 마오리어 단어 ''weta'' (마크롱 없음)는 "오물 또는 배설물"을 의미하기 때문이다.[3] 뉴질랜드 영어에서 마오리에서 유래된 단어는 단수와 복수가 동일하다.[4]
3. 분포
4. 특징
수컷 거대 웨타(''Deinacrida'' spp.)는 암컷보다 작으며[9] 짝을 얻기 위한 경쟁형 경쟁을 보인다.[10][11] 나무 웨타(''Hemideina'' spp.) 수컷은 암컷보다 머리가 크고, 하렘을 형성하고 수컷끼리 짝짓기 경쟁을 하는 일부다처 배우자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12] 땅 웨타(''Hemiandrus'' spp.) 수컷은 짝짓기 시 결혼 선물을 제공하고 일부 종의 암컷은 모성애를 제공한다.[13] 웨타 알은 가을과 겨울 동안 토양에 낳으며 다음 해 봄에 부화한다. 웨타는 성체가 되기까지 1~2년이 걸리며, 이 기간 동안 성장하면서 10번 정도 허물을 벗어야 한다.[14]
웨타는 강력한 턱으로 물 수 있다. 나무 웨타의 물기는 고통스럽지만 특히 흔하지는 않다. 나무 웨타는 크고 가시가 많아 보이도록 방어 자세로 뒷다리를 들어 올리지만, 기회가 주어지면 물러나는 경향이 있다. 나무 웨타는 적에게 경고하기 위해 뒷다리를 공중으로 들어 올린 다음, 다리를 내려 마찰음을 낸다. 복부 측면의 말뚝 또는 능선은 뒷다리 안쪽 표면(넙적다리)의 미세한 말뚝 패치에 부딪히며, 이 동작은 독특한 소리를 낸다.[15] 이러한 동작은 경쟁하는 수컷이 갤러리를 방어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암컷 웨타는 침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썩거나 이끼 낀 나무나 토양 안에 알을 낳을 수 있게 해주는 산란관이다.[16] 일부 종의 ''Hemiandrus''는 산란관이 매우 짧으며, 이는 토양에 구멍을 파고 구멍 끝에 있는 특별한 방에 알을 낳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7]
5. 분류
긴가슴마메뚜기과는 바다를 건너 채텀 제도, 오클랜드 제도, 스네어스 제도, 바운티 제도, 캠벨 섬 등 뉴질랜드 주변 섬들에 정착했다.[22] [19] 그러나 현존하는 종들은 비교적 최근에 분화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웨타 조상이 남반구 주변으로 퍼져나갔다는 이전의 가설과는 다른 점이다.
거대 웨타, 나무 웨타, 땅 웨타, 송곳니 웨타는 모두 주머니귀뚜라미과에 속한다.[20] 동굴 웨타는 긴가슴마메뚜기과에 속하며, 뉴질랜드에서는 '토코리'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적절하다.
5. 1. 아노스토스토마과 (Anostostomatidae)
웨타는 아노스토스토마과와 꼽등이과를 모두 포함하는 곤충 그룹이다. 따라서 웨타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모든 종류가 꼽등이에 속하는 것은 아니다. 잘 알려진 뉴질랜드의 자이언트웨타와 나무웨타는 아노스토스토마과에 속하며, 동굴웨타는 꼽등이과에 속한다.[18]5. 2. 꼽등이과 (Rhaphidophoridae)
웨타는 아노스토스토마과와 꼽등이과를 모두 포함하는 곤충 그룹이지만, 꼽등이과에 속하는 웨타는 동굴 웨타(cave weta)라고도 불리는 토코리(Tokoriro)이다. 뉴질랜드에는 2014년 기준으로 19개 속에 속하는 토코리 종이 있으며, 이들의 분류는 현재 검토 중이다.[21][22][23] 2019년에는 ''Pleioplectron rodmorrisi''를 포함하여 7개의 새로운 남섬 동굴 웨타 종이 추가로 발견되어 학계에 보고되었다.[24]
꼽등이과 (Rhaphidophoridae)는 아래와 같은 아과와 속을 포함한다.
6. 종류
웨타는 크게 자이언트 웨타, 나무 웨타, 큰턱웨타, 땅 웨타, 동굴 웨타의 다섯 종류로 나뉜다.
- 자이언트 웨타는 11종이 있으며, 몸길이가 최대 100mm에 달하는 가장 큰 종류이다. 뉴질랜드 고유종이며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 나무 웨타는 7종이 있으며, 뉴질랜드 노스 아일랜드의 교외 지역에서 흔히 발견된다.
- 큰턱웨타는 수컷의 턱에 엄니가 있는 것이 특징이며, 3종이 알려져 있다.
- 땅 웨타는 ''Hemiandrus''와 ''Anderus'' 두 속에 약 30종이 속하며, 땅속 굴에 숨어 산다.
- 동굴 웨타는 60여 종이 있으며, 매우 긴 더듬이와 길고 가느다란 다리를 가지고 있다.
6. 1. 자이언트웨타 (Giant wētā)

자이언트 웨타(''Deinacrida'' spp.) 11종은 뉴질랜드 고유종이며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다.[15][25] 자이언트 웨타는 마오리어로 ''wētā punga''라고 불리며,[2] 곤충 기준으로 크기가 크다. 몸길이가 최대 100mm인 무거운 초식성 직시목 곤충으로, 긴 다리와 촉각을 제외하고 약 20–30g의 무게를 가진다. 알로 가득 찬 사육된 자이언트 웨타(''Deinacrida heteracantha'')는 70g의 기록을 세웠으며,[26] 이는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곤충 중 하나이며 참새보다 무겁다.[27] 자이언트 웨타의 가장 큰 종은 리틀 배리어 아일랜드 웨타(웨타푸응가)이다.[9] 자이언트 웨타는 나무 웨타(''Hemideina'' spp.)보다 덜 사회적이고 수동적이다. "무서운 메뚜기"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속 ''Deinacrida''에 속한다. 주로 본섬 해안에서 떨어진 작은 섬이나 뉴질랜드 남섬의 높은 고도(예: 고산 스크리 웨타 ''D. connectens'')에서 발견되며, 섬 거대화의 예로 여겨진다.
6. 2. 나무웨타 (Tree wētā)

'''나무 웨타'''(''Hemideina'')는 뉴질랜드 노스 아일랜드의 교외 환경에서 흔히 발견된다. 최대 40mm까지 자라며, 딱정벌레와 나방 유충에 의해 형성된 나무 구멍[28] 또는 잔가지가 부러진 후 부패가 시작된 곳에 주로 서식한다. 갤러리라고 불리는 이 구멍은 웨타에 의해 유지되며, 입구 주변의 나무껍질 성장은 갉아 먹는다. 나무 조각에 미리 만들어진 갤러리("웨타 모텔")를 쉽게 차지하며, 교외 정원에서 애완동물로 기를 수 있다. 갤러리에는 최대 10마리의 암컷 성체와 수컷 1마리가 함께 살 수 있다.[12] 나무 웨타는 야행성이며, 식물과 작은 곤충을 먹이로 한다.[8] 수컷은 암컷보다 훨씬 큰 턱을 가지고 있지만, 위협을 받으면 암수 모두 마찰음을 내고 문다.[15]

7종의 나무 웨타(마오리어로 ''pūtangatanga'')[2]는 다음과 같다.
종 | 서식지 |
---|---|
오클랜드 나무 웨타 | 웰링턴-와이라라파 지역을 제외한 노스 아일랜드 전역 (7개의 염색체 종족 존재)[29] |
웰링턴 나무 웨타 | 웰링턴, 와이라라파, 사우스 아일랜드 북부, 서부 해안[30] |
Hemideina trewicki | 호크스 베이[31] |
Hemideina femorata | 말보로, 캔터베리 |
Hemideina ricta | 뱅크스 반도 |
서부 해안 부시 웨타 | 넬슨과 서부 해안 북부 (웰링턴 나무 웨타와 서식지 겹침) |
Hemideina maori | 남알프스산맥의 수목 한계선 위 |
노스 아일랜드 종들은 각각 독특한 염색체 세트(핵형)를 가지고 있다.[32] 종의 서식지가 겹치는 경우, 예를 들어 뱅크스 반도의 ''H. femorata''와 ''H. ricta''처럼 교배할 수 있지만, 자손은 생식 능력이 없다.[33]
6. 3. 큰턱웨타 (Tusked wētā)
'''큰턱웨타'''는 수컷의 턱에서 앞쪽으로 돌출된 길고 굽은 엄니가 특징인 곤충이다. 이 엄니는 물 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수컷 간의 싸움에 사용된다. 암컷 큰턱웨타는 땅웨타와 비슷하게 생겼다. 큰턱웨타는 주로 육식성이며, 벌레와 곤충을 먹는다. 큰턱웨타에는 세 종이 알려져 있으며, 두 개의 다른 아과에 속한다. 북랜드 큰턱웨타 ''Anisoura nicobarica''(원래 땅웨타, ''Hemiandrus monstrosus''로 기술됨)는 Deinacridinae 아과에 속하며, 머큐리 제도 큰턱웨타 ''Motuweta isolata'', 그리고 가장 최근에 발견된 라우쿠마라 큰턱웨타 ''Motuweta riparia''가 있다. ''Motuweta''는 땅웨타와 같은 아과인 Anostostomatinae에 속한다.
북랜드 큰턱웨타는 나무웨타와 유사하게 나무 구멍에 산다. 머큐리 제도 또는 미들 아일랜드 큰턱웨타는 1970년에 발견되었다. 이 웨타는 땅에 사는 웨타로, 낮에는 얕은 굴에 자신을 가두며,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뉴질랜드 보존부의 번식 프로그램이 머큐리 군도의 다른 섬에 새로운 군집을 설립했다. 라우쿠마라 큰턱웨타는 1996년 베이오브플렌티 근처의 라우쿠마라 산맥에서 발견되었다. 이 종은 위협을 받으면 최대 3분 동안 시내에 뛰어들어 물속에 숨는 특이한 습관을 가지고 있다.
6. 4. 땅웨타 (Ground wētā)

'''땅웨타'''는 ''Hemiandrus''와 ''Anderus'' 두 속으로 분류된다. 이 두 속의 종들은 서로보다 날개가 있는 호주 종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6] 뉴질랜드에는 약 30종의 땅웨타가 서식하며, 호주에서는 몇 종의 유사한 (미기재) 종들이 발견된다.[20] 땅웨타는 캘리포니아의 ''Cnemotettix''와 매우 유사한데, 이는 아마도 매우 비슷한 습성과 서식지 때문일 것이다. 뉴질랜드에서는 19종의 ''Hemiandrus''가 기술되었으며,[34][35] 다른 뚜렷한 개체군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36] 이들은 낮 동안 땅속 굴에 숨어 지내며, 개방된 땅에 사는 종들(예: ''H. focalis'', ''H. maia'')[37]은 특별히 만들어진 구멍 뚫린 문으로 출입구를 가린다. 밤 동안 땅웨타는 무척추동물을 사냥하거나 과일을 먹는다. 대부분의 암컷 땅웨타는 긴 산란관(ovipositer)(예: ''H. maculifrons'')을 가지고 있지만, 일부는 짧은 산란관과 모성애를 보인다(예: ''H. maia, H. pallitarsis'').
6. 5. 동굴웨타 (Cave wētā)
60종의 '''동굴 웨타''' 또는 ''토코리로''[2]는 다른 종류의 웨타와는 아주 먼 친척 관계이며, Rhaphidophoridae과의 Macropathinae 아과에 속하는 여러 속으로 분류된다.이들은 매우 긴 더듬이를 가지고 있으며,[38] 길고 가느다란 다리와 수동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 ''Hemideina''와 ''Deinacrida'' 종처럼 앞다리에 청각 기관이 없지만, 일부(예: ''Talitropsis'')는 발의 패드를 통해 감지되는 지면 진동에 매우 민감하다. 미모의 특수한 털과 더듬이의 기관 또한 공기 중의 저주파 진동에 민감하다.
일부는 동굴에 살지만, 대부분의 종(예: ''Talitropsis sedilloti'')은 낙엽, 통나무, 나무 껍질 아래(예: ''Isoplectron''), 나무 구멍 안(예: ''Neonetus'' sp.) 그리고 산의 바위 사이(예: ''Pharmacus'')에서 숲 속에 산다.[39][40][41][42] 동굴에 사는 종은 낮 동안 동굴 내에서 활동할 수 있으며, 동굴 입구 가까이에 있는 개체는 밤에 밖으로 나간다.[41]




7. 진화
화석화된 메뚜기목은 러시아, 중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 뉴질랜드에서 발견되었지만, 과학자들은 그 관계에 대해 서로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다. 두 과에 속하는 대부분의 웨타는 남반구에서 발견된다. 웨타는 뉴질랜드가 곤드와나로부터 분리되기 전 고대 곤드와나에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18] 긴가슴마메뚜기과는 바다를 건너 채텀 제도(Rēkohu), 오클랜드 제도(Motu Maha), 스네어스 제도(Tini Heke), 바운티 제도(Moutere Hauiri), 캠벨 섬(Motu Ihupuku)에 정착했다.[19][22] 현존하는 종은 최근의 방산으로 인해 생겨났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남반구 주변의 웨타 조상의 분산에 대한 이전의 생각과 상충된다(Wallis ''et al.'' 2000).
거대 웨타, 나무 웨타, 땅 웨타, 그리고 송곳니 웨타는 모두 주머니귀뚜라미과(이전에는 주걱날개귀뚜라미과에 속했지만, 최근 분리됨)에 속한다.[20] 동굴 웨타는 다른 곳에서는 동굴 귀뚜라미 또는 낙타 귀뚜라미라고 불리는 긴가슴마메뚜기과의 구성원이므로, ''토코리''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적절하다. 뉴질랜드에는 2014년 기준으로 19개 속의 토코리 종이 있었으며, 그 분류는 검토 중이다.[21][22][23] 2019년에는 ''Pleioplectron rodmorrisi''를 포함하여 7개의 새로운 남섬 동굴 웨타 종이 명명되고 설명되었다.[24]
8. 보존
웨타는 인간이 도착하기 전에도 웨카, 키위와 같은 조류, 파충류, 박쥐와 같은 토착 포식자가 있었지만, 고양이, 고슴도치, 쥐(키오레 포함), 족제비와 같은 외래종의 유입으로 포식률이 급격히 증가했다. 또한 인간에 의한 서식지 파괴와 외래 초식 동물의 유입으로 인한 서식지 변형에도 취약하다. 뉴질랜드 보존부는 100종이 넘는 웨타 종 중 16종을 위험 종으로 간주하고 있다. 1970년대부터 멸종을 방지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시행되었다.
일부 특히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은 무선 비콘으로 추적된다.[43]
9. 대중문화
웨타는 뉴질랜드의 디지털 시각 효과 기업인 웨타 디지털의 상징이다. 뉴질랜드 출신인 피터 잭슨, 리처드 테일러, 제이미 셀커크는 이 곤충의 이름을 따서 시각 효과 회사 웨타 디지털(현재는 Wētā FX로 알려짐)을 설립했다.[44] 잭슨의 영화 중 하나인 ''킹콩''에는 해골섬의 동물군 중 거대한 웨타의 과장된 버전이 등장하며, 이는 "Deinacrida rex" 또는 "Wētā-rex"라는 학명으로 불린다.[45]
참조
[1]
서적
NZ wild life : introducing the weird and wonderful character of natural New Zealand
Penguin
[2]
웹사이트
Wētā
https://maoridiction[...]
2020-02-10
[3]
뉴스
Weta – when a macron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insects and excrement
https://www.stuff.co[...]
2020-01-23
[4]
웹사이트
Plurals in te reo Māori
https://web.archive.[...]
Statistics New Zealand
2024-08-25
[5]
논문
Exploring the concept of niche convergence in a land without rodents: the case of weta as small mammals
https://newzealandec[...]
2011
[6]
논문
Wētā Aotearoa—Polyphyly of the New Zealand Anostostomatidae (Insecta: Orthoptera)
2024
[7]
논문
Isotopic fractionation in a large herbivorous insect, the Auckland tree weta
2010
[8]
논문
Is the tree weta ''Hemideina crassidens'' an obligate herbivore?
http://www.science.c[...]
2011
[9]
서적
The Ecology of Some Large Weta Species in New Zealand. Chapter 12 in The Biology of Wetas, King Crickets and their Allies [ed. L. H. Field]
CABI publishing0
2001
[10]
논문
Sexual Selection for Male Mobility in a Giant Insect with Female-Biased Size Dimorphism
http://dspace.stir.a[...]
2008
[11]
논문
Habitat use, Behavior and Movement Patterns of a Threatened New Zealand Giant Weta, Deinacrida heteracantha (Anostostomatidae: Orthoptera)
http://www.bioone.or[...]
2011
[12]
논문
Sex- and season-dependent behaviour in a flightless insect, the Auckland tree weta (''Hemideina thoracica'')
https://newzealandec[...]
2013
[13]
논문
New Zealand ground wētā (Anostostomatidae: ''Hemiandrus''): descriptions of two species with notes on their biology
2013
[14]
웹사이트
Story: Wētā, Tree wētā
http://www.teara.gov[...]
2012-09-04
[15]
서적
The biology of wetas, king crickets and their allies
CABI Pub
[16]
서적
Scratching for a Living
Random House NZ
[17]
논문
The secondary copulatory organ in female ground weta (''Hemiandrus pallitarsis'', Orthoptera: Anostostomatidae): a sexually selected device in females?
2005
[18]
논문
Diversification of New Zealand weta (Orthoptera: Ensifera: Anostostomatidae) and their relationships in Australasia
2008
[19]
논문
Fossil-calibrated phylogenies of Southern cave wētā show dispersal and extinction confound biogeographic signal
2024
[20]
논문
The Gondwanaland weta: family Anostostomatidae (formerly in Stenopelmatidae, Henicidae or Mimnermidae): nomenclatural problems, world checklist, new genera and species
1997
[21]
논문
Status of the New Zealand cave weta (Rhaphidophoridae) genera ''Pachyrhamma'', ''Gymnoplectron'' and ''Turbottoplectron''
2010
[22]
웹사이트
Raphidophoridae
http://wetageta.mass[...]
2021-08-17
[23]
논문
Reinstatement of the New Zealand cave wētā genus ''Miotopus'' Hutton (Orthoptera: Rhaphidophoridae) and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2018
[24]
뉴스
Seven new South Island cave wētā identified
https://www.stuff.co[...]
2019-11-25
[25]
웹사이트
NZTCS
https://nztcs.org.nz[...]
2024-09-23
[26]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the biology of the giant wetas Deinacrida heteracantha and D. fallai (Orthoptera: Henicidae) from New Zealand
https://bugz.ento.or[...]
1973
[27]
웹사이트
Book of Insect Records
https://web.archive.[...]
2006-05-20
[28]
논문
Indigenous plant naming and experimentation reveal a plant–insect relationship in New Zealand forests
2020
[29]
논문
Intraspecific karyotype variation is not concordant with allozyme variation in the Auckland tree weta of New Zealand, ''Hemideina thoracica'' (Orthoptera: Stenopelmatidae)
1997
[30]
논문
Shifting ranges of two tree weta species (''Hemideina'' spp.): competitive exclusion and changing climate
2013
[31]
논문
A new species of tree weta from the North Island of New Zealand (''Hemideina'': Stenopelmatidae: Orthoptera)
1995
[32]
논문
Comparative cytogenetics of North Island tree wētā in sympatry
2015
[33]
논문
Little or no gene flow despite F1 hybrids at two interspecific contact zones
2016
[34]
논문
Three new ground wētā species and a redescription of ''Hemiandrus maculifrons''
https://doi.org/10.1[...]
2016
[35]
논문
A new species of large ''Hemiandrus'' ground wētā (Orthoptera: Anostostomatidae) from North Island, New Zealand
2021
[36]
논문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status of ground weta, ''Hemiandrus'' species (Orthoptera: Anostostomatidae).
2001
[37]
논문
New Zealand ground wētā (Anostostomatidae: Hemiandrus): descriptions of two species with notes on their biology
2013
[38]
논문
Sexually dimorphic antennal structures of New Zealand Cave Wētā (Orthoptera: Rhaphidophoridae)
https://doi.org/10.1[...]
2019
[39]
논문
High alpine sorcerers: revision of the cave wētā genus Pharmacus Pictet & de Saussure (Orthoptera: Rhaphidophoridae: Macropathinae), with the description of six new species and three new subspecies
https://europeanjour[...]
2022
[40]
웹사이트
Cave Weta Ecology
http://wetageta.mass[...]
Massey University
2021-08-17
[41]
논문
Some Observations on New Zealand Cave-wetas
http://nzetc.victori[...]
1961
[42]
논문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Pleioplectron Hutton cave wētā (Orthoptera: Rhaphidophoridae: Macropathinae), with the synonymy of Weta Chopard and the description of seven new species
https://europeanjour[...]
2019
[43]
뉴스
Eel's costly snack
http://www.nzherald.[...]
2011-12-03
[44]
뉴스
From a draughty hut to Hollywood: the rise of Peter Jackson's secretive animation giant
https://www.theguard[...]
2016-10-21
[45]
서적
The World of Kong: A Natural History of Skull Island
Simon and Schuster
[46]
웹사이트
Weta insect: Heaviest in the world weighs 3 times a mouse
http://www.dailyma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