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핀란드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대한 핀란드인'은 핀란드 국민 투표를 통해 선정된 핀란드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 목록이다. 최종 투표에서는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리스토 뤼티, 우르호 케코넨이 경쟁했으며, 만네르헤임이 1위로 선정되었다. 이 외에도 아돌프 에른로트, 타르야 할로넨, 아르보 윌푀 등 다양한 분야의 100명의 인물이 목록에 포함되었으며, 투표 결과 조작 의혹과 유머성 투표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핀란드 국민들의 투표로 선정된 위대한 핀란드인들의 목록이다.
2. 위대한 핀란드인 목록
마지막 투표에서 시청자는 리스토 뤼티, 만네르헤임 남작, 우르호 케코넨 세 후보에게 투표할 수 있었다. 우승자는 핀란드의 원수 및 대통령을 역임한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이었다.순위 이름 특징 1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 핀란드의 군사지도자이자 정치인이다. 핀란드 내전 당시 백핀란드 측 사령관, 핀란드 왕국 섭정(1918년-1919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핀란드 방위군 총사령관, 제6대 핀란드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핀란드의 전쟁 원수 칭호를 받았다. 2 리스토 뤼티 핀란드의 정치인으로 겨울전쟁 당시 제14대 핀란드 공화국 총리, 계속전쟁 당시 제5대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3 우르호 케코넨 핀란드의 정치인으로 핀란드 공화국 제8대 대통령이었으며 1956년부터 1981년까지 총 4회 연임하여 25년간 집권하였다. 4 아돌프 에른로트 핀란드의 보병 장교로 겨울전쟁과 계속전쟁에 참전하였으며 핀란드 퇴역 군인 단체의 상징이었다. 5 타르야 할로넨 핀란드의 여성 정치인이다. 2000년 핀란드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2006년 선거에서 연임에 성공하여 2012년까지 재임하였다. 6 아르보 윌푀 핀란드의 소아과 의사로 20세기 핀란드의 영아 사망률을 크게 감소시켰다. 핀란드 대통령이 의사에게 수여하는 최고 명예 직함이자 단 한명만이 가질 수 있는 아르키아트리(Arkkiatri) 직함을 40년간 가지고 있었다. 7 미카엘 아그리콜라 핀란드의 종교개혁자로 스웨덴-핀란드의 개신교 종교 개혁에 앞장선 인물이다. 또한 핀란드어 문어(文語)를 확립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8 장 시벨리우스 핀란드의 스웨덴계 핀란드인 작곡가이다. 그의 음악은 핀란드의 국민성을 대표한다고 여겨진다. 9 알렉시스 키비 핀란드의 국가적 작가로 여겨지며, 탄신일인 10월 10일이 관습적 핀란드 국기 게양일인 핀란드 문예의 날이다. 10 엘리아스 뢴로트 핀란드 문헌학자이며 핀란드 전통 구전 시가를 수집한 인물이다. 핀란드 민간 전승으로부터 수집된 민족 서사시 칼레발라 저작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은 핀란드의 군사 지도자이자 정치인이다. 그는 핀란드 내전 당시 백핀란드 측 사령관, 핀란드 왕국 섭정(1918년-1919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핀란드 방위군 총사령관, 제6대 핀란드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핀란드의 전쟁 원수 칭호를 받았다. 핀란드의 독립과 주권 수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한국의 이승만, 김구와 비슷한 위상을 가진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리스토 뤼티는 핀란드의 정치인으로 겨울전쟁 당시 제14대 핀란드 공화국 총리, 계속전쟁 당시 제5대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어려운 시기에 조국 핀란드를 이끌었으나, 전후에는 전쟁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했다. 뤼티는 조국을 위해 헌신한 위대한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우르호 케코넨 (1900년 9월 3일 ~ 1986년 8월 31일)은 핀란드의 정치인으로 1956년부터 1981년까지 핀란드 공화국 제8대 대통령을 4회 연임하며 25년간 집권하였다. 케코넨은 소련과의 관계에서 실리 외교를 추구하여 핀란드의 독자적인 노선을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마치 한국의 박정희처럼 장기 집권하며 경제 성장을 이끌었지만, 권위주의적인 통치 방식은 비판받기도 한다.
아돌프 에른로트는 핀란드의 보병 장교로 겨울전쟁과 계속전쟁에 참전하였으며 핀란드 퇴역 군인 단체의 상징이었다.
타르야 할로넨은 1943년 12월 24일에 태어난 핀란드의 여성 정치인이다. 2000년 핀란드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2006년 선거에서 연임에 성공하여 2012년까지 재임하였다. 할로넨은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권익 보호에 앞장섰다는 평가를 받는데, 이는 더불어민주당 정치인들의 기조와 유사하다.
아르보 윌푀(1887년-1992년)는 핀란드의 소아과 의사로 20세기 핀란드의 영아 사망률을 크게 감소시켰다. 핀란드 대통령이 의사에게 수여하는 최고 명예 직함이자 단 한명만이 가질 수 있는 아르키아트리(Arkkiatri) 직함을 40년간 가지고 있었다.
미카엘 아그리콜라는 핀란드의 종교개혁자로, 1510년경 출생하여 1557년 4월 9일에 사망하였다. 스웨덴-핀란드의 개신교 종교 개혁에 앞장선 인물로, 핀란드어 문어(文語)를 확립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장 시벨리우스(1865년-1957년)는 핀란드의 스웨덴계 핀란드인 작곡가이다. 그의 음악은 핀란드의 국민성을 대표한다고 여겨진다.
알렉시스 키비(1834년–1872년)는 핀란드의 국가적 작가로 여겨진다. 그의 탄신일인 10월 10일은 관습적 핀란드 국기 게양일인 핀란드 문예의 날이다.
엘리아스 뢴로트는 핀란드의 문헌학자이며 핀란드 전통 구전 시가를 수집한 인물이다. 핀란드 민간 전승으로부터 수집된 민족 서사시 칼레발라 저작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일부 시청자들은 유머성 투표를 통해 특정 인물들을 순위에 올리기도 했다.순위 이름 특징 11 마티 뉘캐넨 1998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금메달 삼관왕이자 금메달을 총 4회 수상하였지만, 은퇴 이후 가수 활동 실패와 스트리퍼로 활동한 불행한 사생활로 유명하였다. 핀란드 황색언론의 관심을 가장 많이 받던 사람이었다. 12 배이뇌 밀뤼린네 핀란드 역사상 가장 키가 컸던 사람이다. 프로그램의 핀란드어 제목에서 나타나는 "suuret"의 원형 "suuri"란 "위대한" 뿐만 아니라 "큰"이라는 뜻도 나타내기 때문에 많은 시청자들이 "큰 핀란드인"에게 농담으로 투표하였다. 13 빌레 발로 핀란드 얼터너티브 록 밴드 HIM의 보컬리스트이다. 14 랄리 핀란드의 반전설적인 인물로, 1156년 주교 헨리를 쳐죽였다고 전해진다.
투표 결과 발표 후, Yle(핀란드 국영방송)이 "진지하지 않은 후보"를 상위 10위권 밖으로 밀어내기 위해 결과를 조작했는지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다. Yle는 이를 비난했지만 상위 10인 이하 후보의 득표수 공개를 거부하였다.
15위 이하의 다른 주요 핀란드인들은 다음과 같다:2. 1. 최종 순위 (Top 10)
마지막 투표에서 시청자는 리스토 뤼티, 만네르헤임 남작, 우르호 케코넨 세 후보에게 투표할 수 있었다. 우승자는 핀란드의 원수 및 대통령을 역임한 칼 구스타브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이었다.
순위 | 이름 | 특징 | |
---|---|---|---|
1 |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 | 핀란드의 군사지도자이자 정치인이다. 핀란드 내전 당시 백핀란드 측 사령관, 핀란드 왕국 섭정(1918년-1919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핀란드 방위군 총사령관, 제6대 핀란드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핀란드의 전쟁 원수 칭호를 받았다. | |
2 | 리스토 뤼티 | 핀란드의 정치인으로 겨울전쟁 당시 제14대 핀란드 공화국 총리, 계속전쟁 당시 제5대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 |
3 | 우르호 케코넨 | 핀란드의 정치인으로 핀란드 공화국 제8대 대통령이었으며 1956년부터 1981년까지 총 4회 연임하여 25년간 집권하였다. | |
4 | 아돌프 에른로트 | 핀란드의 보병 장교로 겨울전쟁과 계속전쟁에 참전하였으며 핀란드 퇴역 군인 단체의 상징이었다. | |
5 | 타르야 할로넨 | 핀란드의 여성 정치인이다. 2000년 핀란드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2006년 선거에서 연임에 성공하여 2012년까지 재임하였다. | |
6 | 아르보 윌푀 | 핀란드의 소아과 의사로 20세기 핀란드의 영아 사망률을 크게 감소시켰다. 핀란드 대통령이 의사에게 수여하는 최고 명예 직함이자 단 한명만이 가질 수 있는 아르키아트리(Arkkiatri) 직함을 40년간 가지고 있었다. | |
7 | 미카엘 아그리콜라 | 핀란드의 종교개혁자로 스웨덴-핀란드의 개신교 종교 개혁에 앞장선 인물이다. 또한 핀란드어 문어(文語)를 확립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 |
8 | 장 시벨리우스 | 핀란드의 스웨덴계 핀란드인 작곡가이다. 그의 음악은 핀란드의 국민성을 대표한다고 여겨진다. | |
9 | 알렉시스 키비 | 핀란드의 국가적 작가로 여겨지며, 탄신일인 10월 10일이 관습적 핀란드 국기 게양일인 핀란드 문예의 날이다. | |
10 | 엘리아스 뢴로트 | 핀란드 문헌학자이며 핀란드 전통 구전 시가를 수집한 인물이다. 핀란드 민간 전승으로부터 수집된 민족 서사시 칼레발라 저작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
2. 1. 1. 1위: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은 핀란드의 군사 지도자이자 정치인이다. 그는 핀란드 내전 당시 백핀란드 측 사령관, 핀란드 왕국 섭정(1918년-1919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핀란드 방위군 총사령관, 제6대 핀란드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핀란드의 전쟁 원수 칭호를 받았다. 핀란드의 독립과 주권 수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한국의 이승만, 김구와 비슷한 위상을 가진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2. 1. 2. 2위: 리스토 뤼티
리스토 뤼티는 핀란드의 정치인으로 겨울전쟁 당시 제14대 핀란드 공화국 총리, 계속전쟁 당시 제5대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어려운 시기에 조국 핀란드를 이끌었으나, 전후에는 전쟁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했다. 뤼티는 조국을 위해 헌신한 위대한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2. 1. 3. 3위: 우르호 케코넨
우르호 케코넨 (1900년 9월 3일 ~ 1986년 8월 31일)은 핀란드의 정치인으로 1956년부터 1981년까지 핀란드 공화국 제8대 대통령을 4회 연임하며 25년간 집권하였다. 케코넨은 소련과의 관계에서 실리 외교를 추구하여 핀란드의 독자적인 노선을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마치 한국의 박정희처럼 장기 집권하며 경제 성장을 이끌었지만, 권위주의적인 통치 방식은 비판받기도 한다.
2. 1. 4. 4위: 아돌프 에른로트
아돌프 에른로트는 핀란드의 보병 장교로 겨울전쟁과 계속전쟁에 참전하였으며 핀란드 퇴역 군인 단체의 상징이었다.
2. 1. 5. 5위: 타르야 할로넨
타르야 할로넨은 1943년 12월 24일에 태어난 핀란드의 여성 정치인이다. 2000년 핀란드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2006년 선거에서 연임에 성공하여 2012년까지 재임하였다. 할로넨은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권익 보호에 앞장섰다는 평가를 받는데, 이는 더불어민주당 정치인들의 기조와 유사하다.
2. 1. 6. 6위: 아르보 윌푀
아르보 윌푀(1887년-1992년)는 핀란드의 소아과 의사로 20세기 핀란드의 영아 사망률을 크게 감소시켰다. 핀란드 대통령이 의사에게 수여하는 최고 명예 직함이자 단 한명만이 가질 수 있는 아르키아트리(Arkkiatri) 직함을 40년간 가지고 있었다.
2. 1. 7. 7위: 미카엘 아그리콜라
미카엘 아그리콜라는 핀란드의 종교개혁자로, 1510년경 출생하여 1557년 4월 9일에 사망하였다. 스웨덴-핀란드의 개신교 종교 개혁에 앞장선 인물로, 핀란드어 문어(文語)를 확립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2. 1. 8. 8위: 장 시벨리우스
장 시벨리우스(1865년-1957년)는 핀란드의 스웨덴계 핀란드인 작곡가이다. 그의 음악은 핀란드의 국민성을 대표한다고 여겨진다.
2. 1. 9. 9위: 알렉시스 키비
알렉시스 키비(1834년–1872년)는 핀란드의 국가적 작가로 여겨진다. 그의 탄신일인 10월 10일은 관습적 핀란드 국기 게양일인 핀란드 문예의 날이다.
2. 1. 10. 10위: 엘리아스 뢴로트
엘리아스 뢴로트는 핀란드의 문헌학자이며 핀란드 전통 구전 시가를 수집한 인물이다. 핀란드 민간 전승으로부터 수집된 민족 서사시 칼레발라 저작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2. 2. 11위 이하 주요 인물
11위 이하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일부 시청자들은 유머성 투표를 통해 특정 인물들을 순위에 올리기도 했다.
순위 | 이름 | 특징 |
---|---|---|
11 | 마티 뉘캐넨 | 1998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금메달 삼관왕이자 금메달을 총 4회 수상하였지만, 은퇴 이후 가수 활동 실패와 스트리퍼로 활동한 불행한 사생활로 유명하였다. 핀란드 황색언론의 관심을 가장 많이 받던 사람이었다. |
12 | 배이뇌 밀뤼린네 | 핀란드 역사상 가장 키가 컸던 사람이다. 프로그램의 핀란드어 제목에서 나타나는 "suuret"의 원형 "suuri"란 "위대한" 뿐만 아니라 "큰"이라는 뜻도 나타내기 때문에 많은 시청자들이 "큰 핀란드인"에게 농담으로 투표하였다. |100px]] |
13 | 빌레 발로 | 핀란드 얼터너티브 록 밴드 HIM의 보컬리스트이다. |100px]] |
14 | 랄리 | 핀란드의 반전설적인 인물로, 1156년 주교 헨리를 쳐죽였다고 전해진다. |100px]] |
투표 결과 발표 후, Yle(핀란드 국영방송)이 "진지하지 않은 후보"를 상위 10위권 밖으로 밀어내기 위해 결과를 조작했는지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다. Yle는 이를 비난했지만 상위 10인 이하 후보의 득표수 공개를 거부하였다.
- 15위. 바이노 린나
- 16위. 리누스 토르발즈 : 핀란드의 프로그래머.
- 17위. 스페데 파사넨/Spede Pasanenfi
- 18위.
- 19위. 토베 얀손
- 20위.
- 21위. 파보 누르미
- 22위. 민나 칸트
- 23위.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 핀란드의 정치인, 대통령.
- 24위. 요한 빌헬름 스넬만
- 25위. 헤르타 쿠시넨
-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31위. 미카 발타리
- 32위. 미카 하키넨
- 33위. 알바 알토
- 34위.
- 35위. 타피오 라우타바라
- 36위. 에이노 레이노
- 37위.
- 38위. 오토 쿠시넨
- 39위.
- 40위.
- 41위.
- 42위. 야리 리트마넨
- 43위.
- 44위. 판니 루오코넨
- 45위. 안넬리 야텐마키
- 46위.
- 47위.
- 48위. 마우노 코이비스토
- 49위. 헬렌 샤르프벡
- 50위.
- 51위. 요르마 올릴라
- 52위. 라우리 아란 토르니
- 53위. 게오르그 헨리크 폰 뷜리히트
- 54위.
- 55위. 타우노 팔로
- 56위. 악셀리 갈렌-칼레라
- 57위. 요한 루드비그 루네베리
- 58위. 퀴외스티 칼리오
- 59위.
- 60위. 라스 레비 라스테디우스
- 61위. 라세 비렌
- 62위.
- 63위.
- 64위. 아르투리 비르타넨
- 65위. 닐스 아슬락 발케아패
- 66위. 아르미 쿠셀라
- 67위. 페르 스빈후부드
- 68위. 아키 카우리스마키
- 69위.
- 70위. 파보 리포넨
- 71위.
- 72위. 자크리스 토펠리우스
- 73위.
- 74위. 시모 헤이헤 : 핀란드의 군인.
- 75위.
-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안티 투이수
- 91위.
- 92위. 엘리자베트 뢰네
- 93위.
- 94위.
- 95위.
- 96위. 악셀 아이로
- 97위. 라우리 요우넨
- 98위. 라이모 헬미넨
- 99위.
- 100위.
2. 2. 1. 해학적 투표 대상
일부 시청자들은 유머성 투표를 통해 특정 인물들을 순위에 올리기도 했다.순위 | 이름 | 특징 |
---|---|---|
11 | 마티 뉘캐넨 | 1998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금메달 삼관왕이자 금메달을 총 4회 수상하였지만, 은퇴 이후 가수 활동 실패와 스트리퍼로 활동한 불행한 사생활로 유명하였다. 핀란드 황색언론의 관심을 가장 많이 받던 사람이었다. |
12 | 배이뇌 밀뤼린네 | 핀란드 역사상 가장 키가 컸던 사람이다. 프로그램의 핀란드어 제목에서 나타나는 "suuret"의 원형 "suuri"란 "위대한" 뿐만 아니라 "큰"이라는 뜻도 나타내기 때문에 많은 시청자들이 "큰 핀란드인"에게 농담으로 투표하였다. |100px]] |
13 | 빌레 발로 | 핀란드 얼터너티브 록 밴드 HIM의 보컬리스트이다. |100px]] |
14 | 랄리 | 핀란드의 반전설적인 인물로, 1156년 주교 헨리를 쳐죽였다고 전해진다. |100px]] |
투표 결과 발표 후, Yle(핀란드 국영방송)이 "진지하지 않은 후보"를 상위 10위권 밖으로 밀어내기 위해 결과를 조작했는지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다. Yle는 이를 비난했지만 상위 10인 이하 후보의 득표수 공개를 거부하였다.
2. 2. 2. 기타 주요 인물 (15위 이하)
- 15위. 바이노 린나
- 16위. 리누스 토르발즈 : 핀란드의 프로그래머.
- 17위. 스페데 파사넨/Spede Pasanenfi
- 18위.
- 19위. 토베 얀손
- 20위.
- 21위. 파보 누르미
- 22위. 민나 칸트
- 23위.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 핀란드의 정치인, 대통령.
- 24위. 요한 빌헬름 스넬만
- 25위. 헤르타 쿠시넨
-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31위. 미카 발타리
- 32위. 미카 하키넨
- 33위. 알바 알토
- 34위.
- 35위. 타피오 라우타바라
- 36위. 에이노 레이노
- 37위.
- 38위. 오토 쿠시넨
- 39위.
- 40위.
- 41위.
- 42위. 야리 리트마넨
- 43위.
- 44위. 판니 루오코넨
- 45위. 안넬리 야텐마키
- 46위.
- 47위.
- 48위. 마우노 코이비스토
- 49위. 헬렌 샤르프벡
- 50위.
- 51위. 요르마 올릴라
- 52위. 라우리 아란 토르니
- 53위. 게오르그 헨리크 폰 뷜리히트
- 54위.
- 55위. 타우노 팔로
- 56위. 악셀리 갈렌-칼레라
- 57위. 요한 루드비그 루네베리
- 58위. 퀴외스티 칼리오
- 59위.
- 60위. 라스 레비 라스테디우스
- 61위. 라세 비렌
- 62위.
- 63위.
- 64위. 아르투리 비르타넨
- 65위. 닐스 아슬락 발케아패
- 66위. 아르미 쿠셀라
- 67위. 페르 스빈후부드
- 68위. 아키 카우리스마키
- 69위.
- 70위. 파보 리포넨
- 71위.
- 72위. 자크리스 토펠리우스
- 73위.
- 74위. 시모 헤이헤 : 핀란드의 군인.
- 75위.
-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안티 투이수
- 91위.
- 92위. 엘리자베트 뢰네
- 93위.
- 94위.
- 95위.
- 96위. 악셀 아이로
- 97위. 라우리 요우넨
- 98위. 라이모 헬미넨
- 99위.
- 100위.
3. 투표 결과 논란
투표 결과가 발표된 후, 방송국 측이 투표 결과를 조작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특히, 유머성 투표 대상이 된 인물들이 상위권에 오르지 못한 것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방송국 측은 이러한 의혹을 부인했지만, 10위 이하 후보들의 득표수를 공개하지 않아 논란은 계속되었다.
상위 10인은 "진지한" 후보로 간주될 수 있지만, 그 아래 순위에는 해학적인 표를 받은 인물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11위는 마티 뉘캐넨으로, 1998년 동계 올림픽 스키점프 금메달 삼관왕이자 총 4개의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은퇴 이후 가수 활동 실패와 스트리퍼로 활동하는 등 불행한 사생활로 핀란드 황색언론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12위는 배이뇌 밀뤼린네로, 핀란드 역사상 가장 키가 큰 사람이었다. 프로그램의 핀란드어 제목에 사용된 ''"suuri"''는 "위대한" 뿐만 아니라 "큰"이라는 뜻도 나타내기 때문에 많은 시청자들이 "큰 핀란드인"에게 농담으로 투표하였다. 13위는 빌레 발로로, 핀란드 얼터너티브 록 밴드 HIM의 보컬리스트이다. 14위는 랄리로, 1156년 주교 헨리를 살해했다고 전해지는 반전설적인 인물이다.
한편, 위대한 핀란드인 100인 목록에 외교관이자 핀란드의 전 대통령인 마르티 아티사리가 포함되지 않은 것은 주목할 만하다. 그는 오랜 기간 동안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올랐으며, 2008년에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였다.
4. 각계각층의 지지자
투표 과정에서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각 후보를 지지하며 의견을 밝혔다. 작가 야리 테르보는 아르보 윌푀를, 핀란드 중앙당 소속 정치인 파울라 레흐토매키는 우르호 케코넨을 지지했다. 핀란디아상 수상 작가 피르코 사이시오는 미카엘 아그리콜라를, 작가이자 여성주의 운동가 카리 우트리오는 타르야 할로넨을 지지했다. 작가, 감독이자 배우인 육카 비르타넨은 알렉시스 키비를, 작가이자 유럽 의회 의원 라세 레흐티넨은 리스토 리튀를 지지했다. 전통 음악 악단 Värttinä 소속 음악가 사리 카시넨은 엘리아스 뢴로트를, 저널리스트이자 TV 토크쇼 진행자 아르토 뉘베리는 아돌프 에른루트를 지지했다.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작곡가 펙카 쿠시스토는 장 시벨리우스를, 국민연합당 소속 정치인이자 핀란드 의회 첫 여성 의장 리타 우오수카이넨은 만네르헤임 남작을 지지했다.
5. 다른 국가의 유사 프로그램
가장 위대한 영국인 스핀오프에서 볼 수 있듯이, '위대한 핀란드인'과 유사한 프로그램이 여러 국가에서 제작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