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칼 구스타브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 구스타브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은 독일 출신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러시아 제국 육군 장교로 복무했으며, 핀란드 내전에서 백군을 지휘했다. 핀란드가 독립한 후 핀란드 방위군 총사령관, 섭정, 대통령을 역임하며 핀란드의 독립과 국가 수호에 기여했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모두 참전하여 양쪽 모두에게 훈장을 받았으며, 핀란드의 원수 칭호를 받았다. 만네르헤임은 핀란드에서 존경받는 인물로, 그의 생일은 국기의 날로 기념되고 있으며, 만네르헤임 박물관에 그의 삶과 업적이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스쿠 출신 - 칼 구스타브 만네르헤임 백작
    칼 구스타브 만네르헤임 백작은 핀란드 재무부 초대 부회장의 아들이자 40년간 방대한 딱정벌레 컬렉션을 수집하고 북미 서부의 딱정벌레 동물상 연구에 기여한 19세기 핀란드 곤충학자로, 그의 업적을 기려 여러 딱정벌레 속과 종에 그의 이름이 헌정되었으며 여러 학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딱정벌레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 핀란드의 탐험가 - 페르 칼름
    페르 칼름은 핀란드 출신의 식물학자이자 탐험가로, 칼 폰 린네에게 식물학을 배우고 북미를 탐험하며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으며, 투르쿠 왕립 아카데미 교수로 핀란드 최초의 식물원 설립에 기여하고 '북미 여행기'를 출판하여 유럽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칼 구스타브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40년의 만네르헤임
이름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로마자 표기Carl Gustaf Emil Mannerheim
출생일1867년 6월 4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핀란드 대공국 아스카이넨 로우히사리 (현재 핀란드 마스쿠 아스카이넨)
사망일1951년 1월 27일
사망지스위스 보주 로잔
안장 장소헬싱키 히에타니에미 묘지
국적핀란드 (핀란드 대공국) (1867–1917)
핀란드 (1917–1951)
배우자아나스타시 아라포바 (1892년 결혼, 1919년 이혼)
자녀아나스타시 "스타시" 만네르헤임 (1893–1978)
소피아 "소피" 만네르헤임 (1895–1963)
부모카를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헤드비그 폰 율린
친척소피 만네르헤임 (여동생)
에바 만네르헤임-스파레 (여동생)
칼 구스타프 만네르헤임 (조부)
욘 야코브 폰 율린 (외조부)
알베르트 폰 율린 (외삼촌)
게오르크 C. 에른로트 (조카 손자)
"만네르헤임 가문" 참조
"율린 가문" 참조
직업군인, 정치가
정당무소속
서명
군사 경력
소속러시아 제국군
핀란드 백위군
핀란드 육군
복무 기간1889–1917 (러시아 제국)
1918 (백위군)
1939–1945 (핀란드)
계급중장 (러시아 & 백위군)
원수 (핀란드)
핀란드 원수 (핀란드)
참전러일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핀란드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겨울 전쟁
계속 전쟁
라플란드 전쟁
대통령
직책제6대 핀란드 공화국 대통령
임기 시작1944년 8월 4일
임기 종료1946년 3월 4일
전임리스토 뤼티
후임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총리안티 하크첼
우르호 카스트렌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섭정
직책제2대 핀란드 왕국 섭정
임기 시작1918년 12월 12일
임기 종료1919년 7월 26일
전임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
후임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공화국 대통령)
국방
직책제1대 핀란드 국방군 총사령관
임기 시작 (1)1918년 1월 28일 (핀란드 공화국 군대 최고 사령관)
임기 종료 (1)1918년 5월 30일
전임 (1)직책 신설
후임 (1)카를 프레드리크 빌카마
임기 시작 (2)1939년 10월 17일
임기 종료 (2)1945년 1월 12일
전임 (2)후고 빅토르 외스테르만
후임 (2)에리크 하인리히스
대통령 (2)리스토 뤼티
본인

2. 혈통 및 초기 경력

만네르헤임 가는 함부르크의 사업가, 제분소 사장이었던 하인리히 마르하인/Heinrich Marheinde(1618년–1667년)이라는 독일인을 선조로 한다.[172] 마르하인은 스웨덴 예블레로 이주하였고 이름을 스웨덴식으로 "헨리크(Henrik)"라고 고쳤다. 헨리크 마르하인의 아들 아우구스틴 마르하인은 성을 "만네르헤임"이라고 바꾸었고 1693년 칼 11세가 그를 귀족으로 승격했다. 아우구스틴 만네르헤임의 아들 요한 아우구스틴 만네르헤임은 포병대령이자 제분소 공장장이었는데 1768년 남작(바파헤라/''Vapaaherra''fi, ''Friherre''sv)의 작위를 받았다.[172] 만네르헤임 가는 18세기 하반기에 당시 스웨덴 영토였던 핀란드로 이주했다.[85] 오랫동안 헨리크 마르하인이 네덜란드에서 스웨덴으로 이주했다는 이야기들이 돌아다녔지만 최근의 연구 결과 이 통설은 틀린 것으로 밝혀졌다.[172] 요한 만네르헤임 남작은 부계 혈통에 스코트인 조상도 있었다. 그 조상은 조지 라이트(George Wright)라는 이로 17세기에 던디에서 스웨덴으로 이주하여 핀란드 귀족 가문 중 하나인 폰 브리크트가의 시조가 되었다.[181][84]

만네르헤임의 증조부 칼 에리크 만네르헤임 백작(1759년–1837년)은 핀란드가 러시아령으로 넘어가 핀란드 대공국으로서 자치를 누리던 초기 시절 많은 공무원직을 역임했다. 만네르헤임 백작은 원로원 의원이었으며 초대 원로원 경제부부장(핀란드 총리직의 전신)을 지냈다. 1825년, 칼 에리크 만네르헤임은 백작(크레이비/''Kreivi''fi, ''Greve''sv)으로 승격했다. 만네르헤임의 조부 칼 구스타브 만네르헤임(1797년–1854년)은 유명한 곤충학자였으며 비푸리 항소재판소 재판소장을 지냈다.

만네르헤임의 부친 카를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1835년–1914년)은 자유주의적이고 급진적인 사상을 가진 극작가였으면서 동시에 경제적으로 성공한 사업가이고 경영주였다.[85]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은 북유럽에서 최초로 윤번 제지에 성공한 유한회사 쿠산코스키(Kuusankoski Ltd.)의 사장이었고, 쉬스테마(Systema)라는 회사로 근대적 사업기계를 수입해 왔다. 만네르헤임의 모친 헤드비히 카를로타 헬레네 폰 율린/Hedvig Charlotta Hélène von Julinde(1842년–1881년)도 부유한 경영주였던 요한 야콥 폰 율린의 딸이었다. 폰 율린 가는 피스카르스 철공소와 피스카르스 마을을 소유하고 있었다.

구스타브 만네르헤임은 아스카이넨의 빌내스 장원에서 태어났고,[85] 자녀 중 셋째로서 남작의 작위를 물려받았다. 구스타브 만네르헤임의 부친은 사업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1870년대 후반에 경조성 인격장애를 앓으면서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85]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은 재무 문제에서 지나치게 낙관적인 태도를 취했고 도박에까지 빠지면서 결국 1880년 파산했다.[86] 빚을 갚기 위해 만네르헤임 백작은 빌내스 장원을 비롯한 다른 부동산들과 예술품 컬렉션을 자기 누이에게 모두 팔아야 했다. 백작은 아내 곁을 떠나 정부와 함께 파리로 가서 보헤미안이 되었다.[86]

헬레네 백작부인은 파산과 남편의 외도에 충격을 받아 일곱 자녀를 샐비크의 고모 댁으로 보내고 그 이듬해 심장마비로 죽었다.[184][85] 모친이 죽자 만네르헤임 가 아이들은 친척들에게 맡겨졌고, 외삼촌 알베르트 폰 율린이 구스타브 만네르헤임의 법적 후견인이 되었다.[185][88]

집안 재정이 악화되고 만네르헤임의 진학 문제가 심각해지자 알베르트 폰 율린은 1882년 외조카를 하미나의 핀란드 간부후보생 학교에 보냈다.[186] 그는 간부후보생 학교와 하미나의 좁아터진 사교계를 끔찍히 싫어했고, 결국 1886년 무단외출로 반항을 했다가 퇴학을 당했다.[190] 핀란드 대공국군에 들어갈 길이 막히자, 러시아 제국군 장교가 되기 위해 헬싱키 사립학원에 등록하여 1887년 6월 입학시험을 통과했다.[193] 이후 러시아 황실에 인맥이 있는 대모 알프힐드 스칼론 드 콜리그니 남작부인의 도움으로 니콜라이 기병학교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193]

만네르헤임(오른쪽)과 동기생인 안타나스 리차르다스 드루베(Antanas Ričardas Druvė)가 1880년대 후반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니콜라이 기병학교에서 찍은 사진.


모국어인 스웨덴어 외에도 만네르헤임은 핀란드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를 배웠다.[187][188] 그러나 1887년에서 1917년까지 러시아 제국군에 복무하면서 만네르헤임은 어렸을 때 배운 핀란드어를 거의 잊어버렸고, 늦은 나이에 다시 핀란드어를 배워야 했다.[187][188]

2. 1. 혈통

만네르헤임 가는 함부르크의 사업가, 제분소 사장이었던 하인리히 마르하인(Heinrich Marheinde, 1618년–1667년)이라는 독일인을 선조로 한다.[172] 마르하인은 스웨덴 예블레로 이주하였고 이름을 스웨덴식으로 "헨리크(Henriksv)"라고 고쳤다. 헨리크 마르하인의 아들 아우구스틴 마르하인은 성을 "만네르헤임"이라고 바꾸었고 1693년 칼 11세가 그를 귀족으로 승격했다.[83] 아우구스틴의 아들 요한 아우구스틴 만네르헤임은 포병대령이자 제분소 공장장이었는데 1768년 남작(바파헤라/''Vapaaherra''fi, ''Friherre''sv)의 작위를 받았다.[84] 만네르헤임 가는 18세기 하반기에 당시 스웨덴 영토였던 핀란드로 이주했다.[18][19][85] 오랫동안 헨리크 마르하인이 네덜란드에서 스웨덴으로 이주했다는 이야기들이 돌아다녔지만 최근의 연구 결과 이 통설은 틀린 것으로 밝혀졌다.[172]

만네르헤임의 증조부 칼 에리크 만네르헤임 백작(1759년–1837년)은 핀란드가 러시아령으로 넘어가 핀란드 대공국으로서 자치를 누리던 초기 시절 많은 공무원직을 역임했다. 만네르헤임 백작은 원로원 의원이었으며 초대 원로원 경제부부장(핀란드 총리직의 전신)을 지냈다.[20][21] 1825년, 칼 에리크 만네르헤임은 백작(크레이비/''Kreivi''fi, ''Greve''sv)으로 승격했다. 만네르헤임의 조부 칼 구스타프 만네르헤임(1797년–1854년)은 유명한 곤충학자였으며 비푸리 항소재판소 재판소장을 지냈다.

만네르헤임의 부친 카를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1835년–1914년)은 자유주의적이고 급진적인 사상을 가진 극작가였으면서 동시에 경제적으로 성공한 사업가이고 경영주였다.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은 북유럽에서 최초로 윤번 제지에 성공한 유한회사 쿠산코스키(Kuusankoski Ltd.fi)의 사장이었고, 쉬스테마(Systemafi)라는 회사로 근대적 사업기계를 수입해 왔다. 만네르헤임의 모친 헤드비히 카를로타 헬레네 폰 율린(Hedvig Charlotta Hélène von Julinde, 1842년–1881년)도 부유한 경영주였던 요한 야콥 폰 율린의 딸이었다. 폰 율린 가는 피스카르스 철공소와 피스카르스 마을을 소유하고 있었다.[82][85]

구스타브 만네르헤임은 아스카이넨의 빌내스 장원에서 태어났고, 자녀 중 셋째로서 남작의 작위를 물려받았다.[85] 부친은 사업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1870년대 후반에 경조성 인격장애를 앓으면서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85]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은 재무 문제에서 지나치게 낙관적인 태도를 취했고 도박에까지 빠지면서 결국 1880년 파산했다.[86] 빚을 갚기 위해 만네르헤임 백작은 빌내스 장원을 비롯한 다른 부동산들과 예술품 컬렉션을 자기 누이에게 모두 팔아야 했다. 백작은 아내 곁을 떠나 정부와 함께 파리로 가서 보헤미안이 되었다.[86]

헬레네 백작부인은 파산과 남편의 외도에 충격을 받아 일곱 자녀를 샐비크의 고모 댁으로 보내고 그 이듬해 심장마비로 죽었다.[87][184] 모친이 죽자 만네르헤임 가 아이들은 친척들에게 맡겨졌고, 외삼촌 알베르트 폰 율린이 구스타브 만네르헤임의 법적 후견인이 되었다.[88][185]

2. 2. 가족



만네르헤임 가는 함부르크의 사업가, 제분소 사장이었던 하인리히 마르하인/Heinrich Marheinde(1618년–1667년)이라는 독일인을 선조로 한다. 마르하인은 스웨덴 예블레로 이주하였고 이름을 스웨덴식으로 "헨리크(Henrik)"라고 고쳤다. 헨리크 마르하인의 아들 아우구스틴 마르하인은 성을 "만네르헤임"이라고 바꾸었고 1693년 칼 11세가 그를 귀족으로 승격했다. 아우구스틴 만네르헤임의 아들 요한 아우구스틴 만네르헤임은 포병대령이자 제분소 공장장이었는데 1768년 남작(바파헤라/''Vapaaherra''fi, ''Friherre''sv)의 작위를 받았다.[172] 만네르헤임 가는 18세기 하반기에 당시 스웨덴 영토였던 핀란드로 이주했다.[85] 오랫동안 헨리크 마르하인이 네덜란드에서 스웨덴으로 이주했다는 이야기들이 돌아다녔지만 최근의 연구 결과 이 통설은 틀린 것으로 밝혀졌다.[172] 요한 만네르헤임 남작은 부계 혈통에 스코트인 조상도 있었다. 그 조상은 조지 라이트(George Wright)라는 이로 17세기에 던디에서 스웨덴으로 이주하여 핀란드 귀족 가문 중 하나인 폰 브리크트가의 시조가 되었다.[181][84]

만네르헤임의 증조부 칼 에리크 만네르헤임 백작(1759년–1837년)은 핀란드가 러시아령으로 넘어가 핀란드 대공국으로서 자치를 누리던 초기 시절 많은 공무원직을 역임했다. 만네르헤임 백작은 원로원 의원이었으며 초대 원로원 경제부부장(핀란드 총리직의 전신)을 지냈다. 1825년, 칼 에리크 만네르헤임은 백작(크레이비/''Kreivi''fi, ''Greve''sv)으로 승격했다. 만네르헤임의 조부 칼 구스타브 만네르헤임(1797년–1854년)은 유명한 곤충학자였으며 비푸리 항소재판소 재판소장을 지냈다.

만네르헤임의 부친 카를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1835년–1914년)은 자유주의적이고 급진적인 사상을 가진 극작가였으면서 동시에 경제적으로 성공한 사업가이고 경영주였다.[85]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은 북유럽에서 최초로 윤번 제지에 성공한 유한회사 쿠산코스키(Kuusankoski Ltd.)의 사장이었고, 쉬스테마(Systema)라는 회사로 근대적 사업기계를 수입해 왔다. 만네르헤임의 모친 헤드비히 카를로타 헬레네 폰 율린/Hedvig Charlotta Hélène von Julinde(1842년–1881년)도 부유한 경영주였던 요한 야콥 폰 율린의 딸이었다. 폰 율린 가는 피스카르스 철공소와 피스카르스 마을을 소유하고 있었다.

구스타브 만네르헤임은 아스카이넨의 빌내스 장원에서 태어났고,[85] 자녀 중 셋째로서 남작의 작위를 물려받았다. 구스타브 만네르헤임의 부친은 사업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1870년대 후반에 경조성 인격장애를 앓으면서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85]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은 재무 문제에서 지나치게 낙관적인 태도를 취했고 도박에까지 빠지면서 결국 1880년 파산했다.[86] 빚을 갚기 위해 만네르헤임 백작은 빌내스 장원을 비롯한 다른 부동산들과 예술품 컬렉션을 자기 누이에게 모두 팔아야 했다. 백작은 아내 곁을 떠나 정부와 함께 파리로 가서 보헤미안이 되었다.[86]

헬레네 백작부인은 파산과 남편의 외도에 충격을 받아 일곱 자녀를 샐비크의 고모 댁으로 보내고 그 이듬해 심장마비로 죽었다.[184][85] 모친이 죽자 만네르헤임 가 아이들은 친척들에게 맡겨졌고, 외삼촌 알베르트 폰 율린이 구스타브 만네르헤임의 법적 후견인이 되었다.[185][88]

2. 3. 유년 시절

만네르헤임 가는 함부르크의 사업가이자 제분소 사장이었던 하인리히 마르하인(Heinrich Marheinde, 1618년–1667년)을 시조로 한다. 마르하인은 스웨덴 예블레로 이주하여 이름을 스웨덴식인 헨리크(Henriksv)로 고쳤다. 헨리크 마르하인의 아들 아우구스틴 마르하인은 성을 "만네르헤임"이라고 바꾸었고 1693년 칼 11세가 그를 귀족으로 승격했다.[172] 아우구스틴 만네르헤임의 아들 요한 아우구스틴 만네르헤임은 포병대령이자 제분소 공장장이었는데 1768년 남작(바파헤라/''Vapaaherra''fi, ''Friherre''sv) 작위를 받았다. 만네르헤임 가는 18세기 하반기에 당시 스웨덴 영토였던 핀란드로 이주했다.[85]

칼 구스타브 에밀 만네르헤임은 아스카이넨의 빌내스 장원에서 카를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과 헤드비히 카를로타 헬레네 폰 율린(Hedvig Charlotta Hélène von Julinde) 사이에서 셋째로 태어났다.[85] 만네르헤임의 모친 헬레네는 부유한 경영주였던 요한 야콥 폰 율린의 딸이었다.[85]

만네르헤임의 부친 로베르트 만네르헤임 백작은 극작가였으면서 동시에 경제적으로 성공한 사업가이자 경영주였다. 1870년대 후반에 경조성 인격장애를 앓으면서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고, 재무 문제에서 지나치게 낙관적인 태도를 취했고 도박에까지 빠지면서 결국 1880년 파산했다.[86] 빚을 갚기 위해 만네르헤임 백작은 빌내스 장원을 비롯한 다른 부동산들과 예술품 컬렉션을 자기 누이에게 모두 팔아야 했다. 백작은 아내 곁을 떠나 정부와 함께 파리로 가서 보헤미안이 되었다.[86]

헬레네 백작부인은 파산과 남편의 외도에 충격을 받아 일곱 자녀를 샐비크의 고모 댁으로 보내고 그 이듬해 심장마비로 죽었다.[87] 모친이 죽자 만네르헤임 가 아이들은 친척들에게 맡겨졌고, 외삼촌 알베르트 폰 율린이 구스타브 만네르헤임의 법적 후견인이 되었다.[88]

집안 재정이 악화되고 만네르헤임의 진학 문제가 심각해지자 알베르트 폰 율린은 1882년 외조카를 하미나의 핀란드 간부후보생 학교에 보냈다.[186] 그는 간부후보생 학교와 하미나의 좁아터진 사교계를 끔찍히 싫어했고, 결국 1886년 무단외출로 반항을 했다가 퇴학을 당했다.[190] 이후 만네르헤임은 우크라이나 하리코프에서 외삼촌의 동서 에드바르드 베르겐헤임(Edvard Bergenheimsv)과 얼마동안 같이 지내며 러시아어를 배웠다.[192]

2. 4. 교육

만네르헤임 가문은 독일 함부르크 출신 사업가 하인리히 마르하인(Heinrich Marhein, 1618년–1667년)을 선조로 하며, 스웨덴 예블레로 이주 후 헨리크(Henrik)로 개명했다. 헨리크 마르하인의 아들 아우구스틴 마르하인은 성을 "만네르헤임"으로 바꾸고 1693년 귀족이 되었다. 만네르헤임 가는 18세기 하반기에 핀란드로 이주했다.[172]

만네르헤임은 1882년 귀족 자제들을 러시아 제국 육군 장교로 교육하는 국립 군사 학교인 하미나 사관학교(Hamina Cadet School)에 입학했다.[89][85] 이 학교는 귀족 가문의 소년들을 핀란드 대공국군 및 러시아 제국군 군인으로 훈련시키는 곳이었다.[186] 그는 모국어인 스웨덴어 외에도 핀란드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를 배웠다.[187][188]

만네르헤임은 하미나 간부후보생 학교와 하미나의 좁은 사교계를 끔찍히 싫어했고, 1886년 무단외출로 퇴학당했다.[93][190] 핀란드 대공국군에 들어갈 길이 막히자, 러시아 제국군 장교가 되기 위해 헬싱키 사립학원에 등록하여 1887년 6월 입학시험을 통과했다.[193] 이후 러시아 황실에 인맥이 있는 대모 알프힐드 스칼론 드 콜리그니 남작부인의 도움으로 니콜라이 기병학교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193] 1887년 7월, 니콜라이 기병학교 입학시험을 통과하고 1887년 9월 16일 러시아 차르에 대한 충성맹세를 했다.[99]

1889년, 만네르헤임은 니콜라이 기병학교를 졸업하고 기병소위로 임관하여 러시아-독일 국경지대 칼리시의 제15용기병연대 알렉산드리스키에 배속되었다.[98]

3. 러시아 제국 육군 장교

만네르헤임은 1889년 니콜라이 기병학교를 졸업하고 기병소위로 임관하여 러시아-독일 국경지대 칼리시의 제15용기병연대 알렉산드리스키에 배속되었다.[196] 1891년 1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마리아 표도로브나 황후 폐하의 친위기사연대"로 배속되었다.[188] 키가 187 센티미터에 달하는 장신이었던 만네르헤임은, 1896년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 때 잘 보이는 자리에 서기도 했다.[188]

그의 대관식 이후,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는 도미션 성당을 뜬다. 차르의 오른쪽 앞으로 행진하는 슈발리에 경비연대 중위가 만네르헤임이다.


1892년, 만네르헤임은 러시아-세르비아 혈통의 부유한 귀족 영애 아나스타샤 아라포바(1872년–1936년)와 결혼하여[197][198] 두 딸, 아나스타시에(1893년–1978년)와 소피에(1895년–1963년)를 두었다.[199] 만네르헤임 부부는 1902년부터 별거했고, 1919년 이혼했다.[199]

아나스타샤 아라포바.


만네르헤임은 1897년에서 1903년 사이 황실 마료 관리 일을 맡아 종마와 군마를 구입했다.[200] 1903년에는 교도대 대장으로 발령받고 기병연대 훈련소의 승마 담당 교관 중 하나가 되었다.[200] 1904년 러일전쟁에 자원 참전하여 중령으로 승진했고, 1905년 봉천 전투에서의 용맹을 인정받아 대령으로 승진했다.[201] 이후 잠시 비정규군사인 홍호자 부대를 지휘하며 내몽골 탐사 임무를 떠나기도 했다.[202]

1906년 카스가얼의 만네르헤임. 당시 계급 대령.


1906년부터 1908년까지 만네르헤임은 비밀 첩보장교로 투르키스탄을 거쳐 베이징으로 향하는 여행을 했다.
섬네일
러시아 제국 총참모장은 청나라의 개혁과 근대화 시도에 관한 정확한 현장 첩보를 원했고, 러시아는 중국 서부 청해, 감숙 등지를 침공할 수 있는지 효용성 여부를 알고 싶어했다.[203] 만네르헤임은 민족학 수집가로 위장하고 프랑스 고고학자 폴 펠리오의 사마르칸트(당시 러시아령 투르키스탄, 현재 우즈베키스탄령) 원정에 동행했으나,[203] 원정 기간의 거의 대부분을 혼자 다녔다.[205] 만네르헤임은 톈산산맥을 넘어 고갯길을 측량하고 칼미크인, 카자흐인, 키르기즈인들의 중국 한족들에 대한 태도를 살폈다.[206] 우루무치에 도착한 뒤 동쪽으로 향하여 투루판, 하미, 둔황을 지나 감숙성에 이르렀고, 하서주랑을 통해 만리장성을 따라갔다.[206] 란저우에서 남쪽으로 길을 돌려 티베트로 향했다가 라브랑 사원에서 제노포빅한 승려들에게 돌을 맞았다.[207] 중원의 서안, 정주, 개봉을 거쳤다가 열차를 타고 산서성의 성도 태원으로 향했다.[209] 우타이 산을 오르다가 달라이 라마 13세를 만났고, 만네르헤임은 티베트의 법왕에게 중국인들로부터의 호신용으로 쓰라고 자기 피스톨을 선물로 주었다.[209] 이후 만네르헤임은 만리장성 너머로 가서 전통적으로 몽골 유목민들의 영역인 대초원을 밟았고, 내몽골의 수도 쾨케호타에 도착했다.[210] 최종적으로 1908년 7월 만네르헤임은 북경에 도착하여 첩보 보고서를 작성했다.[211] 만네르헤임의 보고서는 신장이 중국과 거래할 수 있는 대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러시아의 신장 침공의 전술적 사용처를 논하였다.[211]

1909년 러시아로 귀환한 만네르헤임은 폴란드 민스크마조비에츠키에 주둔하고 있는 제13창기병연대 블라디미르의 연대장으로 임명되었다.[212] 1910년, 소장으로 진급하며 바르샤바에 주둔한 "황제 폐하의 경호친위창기병연대" 연대장으로 임명되었다.[212] 1912년, 만네르헤임은 러시아 황실 수행단의 일원이 되었고,[212] 1913년 독립친위기병여단 여단장으로 임명되었다.[212]

제1차 세계 대전 개전 시점에 만네르헤임은 친위기병여단 여단장을 맡고 있었으며, 오헝 제국 및 루마니아 전선에서 싸웠다.[213] 1914년 12월, 오헝 제국군과의 싸움에서 두각을 나타낸 공로로 4등 스뱌토고 게오르기 훈장을 받았다.[213] 1915년 3월, 만네르헤임은 제12기병사단 사단장으로 임명되었다.[213]

1917년 초, 휴가를 받아 핀란드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들렀다가 2월 혁명이 터지는 순간을 목격했다.[212] 1917년 4월, 중장으로 승진했고, 그해 여름 제6기병군단 군단장으로 임명되었다.[212] 그러나 만네르헤임은 자신을 혁명 비지지자로 간주하는 러시아 공화국 신정부에 정나미가 떨어져 버렸다.[212] 1917년 9월, 낙마 후유증으로 모든 보직에서 물러나 예비역이 된 만네르헤임은 오데사에서 요양을 하다가 퇴역을 하고 핀란드로 귀국하기로 마음먹었고, 그해 12월에 그렇게 했다.[212]

러시아 제국 육군에서 만네르헤임의 계급은 다음과 같다.

  • 1888년: 하사관
  • 1889년: 소위
  • 1891년: 근위 소위
  • 1893년: 근위 중위
  • 1902년: 근위 대위
  • 1904년: 중령
  • 1905년: 대령
  • 1911년: 소장
  • 1917년: 중장

4. 핀란드 내전과 섭정직



1917년 12월, 핀란드는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가 통치하는 소비에트 러시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119] 1918년 1월, 원로원(당시 제1차 스빈후부드 내각)은 만네르헤임을 핀란드의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120] 당시 핀란드는 지역별로 어중이떠중이 민병대(백위대)를 긁어모았을 뿐 제대로 된 군대는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핀란드 내전은 러시아의 10월 혁명의 영향을 받아 촉발되었고, 소비에트 러시아의 볼셰비키들은 적핀란드를 지원했다. 1917년 11월 핀란드 선거에서 보수파인 스빈후부드가 총리가 되면서 혁명은 저지되었으나,[119] 러시아는 적위대의 무장을 지원하고 있었다.[119] 백위대는 적위대와 대립하여 무력 충돌이 발생하였고,[119] 1918년 1월 27일, 헬싱키에서 적위대에 의한 쿠데타가 발생하여 핀란드 내전이 시작되었다.[119]

만네르헤임은 정부측, 즉 백군의 편에 섰다. 그는 바사에 총사령부를 차리고 그때까지 핀란드에 남아있던 구 러시아 제국군 주둔지들을 무장해제시켰다.[120] 백위대는 병사 동원을 실시하였고, 만네르헤임을 비롯한 러시아에서 귀국한 장교, 독일에서 훈련받은 예거, 스웨덴 출신의 의용병을 포함하여 약 7만 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121] 1918년 3월, 만네르헤임은 기병대장으로 승진했다.[122]

핀란드 내전을 종식시키고 1918년 헬싱키에서 승리 기념 열병식을 하는 만네르헤임.


내전이 백군의 승리로 끝났지만,[122] 독일 동해사단은 내전이 끝난 뒤에도 독일로 귀환하지 않고 핀란드에 머무르며 내정간섭을 했다. 만네르헤임은 페트로그라드와 러시아령 카렐리야를 공격해 공산당을 완전히 몰아내자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지만, 독일은 러시아와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맺어 핀-러간 국경을 핀란드 몰래 확정한 상태였기에 핀란드의 러시아 공격을 반대했다. 독일의 영향을 받던 원로원이 만네르헤임의 계획을 거부하자, 만네르헤임은 5월 25일 총사령관직을 사임했다.[214] 1918년 10월 9일, 독일의 압력을 받은 원로원과 의회는 독일 황제 빌헬름 2세의 매제인 프리드리히 카를 폰 헤센 공자를 핀란드 왕국의 국왕으로 선출했다.[215] 그러나 불과 1달 뒤인 11월 11일 독일이 서부전선에서 패배해 망하면서 동해사단도 독일로 철수했다.

섭정직을 맡을 때의 만네르헤임(의자에 앉은 이). 뒤에 서 있는 이들은 그의 부관들로, 왼쪽부터 릴리우스 중령, 케코니 대위, 갈렌카펠라 중위, 로센브뢰이예르 소위.


스웨덴에서 만네르헤임은 스톡홀름 주재 연합국 외교관들을 만나 자신은 핀란드 원로원의 친독 정책에 반대했고 연합국을 지지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1918년 10월, 만네르헤임은 핀란드 독립에 대한 영국과 미국의 인정을 받기 위해 원로원을 대표하여 영국과 프랑스를 방문했다. 12월, 파리에서 핀란드로 소환된 만네르헤임은 핀란드의 임시 섭정(''Valtionhoitaja''fi; ''Riksföreståndare''sv)으로 선출되었다. 일부 군주주의자들은 만네르헤임을 핀란드의 왕으로 옹립하려고도 했다. 섭정으로 재임하면서 만네르헤임은 공문서에 "구스타브" 대신 핀란드식 이름인 "쿠스타(''Kustaa''fi)"로 서명했는데, 이는 그의 러시아 제국군 복무 이력을 미심쩍은 눈으로 바라보던 핀란드 대중들에게 자신의 핀란드인임을 강조하기 위한 노력이었다.[187][188] 만네르헤임은 자기 세례명 "에밀"을 싫어해서 늘 C. G. 만네르헤임 또는 그냥 만네르헤임이라고 서명했다. 가까운 친지들은 그를 부를 때 구스타브라고 불렀다.[216]

대관식도 못 치러 본 프리드리히 카를 공자가 핀란드 왕위 포기를 선언한 뒤, 만네르헤임은 영국과 미국으로부터 핀란드 독립을 인정받고 내전으로 인해 극악해진 식량사정을 구제할 수 있도록 식량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만네르헤임은 단호한 반공주의자였지만 내전 당시 러시아 백군 장군들과 그 군대와 연합하는 것을 일체 거부했다. 러시아 제국의 잔당인 백군이 핀란드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1919년 7월, 만네르헤임은 새로이 제정된 공화국 헌법을 승인하고 초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국민연합당과 스웨덴 인민당이 그를 지지했다. 그러나 의회에서 이루어진 간접선거의 결과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에게 패배했고 만네르헤임은 공직에서 은퇴한다.

4. 1. 핀란드 내전

1917년 12월, 핀란드는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가 통치하는 소비에트 러시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119] 소비에트는 핀란드를 통제할 수 없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이유로 분리에 동의했다. 1918년 1월, 원로원(당시 제1차 스빈후부드 내각)은 만네르헤임을 핀란드의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120] 당시 핀란드는 지역별로 어중이떠중이 민병대(백위대)를 긁어모았을 뿐 제대로 된 군대는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핀란드 내전은 러시아의 10월 혁명의 영향을 받아 촉발되었고, 소비에트 러시아의 볼셰비키들은 적핀란드를 지원했다. 1917년 11월 핀란드 선거에서 보수파인 스빈후부드가 총리가 되면서 혁명은 저지되었으나,[119] 러시아는 적위대의 무장을 지원하고 있었다.[119] 백위대는 적위대와 대립하여 무력 충돌이 발생하였고,[119] 1918년 1월 27일, 헬싱키에서 적위대에 의한 쿠데타가 발생하여 핀란드 내전이 시작되었다.[119]

만네르헤임은 정부측, 즉 백군의 편에 섰다. 그는 바사에 총사령부를 차리고 그때까지 핀란드에 남아있던 구 러시아 제국군 주둔지들을 무장해제시켰다.[120] 백위대는 병사 동원을 실시하였고, 만네르헤임을 비롯한 러시아에서 귀국한 장교, 독일에서 훈련받은 예거, 스웨덴 출신의 의용병을 포함하여 약 7만 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121] 1918년 3월, 만네르헤임은 기병대장으로 승진했다.[122]

내전이 백군의 승리로 끝났지만,[122] 독일 동해사단은 내전이 끝난 뒤에도 독일로 귀환하지 않고 핀란드에 머무르며 내정간섭을 했다. 만네르헤임은 페트로그라드와 러시아령 카렐리야를 공격해 공산당을 완전히 몰아내자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지만, 독일은 러시아와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맺어 핀-러간 국경을 핀란드 몰래 확정한 상태였기에 핀란드의 러시아 공격을 반대했다. 독일의 영향을 받던 원로원이 만네르헤임의 계획을 거부하자, 만네르헤임은 5월 25일 총사령관직을 사임했다.[214]

4. 2. 섭정

1917년 12월, 핀란드는 10월 혁명 이후 임시 정부를 전복한 볼셰비키가 통치하는 소비에트 러시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125] 핀란드 의회는 P. E. 스빈후푸트를 임명하여 신생 대공국의 정부를 이끌었다. 1918년 1월, 군사 위원회가 핀란드군을 강화하는 임무를 맡았고, 만네르헤임은 위원회에 임명되었으나 곧 사임하고 군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25]

핀란드 내전에서 백색군이 승리한 후, 만네르헤임은 총사령관직에서 사임하고 1918년 6월 스웨덴의 친척을 방문하기 위해 핀란드를 떠났다.[214] 스톡홀름에서 만네르헤임은 연합국 외교관들과 협의하여 핀란드 정부의 친독 정책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125] 당시 핀란드 지도자들은 독일이 전쟁에서 승리할 것이라고 확신하고 카이저의 매제인 헤세의 프리드리히 카를을 핀란드 국왕으로 선포했다.

만네르헤임의 연합국과의 관계는 1918년 10월 핀란드 정부가 그를 영국과 프랑스에 파견하여 핀란드 독립 승인을 얻으려고 시도했을 때 인정받았다.[125] 1918년 12월, 그는 핀란드로 소환되었는데, 프리드리히 카를이 왕위를 포기했고, 그의 대신 만네르헤임이 섭정으로 선출되었기 때문이다.[125] 섭정으로서 만네르헤임은 러시아군에서의 그의 배경과 핀란드어에 대한 어려움을 의심하는 사람들에게 그의 핀란드 국적을 강조하기 위해 종종 ''쿠스타아''(그의 기독교 이름의 핀란드어 형태)를 사용하여 공식 문서에 서명했다.[90][100] 만네르헤임은 그의 마지막 기독교 이름인 에밀을 싫어했고, 그의 서명을 C. G. 만네르헤임 또는 간단히 만네르헤임으로 썼다. 그의 친척과 가까운 친구들 사이에서 만네르헤임은 구스타프라고 불렸다.[126]

만네르헤임은 영국과 미국으로부터 핀란드 독립을 인정받았다.[125] 그는 또한, 내전으로 인해 극악해진 식량사정을 구제할 수 있도록 식량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하여, 노르웨이와 스웨덴으로부터 밀을 빌려 수입하는데 성공하였다.[125] 1919년 7월, 새로운 공화제 헌법을 확정한 후, 만네르헤임은 의회를 선거인으로 하여 제1차 대통령 선거에 후보로 출마했다.[31] 그는 국민연합당과 핀란드 스웨덴인당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공직에서 물러났다.[31]

만네르헤임은 단호한 반공주의자였지만, 러시아 내전 당시 러시아 백군 장군들과 그 군대와 연합하는 것을 일체 거부했다. 러시아 제국의 잔당인 백군이 핀란드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125]

5. 전간기

전간기 동안 만네르헤임은 볼셰비키에 대한 공공연한 반대로 인해 논쟁적인 인물로 여겨져 공직을 맡지 못했다.[217][218] 그는 러시아 내전에 핀란드가 백군 편으로 참전하기를 원했고, 핀란드 사회주의자들은 그를 "백군의 장군" 부르주아라고 여기며 적대시했다.[217][218] 만네르헤임은 정당정치가 제대로 된 지도자를 세울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품고 있었으며, 조국의 국익이 정당의 이익에 희생되는 일이 많다고 생각했다.[217][218]

공직에서 물러난 만네르헤임은 인도주의 활동에 전념했다. 1919년부터 1951년까지 핀란드 적십자사 총재를 역임하고 국제적십자사 위원회 회원으로 등록했다. 또한 만네르헤임 아동복지협회를 설립하고, 헬싱키 은행 감사회 회장(1934년까지) 및 노키아 이사회 중역을 맡았다.[219]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아시아를 여행하며 수렵을 즐겼다. 1927년에는 런던에서 캘커타를 거쳐 버마의 랑군, 시킴의 강토크를 방문하고, 자동차항공기를 이용하여 바스라, 바그다드, 카이로, 베네치아를 거쳐 귀국했다.[219][220] 1936년에는 아덴에서 봄베이를 거쳐 마드라스, 델리, 네팔을 방문했고, 네팔 왕 트리부반 비르 비크람 샤의 초대로 호랑이 사냥에 참여하여 사람 두 명을 죽인 3.23 미터의 호랑이를 잡았다. 이 호랑이의 모피는 헬싱키의 만네르헤임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1929년, 극우주의자들은 만네르헤임에게 군사독재자가 될 것을 요청했지만, 그는 이를 거부했다. 그러나 파시즘 정당인 라푸아 운동에 대해서는 약간의 호감을 보였다.[221] 1931년, 대통령 패르 에빈드 스빈후부드는 만네르헤임을 핀란드 방위평의회 의장으로 임명하고, 전쟁 발발 시 핀란드 육군 총사령관직을 맡기겠다는 서면 각서를 주었다. 1937년, 퀴외스티 칼리오 대통령 역시 이 각서를 재보증했다. 1933년, 만네르헤임은 전쟁원수(''sotamarsalkka''fi, ''fältmarskalk''sv, ''war marshal''영어) 칭호를 받았다.

1937년의 만네르헤임. 왼팔 상완에 백위대 인식표가 보인다.


이후 만네르헤임은 대중 앞에 다시 등장하기 시작했고, 과거 그를 "백군 대장"으로 보았던 사회주의자들 사이에서도 그에 대한 적대감이 줄어들었다. 그는 정파를 초월한 국민적 존재로 인식되었으며, 내전 양측의 화해와 국가 통합, 국방에 전념해야 한다는 연설을 통해 이러한 인식을 강화했다.

만네르헤임은 핀란드의 군수산업을 지지했고, 스웨덴과의 군사방위동맹을 추진했지만 큰 성과는 없었다. 하지만 핀란드 육군의 재무장은 그의 바람만큼 빠르게 진행되지 않았고, 그 자신도 전쟁에 대해 열정적이지 않았다. 그는 방위 예산 증강을 요구하며 내각과 여러 차례 불화를 겪었고, 여러 번 사직서를 제출하기도 했다.[217][222]

5. 1. 인도주의 활동

전간기 동안 만네르헤임은 볼셰비키에 공공연한 반대를 표출함으로써 논쟁적 인물이 된 상태에서 중앙 정계를 떠났기 때문에 아무런 공직도 맡지 못했다.[217][218] 그는 러시아 내전에 핀란드가 백군의 편을 들어 참전하기를 원했고, 핀란드의 사회주의자들은 그를 적대했다.[217][218] 그들은 만네르헤임을 "백군의 장군" 부르주아라고 보았다.[218] 또한 만네르헤임은 정당정치가 핀란드 뿐만 아니라 세계 어디든 제대로 된 지도자를 세워줄 수 있는지 의문을 품던 사람이었다. 그가 보기에는 조국의 국익이 자당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민주주의 정치인들에 의해 부당하게 희생당하는 일이 너무 많았다.[217][218]

공직을 맡지 못하게 된 만네르헤임은 대신 인도주의 활동을 하며 시간을 보냈다. 그는 1919년부터 1951년까지 핀란드 적십자사 총재를 역임했고, 국제적십자사 위원회 회원국으로 등록했다.[219] 1921년 핀란드 적십자사 회장이 되어 적극적으로 활동했다.[133][132] 또한, 누이 소피에가 만든 전쟁 피해 어린이들을 위한 병원을 참고하여 1920년 만네르헤임 아동복지연맹을 설립했다.[133][132]

5. 2. 여행

전간기 동안 만네르헤임은 볼셰비키에 대한 공공연한 반대로 인해 논쟁적 인물이 되어 공직을 맡지 못했다.[217][218] 대신 인도주의 활동과 함께 1920년대에서 1930년대 사이에는 아시아로 가서 열정적으로 여행과 수렵을 다녔다.[219]

1927년의 첫 수렵여행 때는 소련 영토를 피하기 위해 런던에서 인도 캘커타로 배를 타고 가서 거기서 육상으로 버마까지 갔다.[219][220] 랑군에서 1개월을 보낸 뒤 시킴의 강토크로 가고, 돌아올 때는 자동차항공기를 갈아타면서 바스라, 바그다드, 카이로, 베네치아를 거쳐 귀국했다.[219][220]

1936년의 두 번째 여행에서는 아덴에서 봄베이로 배를 타고 가서 인도에 머물렀다. 인도에서 지내면서 만네르헤임은 유럽의 지인들을 만났고, 수렵여행을 다니며 마드라스, 델리, 네팔을 방문했다. 네팔에 갔을 때는 네팔 왕 트리부반 비르 비크람 샤에게 호랑이 사냥 초대를 받기도 했다. 만네르헤임은 사람 두 명을 죽였다고 알려진 신장 3.23 미터의 호랑이를 죽였다. 이 호랑이의 모피는 헬싱키의 만네르헤임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219]

5. 3. 방위평의회 의장

전간기 동안 만네르헤임은 볼셰비키에 대한 공공연한 반대로 인해 논쟁적인 인물로 여겨져 공직을 맡지 못했다.[217][218] 그는 러시아 내전에 핀란드가 백군 편으로 참전하기를 원했고, 핀란드 사회주의자들은 그를 "백군의 장군" 부르주아라고 여기며 적대시했다.[217][218] 만네르헤임은 정당정치가 제대로 된 지도자를 세울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품고 있었으며, 조국의 국익이 정당의 이익에 희생되는 일이 많다고 생각했다.[217][218]

공직에서 물러난 만네르헤임은 인도주의 활동에 전념했다. 1919년부터 1951년까지 핀란드 적십자사 총재를 역임하고 국제적십자사 위원회 회원으로 등록했다. 또한 만네르헤임 아동복지협회를 설립하고, 헬싱키 은행 감사회 회장(1934년까지) 및 노키아 이사회 중역을 맡았다.[219]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아시아를 여행하며 수렵을 즐겼다. 1927년에는 런던에서 캘커타를 거쳐 버마의 랑군, 시킴의 강토크를 방문하고, 자동차항공기를 이용하여 바스라, 바그다드, 카이로, 베네치아를 거쳐 귀국했다.[219][220] 1936년에는 아덴에서 봄베이를 거쳐 마드라스, 델리, 네팔을 방문했고, 네팔 왕 트리부반 비르 비크람 샤의 초대로 호랑이 사냥에 참여하여 사람 두 명을 죽인 3.23 미터의 호랑이를 잡았다. 이 호랑이의 모피는 헬싱키의 만네르헤임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1929년, 극우주의자들은 만네르헤임에게 군사독재자가 될 것을 요청했지만, 그는 이를 거부했다. 그러나 파시즘 정당인 라푸아 운동에 대해서는 약간의 호감을 보였다.[221] 라푸아 운동은 스톨베리(Stolberg) 납치 등의 폭력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만네르하임을 포함한 많은 지지자들을 잃었다.[135] 1931년, 대통령 패르 에빈드 스빈후부드는 만네르헤임을 핀란드 방위평의회 의장으로 임명하고, 전쟁 발발 시 핀란드 육군 총사령관직을 맡기겠다는 서면 각서를 주었다.[136] 1937년, 퀴외스티 칼리오 대통령 역시 이 각서를 재보증했다.[136] 1933년, 만네르헤임은 전쟁원수(''sotamarsalkka''fi, ''fältmarskalk''sv, ''war marshal''영어) 칭호를 받았다.[136]

이후 만네르헤임은 대중 앞에 다시 등장하기 시작했고, 과거 그를 "백군 대장"으로 보았던 사회주의자들 사이에서도 그에 대한 적대감이 줄어들었다. 그는 정파를 초월한 국민적 존재로 인식되었으며, 내전 양측의 화해와 국가 통합, 국방에 전념해야 한다는 연설을 통해 이러한 인식을 강화했다.

만네르헤임은 핀란드의 군수산업을 지지했고, 스웨덴과의 군사방위동맹을 추진했지만 큰 성과는 없었다.[137] 핀란드군의 현대화와 군 조직 개편에 힘쓰며, 카렐리아 방어선 구축과 공군 도입을 실시했다.[137] 1934년 동원 체계를 개정하여 상비군의 대응 속도를 높였고, 유사시 최대 인구의 8.6%에 해당하는 31만 5천 명을 동원하는 계획이 수립되었다.[120] 하지만 핀란드 육군의 재무장은 그의 바람만큼 빠르게 진행되지 않았고, 그 자신도 전쟁에 대해 열정적이지 않았다. 그는 방위 예산 증강을 요구하며 내각과 여러 차례 불화를 겪었고, 여러 번 사직서를 제출하기도 했다.[217][222]

6. 핀란드 방위군 총사령관

1939년 소련과의 국경문제 협상이 결렬되자 전운이 감돌기 시작했고, 만네르헤임은 10월 17일 사직서를 취소했다.[187] 72세의 나이로 핀란드 방위군 총사령관이 된 그는 11월 30일 개시된 소련군의 공격에 맞서 싸웠다. 그는 딸 소피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이와 건강 때문에 총사령관의 책임을 맡고 싶지 않았지만, 공화국 대통령과 정부의 요청에 굴복해야 했고, 이제 네 번째로 전쟁에 나서게 되었습니다."라고 밝혔다.[187]

전쟁이 시작된 당일 만네르헤임은 국방군에게 다음과 같은 일일 명령을 전달했다.

1940년의 만네르헤임.


1940년 필드 마샬(핀란드) 바론 만네르하임


만네르헤임은 미켈리에 총사령부를 설치했고, 그의 참모장은 악셀 아이로 중장이었다.[217][42] 만네르헤임의 가까운 친구인 루볼프 발덴 대장은 1939년 12월 3일부터 1940년 3월 27일까지 군부 대표로 내각에 참여하여 국방장관이 되었다.[217][223]

1940년 5월 16일 만네르헤임에게 자유십자장을 수여하는 퀴외스티 칼리오 대통령.


만네르헤임은 겨울전쟁과 계속전쟁 기간 동안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미켈리 총사령부에서 보냈지만 전선을 방문하는 일도 많았다. 겨울전쟁이 1940년 3월 12일 모스크바 평화 조약으로 종전되자 만네르헤임은 원칙적으로 총사령관직을 대통령(퀴외스티 칼리오리스토 뤼티)에게 반환했어야 했지만 반환하지 않고 계속전쟁이 개전될 때까지 계속 총사령관직을 유지했다.[224]

만네르헤임의 주요 임무는 전쟁을 지휘하는 것이었지만, 그는 또한 병사들의 투쟁 의지를 강화하고 유지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 그는 다음과 같은 명언으로 유명하다.

소련 지도자 요셉 스탈린은 처칠에게 핀란드에 대한 선전포고를 압박했는데, 이는 처칠이 만네르하임과의 친분 때문에 특히 어려운 결정이었다. 처칠은 선전포고를 지연시키고 과거 만남을 회상하며 만네르헤임에게 임박한 선전포고에 대해 경고하는 개인적인 메모를 만네르하임에게 보냈습니다. 만네르하임은 처칠의 사려 깊음에 감사를 표하며 자신의 임무는 핀란드의 안보를 확보하는 것이라고 답했다.[50]

만네르헤임은 원칙적으로 총사령관직을 대통령(퀴외스티 칼리오리스토 뤼티)에게 반환했어야 했지만 반환하지 않고 계속전쟁이 개전될 때까지 계속 총사령관직을 유지했다.[224] 계속전쟁이 개시되기 전 독일에서 핀란드에 독일군 80,000 명을 지원하여 만네르헤임의 지휘를 받게 해주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만네르헤임은 나치와 엮이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거부했다.[225] 만네르헤임은 공식적으로는 아돌프 히틀러 내각과 관계를 유지했지만, 히틀러가 동맹국으로서 제안하는 각종 요구사항들은 요리조리 빠져나가며 거절했다. 레닌그라드 공방전 때도 만네르헤임은 핀란드군이 도시에 대한 공세에는 참여하지 않도록 했다.[217]

1942년 6월 4일, 만네르헤임의 75세 생일에 핀란드 내각은 그에게 핀란드의 원수(''Suomen Marsalkka''fi, ''Marskalk av Finland''sv) 칭호를 수여했다.[42][217] 현재까지 이 칭호를 받은 사람은 만네르헤임 외에는 없다. 그런데 히틀러가 만네르헤임의 생일을 축하한다며 핀란드를 깜짝 방문한 것은 만네르헤임에게 그다지 유쾌한 일이 아니었다. 히틀러는 여행을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었지만 “용맹한 핀인들(''die tapferen Finnen''de)”과 그 지도자 만네르헤임을 보고 싶어했다.[217][226] 히틀러는 핀란드에서 불과 5시간만 체류했는데, 만네르헤임에게 소련에 대한 군사작전을 개시할 것을 요구하고자 방문했음이 분명하지만 구체적인 요구를 말로 꺼내지도 못했던 것 같다.[217]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cb72eace_2bc545bd.jpg|섬네일|왼쪽|만네르헤임의 75세 생일날 방문하여 만네르헤임, 뤼티 대통령과 대화하는 히틀러

.]]

방문 당시 핀란드 방송국 YLE의 엔지니어 토르 다멘(Thor Damenfi)이 히틀러와 만네르헤임의 개인적 대화의 처음 11분을 녹음했다(히틀러 만네르헤임 녹음기록).[227][228]

만네르헤임과 히틀러의 회동에 관한 에피소드가 있다. 만네르헤임은 히틀러가 소련 공격을 핀란드가 도우라고 요구할 것이라고 생각했고, 그러기를 원하지 않았다. 만네르헤임이 여송연에 불을 붙이자 좌중이 놀랐다. 히틀러의 혐연 성향은 익히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히틀러는 뭐라 따지지 않고 대화를 조용히 이어갔다. 이로써 만네르헤임은 히틀러가 자신과의 대화에 있어 우위에 있는지 열위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었고, 히틀러가 자신에게 부탁을 해야 하는 처지라는 것을 간파하고 그 요구를 거부할 수 있었다. 이 이야기는 유명하지만 실화라고 입증되지는 않았다.[217][226]

6. 1. 겨울전쟁 (1939년 - 1940년)

1939년 소련과의 국경문제 협상이 결렬되자 전운이 감돌기 시작했고, 만네르헤임은 10월 17일 사직서를 취소했다.[187] 72세의 나이로 핀란드 방위군 총사령관이 된 그는 11월 30일 개시된 소련군의 공격에 맞서 싸웠다. 그는 딸 소피에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이와 건강 때문에 총사령관의 책임을 맡고 싶지 않았지만, 공화국 대통령과 정부의 요청에 굴복해야 했고, 이제 네 번째로 전쟁에 나서게 되었습니다."라고 밝혔다.[187]

전쟁이 시작된 당일 만네르헤임은 국방군에게 다음과 같은 일일 명령을 전달했다.

만네르헤임은 미켈리에 총사령부를 설치했고, 그의 참모장은 악셀 아이로 중장이었다.[217][42] 만네르헤임의 가까운 친구인 루볼프 발덴 대장은 1939년 12월 3일부터 1940년 3월 27일까지 군부 대표로 내각에 참여하여 국방장관이 되었다.[217][223]

만네르헤임은 겨울전쟁과 계속전쟁 기간 동안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미켈리 총사령부에서 보냈지만 전선을 방문하는 일도 많았다. 겨울전쟁이 1940년 3월 12일 모스크바 평화 조약으로 종전되자 만네르헤임은 원칙적으로 총사령관직을 대통령(퀴외스티 칼리오리스토 뤼티)에게 반환했어야 했지만 반환하지 않고 계속전쟁이 개전될 때까지 계속 총사령관직을 유지했다.[224]

만네르헤임의 주요 임무는 전쟁을 지휘하는 것이었지만, 그는 또한 병사들의 투쟁 의지를 강화하고 유지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 그는 다음과 같은 명언으로 유명하다.

소련 지도자 요셉 스탈린은 처칠에게 핀란드에 대한 선전포고를 압박했는데, 이는 처칠이 만네르하임과의 친분 때문에 특히 어려운 결정이었다. 처칠은 선전포고를 지연시키고 과거 만남을 회상하며 만네르헤임에게 임박한 선전포고에 대해 경고하는 개인적인 메모를 만네르하임에게 보냈습니다. 만네르하임은 처칠의 사려 깊음에 감사를 표하며 자신의 임무는 핀란드의 안보를 확보하는 것이라고 답했다.[50]

6. 2. 계속전쟁 (1941년 - 1944년)

만네르헤임은 원칙적으로 총사령관직을 대통령(퀴외스티 칼리오리스토 뤼티)에게 반환했어야 했지만 반환하지 않고 계속전쟁이 개전될 때까지 계속 총사령관직을 유지했다.[224] 계속전쟁이 개시되기 전 독일에서 핀란드에 독일군 80,000 명을 지원하여 만네르헤임의 지휘를 받게 해주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만네르헤임은 이를 거부했다.[225] 만네르헤임은 공식적으로는 아돌프 히틀러 내각과 관계를 유지했지만, 동맹 관련 제안들은 거절했다.[217] 레닌그라드 공방전 때 핀란드군은 도시에 대한 공세에는 참여하지 않았다.[217]

1942년 6월 4일, 만네르헤임의 75세 생일에 핀란드 내각은 그에게 핀란드의 원수(''Suomen Marsalkka''fi, ''Marskalk av Finland''sv) 칭호를 수여했다.[42][217] 현재까지 이 칭호를 받은 사람은 만네르헤임 외에는 없다. 히틀러는 만네르헤임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핀란드를 방문하였는데, 만네르헤임은 이를 공식적인 국빈 방문처럼 보일 것을 우려하여 이마트라에서 비밀리에 만났다.[42][217] 히틀러는 핀란드에서 5시간을 체류했는데, 만네르헤임에게 소련에 대한 군사작전을 개시할 것을 요구하고자 방문했음이 분명하지만 구체적인 요구를 말로 꺼내지도 못했던 것 같다.[217]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cb72eace_2bc545bd.jpg|섬네일|왼쪽|만네르헤임의 75세 생일날 방문하여 만네르헤임, 뤼티 대통령과 대화하는 히틀러

.]]

방문 당시 핀란드 방송국 YLE의 엔지니어 토르 다멘(Thor Damenfi)이 히틀러와 만네르헤임의 개인적 대화의 처음 11분을 녹음했다(히틀러 만네르헤임 녹음기록).[227][228]

만네르헤임과 히틀러의 회동에 관한 유명한 일화가 있다. 만네르헤임은 히틀러가 소련 공격을 핀란드가 도우라고 요구할 것이라고 생각했고, 그러기를 원하지 않았다. 만네르헤임이 여송연에 불을 붙이자 좌중이 놀랐는데, 히틀러의 혐연 성향은 익히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히틀러는 뭐라 따지지 않고 대화를 조용히 이어갔고, 만네르헤임은 히틀러가 자신에게 부탁을 해야 하는 처지라는 것을 간파하고 그 요구를 거부할 수 있었다.[217][226]

1944년 6월, 소련의 대규모 공세에 대응하여 독일의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독일 외무장관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가 요구하는 방위조약을 체결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만네르헤임 본인은 이 조약으로부터 거리를 두려고 했고, 조약에 서명하는 일은 당시 대통령 리스토 뤼티에게 넘겼다. 그래서 이를 뤼티-리벤트로프 협정이라고 부른다.

7. 짧은 대통령 임기 (1944년 - 1946년)

독일의 패망이 확실시되고 탈리-이한탈라 전투에서 핀란드군이 방어에 성공하여 소련의 하계 공세가 교착상태에 빠지자, 핀란드 지도부는 독일과의 6월 협정(뤼티-리벤트로프 협정)을 이용해 소련과 정전할 기회를 얻었다고 판단했다.[217][229][130][157] 핀란드를 전쟁에서 벗어나게 할 국내외적인 위신을 가진 유일한 인물은 만네르헤임이었다.[217][229]

처음에 만네르헤임에게 총리직을 제안했으나, 그는 고령과 문민정부 운영 경험 부족을 이유로 거절했다. 이후 리스토 뤼티 대통령이 사임하고 의회가 만네르헤임을 섭정으로 임명하는 계획이 추진되었으나, 만네르헤임은 섭정이라는 직함 대신 대통령으로 선출되기를 원했다. 1944년 8월 4일, 의회는 특별법안을 통과시켜 만네르헤임을 대통령으로 선출했고, 같은 날 그는 취임 선서를 했다.[217][229][42][56]

만네르헤임은 1944년 8월 초 의회가 통과시킨 긴급 법안에 따라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만네르헤임은 취임 연설에서 핀란드의 위태로운 상황을 강조하며, 핀란드군의 헌신과 국민들의 단결된 지지를 통해 독립과 국가의 존속을 지켜낼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만네르헤임 취임 1개월 후, 계속전쟁은 가혹한 조건으로 종결되었지만, 소련과 국경을 접한 다른 나라들에 비하면 덜 가혹한 조건이었다.[230][57] 핀란드는 주권, 의회민주주의, 시장경제를 유지했지만, 카렐리야와 페차모 전역을 상실하고 막대한 전쟁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230][57][158][159] 또한 라플란드 전쟁을 치르면서 동시에 핀란드군의 동원령을 해제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230][57][160]

1946년 3월 4일 짧은 대통령 임기를 마치고 헬싱키 대통령궁을 떠나는 만네르헤임.


만네르헤임은 소련의 요구를 수용하기 전 아돌프 히틀러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 핀란드의 상황과 불가피한 선택을 설명하고, 독일과의 관계를 악화시키지 않기를 바란다는 뜻을 전했다.[231][60]

만네르헤임의 대통령 재임은 1944년 당시 77세의 고령과 건강 문제, 연합국 통제위원회의 요구사항, 핀란드 전쟁책임 재판 등으로 인해 힘겨웠다.[232][161] 그는 평화에 대한 범죄로 기소될까 두려워했지만, 이오시프 스탈린의 호의 덕분에 기소되지 않았다.[232][161]

1945년 만네르헤임은 건강 문제로 병가를 냈고, 포르투갈에서 요양했다. 1946년 2월 전쟁책임자 재판 판결이 발표되자, 그는 대통령직을 사임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전쟁 종결, 휴전 조건 이행, 전범재판 종료 등 자신이 맡은 의무를 다했다고 판단했다.[162]

만네르헤임은 1946년 3월 11일 사임했으며, 1918년 내전 당시 적이었던 핀란드 공산주의자들조차 그의 노력과 역할을 높이 평가했다. 대통령직은 보수 성향의 총리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가 승계했다.[229][56][157]

1946년 3월 만네르헤임과 그의 후임 대통령 파아시키비, 유호 쿠스티(오른쪽) 및 그의 아내 알리 파아시키비

8. 말년

사임한 뒤 만네르헤임은 로햐의 키르크니에미 장원을 구매해서 거기서 은퇴 생활을 보내려 했다.[163] 1946년 6월, 위궤양으로 수술을 받았고 10월에는 십이지장궤양 진단을 받았다.[163] 1947년에는 스위스에서 추가 수술을 받았다.[163] 몽트뢰의 발몽 요양원은 만네르헤임이 여생을 보낸 주요 장소가 되었다.

1948년, 점차 체력이 회복된 만네르헤임은 회고록 집필에 착수했다.[163] 만네르헤임은 늙고 병들었기에 회고록 일부만 직접 쓸 수 있었고 나머지는 구술을 받아쓰게 했다. 만네르헤임의 회고록은 자신의 사생활에 대해서는 거의 완전히 침묵하는 대신 핀란드 내전, 겨울 전쟁, 계속 전쟁 등 핀란드의 역사적 사건들을 주로 다루었다. 1951년 1월, 만네르헤임의 위질환이 재발했고 이것이 치명상이 되었다.[163] 그의 회고록은 아직 완성되지 못한 상태였기에 나머지 부분은 만네르헤임의 부관들인 알라다르 파소넨(Aladár Paasonen)[163], 에릭 하인리히스(Erik Heinrichs), 레오나르도 그란델(Leonardo Grandell), 올리바 올레니우스(Oliver Olenius), 일마리 마르트라(Ilmari Maltra), 비르야넨(Virjanen) 대령 등의 협력자들이 채워넣고 유고로 출판되었다.[164]

만네르헤임은 1951년 1월 27일(협정 세계시), 핀란드 시간으로는 1월 28일 스위스 로잔의 주립병원(로잔대학교병원[63])에서 사망했다.[163] 1951년 2월 4일 헬싱키의 히에타니에미 묘지에 매장되었다. 장례는 모든 군사의례를 다하여 국장으로 치러졌다.

헬싱키에서 열린 장례식 행렬


만네르헤임은 오늘날에도 핀란드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위대한 정치가로 존경받고 있다. 정당에 속하지 않고, 이기적인 동기 없이 보여준 조국에 대한 헌신, 최전선으로 향하는 용기, 70대 후반에도 열정적으로 일하는 능력, 소련과 핀란드의 충돌을 예상하고 준비한 외교적 선견지명이 그 이유로 여겨진다.[130][165]

만네르헤임의 생일인 6월 4일은 핀란드 국방군에 의해 국기의 날로 기념되고 있다. 이는 1942년 75세 생일에 핀란드 원수 칭호를 받은 것을 기념하여 핀란드 정부가 제정한 것이다. 국기의 날에는 행렬과 국방군 병력에 대한 포상 및 승진이 이루어진다. 만네르헤임의 삶과 업적은 만네르헤임 박물관에 기록되어 있다.[133]

9. 상훈

만네르헤임은 살아생전 82개의 군사 및 민사훈장을 수훈했다.[73][167][235]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적과 아군 모두로부터 군사 훈장을 받은 유일한 인물이며, 중립국이었던 스웨덴으로부터도 훈장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모든 사령관 중에서 만네르하임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최고위 군 계급을 가지고 있었는데,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이 종결되었을 당시 그의 계급은 기병대장이었다.

훈장등급수여국수여연도
레지옹 도뇌르 훈장기사 훈장
장교 훈장
대십자장
프랑스1902년
1910년
1939년
상트 안나 훈장2등급 훈장러시아 제국1906년
스비에테고 스타니스와바 훈장2등급 훈장러시아 제국/폴란드1906년
상트 블라디미르 훈장4등급 훈장러시아 제국1906년
스뱌토고 게오르기 훈장4등급 기사장러시아 제국1914년
자유십자장사령관검 대십자장핀란드1918년
왕립 검기사단사령관 대십자장스웨덴1918년
1급 1914년형 철십자장 및 2급 1914년형 철십자장독일 제국1918년
왕립 치천사 기사단기사스웨덴1919년
코끼리 훈장기사덴마크1919년
에스토니아 적십자 훈장대십자에스토니아1933년
대영 제국 훈장기사 대십자장영국1938년
자유십자장사령관검금강석 대십자장핀란드1940년
만네르헤임 십자장1등급, 2등급핀란드1941년
왕립 헝가리 스젠트 이스트반 훈장성 이슈트반 왕관 대십자장헝가리 왕국1941년
용감공 미하이 훈장1급루마니아1941년
왕립 검기사단1급 대십자 기사스웨덴1942년
철십자 약장2급, 1급 1939년형 철십자 약장
기사십자 철십자장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
나치 독일1942년
1942년
1942년
1944년
백장미 훈장검금강석경식 사령관 대십자핀란드1944년
핀란드 사자 훈장검금강석 사령관 대십자핀란드1944년
욱일장훈일등 욱일동화대수장일본[80][168][236]
황금 대십자 독일 수리 훈장나치 독일
검 1급 수리 십자 군사훈장에스토니아
헝가리 공화국 공훈장헝가리 왕국



만네르헤임의 문장 설명은 ''"Candida pro causa ense candido"[234]("명예로운 목적을 위하여 명예로운 검으로")'' 이다.

만네르헤임은 미국 우정청에게서 우표를 수여받았다.

10. 명예직

헬싱키 대학교 명예 철학박사 (1919년), 시민위병 명예 총사령관 (1919년–1944년), 만네르헤임 장군 아동복지협회 명예 회장 (1920년–1951년), 핀란드 은행연합 총재 (1920년–1931년), 핀란드 적십자회 총재 (1922년–1951년), 우시마 용기병연대 명예 대령 (1928년), 헬싱키 은행 은행장 (1931년–1935년), 핀란드 보이스카우트 연맹장 (1936년)

11. 역대 선거 결과

wikitable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19년 선거핀란드의 대통령1대무소속25.64%50표2위낙선
1943년 선거핀란드의 대통령5대무소속0.36%1표4위낙선
1944년 선거핀란드의 대통령6대무소속단독후보무투표1위
25px


참조

[1] 서적 Georg C. Ehrnrooth – Kekkosen kauden toisinajattelija University of Helsinki
[2] 웹사이트 Carl Gustaf Mannerheim | Biograph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5-31
[3] 웹사이트 Grand Duchy of Finland Passport 1865 https://www.passport[...]
[4] 웹사이트 C. G. E. Mannerheim https://www.britanni[...]
[5] 웹사이트 Mannerheim, Gustaf (1867–1951) http://www.kansallis[...] 2017-04-21
[6] 뉴스 HS: Muodikas Marski https://www.hs.fi/ko[...]
[7] 웹사이트 MANNERHEIM - Civilian https://mannerheim.f[...]
[8] 웹사이트 Mannerheim - Defence Council https://mannerheim.f[...]
[9] 서적 A Companion to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10] 웹사이트 MANNERHEIM - Retirement https://mannerheim.f[...]
[11] 웹사이트 Suuret suomalaiset http://www.yle.fi/su[...]
[12] 웹사이트 "Adolf Ehrnrooth välitti Mannerheimin tahtoa haudan takaa" – Mannerheim on ainutlaatuinen kulttihahmo, jonka myyttiä lähipiiri rakensi määrätietoisesti https://yle.fi/a/74-[...] 2023-03-13
[13] 서적 White Death: Russia's War with Finland 1939–1940 https://books.google[...] Phoenix Press
[14] 서적 Marshal Mannerheim and the Finns Weidenfeld & Nicolson 1967
[15] 뉴스 Finland's Heritage on parade https://www.nytimes.[...] 1983-10-16
[16] 뉴스 Field Marshal Mannerheim, THE FATHER OF FINLAND http://nla.gov.au/nl[...] 1945-11-15
[17] 뉴스 Finland Country Profile – Timeline https://www.bbc.co.u[...] 2012-09-25
[18] 뉴스 Mannerheimin suku onkin lähtöisin Saksasta https://web.archive.[...] 2007-03-01
[19] 웹사이트 Mannerheimin suku onkin lähtöisin Saksasta http://www.mtv3.fi/u[...] MTV3 2007-03
[20] 웹사이트 Johan Augustin Mannerheim https://web.archive.[...]
[21] 웹사이트 Muotokuva; Johan Augustin Mannerheim; (1706–1778) https://www.finna.fi[...]
[22] 서적 Everyman's Encyclopedia volume 8 J. M. Dent & Sons Ltd
[23] 뉴스 IS: Pikavippi olisi kelvannut Mannerheimillekin https://www.is.fi/ta[...]
[24] 웹사이트 Mannerheim halusi diktaattoriksi ja lähes sai haluamansa https://web.archive.[...] 2021-01-27
[25] 웹사이트 Horse That Leaps Through Clouds – Retracing Mannerheim's Journey Across Asia http://horsethatleap[...]
[26] 웹사이트 Start to Finnish https://www.washingt[...] 2017-08-11
[27] 서적 The Horse That Leaps Through Clouds: A Tale of Espionage, the Silk Road and the Rise of Modern China Douglas & McIntyre
[28] 웹사이트 Horse That Leaps Through Clouds – Retracing Mannerheim's Journey Across Asia http://horsethatleap[...]
[29] 웹사이트 Horse That Leaps Through Clouds – Retracing Mannerheim's Journey Across Asia http://horsethatleap[...]
[30] 뉴스 Mannerheim tapasi Dalai-laman https://www.kaleva.f[...]
[31] 간행물 Der größte Finne aller Zeiten?
[32] 서적 Modern Finland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6
[33] 웹사이트 Краткие сведения об офицерах-Александрийцах: Великая война, Гражданская война, эмиграция. Часть 2-я (фамилии К – Р). – Статьи – Каталог статей – 5-й Гусарский Александрийский полк http://blackhussars.[...]
[34] 뉴스 Mannerheimin tyttärien vaietut elämät: hauras Stasie eli nunnana ja levoton Sophy pakeni Pariisiin – lopulta kumpikin eli suhteessa naisen kanssa https://www.hs.fi/ku[...] 2017-11-04
[35] 간행물 Carl Gustaf Mannerheim – Suomen historian myyttisin mies 2010-06-15
[36] 뉴스 Mannerheim ei ollut koko valkoisen Suomen sankari https://www.ts.fi/uu[...] Turun Sanomat
[37] 서적 Mannerheimin kääntöpuoli Otava 1992
[38] 웹사이트 Mannerheim-Museo.fi http://www.mannerhei[...]
[39] 웹사이트 MANNERHEIM - Civilian - Foreign Legion https://mannerheim.f[...]
[40] 뉴스 Tutkija: Mannerheim oli kolonialisti, kun ampui tiikereitä norsun päältä – tällaisia olivat Intian-matkat, joihin marsalkka osallistui "valkoisen metsästäjän roolissaan" https://www.is.fi/ko[...] Ilta-Sanomat 2020-12-10
[41] 웹사이트 Mannerheim-museo - Kronologia https://www.mannerhe[...] 2024-12-04
[42] 서적 Presidents of Finland II 1994
[43] 웹사이트 Mannerheimin murhayrityksen jälkinäytös käytiin Vallilassa https://walkhelsinki[...]
[44] 뉴스 Omatkin halusivat tappaa Mannerheimin – Uutta tietoa: tällaisia murhayrityksiä aikalaiset juonivat marsalkan päänmenoksi https://www.nurmijar[...] Nurmijärven Uutiset 2022-10-07
[45] 웹사이트 Murhayritys joka jäi tekemättä http://www.mikkoporv[...]
[46] 뉴스 Murhahankkeet kenraali Mannerheimia ja sotaministeri Jalanderia vastaan https://digi.kansall[...] Aamulehti 1920-07-24
[47] 서적 Uusi Pikkujättiläinen Werner Söderström Osakeyhtiö 1986
[48] 웹사이트 Mannerheim kuuli Hitlerin saapuvan syntymäpäiväjuhliin: – "Vad i helvete gör han här?" https://www.paivanle[...]
[49] 웹사이트 Uutuuskirja: Mannerheim innostui aluksi Hitleristä https://www.is.fi/ko[...]
[50] 웹사이트 Churchill kehui Mannerheimia: ”Todellinen mies – vahva kuin kallionjärkäle” https://suomenkuvale[...] 2017-11-05
[51] 웹사이트 JATKOSODAN KESÄNÄ 1942 MANNERHEIMIN HENGENLÄHTÖ OLI VAIN METRIEN PÄÄSSÄ https://sotaveteraan[...] 2019-06-17
[52] 웹사이트 Mannerheim vierailee Poventsassa http://www.nautelank[...]
[53] 웹사이트 Marskiniemi Poventsa https://www.sotahist[...]
[54] 뉴스 Conversation secretly recorded in Finland helped a German actor prepare for Hitler role http://www.hs.fi/eng[...] Helsingin Sanomat 2004-09-15
[55] 웹사이트 Yle's web-archive http://www.yle.fi/el[...]
[56] 서적 A Small Giant of Finnish History 2003
[57] 서적 Finland in World War II: History, Memory, Interpretations https://books.google[...] Brill 2011
[58] 웹사이트 Lapin sodan alku https://ilkkaenkenbe[...]
[59] 웹사이트 Lapin sodan tuhot https://yle.fi/aihe/[...]
[60] 서적 Finland at War: the Continuation and Lapland Wars 1941–45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6
[61] 뉴스 Raihnainen Mannerheim teki salaperäisen matkan Portugaliin, rantaloman aikana kaikkosi riski sotasyyllisyystuomiosta https://suomenkuvale[...] Suomen Kuvalehti 2021-06-04
[62] 뉴스 Mannerheim Quits Office In Finland; Resigns In Finlan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46-03-05
[63] 웹사이트 Historique http://www.chuv.ch/f[...]
[64] 뉴스 Churchill kehui Mannerheimia: "Todellinen mies – vahva kuin kallionjärkäle" https://suomenkuvale[...] Suomen Kuvalehti 2017-11-05
[65] 웹사이트 Marskin Maja lodge – Häme Lake Uplands – Visit Loppi http://www.visitlopp[...]
[66] 웹사이트 Mannerheim, Gustaf (1867–1951) President of Finland, Marshal of Finland http://www.kansallis[...] Biografiakeskus
[67] 웹사이트 MANNERHEIM – Special Topics – Stamps http://www.mannerhei[...]
[68] 웹사이트 8-cent Mannerheim https://postalmuseum[...] 2008-12-12
[69] 웹사이트 50th Anniversary USA Champions of Liberty Mahatma Gandhi Stamp http://gandhiphilate[...] 2011-03-09
[70] 웹사이트 Päämaja – Finna.fi https://www.finna.fi[...]
[71] 영화 Valtapeliä elokuussa 1940 https://m.imdb.com/t[...] 2001
[72] 웹사이트 Gustaf Mannerheim The Marshal of Finland https://web.archive.[...] mannerheim-museo.fi 2017-10-02
[73] 웹사이트 Mannerheim Internetprojekti, kunniamerkit valokuvineen http://www.mannerhei[...]
[74] 웹사이트 https://www.mannerhe[...]
[75] 웹사이트 https://www.mannerhe[...]
[76] 웹사이트 https://www.mannerhe[...]
[77] 웹사이트 https://www.mannerhe[...]
[78] 웹사이트 https://www.mannerhe[...]
[79] 웹사이트 https://www.mannerhe[...]
[80] 웹사이트 No. 77, ''Nousevan Auringon Ritarikunnan I luokka Paulovniakukkasin, Japani'' http://www.mannerhei[...]
[81] 서적 百瀬・石野
[82] 웹사이트 Ätten härstammar från Säby i Österåkers socken i Södermanland, med namnet taget av grannsocknen Julita. Överflyttade till Finland 1782 http://www.ritarihuo[...]
[83] 뉴스 http://www.kaleva.fi[...] Kaleva.fi, MTV3.fi
[84] 웹사이트 Georg Wrightin jälkeläisiä http://suvut.genealo[...] suvut.genealogia.fi 2009-04-24
[85] 서적 植村
[86] 서적 Suomen marsalkka C. G. Mannerheim 1990
[87] 서적 Suomen marsalkka C. G. Mannerheim 1990
[88] TV Mannerheim - Marshal of Finland TV8 2006
[89] 서적 Nuori Mannerheim 1965
[90] 서적 Mannerheim: Marshal of Finland 1986
[91] 서적 Mannerheim 2000
[92] 서적 Visuotinė lietuvių enciklopedija, V t. Vilnius: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institutas, 2004. T.V: Dis-Fatva. 2004
[93] 서적 Nuori Mannerheim 1965
[94] 서적 植村
[95] 서적 Nuori Mannerheim 1965
[96] 서적 Suomen marsalkka C. G. Mannerheim 1990
[97] 서적 Suomen marsalkka C. G. Mannerheim 1990
[98] 서적 植村
[99] 서적 Suomen marsalkka C. G. Mannerheim 1990
[100] 서적 Mannerheim 2000
[101] 서적 Suomen marsalkka C. G. Mannerheim 1990
[102] 서적 Suomen marsalkka C. G. Mannerheim 1990
[103] 서적 Mannerheim 2000
[104] 서적 植村
[105] 서적 Mannerheim 2000
[106] 서적 植村
[107] 서적 The Horse That Leaps Through Clouds: A Tale of Espionage, the Silk Road and the Rise of Modern China http://horsethatleap[...] Douglas & McIntyre 2010
[108] 서적 植村
[109] 서적 Mannerheim 2000
[110] 서적 百瀬・石野
[111] 서적 植村
[112] 서적 百瀬・石野
[113] 서적 Mannerheim 2000
[114] 서적 植村
[115] 웹사이트 IDP その他コレクション.フィンランドのコレクション http://idp.afc.ryuko[...]
[116] 서적 植村
[117] 서적 植村
[118] 서적 植村
[119] 서적 植村
[120] 서적 百瀬・石野
[121] 서적 植村
[122] 서적 植村
[123] 서적 植村
[124] 서적 植村
[125] 서적 植村
[126] 서적 Suomen marsalkka C.G. Mannerheim 1990
[127] 서적 百瀬・石野
[128] 서적 百瀬・石野
[129] 서적 植村
[130] 서적 Presidents of Finland II (Suomen presidentit II) 1994
[131] 서적 Kallio - Ryti - Mannerheim / Suomen presidentit II: Kallio - Ryti - Mannerheim Otava Publications Ltd. 1994
[132] 서적 植村
[133] 웹사이트 Mannerheim-Museo.fi http://www.mannerhei[...]
[134] 웹사이트 マンネルヘイム元帥への贈呈刀 http://www.k3.dion.n[...]
[135] 서적 百瀬・石野
[136] 서적 植村
[137] 서적 植村
[138] 서적 百瀬・石野
[139] 서적 植村
[140] 서적 Risto Ryti: A Life for the Fatherland / Risto Ryti: Elämä isänmaan puolesta
[141] 서적 Risto Ryti: A Life for the Fatherland
[142] 간행물 植村
[143] 간행물 百瀬・石野
[144] 간행물 植村
[145] 서적 Century of Violence 1999
[146] 간행물 植村
[147] 위키백과 Siege of Leningrad
[148] 서적 Risto Ryti: A Life for the Fatherland / Risto Ryti: Elämä isänmaan puolesta 1994
[149] 간행물 植村
[150] 뉴스 Conversation secretly recorded in Finland helped a German actor prepare for Hitler role http://www.hs.fi/eng[...] Helsingin Sanomat 2004-09-15
[151] 웹사이트 YLE web-archive http://www.yle.fi/el[...]
[152] 서적 Risto Ryti: A Life for the Fatherland / Risto Ryti: Elämä isänmaan puolesta Otava Publications Ltd. 1994
[153] 간행물 植村
[154] 간행물 植村
[155] 간행물 梅本(1999)
[156] 간행물 植村
[157] 서적 A Small Giant of Finnish History (Suomen historian pikkujättiläinen) 2003
[158] 간행물 百瀬・石野
[159] 간행물 百瀬・石野
[160] 간행물 植村
[161] 서적 Suomen marsalka C. G. Mannerheim 1990
[162] 간행물 植村
[163] 간행물 植村
[164] 서적 Mannerheim 1867–1951
[165] 서적 The Republic's Presidents 1940–1956 / Tasavallan presidentit 1940–1956 1993-1994
[166] 웹사이트 Suuret suomalaiset http://www.yle.fi/su[...]
[167] 웹사이트 Mannerheim Internetprojekti, kunniamerkit valokuvineen http://www.mannerhei[...]
[168] 웹사이트 No. 77, Nousevan Auringon Ritarikunnan I luokka Paulovniakukkasin, Japani http://www.mannerhei[...]
[169] 웹사이트 Marskin maja http://www.marskinma[...]
[170] 블로그 H30/2/19 全日杯 https://yuben2012.ex[...]
[17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ivan-ushenin.[...] 2016-06-21
[172] 뉴스 Kaleva.fi http://www.kaleva.fi[...]
[173] 웹사이트 Julin von, Ätten härstammar från Säby i Österåkers socken i Södermanland, med namnet taget av grannsocknen Julita. Överflyttade till Finland 1782 http://www.ritarihuo[...]
[174] 웹사이트 Suuret suomalaiset http://www.yle.fi/su[...]
[175] 서적 White Death: Russia's War on Finland, 1939–40 Phoenix, an Imprint of The Orion Publishing Group Ltd 2007
[176] 서적 Marshal Mannerheim and the Finns Weidenfeld & Nicolson
[177] 뉴스 Finland's Heritage on parade http://www.nytimes.c[...] 2013-08-17
[178] 웹인용 Field Marshal Mannerheim, THE FATHER OF FINLAND http://trove.nla.gov[...] 2013-08-17
[179] 뉴스 Finland Country Profile – Timeline http://www.bbc.co.uk[...] 2013-08-17
[180] 뉴스 Finland's Heritage on parade http://www.nytimes.c[...] 2013-08-17
[181] 웹사이트 Georg Wrightin jälkeläisiä http://suvut.genealo[...] suvut.genealogia.fi 2009-04-24
[182] 서적 Suomen marsalkka C. G. Mannerheim
[183] 서적 Neljä kertaa nopeammin kuin pännällä – Konttoritekniikan historia
[184] 서적 Suomen marsalkka C. G. Mannerheim
[185] 방송 Mannerheim – Marshal of Finland TV8
[186] 서적 Nuori Mannerheim
[187] 서적 Mannerheim: Marshal of Finland
[188] 서적 Mannerheim
[189] 서적 Four Finns – Political Profiles
[190] 서적 Nuori Mannerheim
[191] 서적 Nuori Mannerheim
[192] 서적 Suomen marsalkka C. G. Mannerheim
[193] 서적 Suomen marsalkka C. G. Mannerheim
[194] 백과사전 Visuotinė lietuvių enciklopedija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institutas
[195] 서적 Suomen marsalkka C. G. Mannerheim
[196] 서적 Mannerheim President, Soldier, Spy
[197] 웹사이트 http://blackhussars.[...]
[198] 서적 Suomen marsalkka C. G. Mannerheim
[199] 서적 Suomen marsalkka C. G. Mannerheim
[200] 서적 Mannerheim
[201] 서적 Mannerheim
[202] 서적 Mannerheim: President Soldier Spy
[203] 서적 The Horse That Leaps Through Clouds: A Tale of Espionage, the Silk Road and the Rise of Modern China http://horsethatleap[...]
[204] 서적 The Horse That Leaps Through Clouds: A Tale of Espionage, the Silk Road and the Rise of Modern China http://horsethatleap[...]
[205] 서적 Mannerheim: President Soldier Spy
[206] 웹사이트 Horse That Leaps Through Clouds – Retracing Mannerheim's Journey Across Asia http://horsethatleap[...]
[207] 서적 The Horse That Leaps Through Clouds: A Tale of Espionage, the Silk Road and the Rise of Modern China http://horsethatleap[...]
[208] 서적 The Horse That Leaps Through Clouds: A Tale of Espionage, the Silk Road and the Rise of Modern China http://horsethatleap[...] Douglas & McIntyre
[209] 서적 The Horse That Leaps Through Clouds: A Tale of Espionage, the Silk Road and the Rise of Modern China http://horsethatleap[...]
[210] 웹사이트 Horse That Leaps Through Clouds – Retracing Mannerheim's Journey Across Asia http://horsethatleap[...]
[211] 웹사이트 Horse That Leaps Through Clouds – Retracing Mannerheim's Journey Across Asia http://horsethatleap[...]
[212] 잡지 Der größte Finne aller Zeiten?
[213] 서적 Modern Finland https://books.google[...]
[214] 논문
[214] 논문
[214] 논문
[214] 논문
[214] 논문
[214] 논문
[214] 논문
[214] 논문
[214] 논문
[215] 논문
[215] 논문
[215] 논문
[215] 논문
[215] 논문
[216] 서적 Suomen marsalkka C.G. Mannerheim
[217] 서적 Presidents of Finland II (Suomen presidentit II)
[218] 서적 Kallio – Ryti – Mannerheim / Suomen presidentit II: Kallio – Ryti – Mannerheim Otava Publications Ltd.
[218] 서적 Mannerheim 1867–1951 Otava Publications Ltd.
[219] 웹사이트 Mannerheim-Museo.fi http://www.mannerhei[...] 2016-06-22
[220] 서적 Memoirs
[221] 기타 Screen
[222] 서적 Risto Ryti: Elämä isänmaan puolesta (Risto Ryti: A Life for the Fatherland)
[223] 서적 Risto Ryti: A Life for the Fatherland / Risto Ryti: Elämä isänmaan puolesta
[224] 서적 Risto Ryti: A Life for the Fatherland
[225] 서적 Century of Violence
[226] 서적 Risto Ryti: A Life for the Fatherland / Risto Ryti: Elämä isänmaan puolesta
[227] 뉴스 Conversation secretly recorded in Finland helped a German actor prepare for Hitler role http://www.hs.fi/eng[...] Helsingin Sanomat 2004-09-15
[228] 웹사이트 http://www.yle.fi/el[...]
[229] 서적 A Small Giant of Finnish History (Suomen historian pikkujättiläinen)
[230] 서적 Finland in World War II: History, Memory, Interpretations http://books.google.[...] 2014-01-31
[231] 서적 Finland at War: the Continuation and Lapland Wars 1941–45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32] 서적 Suomen marsalka C. G. Mannerheim
[233] 서적 Mannerheim 1867–1951
[234] 웹사이트 보관된 사본 http://www.mannerhei[...] 2020-05-19
[235] 웹사이트 Mannerheim Internetprojekti, kunniamerkit valokuvineen http://www.mannerhei[...]
[236] 웹사이트 No. 77, Nousevan Auringon Ritarikunnan I luokka Paulovniakukkasin, Japani http://www.mannerhe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