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버멘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버멘쉬는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의 철학에서 등장하는 개념으로, 기존의 가치를 초월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인간을 의미한다. '초인', '극복하는 인간' 등으로 번역되며, 기독교적 세계관의 허무주의를 극복하고 삶을 긍정하는 존재로 제시된다. 니체는 '신의 죽음'을 통해 기존 가치의 붕괴를 이야기하며, 위버멘쉬가 이를 대체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개념은 나치에 의해 인종차별적으로 오용되기도 했으며, 아나키즘과 트랜스휴머니즘 등 다양한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알렉산더 틸레는 1896년에 처음으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영어로 번역하면서 Übermensch|위버멘쉬de를 "Beyond-Man"(초인)으로 번역했다. 1909년, 토마스 코먼은 조지 버나드 쇼의 1903년 희곡 ''인간과 초인''의 용례를 따라 "Superman"(슈퍼맨)으로 번역했다. 발터 카우프만은 1950년대에 이 번역을 두 가지 이유로 비판했는데, 첫째는 영어 접두사 "super"(수퍼)가 독일어 über|위버de(초)의 뉘앙스를 제대로 담지 못한다는 점(라틴어에서는 "above"(넘어서) 또는 "beyond"(초월)의 의미가 독일어에 더 가깝지만)이었고, 둘째는 니체의 개념을 만화 캐릭터 슈퍼맨과 혼동하게 만든다는 점이었다.[3][4] 카우프만과 다른 학자들은 Übermensch|위버멘쉬de를 "overman"(극복하는 인간)으로 번역하는 것을 선호했다. "우월한 인간"과 같은 번역은 니체가 자신의 이야기를 펼쳐나가는 개념에 더 잘 들어맞을 수도 있다. 학자들은 두 용어를 계속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는 독일어 단어를 그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니체는 기독교의 내세적 세계관과 대비되는 '차안(此岸)주의'를 강조하며 Übermensch|위버멘쉬de 개념을 제시한다. 자라투스트라는 위버멘쉬의 의지가 이 세상에서의 삶에 의미를 부여한다고 선포하며, 다른 세계를 약속하며 사람들을 현실에서 멀어지게 하려는 자들을 무시하라고 충고한다.[7][8]
히틀러와 나치 정권은 "위버멘쉬"라는 용어를 생물학적으로 우월한 아리아인 또는 게르만족 주된 인종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묘사하는 데 자주 사용했다.[16] 니체의 Übermensch|위버멘쉬de의 인종적 버전은 나치 사상의 철학적 기반이 되었다.[17][18] 나치의 우월 인종 개념은 지배되고 노예가 되어야 하는 "열등한 인간"(''Untermenschen'')이라는 개념을 낳았는데, 이 용어는 니체에게서 유래하지 않았으며, 니체는 반유대주의와 독일 민족주의 모두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니체의 사상은 아나키스트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스펜서 선샤인은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2. 어원 및 번역
독일어 접두사 über|위버de는 연결되는 단어에 따라 우월함, 초월, 과도함 또는 강렬함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5] ''Mensch''는 인간을 가리키며, 흔히 잘못 알려진 것처럼 특정 남성을 지칭하지 않는다. 형용사 übermenschlich|위버멘쉬리히de는 초인적인, 즉 인간의 힘을 넘어서거나 인간성을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6]
3. 철학적 배경
자라투스트라는 기독교에서 말하는, 육체와 분리된 불멸의 영혼은 허구이며, 이는 육체를 부정하고 금욕주의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그는 위버멘쉬를 육체와 연결하고, 영혼을 단순히 육체의 한 측면으로 해석한다.[9]
3. 1. 신의 죽음과 새로운 가치 창조
자라투스트라는 신의 죽음과 Übermensch|위버멘쉬de를 연결한다. 신의 개념은 초월적인 가치와 그 근본적인 본능의 궁극적인 표현이었지만, 신에 대한 믿음은 한동안 삶에 의미를 부여했다. "신은 죽었다"는 것은 신의 관념이 더 이상 가치를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니체는 이러한 중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치의 재평가라고 부른다.[10]
플라톤적 이상주의나 금욕주의로의 회귀를 피하기 위해, 이 새로운 가치의 창조는 이전의 가치관을 낳았던 것과 동일한 본능에 의해 동기 부여될 수 없다. 대신, 그것들은 이 세상과 삶에 대한 사랑에 의해 동기 부여되어야 한다. 니체는 기독교적 가치 체계를 삶에 대한 반작용으로 진단하여 일종의 파괴적인 것으로 보았지만, Übermensch|위버멘쉬de가 책임질 새로운 가치들은 삶을 긍정하고 창의적일 것이다(니체의 긍정 참조). 이러한 새로운 가치 체계를 실현함으로써, Übermensch|위버멘쉬de는 모든 인간적인 장애물을 극복했기 때문에 완벽해진다.[10]
3. 2. 목표로서의 초인
Übermenschde(위버멘쉬)는 니체가 제시한 개념으로, 인류가 스스로 설정해야 할 목표이다. 니체에 따르면, 모든 인간의 삶은 새로운 세대의 인간, 즉 위버멘쉬를 향한 노력에 의해 의미를 얻는다. 예를 들어, 여성의 열망은 위버멘쉬를 낳는 것이며, 남성과의 관계는 이러한 기준에 따라 판단될 것이다.[11]
3. 3. 비도덕적 귀족주의 가치의 구현
뤼디거 자프란스키에 따르면, Übermenschde는 인공 선택을 통해 도달한 더 높은 생물학적 유형을 나타내며, 동시에 창의적이고 강력하여 인간 잠재력의 전체 스펙트럼, 즉 선과 "악"을 모두 마스터하여 "예술가-폭군"이 될 수 있는 모든 사람에게 이상적인 존재이다. 니체는 《이 사람을 보라》에서 Übermenschde에 대한 어떠한 관념론, 민주주의적 또는 인도주의적 해석도 격렬하게 부정했다. " Übermenschde라는 단어는 '현대적' 인간, '선한' 인간, 기독교인, 그리고 다른 허무주의자와 반대되는 최고의 성취 유형을 [지칭한다] [...] 내가 몇몇 사람들의 귀에 차라리 체사레 보르자를 파르지팔보다 찾는 것이 낫다고 속삭였을 때, 그들은 자신의 귀를 믿지 않았다."[13] 자프란스키는 이탈리아 르네상스를 정의했던 무자비한 전사적 자부심과 예술적 탁월함의 결합이 니체에게 Übermenschde의 의미를 구현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자프란스키는 니체가 Übermenschde라는 초 귀족적 인물을 현대 서구 중산층과 그 유사 기독교적 평등주의적 가치 체계의 마키아벨리적 허수아비 역할을 하도록 의도했다고 설명한다.[14]
3. 4. 영원 회귀와의 관계
초인(Übermenschde) 개념은 니체의 또 다른 핵심 개념인 영원 회귀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15]
로렌스 램퍼트는 영원 회귀가 진지한 열망의 대상으로서 초인을 대체한다고 주장한다.[15]
4. 나치의 오용
말년에 니체는 자신이 사실 독일인이 아닌 폴란드인이라고 믿기 시작했으며, "나는 나쁜 피 한 방울 없이 순수 혈통의 폴란드 귀족이고, 확실히 독일인의 피는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19] 민족주의 교리에 반하여, 그는 자신과 독일이 위대한 것은 "그들의 혈관 속에 폴란드인의 피"가 있기 때문이며, 그는 "[모든] 반유대주의자들을 총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20] 니체는 히틀러의 통치 전에 사망했으며, 부분적으로는 니체의 여동생 엘리자베트 푀르스터-니체가 자신의 오빠의 말을 조작하여 자신과 남편 베른하르트 푀르스터, 저명한 독일 민족주의자이자 반유대주의자의 세계관에 맞추었다.[21] 푀르스터는 1881년 막스 리버만 폰 조넨베르크와 함께 ''Deutscher Volksverein'' (독일 인민 연맹)을 설립했다.[22]
5. 아나키즘과의 관계
아나키스트들이 니체에게 끌린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었다. 국가에 대한 그의 혐오, '군중'의 무분별한 사회적 행동에 대한 혐오, 반기독교주의, 시장과 국가가 문화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불신, '초인'에 대한 열망(지배자도 노예도 아닌 새로운 인간에 대한 열망), 예술가를 그의 원형으로 하는 황홀경적이고 창조적인 자아에 대한 찬양, 아무것도 없는 기반 위에서 새로운 세계를 스스로 창조하는 '예스'를 말할 수 있는 자아에 대한 찬양, 그리고 계급 투쟁과 선형적 역사의 변증법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개념에 반대하여 변화의 원천으로서 '가치의 전도'를 추진한 점 등이다.[23]
영향력 있는 미국의 아나키스트 엠마 골드만은 자신의 유명한 저서 ''아나키즘과 기타 에세이''의 서문에서 니체와 막스 슈티르너를 옹호하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독자들 사이에서 가장 실망스러운 경향은 한 작품에서 문장 하나를 떼어내 작가의 생각이나 인격의 기준으로 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프리드리히 니체는 Übermensch|위버멘쉬de를 믿었기 때문에 약자를 혐오하는 사람으로 비난받는다. 그 거대한 정신의 얄팍한 해석자들은 Übermensch|위버멘쉬de의 비전이 약자와 노예의 종족을 낳지 않는 사회 상태를 요구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24]
선샤인은 "스페인 아나키스트들 또한 계급 정치와 니체적 영감을 혼합했다"고 말한다. 머레이 북친은 ''스페인 아나키스트''에서 저명한 카탈루냐 CNT 회원 살바도르 세기를 "니체적 개인주의, 즉 '모든 것이 허용된다'는 superhome|수페르오메ca의 숭배자"라고 묘사한다. 북친은 1973년 샘 돌고프의 ''아나키스트 콜렉티브'' 서문에서 노동자들이 사회를 재건하는 것을 니체적 프로젝트로 묘사하기까지 한다. 북친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노동자들은 스스로를 계급적 존재가 아닌 인간으로, '프롤레타리아'가 아닌 창조적 인격으로, '대중'이 아닌 자기 긍정적 개인으로 보아야 한다. [...] 경제적 요소는 '우정의 친밀감'을 작업 과정에 가져오고, 생산자들의 삶에서 고된 노동의 역할을 줄이며, 실제로 사회적, 개인적 삶뿐만 아니라 생산과 소비에도 적용되는 '가치의 완전한 전도'(니체의 표현)를 통해 인간화되어야 한다.[23]
6. 철학 외의 초인 개념
6. 1. 동양 철학
싯다는 인도에서 수행 등을 통해 초능력을 얻은 인간을 지칭한다. 한국의 경우 불교의 영향으로 초인과 유사한 개념들이 존재하며, 이는 깨달음을 통해 번뇌를 극복하고 자유를 얻는 존재로 해석될 수 있다.
6. 2. 르네상스 시대
박식가(uomo universale)는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 추구된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이상적인 인간상을 의미한다.[1]
6. 3. 트랜스휴머니즘
트랜스휴머니즘은 새로운 과학 기술을 통해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개선하려는 사상이다. 이는 니체의 초인 개념과 유사한 측면이 있지만, 기술적 진보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Gutenberg, THUS SPAKE ZARATHUSTRA
https://www.gutenber[...]
2023-11-21
[2]
웹사이트
Thus Spake Zarathustra: A Book for All and None
https://www.gutenber[...]
2024-03-01
[3]
서적
Nietzsche's Teaching
Yale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Mask of Enlighten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문서
Duden Deutsches Universal Wörterbuch A–Z
[6]
웹사이트
Übermenschlich
http://en.pons.eu/ge[...]
PONS.eu Online Dictionary
[7]
문서
English translation of Zarathustra's prologue
1961
[8]
문서
Original publication
1885
[9]
서적
Thus Spoke Zarathustra
Penguin Books
[10]
간행물
Finding the Übermensch in Nietzsche's Genealogy of Morality
[11]
문서
Thus Spoke Zarathustra
[12]
문서
Nietzsche
[13]
문서
Ecce Homo
[14]
문서
Nietzsche
[15]
문서
Nietzsche's Teaching
[16]
서적
A Contemporary Introduction to Sociology
Paradigm
[17]
뉴스
Nietzsche inspired Hitler and other killers – Page 7
http://www.trutv.com[...]
Court TV Crime Library
[18]
웹사이트
Nietzsche and Hitler
http://econ161.berke[...]
2010-04-19
[19]
문서
Ecce Homo: How One Becomes What One Is
https://books.google[...]
[20]
문서
The Philosophy of Friedrich Nietzsche
https://books.google[...]
T. Fisher Unwin
[21]
웹사이트
Die Sucht nach dem germanischen Ideal
http://users.utu.fi/[...]
[22]
문서
The German Dictatorship
[23]
웹사이트
Spencer Sunshine: "Nietzsche and the Anarchists" (2005)
https://radicalarchi[...]
2010-05-18
[24]
서적
Anarchism and Other Essays
https://en.wikisourc[...]
Mother Earth Publishing Association
1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