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르지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르지팔은 리하르트 바그너가 볼프람 폰 에센바흐의 서사시 파르치발을 바탕으로 작곡한 오페라이다. 1845년 구상되어 40년에 걸쳐 완성되었으며, 자기 부정, 연민, 구원 등의 주제를 다룬다. 1882년 바이로이트 페스트슈필하우스에서 초연되었으며, 바그너는 이 작품의 바이로이트 독점을 고집했다. 오페라는 성배 기사단의 이야기와 파르지팔의 성장 과정을 그리며, 다양한 인물과 라이트모티프를 통해 깊이 있는 내용을 전달한다. 파르지팔은 쇼펜하우어의 철학적 영향을 받았으며, 니체의 비판과 인종차별 논란 등 다양한 해석과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현재까지도 다양한 지휘자와 성악가들에 의해 공연되고 있으며, 여러 차례 영화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르치팔 - 퍼시벌
    퍼시벌은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하여 성배 탐색과 관련된 주요 인물로, 12세기 후반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작품에서 처음 등장하여 다양한 작품에서 모험담이 다뤄지며 갤러해드, 보스와 함께 성배를 찾는 기사로 묘사된다.
  • 성배를 소재로 한 작품 - 파르치팔
    《파르치팔》은 볼프람 폰 에센바흐가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작품을 각색한 중세 고지 독일어 서사시로, 파르치팔의 성배 탐색과 기사도, 사랑, 방황을 다루며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성배를 소재로 한 작품 - Fate/stay night
    Fate/stay night는 타입문에서 2004년 발매한 비주얼 노벨 게임으로, 성배전쟁에 참여하는 주인공이 세 히로인과의 관계에 따라 이야기가 전개되며,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확장되어 페이트 시리즈의 시초가 되었다.
파르지팔
작품 정보
제목파르지팔
장르음악극
작곡가리하르트 바그너
대본가리하르트 바그너
원작볼프람 폰 에셴바흐파르치발
언어독일어
초연일1882년 7월 26일
초연 장소바이로이트 축제극장
부제(무대 봉헌 축제극)
바이로이트 축제에서 초연된 파르지팔의 첫 번째 프로덕션에서 [[아말리에 마테르나]], [[에밀 스카리아]], [[헤르만 빙켈만]]
바이로이트 축제에서 초연된
파르지팔 어원
파르지팔 철자파르지팔 (Wagner의 철자)
파르지팔 어원 이론페르시아어 기원설에 따르면, "파르시(또는 파르세) 팔"은 "순수한(또는 가난한) 바보"를 의미함
관련 서적요제프 괴레스, 로엔그린, 고대 독일 시, 페르디난트 글로에클 필사본 (1813)
바그너의 일기갈색 책. 1865년부터 1882년까지의 일기 기록 (1975)
관련 연구다니엘 부싱거, 레나테 울리히, 리하르트 바그너의 중세 시대 (2007)
관련 논문막스 웅거, "파르지팔과 트리스탄의 페르시아 기원" (1932)
추가 정보웅거는 미출판 서적 초록을 인용, 프리드리히 폰 주트체크 하우슈카 저

2. 작품 배경

바그너는 1845년 6월 마리엔바트(마리아ーンスケー・ラーズニェ)에서 요양 중 볼프람 폰 에셴바흐의 서사시 『파르치발』과 알브레히트의 『신 티투렐』[48], 저자 불명의 서사시 『로엔그린[49]의 서문을 읽고[50], 『로엔그린』과 『뉘른베르크의 마이스터징거』의 구상을 얻었다.

1857년 4월, 바그너는 자서전 『나의 생애』에서 취리히의 "은신처"에서 성금요일(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힌 날)에 대한 깊은 생각과 함께 『파르치발』의 유사한 경고[51]를 떠올리며 3막의 『파르지팔』을 구상했다고 회상했지만, 훗날 이는 시적인 창작이었다고 인정했다.[52] 실제로는 『로엔그린』 작곡 시기인 1846년부터 1848년경에 구상이 싹텄다고 추정된다.

1865년 8월, 루트비히 2세의 요청으로 대본 초고를 작성했으나, 이후 바이로이트 축제극장 건설과 『니벨룽의 반지』 상연 등으로 바빴다. 1877년 1월에 2차 초고를 작성, 3월에는 "Parzival" 표기를 "Parsifal"로 변경했다. 같은 해 4월 19일 대본을 완성하고 작곡에 착수, 1882년 1월 13일에 악보를 완성했다. 구상부터 완성까지 প্রায় 40년이 걸렸으며, 초고 대본과 총보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2. 1. 작곡 과정

바그너는 1845년 마리엔바트(Mariánské Lázně)에서 요양 중에 폰 에센바흐의 시 ''파르지팔''을 읽었다.[6] 1854년 아르투르 쇼펜하우어의 저서를 접한 후, 인도 철학, 특히 불교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관심에서 부처의 삶에서 가져온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오페라 스케치인 ''승리자(Die Sieger)''(1856)가 탄생했다.[7] 자기 부정, 재생, 연민, 배타적인 사회 집단(카스트, 성배 기사)의 주제는 ''파르지팔''에서 탐구되었지만, 처음에는 《승리자》에서 소개되었다.

자서전 Mein Lebende에 따르면, 1857년 4월 성금요일 아침, 츠리히(Zürich) 엔게(Enge) 교외에 있는 오토 베센돈크의 저택에 있는 작은 오두막인 Asylde(독일어: "정신병원")에서 ''파르지팔''을 구상했다. 부유한 비단 상인이자 예술 후원자인 베센돈크는 그의 아내 마틸데 베센돈크의 도움으로 바그너에게 그 오두막을 제공했다. 작곡가와 그의 아내 민나는 4월 28일에 그 오두막으로 이사했다.[8] 그러나 코지마 바그너는 1879년 4월 22일에 이 설명은 어느 정도 시적인 허용을 받았다고 보고했다.[9]

이 작품은 1857년 4월 마지막 주에 베센돈크의 오두막에서 구상되었을 수 있지만, 그 해 성금요일은 바그너 부부가 츠리히 Zeltweg 13에 살고 있던 4월 10일에 해당한다. 바그너가 Mein Lebende에서 언급한 산문 스케치가 정확하게 날짜가 기록되었다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겠지만, 불행히도 남아 있지 않다.

바그너는 8년 동안 ''파르지팔'' 작업을 재개하지 않았는데, 그 동안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완성하고 ''뉘른베르크의 마이스터징어''를 시작했다. 1865년 8월 27일부터 30일까지 ''파르지팔''을 다시 시작하여 작품의 산문 초고를 만들었는데, 여기에는 줄거리의 간략한 개요와 드라마의 인물과 주제에 대한 상세한 해설이 포함되어 있다.[10] 그러나 다시 한번 작품은 중단되어 11년 반 동안 방치되었다. 이 기간 동안 바그너의 창작 에너지는 대부분 ''반지'' 사이클에 집중되었는데, 1874년에 완성되어 1876년 8월 바이로이트에서 첫 전막 공연을 가졌다.

이 작업이 완료된 후에야 바그너는 ''파르지팔''에 집중할 시간을 찾았다. 1877년 2월 23일, 작품의 두 번째이자 더욱 광범위한 산문 초고를 완성했고, 같은 해 4월 19일, 운문 대본(바그너가 자신의 대본을 부르기를 좋아했던 "시")으로 바꾸었다.

1877년 9월, 악보의 완전한 초고 두 개를 처음부터 끝까지 만들면서 음악 작업을 시작했다. 첫 번째 초고(Gesamtentwurfde, ''예비 초고'' 또는 ''첫 번째 완전 초고'')는 연필로 세 개의 오선지(목소리 하나와 악기 두 개)에 만들어졌다. 두 번째 완전 초고(Orchesterskizzede, ''오케스트라 초고'', ''단축 악보'' 또는 ''파르티첼'')는 잉크로 만들어졌고 적어도 세 개, 때로는 다섯 개의 오선지에 만들어졌다. 이 초고는 첫 번째 초고보다 훨씬 자세했고 상당한 수준의 악기 세부 묘사가 포함되어 있었다.

두 번째 초고는 첫 번째 초고를 만든 지 며칠 후인 1877년 9월 25일에 시작되었다. 3막의 Gesamtentwurfde는 1879년 4월 16일에 완성되었고 Orchesterskizzede는 같은 달 26일에 완성되었다.[10]

완전한 악보(Partiturerstschriftde)는 작곡 과정의 마지막 단계였다. 잉크로 만들어졌고, 모든 목소리와 악기가 표준 관행에 따라 적절하게 표기된 전체 오페라의 청정 사본으로 구성되었다. 바그너는 ''파르지팔''을 한 막씩 작곡하여 각 막의 Gesamtentwurfde와 Orchesterskizzede를 완성한 후 다음 막의 ''Gesamtentwurf''를 시작했다. 그러나 Orchesterskizzede에는 이미 완전한 악보의 모든 작곡 세부 사항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Partiturerstschriftde 작성은 바그너에게 시간이 날 때마다 할 수 있는 일상적인 작업 이상으로 여겨졌다. 1막의 전주곡은 1878년 8월에 작곡되었다. 오페라의 나머지 부분은 1879년 8월부터 1882년 1월 13일까지 작곡되었다.

연도사건
1845년마리엔바트에서 폰 에센바흐의 파르지팔을 읽음[50]
1857년 4월베센돈크 부인의 도움으로 파르지팔 구상[51] (바그너의 자서전에는 성금요일에 영감을 받았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다른 날이었을 가능성[52])
1865년 8월루트비히 2세의 요청으로 대본 초고 작성
1877년 2월두 번째 산문 초고 완성
1877년 4월운문 대본 완성
1877년 9월음악 작업 시작 (두 개의 완전한 초고 작성)
1879년 4월3막의 초고 완성
1882년 1월 13일전체 악보 완성


2. 2. 원작 및 파르지팔 표기

오페라 《파르지팔》의 대본은 볼프람 폰 에센바흐의 서사시 《파르치발》에 기반하고 있다.[53] 이 서사시는 오페라 《로엔그린》의 제작에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는데, 《파르치발》의 에필로그[54]에 백조 기사 로엔그린의 이야기가 소개되어 있기 때문이다. 《로엔그린》 3막에서 로엔그린은 몽살바트 성의 왕 파르치발(Parzival)의 아들이라고 밝힌다. 파르지팔이 백조를 쏘아 떨어뜨리고 발탁되는 것과 로엔그린이 "백조 기사"인 것의 관련성은 명확하다.

파르치발이라는 이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아랍어의 "Parsi oder Parseh Fal, d.i. der reine oder arme Dumme"("파르시 또는 파르세ー 팔, 즉 '순수한' 또는 '가련한' '어리석은 자'?)라는 (영어) 요제프 게레스의 설[55]을 바그너가 받아들여 Parsifal로 철자를 바꾼 것으로 여겨진다.[56] 그러나 (영어) 주디트 고티에는 이 설이 잘못이라고 지적했지만, 바그너는 "그렇더라도 상관없다."라며 수정하지 않았다고 한다.

볼프람 폰 에센바흐의 《파르치발》(Parzival)은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페르세발》(Perceval)에서 유래한다. 중세 프랑스 문학・비교 신화학의 권위자인 필리프 발테르(1952-)는 "페르세발(Perceval)이라는 이름은, '골짜기(발)(val)'의 비밀을 '알아내는(페르스)(perce)' 자라고 읽을 수 있다(페르세발이 찾아간 어부왕의 궁전이 '골짜기(발) 안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이다)"라고 해석하고 있다.[57]

3. 악기 편성

플루트 3, 오보에 3 (3번은 잉글리쉬 호른 겸함), 클라리넷 3 (3번은 베이스 클라리넷 겸함), 바순 3 (3번은 콘트라바순 겸함), 호른 4, 트럼펫 3,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2, 작은북, 선더시트, 교회종 6, 튜블러벨 2 (하나는 일반, 하나는 3m), 하프 2, 현5부

무대 뒤, 별도: 트럼펫 6, 트롬본 6

니벨룽겐의 반지 이래 4관 편성의 흔적이 남아 있다. 이 곡은 니벨룽의 반지 다음으로 팀파니 2대가 편성되어 있다.

4. 연주시간

총 연주시간은 약 4시간 30분이다. 서곡은 14분, 1막은 1시간 45분(105분), 2막은 1시간 10분(70분), 3막은 1시간 20분(80분) 정도이다.[1] 그러나 지휘자에 따라 연주 시간의 편차가 매우 커서 3시간 40분 미만부터 4시간 40분을 훨씬 넘는 경우까지 다양하다.[1]

5. 등장인물


  • '''암포르타스'''(바리톤): 몬살바트 성의 왕이자 성배의 수호자이다.[1]
  • '''티투렐'''(베이스): 암포르타스의 아버지이자 전임 국왕이다.[1]
  • '''구르네만츠'''(베이스): 몬살바트 성의 노기사이며, 후에 은둔자가 된다.[1]
  • '''파르지팔'''(테너): 순수하지만 어리석은 청년으로, 극중에서 이름이 밝혀진다.[1]
  • '''클링조르'''(바리톤): 마법사이다.[1]
  • '''쿤드리'''(소프라노): 저주받은 여자로, 클링조르의 앞잡이가 된다.[1]
  • '''성배 수호 기사''' 2인 (테너, 베이스)[1]
  • '''시종''' 4인 (소프라노 2, 테너 2)[1]
  • '''꽃의 처녀들''' 6인 (소프라노, 알토)[1]

6. 줄거리

구르네만츠와 시종들이 암포르타스 왕의 상처 치료를 위해 호수로 향한다. 쿤드리가 나타나 암포르타스에게 약을 전한다. 암포르타스는 과거 쿤드리에게 유혹당해 성창을 빼앗기고 상처를 입었는데, 낫지 않는 상처에서 피가 흘러나와 죄책감에 시달렸다. 구르네만츠는 클링조르의 악행과 왕을 구원할 신탁, “고통을 함께 나누고 지혜에 이르는, 더럽혀지지 않은 어리석은 자를 기다려라”는 내용에 대해 이야기한다.

호수의 백조를 쏘아 떨어뜨린 젊은이가 끌려오고, 구르네만츠는 그가 신탁 속 인물일지 모른다고 기대하며 성으로 데려간다. 성 안 예배당에서 성배 의식이 거행되지만, 암포르타스는 고통스러워한다. 관능, 죄, 죽음에 대한 갈망이 그를 짓누른다. 선왕 티투렐의 권유로 성배가 개봉되지만, 젊은이는 멍하니 서 있을 뿐이다. 구르네만츠는 실망하여 그를 내쫓는다.

클링조르가 쿤드리를 깨워 마법의 성에 침입한 젊은이를 유혹하라 명령한다. 쿤드리는 저항하지만, 결국 명령에 따른다. 젊은이는 병사들을 물리치고, 클링조르의 마법으로 주변은 정원으로 변한다. 꽃의 처녀들이 젊은이를 유혹하고, 쿤드리가 "파르지팔!"이라 부르며 그의 이름을 밝힌다. 쿤드리는 파르지팔에게 어머니의 사랑을 이야기하며 키스하지만, 이로 인해 파르지팔은 지혜를 얻고 암포르타스의 고뇌를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인다. 쿤드리는 계속 다가가지만, 파르지팔은 이를 물리친다. 클링조르가 성창을 던지지만, 파르지팔이 잡고 십자가를 긋자 마법이 풀리고 성은 무너지며 정원은 황야로 변한다.

파르지팔의 방황을 보여주는 전주곡. 구르네만츠는 쓰러져 있는 쿤드리를 발견한다. 무장한 기사, 파르지팔이 나타난다. 암포르타스는 성배 의식을 거부하고, 티투렐은 실의 속에 죽음을 맞아 성배 기사단은 붕괴 위기에 처해 있었다. 쿤드리가 파르지팔의 발을 씻기고, 구르네만츠는 세례 의식을 거행한다. 파르지팔 또한 쿤드리를 정화하고, 쿤드리는 운다. 성금요일(성 요한의 축일)의 음악이 시작된다.

세 사람은 성으로 향한다. 티투렐의 장례식을 위한 의식이 시작되고, 암포르타스는 “나에게 죽음을”이라고 외친다. 파르지팔이 성창으로 왕의 상처를 치유하고, 새로운 왕이 될 것을 선언하며 성배를 들어 올린다. 합창이 “구원자에게 구원을!”이라고 노래한다. 성배는 빛을 발하고, 흰 비둘기가 파르지팔의 머리 위에서 날갯짓한다. 쿤드리는 저주에서 해방되어 숨을 거둔다.

6. 1. 배경설명

이 오페라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이야기 속 배경을 알아야 한다.

성배예수와 12제자들이 최후의 만찬에서 사용한 잔이다. 예수는 이 잔에 포도주를 담아 제자들에게 권하며 '''"이것은 나의 몸이다. 또는 이것은 나의 피이다, 이것을 마실 때마다 나를 기억하라"'''고 말했고, 이 이야기는 중세의 성배 전설로 이어진다. 성창은 예수가 십자가에 매달려 사망한 후 로마 병사가 그의 죽음을 확인하기 위해 옆구리를 찔렀던 창이다. 이 병사의 이름을 따서 롱기누스의 창이라고도 부른다. 이 창은 켈트족 전설 속 항상 피가 묻어 있는 창 이야기와 맞물려 성배 못지않게 중세인들의 상상력을 자극했다.

신앙심 깊은 기사 티투렐은 성창과 성배를 구한 후, 스페인 북부 몬살바트 성에 보관하고 이를 수호하기 위한 성배 기사단을 조직한다. 티투렐은 나이가 들어 아들 암포르타스에게 성배 기사단장직을 물려준다.

한편, 티투렐 시절 클링조르라는 인물이 몬살바트 성에 찾아와 성배기사단이 되고 싶어했지만, 기사단은 그가 성유물을 차지하려는 흑심을 품고 있다고 생각해 받아주지 않았다. 클링조르는 앙심을 품고 흑마법사가 되었으며, 몬살바트 성 근처 숲에 정원을 꾸며 마법에 걸린 여인들을 불러 모았다. 이 여인들은 성배수호 기사단의 기사들을 유혹하여 타락시키면서 성배 수호 임무를 방해했다. 쿤드리도 이 저주에 걸린 여인 중 하나인데, 평소에는 순박하지만 클링조르의 마법이 작동되면 남자를 유혹하게 된다.

암포르타스는 클링조르를 처단하기 위해 성창을 들고 쳐들어갔지만, 오히려 클링조르에게 성창을 빼앗기고 찔려 큰 부상을 입는다. 암포르타스는 몬살바트 성으로 돌아와 치료를 위해 노력했지만, 상처는 낫지 않고 고통만 커졌다. 성배는 '순수한 바보가 나타나 당신을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게 해 줄테니 참고 기다려라'라는 메시지를 준다. 부상당한 암포르타스를 대신해 노장 기사 구르네만츠가 성배의 메시지를 찾아 나서는 상황에서 오페라가 시작된다.

6. 2. 1막

성배 기사단의 원로 구르네만츠는 시종들과 함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호수로 향하는 암포르타스 왕을 기다린다. 이때 쿤드리가 나타나 암포르타스 왕에게 바칠 약을 전한다.[1] 과거 암포르타스는 쿤드리에게 유혹당해 성창을 빼앗기고 상처를 입었는데,[1] 낫지 않는 상처에서 끊임없이 피가 흘러나와 죄책감과 함께 그를 괴롭히고 있었다. 구르네만츠는 마법사 클링조르의 악행과 왕을 구원할 신탁, 즉 “고통을 함께 나누고 지혜에 이르는, 더럽혀지지 않은 어리석은 자를 기다려라”는 내용에 대해 이야기한다.[1]

그때 호수의 백조를 쏘아 떨어뜨린 젊은이가 끌려오고, 구르네만츠는 이 젊은이가 신탁에 나오는 인물일지도 모른다고 기대하며 성으로 데려간다.[1] 성 안의 예배당에서는 성배 의식이 거행되지만, 상처 입은 암포르타스에게는 의식마저도 고통스러울 뿐이다.[1] 관능을 향한 동경, 죄에서 비롯된 고통, 그리고 죽음을 바라는 마음이 암포르타스를 짓누른다. 선왕 티투렐의 권유로 성배가 개봉되지만, 젊은이는 그저 멍하니 서 있을 뿐이다. 이에 구르네만츠는 실망하며 젊은이를 내쫓는다.[1]

6. 3. 2막

클링조르는 마법으로 깊이 잠든 쿤드리를 깨워 성배 기사들을 유혹하라고 명령한다. 쿤드리는 거부하려 하지만 클링조르의 마법에 걸려 벗어나지 못한다. 파르지팔이 클링조르의 성으로 들어오려 하자 클링조르의 부하들이 막아서지만, 파르지팔에게 패배한다. 클링조르는 쿤드리에게 파르지팔을 유혹하라고 명령하며, 만약 쿤드리의 유혹을 거부하는 자가 있다면 마법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한다.

파르지팔이 정원에 도착하자 클링조르의 처녀들이 몰려와 파르지팔이 자신들의 애인인 클링조르의 부하들에게 부상을 입힌 것을 원망한다. 파르지팔은 자신을 막아섰기 때문에 물리쳤을 뿐이라고 말하고, 처녀들은 파르지팔에게 자신들과 놀아달라고 요구하며 유혹한다. 처녀들이 파르지팔을 차지하기 위해 다투는 동안, 파르지팔은 부담을 느껴 자리를 피한다. 이때 쿤드리가 나타나 처녀들은 겁을 먹고 달아난다. 쿤드리는 아름다운 여인으로 변해 있어 파르지팔은 그녀를 알아보지 못한다. 쿤드리는 파르지팔에게 그의 이름을 알려주고, 파르지팔은 자신의 이름을 알게 된다. 쿤드리는 파르지팔에게 그의 부친과 모친에 대해 이야기하며, 그가 떠난 후 모친이 슬픔에 빠져 죽었다고 말하며 모친 대신 자신이 파르지팔에게 사랑을 베풀겠다며 유혹한다.

두 사람이 키스하지만, 파르지팔은 갑자기 가슴에 통증을 느끼고 쓰러진다. 이때 암포르타스가 성배 의식에서 괴로워하던 장면이 떠오른다. 파르지팔은 쿤드리의 유혹을 받는 순간 암포르타스가 느꼈던 고통을 느끼게 된 것이다. 놀란 쿤드리가 자신을 받아달라고 하지만, 파르지팔은 쿤드리가 자신을 유혹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그녀를 밀어낸다.

쿤드리는 암포르타스의 고통은 느끼면서 자신의 저주는 느끼지 못하냐며, 자신의 저주를 풀어달라고 애원하지만, 파르지팔은 이를 거부하며 암포르타스 왕에게 가겠다고 한다. 쿤드리는 파르지팔을 비웃으며, 자신이 암포르타스를 유혹해 클링조르에게 성창을 빼앗기고 부상을 입게 만들었다고 말하며, 파르지팔도 자신을 거부할 수 없을 것이라고 한다. 파르지팔이 쿤드리를 비난하자 클링조르가 성창을 들고 나타나 파르지팔을 죽이려 하지만, 성창이 빗나가고 파르지팔이 성창을 잡아 클링조르를 찌른다. 클링조르는 사라지고 클링조르의 성도 무너진다. 파르지팔은 쓰러진 쿤드리에게 '내가 어디로 가는지 너는 잘 알 것이다'라고 말하며 암포르타스 왕을 만나러 가겠다고 한다.

6. 4. 3막

몬살바트 성의 야영지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2막 이후 많은 시간이 흘렀고, 나이가 들어 기사단에서 은퇴한 구르네만츠는 숙소 앞에서 자신을 위해 일하겠다는 쿤드리를 만난다. 구르네만츠는 은퇴했기 때문에 하인이 필요 없다고 사양한다.

두 사람이 이야기를 나누던 중, 완전 무장을 한 흑기사가 말을 타고 나타난다. 구르네만츠는 성찬식이 있는 날 무기를 든 것은 불경한 행동이라 지적하고, 흑기사는 방패와 칼을 내려놓고 창을 꽂은 뒤 투구를 벗는다. 이 흑기사는 파르지팔이었다. 구르네만츠는 그가 꽂은 창이 성창임을 알아보고 놀란다. 파르지팔은 암포르타스의 고통을 깨닫고 고행을 거쳐 성창을 가지고 왔다고 말하며 지쳐 쓰러지고, 쿤드리가 그를 간호한다.

구르네만츠는 기적이 일어났다며 기뻐하고, 암포르타스는 고통받고 기사들은 신념을 잃었다고 한탄한다. 그는 파르지팔에게 암포르타스를 치료하고 기사들에게 희망을 줄 것이라 믿는다며 세례를 주고, 왕으로 모시겠다고 한다. 파르지팔은 쿤드리에게 세례를 주며 2막의 사건을 언급하고, 구르네만츠는 그것이 성금요일(성 요한의 축일)의 마법이라고 설명한다.

성배 예식을 치르는 전당에서 성배 의식이 시작된다. 성창을 보지 못하고 죽은 티투렐의 관과 부상당한 암포르타스의 가마가 들어온다. 암포르타스는 성배를 보고 싶지 않다며 죽여달라고 비명을 지른다. 그때 성창을 든 파르지팔이 나타나 암포르타스의 상처에 창끝을 대며 치료하고, 성배 수호 임무를 자신이 맡겠다고 선언한다. 암포르타스는 감격하며 이를 받아들인다. 파르지팔이 성배 앞에서 기도하자 하늘에서 합창 소리가 들리고, 파르지팔은 성창으로 기사들을 축복한다.

7. 유명한 음악

바그너의 오페라 파르지팔에서 유명한 음악으로는 '''서곡'''이 있다. 내림가장조 4/4박자인 서곡은 바그너가 루트비히 2세에게 쓴 주석에 "사랑-신앙-희망?"이라고 적혀 있듯, 극적이 아닌 근원적으로 연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곡에서는 "애찬의 동기", 드레스덴 아멘을 차용한 "성배의 동기", "신앙의 동기"를 다룬다. 특히 "애찬의 동기"는 바이로이트 축제극장 상연을 고려하여 여러 악기를 겹쳐 각 악기 고유의 울림을 흐릿하게 처리했다. 로엔그린 전주곡이 이장조인 반면, 파르지팔 서곡은 그보다 반음 낮은 변이장조로 쓰여 부드럽고 웅크린 듯한 분위기를 낸다. 곡은 점점 무겁게 드러나다 "성배의 동기"가 희망을 반영하듯 반복되고, 목관악기의 종결음으로 끝난다.[1]

7. 1. 서곡

내림가장조 4/4박자.

바그너는 서곡을 극적이 아닌 근원적으로 연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가 루트비히 2세에게 쓴 주석에는 "사랑-신앙-희망?"이라고 적혀 있다. 서곡에서는 "애찬의 동기"(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 바순, 약음기가 있는 바이올린, 첼로), "성배의 동기"(드레스덴 아멘 차용), "신앙의 동기"(호른, 트럼펫)를 다룬다. 특히 "애찬의 동기"는 다양한 악기를 겹쳐 각 악기 고유의 울림을 흐릿하게 처리했는데, 이는 바이로이트 축제극장 상연을 의식한 음색이다. 로엔그린 전주곡이 이장조인 반면, 파르지팔 서곡은 그보다 반음 낮은 변이장조로 쓰여 부드럽고 웅크린 듯한 분위기를 낸다. 곡은 점점 무겁게 드러나다 "성배의 동기"가 희망을 반영하듯 반복되고, 목관악기의 종결음으로 끝난다.

8. 공연 역사

『파르지팔』은 바그너가 바이로이트 축제극장에서의 상연을 전제로 쓴 유일한 작품이다. 바그너 사후, 그의 미망인 코지마는 『파르지팔』을 바이로이트 독점 상연작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여, 1886년 베른 조약에 의해 1913년까지 바이로이트에서의 독점 상연이 인정되었다.

바그너 사후 30년 뒤인 1913년 12월 31일 자정부터 다음 날에 걸쳐 저작권이 만료되면서, 베를린, 부다페스트, 바르셀로나의 각 가극장에서 『파르지팔』이 상연되었다. 부다페스트 초연 지휘자는 프리츠 라이너였다. 그러나 조약 비준이 늦었던 미국네덜란드에서는 이보다 앞서 1903년 뉴욕, 1905년 암스테르담에서 각각 초연되었다.

"바그너가 전막 후에 박수를 금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초연 당시 바그너는 "분위기를 해치지 않도록 중간에 박수치지 말아 달라"고 요청했으나[16], 관객들이 막이 내린 후에도 박수치지 않자 바그너는 당황하여 "오해였고, 각 막 후에 박수쳐도 좋다"고 말했다.[17] 이 때문에 현재에도 제1막 후에 침묵을 지키는 관습이 남아 있지만, 최근에는 빈이나 바이로이트에서도 통상적인 박수가 나오는 것도 보통이다(단, 커튼콜은 행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8. 1. 초연

1880년 11월 12일, 바그너는 그의 후원자인 루트비히 2세를 위해 뮌헨의 궁정극장에서 전주곡을 비공개로 연주했다.[11] 1882년 7월 26일, 헤르만 레비의 지휘 아래 바이로이트 페스트슈필하우스에서 전곡 초연이 이루어졌다. 무대 디자인은 막스 브뤼크너와 파울 폰 유코프스키가 맡았으며, 바그너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성배의 홀은 바그너가 1880년에 방문했던 시에나 대성당 내부를, 클링조어의 마법 정원은 라벨로에 있는 팔라초 루폴로의 정원을 모델로 했다.[12] 1882년 7월과 8월, 레비와 프란츠 피셔의 지휘 아래 바이로이트에서 16회 공연되었으며, 오케스트라 단원 107명, 합창단원 135명, 독창자 23명이 참여했다(주요 배역은 더블 캐스팅).[13] 마지막 공연에서 바그너는 레비에게서 지휘봉을 이어받아 3막의 마지막 장면을 오케스트라 간주곡부터 끝까지 지휘했다.[14]

논란이 된 1903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공연의 무대 디자인: 구르네만츠가 파르지팔을 몬살바트로 인도함 (1막)


첫 공연에서 1막 1장면에서 2장면으로 넘어갈 때 이동식 무대 장치 문제로 바그너의 오케스트라 간주곡이 파르지팔과 구르네만츠가 성배의 홀에 도착하기 전에 끝났다. 엥겔베르트 훔페르딩크는 간격을 메우기 위해 몇 마디 음악을 추가했다.[15] 이후 몇 년 동안 이 문제는 해결되었고 훔페르딩크의 추가 부분은 사용되지 않았다.

초창기 20년 동안, ''파르지팔''은 바이로이트 페스트슈필하우스에서만 상연되었다(1884년과 1885년 뮌헨에서 루트비히 2세를 위한 8회 비공개 공연 제외). 바그너는 ''파르지팔''이 단순한 '오락'으로 전락하는 것을 막고, 바이로이트가 공연 독점권을 가져 사후 가족에게 수입을 제공하려 했다.

바그너 사후, 바이로이트 당국은 여러 국가에서 비상연 공연을 허용했지만(1884년 런던, 1886년 뉴욕, 1894년 암스테르담), 바이로이트 외부 상연은 금지했다. 1903년 12월 24일,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는 바이로이트 출신 가수들을 기용하여 전곡을 상연했다. 코지마는 뉴욕 공연 참여자 모두 향후 바이로이트 공연에서 일하는 것을 금지했다. 1905년, 1906년, 1908년 암스테르담에서도 무단 상연이 있었다.

1914년 1월 1일, 테아트로 코무날레 디 볼로냐 공연으로 바이로이트의 ''파르지팔'' 독점권은 해제되었다. 최초의 허가된 공연은 그란 테아트레 델 리세우에서 상연되었는데, 표준시로 바이로이트보다 한 시간 늦게 시작되었다. 1월 1일부터 8월 1일까지 50개 이상 유럽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될 정도로 수요가 많았다.

『파르지팔』은 바그너가 바이로이트 축제극장에서의 상연을 전제로 쓴 유일한 작품이다. 바그너 사후, 미망인 코지마는 『파르지팔』을 바이로이트 독점으로 하기 위해 노력하여, 1886년 베른 조약에 의해 1913년까지 바이로이트 독점 상연이 인정되었다. 1913년 12월 31일 자정부터 다음 날에 걸쳐, 베를린, 부다페스트, 바르셀로나 가극장에서 『파르지팔』이 상연되었다. 부다페스트 초연 지휘자는 프리츠 라이너이다. 조약 비준이 늦었던 미국네덜란드에서는 1903년 뉴욕, 1905년 암스테르담에서 각각 초연되었다.

“바그너가 전막 후에 박수를 금했다”는 사실은 없다. 초연 당시 바그너는 “분위기를 해치지 않도록 중간에 박수치지 말아 달라”고 요청했고[16], 관객이 막이 내린 후에도 박수치지 않아 바그너는 당황하여 “오해였고, 각 막 후에 박수쳐도 좋다”고 말했다[17]. 이 때문에 현재도 제1막 후에 침묵하는 관습이 있지만, 최근에는 이나 바이로이트에서도 통상적인 박수가 나오는 것도 보통이다(단, 커튼콜은 안 하는 경우가 많다).

8. 2. 바이로이트 외부 공연 금지

초창기 20년 동안, 《파르지팔》의 상연은 바이로이트 페스트슈필하우스에서만 이루어졌다(1884년과 1885년 루트비히 2세를 위한 뮌헨에서의 8회 비공개 공연 제외). 바그너가 《파르지팔》을 바이로이트 무대에만 한정하려 했던 이유는 두 가지였다. 첫째, 그는 오페라가 단순한 '오락'으로 전락하는 것을 막고 싶어했다. 그의 마지막 작품은 바이로이트에서만 그가 구상한 방식으로 공연될 수 있었고, 이러한 전통은 그의 아내 코지마에 의해 사후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둘째, 그는 바이로이트가 공연 독점권을 가지면 오페라가 사후 그의 가족에게 수입을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바그너 사후, 바이로이트 당국은 여러 국가에서 비상연 공연을 허용했지만(1884년 런던, 1886년 뉴욕, 1894년 암스테르담), 바이로이트 외부에서의 상연은 금지되었다. 1903년 12월 24일, 미국에서의 공연을 바이로이트가 막을 수 없다는 법원 판결을 받은 후,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는 많은 바이로이트 출신 가수들을 기용하여 완전한 오페라를 상연했다. 코지마는 뉴욕 공연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향후 바이로이트 공연에서 일하는 것을 금지했다. 1905년, 1906년, 1908년 암스테르담에서도 무단 상연이 이루어졌다.

1914년 1월 1일 볼로냐에서의 공연으로 바이로이트는 《파르지팔》에 대한 독점권을 해제했다. 일부 오페라 하우스는 1913년 12월 31일과 1월 1일 자정 사이에 공연을 시작했다.[11] 최초의 허가된 공연은 바르셀로나에서 상연되었는데, 바르셀로나 시간으로 오후 10시 30분에 시작되었고, 이는 표준시로 바이로이트보다 한 시간 늦었다. 《파르지팔》에 대한 수요가 워낙 많아 1월 1일부터 8월 1일까지 50개 이상의 유럽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되었다.[11]

《파르지팔》은 바그너가 바이로이트 축제극장에서의 상연을 전제로 쓴 유일한 작품이다. 바그너 사후, 그의 유지를 계승한 미망인 코지마는 《파르지팔》을 바이로이트의 독점으로 하기 위해 노력하여, 1886년 베른 조약에 의해 1913년까지 바이로이트에서의 독점 상연이 인정되었다. 바그너 사후 30년이 지나 저작권이 만료되는 1913년 12월 31일 자정부터 다음 날에 걸쳐, 베를린, 부다페스트, 바르셀로나의 각 가극장에서 《파르지팔》이 상연되었다. 부다페스트 초연의 지휘자는 프리츠 라이너이다. 그러나 조약 비준이 늦었던 미국네덜란드에서는 이보다 앞서 1903년 뉴욕, 1905년 암스테르담에서 각각 초연되었다.

8. 3. 박수 논란

바그너는 《파르지팔》 초연 당시 공연 중간에 박수를 치지 말아 달라고 요청했다.[58] 그러나 이는 관객들의 오해를 불러일으켜, 막이 내린 후에도 박수를 치지 않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에 바그너는 각 막이 끝난 후에는 박수를 쳐도 좋다고 설명했다.[59] 이러한 오해는 현재까지도 이어져, 1막 후에는 침묵을 지키는 관습이 남아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빈이나 바이로이트 등에서도 1막 후에 박수를 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커튼콜은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8. 4. 전후 공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빌란트 바그너는 파격적인 연출을 선보였다. 기존의 화려한 무대 장치를 배제하고 조명과 추상적인 무대 디자인을 활용하여 작품의 심리적, 철학적 측면을 강조했다. 이러한 현대적인 해석은 당시 보수적인 바이로이트 관객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찬반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빌란트의 혁신적인 연출은 이후 파르지팔 공연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오페라 연출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9. 역할

(지휘: 헤르만 레비(Hermann Levi))[17]1903년 12월 24일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초연
(지휘: 알프레드 헤르츠(Alfred Hertz))[18]파르지팔테너헤르만 빙켈만(Hermann Winkelmann)알로이스 부르그슈탈러(Alois Burgstaller)쿤드리 (Kundry)높은 음역의 드라마틱 소프라노
또는 드라마틱 메조소프라노아말리 마테르나(Amalie Materna)밀카 테르니나(Milka Ternina)구르네만츠 (Gurnemanz)베이스에밀 스카리아(Emil Scaria)로베르트 블라스 (Robert Blass)암포르타스 (Amfortas)바리톤테오도어 라이히만(Theodor Reichmann)안톤 판 루이(Anton van Rooy)클링조어 (Klingsor)베이스-바리톤칼 힐(Karl Hill)오토 고리츠 (Otto Goritz)티투렐 (Titurel)베이스아우구스트 킨더만(August Kindermann)마르셀 주르네(Marcel Journet)성배 기사 1테너안톤 폭스 (Anton Fuchs)율리우스 바이어 (Julius Bayer)성배 기사 2베이스외겐 슈툼프 (Eugen Stumpf)아돌프 뮐만 (Adolph Mühlmann)시종 1소프라노헤르미네 갈피(Hermine Galfy)캐서린 모란 (Katherine Moran)시종 2알토마틸데 카일 (Mathilde Keil)파울라 브랜들 (Paula Braendle)시종 3테너막스 미코레이(Max Mikorey)알베르트 라이스(Albert Reiss)시종 4테너아돌프 폰 휘베네트(Adolf von Hübbenet)윌리 하르덴 (Willy Harden)꽃의 요정 1소프라노폴린 호르손(Pauline Horson)이자벨 부통 (Isabelle Bouton)꽃의 요정 2소프라노요하나 메타 (Johanna Meta)에르네스타 델사르타 (Ernesta Delsarta)꽃의 요정 3소프라노캐리 프링글(Carrie Pringle)미스 퍼르젠 (Miss Förnsen)꽃의 요정 4알토요하나 안드레(Johanna André)엘사 해리스 (Elsa Harris)꽃의 요정 5알토헤르미네 갈피(Hermine Galfy)릴리안 하이델바흐 (Lillian Heidelbach)꽃의 요정 6알토루이제 벨체 (Luise Belce)마르시아 반 드레서 (Marcia Van Dresser)위에서 들리는 목소리알토소피 도피에르 (Sophie Dompierre)루이즈 호머(Louise Homer)

10. 해석 및 영향

『파르지팔』은 초연 당시부터 다양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일부 비평가들은 바그너의 능력이 쇠퇴했다고 평가절하한 반면, 많은 사람들은 이 작품을 그의 최고 업적 중 하나로 칭송했다.

에두아르트 한슬릭은 3막이 통일성과 분위기를 갖췄지만 음악적으로 풍부하지 않다고 지적하며, 바그너의 창작 능력이 예전 같지 않다고 평했다.[19] 반면 지휘자 펠릭스 바인가르트너는 꽃의 요정들의 의상은 아쉬웠지만 노래는 훌륭했으며, 1882년 공연이 최고의 예술적 사건이었다고 극찬했다.[19]

휴고 볼프, 구스타프 말러, 막스 레거, 알반 베르크, 장 시벨리우스 등 많은 동시대 작곡가들이 바인가르트너와 같은 의견을 표명하며 『파르지팔』에 감탄했다.[19] 클로드 드뷔시는 등장인물과 줄거리를 우스꽝스럽게 여겼지만, 음악적으로는 "비교할 수 없고 당황스럽고, 훌륭하고 강하다"라고 평가하며 음악적 기념비라고 칭송했다.[19]

그러나 마크 트웨인은 성악 부분에서 멜로디를 찾을 수 없다고 비판했고, 조지 버나드 쇼는 1894년 공연에서 가수들의 실력이 혐오스러웠다고 평했다.[19]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는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의 초청으로 작품을 관람했지만, "준 종교적인 분위기"에 혐오감을 느꼈다고 전해진다.[20]

성배 전설을 바탕으로 한 『파르지팔』은 기독교적 요소 외에도 독자적인 종교적 색채를 띤다. 성배 기사단, 쿤드리, 클링조르, 성배와 성창 등 각 모티프는 다의적인 상징성을 지니며, 특히 마지막 구절인 "구원자에게 구원을!"은 다양한 해석을 낳았다.[19]

바그너는 기독교의 기원이 인도에 있으며, 유대교가 "접붙임"하여 왜곡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할무트 체린스키는 "구원자"를 그리스도(교)로, 구원을 기독교에 첨가된 불순한 유대적 요소를 제거하는 것으로 해석했다.[19]

10. 1. 쇼펜하우어의 영향

1882년 ''파르지팔'' 초연 포스터


바그너는 1854년 독일 철학자 아르투르 쇼펜하우어의 저서를 읽고 큰 감명을 받았는데, 이는 그의 음악과 예술에 대한 생각과 실천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대부분의 저술가들은 《파르지팔》을 쇼펜하우어 철학에 대한 바그너의 마지막 주요 지지 작품으로 본다.[1] 파르지팔이 암포르타스를 치유하고 쿤드리의 속죄를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은 그가 연민을 보여주기 때문인데, 쇼펜하우어는 이를 인간 도덕성의 최고 표현으로 보았다.

파르지팔은 성적 유혹(2막 2장)에 직면해서도 연민을 보여준다. 쇼펜하우어 철학은 인간 삶의 끊임없는 유혹으로부터 벗어나는 유일한 방법은 의지의 부정을 통해서이며, 특히 성적 유혹을 극복하는 것은 의지 부정의 강력한 형태라고 제시한다. 쇼펜하우어는 또한 연민은 비인간적 감각 존재에도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기독교 성인과 신비주의자들의 삶과 힌두교불교와 같은 인도 종교들을 그 근거로 제시한다.

이러한 세계관은 《파르지팔》에서 성배 왕국 내 동물들의 신성한 지위, 파르지팔이 백조를 "살해"(1막 1장)한 것에 대한 충격적인 반응(이것이 젊은 파르지팔에게 최초로 연민의 싹을 틔우게 한다), 그리고 자연과 인간의 자연에 대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성금요일 주문"(3막 1장)에 대한 구르네만츠의 "설교"에서 표현된다. 바그너 자신도 나이가 들면서 채식주의자가 되고 생체 해부에 반대하는 사람이 되었으며, 1879년 라이히슈타크에 반 생체 해부 청원에 참여했고, 초기 환경주의적 감정이라고 할 만한 것을 표명하기도 했다.[1]

연민의 정반대이며 따라서 궁극적인 도덕적 악으로서 쇼펜하우어는 다른 생명체의 고통을 즐기는 행위인 "샤덴프로이데"(Schadenfreude)를 본다. 쿤드리가 구세주의 고통을 조롱하며 악의적으로 웃는 것(2막 2장)이 바로 이러한 죄이며, 그 결과 클링조어의 저주를 받게 되는데(2막 2장), 이 저주는 "성금요일 주문"(3막 1장) 동안 그녀가 다시 울고 연민을 표현할 수 있게 되는 순간에야 깨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미트라이드"(Mitleid, 연민)를 강조하는 《파르지팔》은 쇼펜하우어의 영향이 더욱 분명하게 나타나고 "제넨"(Sehnen, 동경)에 초점을 맞춘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자연스러운 연속편이다. 실제로 바그너는 원래 《트리스탄》 3막에 파르지팔을 등장인물로 포함시키는 것을 고려했지만, 나중에 그 생각을 버렸다.[22]

10. 2. 니체의 비판

프리드리히 니체는 원래 리하르트 바그너와 아르투르 쇼펜하우어를 옹호했지만, 후에 ''파르지팔''을 바그너와 결별하는 근거로 삼았다. 니체는 이 작품을 “무(無)에의 의지”에 의해 동기 부여된 자기 부정적이고, 삶을 부정하며, 초월적인 기독교적 노예 도덕의 전형으로 보았다. 이는 기독교 이전 지배 계급의 자기 확신적이고 현세적인 주인 도덕과 “권력 의지”에 의해 동기 부여된 강자들과는 대조적이다.[23] ''도덕의 계보''의 세 번째 에세이("금욕적 이상의 의미는 무엇인가?")는 ''파르지팔''에 대한 광범위한 비판으로 시작한다. ''니체 대 바그너''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23]

이러한 주제에 대한 공격에도 불구하고, 그는 음악이 숭고하다고 인정했다. "게다가, (이 음악의 용도가 무엇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모든 무관한 질문을 제외하고, 순전히 미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바그너가 이보다 더 나은 것을 한 적이 있을까?" (페터 가스트에게 보낸 편지, 1887).[24]

10. 3. 인종차별 논쟁

일부 평론가들은 바그너의 오페라에서 인종차별주의 또는 반유대주의를 조장하는 측면을 발견한다고 주장한다.[25][26] 그 중 하나는 ''파르지팔''이 프랑스 외교관이자 인종 이론가인 아르튀르 드 고비노 백작의 사상을 지지하는 작품이라는 것이다. 고비노의 사상은 그의 저서 ''인종 불평등론''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이 주장에 따르면 파르지팔은 "순수 혈통"(즉, 아리아인)의 영웅으로 묘사되며, 유대인의 고정관념으로 여겨지는 클링조르를 극복한다. 특히 클링조르는 성배 기사단과 대립하기 때문에 이러한 해석이 나온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는데, 대본에는 이를 뒷받침할 명시적인 내용이 없기 때문이다.[10] 바그너는 자신의 저술에서 이러한 생각을 언급한 적이 없으며, 코지마 바그너의 일기에는 바그너의 삶의 마지막 14년 동안의 생각(여기에는 ''파르지팔''의 작곡과 초연 기간이 포함됨)이 매우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지만, 그러한 의도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27]

바그너는 1876년에 고비노를 짧게 만난 적이 있지만, 고비노의 논문을 읽은 것은 1880년이었다. 그러나 ''파르지팔''의 대본은 이미 1877년에 완성되었고, 원래 이야기 초고는 185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연대기적 문제 외에도, 바그너와 고비노의 만남은 상호 불일치와 다툼을 동반했다. 예를 들어, 1881년 6월 3일 바그너는 "인종 이론과 대조적으로 기독교 이론을 옹호하며 폭발했다"고 전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비노는 때때로 ''파르지팔''의 영감으로 언급된다.[28][29]

오페라에 특정한 반유대주의 메시지가 담겨 있는지에 대한 질문 또한 논쟁의 대상이다. 한스 폰 볼초겐과 어니스트 뉴먼 등 ''파르지팔''을 자세히 분석한 바그너의 동시대인 및 평론가들 중에는 반유대주의적 해석을 언급한 사람이 없다.[30][31] 그러나 초연에 참석했던 비평가 파울 린다우와 막스 노르드벡은 자신의 비평에서 이 작품이 바그너의 반유대주의적 감정과 일치한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해석상의 갈등은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으며, 최근의 일부 평론가들은 오페라의 반유대주의적 또는 반유대교적 성격을 강조하고,[32] 당시 바그너의 저술과 기사에서 발견되는 반유대주의적 구절과의 상응 관계를 찾는다. 반면, 다른 평론가들은 그러한 주장을 부인한다. 예를 들어, 성배의 영역과 클링조르의 영역 사이의 대립을 바그너의 쇼펜하우어적 기독교 세계관을 구현하는 영역과 일반적인 이교도 영역 사이의 갈등으로 보는 것이다.

1933년 11월 발행된 독일 우표. 성배를 든 파르지팔이 그려져 있다.


초연 지휘자는 바이에른 국립 오페라(뮌헨 오페라)의 궁정 지휘자였던 헤르만 레비였다. 루트비히 2세 국왕이 공연을 후원했기 때문에 오케스트라의 상당수는 지휘자를 포함하여 뮌헨 오페라 단원들로 구성되었다. 바그너는 ''파르지팔''을 유대인(레비의 아버지는 랍비였다)이 지휘하는 것에 반대했다. 바그너는 처음에 레비에게 기독교로 개종할 것을 제안했지만, 레비는 거절했다. 그러자 바그너는 루트비히 국왕에게 "가장 기독교적인 이 작품"을 유대인이 지휘한다는 불만이 있다는 이유로 레비를 받아들이기로 결정했다는 편지를 썼다. 국왕이 "인간은 기본적으로 모두 형제"라고 답장하며 만족감을 표현하자, 바그너는 국왕에게 "유대인 종족을 순수한 인류와 그 모든 고귀함의 타고난 적이라고 생각한다"는 내용의 격노한 편지를 썼다. 71년 후, 유대인 베이스 바리톤 가수 조지 런던이 ''노이 바이로이트''에서 암포르타스 역을 맡아 논란을 일으켰다.[33]

''파르지팔''이 나치 독일에서 "이념적으로 용납할 수 없다"고 비난받았고,[34][35] 나치가 사실상 ''파르지팔''을 금지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많은 학자들이 이 작품의 대본에서 연민, 쇼펜하우어의 의지 부정, 욕망의 포기, 금욕주의, 심지어 비폭력과 반군국주의와 같은 주제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일부 나치 관리들과 지도자들은 이 작품에 대해 의구심을 가졌을 수도 있다. 나치 이데올로그 알프레트 로젠베르크는 1930년 저서 ''20세기의 신화''에서 "''파르지팔''은 포기의 가치를 옹호하는 교회의 영향을 받은 약화를 나타낸다"고 했다. 요제프 괴벨스의 일기에 따르면, 아돌프 히틀러 또한 ''파르지팔'', 특히 그가 "기독교 신비주의 양식"이라고 부른 것에 대해 어느 정도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34년부터 1939년까지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서 실제로 26회의 공연이 있었고,[36] 1939년부터 1942년까지 베를린 도이체 오페라에서 23회의 공연이 있었다. 그러나 ''파르지팔''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바이로이트에서 공연되지 않았는데,[35] 이는 1882년 이후 한 해를 제외하고 매년 페스티벌의 고정 프로그램이었던 작품을 고려할 때 중요한 누락이다.

11. 음악

바그너의 오페라 《파르지팔》은 각 막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음악으로 작곡되어 독립적인 아리아는 없지만, 바그너 자신이 직접 여러 관현악곡들을 편곡하여 콘서트 레퍼토리로 자주 연주된다. 1막 전주곡은 3막 1장 후반부의 "성금요일 음악"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연주되기도 한다. 2막에 나오는 쿤드리의 긴 독창곡(Ich sah das Kind|나는 그 아이를 보았다de)과 1막에 나오는 암포르타스의 고뇌를 표현한 비탄곡(Wehvolles Erbe|괴로움으로 가득 찬 유산de)도 주요 발췌곡으로 꼽힌다.

많은 음악 이론가들은 바그너의 《파르지팔》을 사용하여 19세기 후반 음악의 색채음악 분석의 어려움을 탐구해 왔다. 데이비드 레윈(David Lewin)과 리처드 콘(Richard Cohn)과 같은 이론가들은 작품의 구조와 상징에 있어 특정 음높이와 화성 진행의 중요성을 탐구했다.[41] 작품의 구조를 이루는 주제 동기의 특이한 화성 진행과 2막의 짙은 색채음악은 음악적으로 분석하기 어려운 작품으로 만든다.

1912년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쿤드리 역으로 데뷔한 마가렛 마체나우어


《파르지팔》의 악기 편성은 다음과 같다.

악기군편성
목관 악기플루트 3, 오보에 3 (3번은 잉글리시 호른 겸함), 클라리넷 3 (3번은 바스크라리넷 겸함), 바순 3 (3번은 콘트라파곳 겸함)
금관 악기호른 4, 트럼펫 3, 트롬본 3, 튜바, 무대 뒤 트럼펫 6, 무대 뒤 트롬본 6
타악기팀파니 2, 작은북, 선더시트, 교회종 6, 튜블러벨 2 (하나는 일반, 하나는 3m)
현악기하프 2, 현악 5부



<니벨룽겐의 반지> 이래의 4관 편성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니벨룽의 반지 다음으로 팀파니 2대가 편성되어 있다. 콘트라바순을 사용한 바그너의 단 두 작품 중 하나이다(다른 하나는 C장조 교향곡이다).

1막과 3막에서 몬살바트의 성배 의식에 기사들을 불러 모으는 종은 무대에 올리는 데 종종 문제가 되었다. 바이로이트에서 파르지팔의 초기 공연을 위해 바그너는 교회 종을 대신하여 현 네 개를 갖춘 피아노 프레임인 파르지팔 종을 제작했다. 초연 당시에는 종과 함께 탐탐이 함께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 종은 투바, 네 개의 종소리 음높이에 맞춘 탐탐 4개, 그리고 드럼스틱을 이용해 롤을 연주하는 또 다른 탐탐과 함께 사용되었다. 현대 공연에서는 파르지팔 종이 원하는 음을 내기 위해 튜블러벨이나 신시사이저로 대체되었다. 천둥 효과기는 클링조어의 성이 파괴되는 순간에 사용된다.

《파르지팔》은 바이로이트 무대를 위해 특별히 작곡되었으며, 이 오페라의 가장 유명한 음반들은 바로 그 무대에서 이루어진 실황 공연에서 나온 것들이 많다. LP 시대 이전에는 칼 무크가 바이로이트에서 오페라의 일부를 지휘했다. 이것들은 여전히 음반에 담긴 오페라의 최고 연주 중 일부로 여겨진다. 또한 이 음반에는 1차 세계 대전 중에 고철로 녹여버린, 이 작품 초연을 위해 제작된 종소리의 유일한 음향 증거가 담겨 있다.

전후 바이로이트에서 《파르지팔》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지휘자는 한스 크나페르츠부시였으며, 그의 지휘 아래 1951년 공연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의 재개를 알리는 것이었다. 이 역사적인 공연은 녹음되어 텔덱(Teldec) 레이블에서 모노 사운드로 출시되었다. 크나페르츠부시는 1962년 필립스(Philips)에서 이 오페라를 다시 스테레오로 녹음했는데, 이 음반은 종종 고전적인 《파르지팔》 음반으로 여겨진다.[42] 피에르 불레즈(1971년)와 제임스 레바인(1985년) 또한 바이로이트에서 오페라를 녹음했다.

그 외에도 게오르크 솔티, 제임스 레바인(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오케스트라와 함께),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다니엘 바렌보임(후자 두 사람 모두 베를린 필하모닉을 지휘)이 지휘한 녹음은 널리 찬사를 받았다.[43] 라파엘 쿠벨릭이 지휘하고 도이치 그라모폰(Deutsche Grammophon)을 위해 원래 제작되어 현재 Arts & Archives에서 재발매된 《파르지팔》 녹음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다니엘 만그라네는 1951년에, 한스-위르겐 지버베르크는 1982년에 《파르지팔》을 영화로 각색하였다.[45]

11. 1. 라이트모티프

라이트모티프(Leitmotif)는 특정 인물, 사물, 사건 또는 감정과 연관되어 오페라에서 반복되는 음악적 주제이다. 바그너는 라이트모티프와 가장 많이 연관된 작곡가이며, 그의 작품 《파르지팔》에서는 라이트모티프를 자유롭게 사용한다.[37] 바그너는 《파르지팔》의 악보에서 라이트모티프를 특별히 식별하거나 명명하지 않았지만, 그의 아내 코지마는 일기에서 그가 언급한 일부 라이트모티프에 대한 내용을 적어놓았다. 그러나 바그너의 추종자들(특히 한스 폰 볼초겐)은 이러한 모티프에 이름을 붙이고, 서술하고, 언급했으며, 악보의 피아노 편곡에서 이러한 모티프들이 강조되었다.[38][39] 바그너는 이러한 모티프 명명에 대해 혐오감을 표했다.[40]

서곡에서는 '성체(Communion)' 주제와 '성배' 주제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두 개의 중요한 라이트모티프가 소개된다. 이 두 가지와 파르지팔 자신의 모티프는 오페라 전반에 걸쳐 반복된다. 특히 클링조어, 암포르타스와 같은 다른 인물들은 각자 고유한 라이트모티프를 가지고 있다. 바그너는 성배를 나타내기 위해 드레스덴 아멘을 사용하는데, 이 모티프는 그가 드레스덴에서 어린 시절부터 알고 있던 음표들의 연속이다. 전주곡에서는 주로 “성찬의 동기”, “성배의 동기”(드레스덴 아멘 차용), “신앙의 동기”가 다루어진다.

11. 2. 반음계주의

많은 음악 이론가들은 바그너의 《파르지팔》을 사용하여 19세기 후반 음악의 색채음악 분석의 어려움을 탐구해 왔다. 데이비드 레윈(David Lewin)과 리처드 콘(Richard Cohn)과 같은 이론가들은 작품의 구조와 상징에 있어 특정 음높이와 화성 진행의 중요성을 탐구해 왔다.[41] 작품의 구조를 이루는 주제 동기의 특이한 화성 진행과 2막의 짙은 색채음악은 음악적으로 분석하기 어려운 작품으로 만든다.

11. 3. 주요 발췌곡

바그너의 오페라 《파르지팔》은 각 막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음악으로 작곡되어 독립적인 아리아는 없지만, 바그너 자신이 직접 여러 관현악곡들을 편곡하여 콘서트 레퍼토리로 자주 연주된다.

11. 4. 악기 편성

플루트 3, 오보에 3 (3번은 잉글리시 호른 겸함), 클라리넷 3 (3번은 바스크라리넷 겸함), 바순 3 (3번은 콘트라파곳 겸함), 호른 4, 트럼펫 3,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2, 작은북, 선더시트, 교회종 6, 튜블러벨 2 (하나는 일반, 하나는 3m), 하프 2, 현악 5부

무대 뒤, 별도: 트럼펫 6, 트롬본 6

<니벨룽겐의 반지> 이래의 4관 편성의 흔적이 남아 있다. 이 곡은 니벨룽의 반지 다음으로 팀파니 2대가 편성되어 있다. 파르지팔의 악보는 플루트 3개, 오보에 3개, 잉글리시 호른 1개, B♭과 A 클라리넷 3개, B♭과 A 베이스 클라리넷 1개, 바순 3개, 콘트라바순 1개, F 호른 4개, F 트럼펫 3개, 트롬본 3개, 투바 1개, 무대 위 F 트럼펫 6개, 무대 위 트롬본 6개를 요구한다. 타악기 파트는 팀파니 4개(연주자 2명 필요), 테너 드럼, 무대 위 교회 종 4개, 무대 위 천둥 효과기 1개를 포함한다. 하프 2개와 현악기 파트도 포함된다. 파르지팔은 바그너가 콘트라바순을 사용한 단 두 작품 중 하나이다(다른 하나는 C장조 교향곡이다).

1막과 3막에서 몬살바트의 성배 의식에 기사들을 불러 모으는 종은 무대에 올리는 데 종종 문제가 되었다. 바이로이트에서 파르지팔의 초기 공연을 위해 바그너는 교회 종을 대신하여 현 네 개를 갖춘 피아노 프레임인 파르지팔 종을 제작했다. 초연 당시에는 종과 함께 탐탐과 징이 함께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 종은 투바, 네 개의 종소리 음높이에 맞춘 탐탐 4개, 그리고 드럼스틱을 이용해 롤을 연주하는 또 다른 탐탐과 함께 사용되었다. 현대 공연에서는 파르지팔 종이 원하는 음을 내기 위해 튜불라벨이나 신시사이저로 대체되었다. 천둥 효과기는 끌링조르의 성이 파괴되는 순간에 사용된다.

11. 5. 음반

《파르지팔》은 바이로이트 무대를 위해 특별히 작곡되었으며, 이 오페라의 가장 유명한 음반들은 바로 그 무대에서 이루어진 실황 공연에서 나온 것들이 많다. LP 시대 이전에는 칼 무크가 바이로이트에서 오페라의 일부를 지휘했다. 이것들은 여전히 음반에 담긴 오페라의 최고 연주 중 일부로 여겨진다. 또한 이 음반에는 1차 세계 대전 중에 고철로 녹여버린, 이 작품 초연을 위해 제작된 종소리의 유일한 음향 증거가 담겨 있다.

전후 바이로이트에서 《파르지팔》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지휘자는 한스 크나페르츠부시였으며, 그의 지휘 아래 1951년 공연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의 재개를 알리는 것이었다. 이 역사적인 공연은 녹음되어 텔덱(Teldec) 레이블에서 모노 사운드로 출시되었다. 크나페르츠부시는 1962년 필립스(Philips)에서 이 오페라를 다시 스테레오로 녹음했는데, 이 음반은 종종 고전적인 《파르지팔》 음반으로 여겨진다.[42] 바이로이트에서 크나페르츠부시가 지휘한 거의 모든 《파르지팔》 출연진을 담은 많은 "비공식적인" 실황 녹음도 있다. 피에르 불레즈(1971년)와 제임스 레바인(1985년) 또한 바이로이트에서 오페라를 녹음하여 도이치 그라모폰(Deutsche Grammophon)과 필립스(Philips)에서 발매했다. 불레즈의 녹음은 기록상 가장 빠른 것 중 하나이며, 레바인의 것은 가장 느린 것 중 하나이다.

그 외의 녹음 중에서 게오르크 솔티, 제임스 레바인(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오케스트라와 함께),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다니엘 바렌보임(후자 두 사람 모두 베를린 필하모닉을 지휘)이 지휘한 녹음은 널리 찬사를 받았다.[43] 카라얀의 녹음은 1981년 그라모폰 어워드에서 "올해의 레코드"로 선정되었다. 라파엘 쿠벨릭이 지휘하고 도이치 그라모폰(Deutsche Grammophon)을 위해 원래 제작되어 현재 Arts & Archives에서 재발매된 《파르지팔》 녹음도 높이 평가받고 있다.

2013년 12월 14일 BBC 라디오 3의 CD 리뷰 – 도서관 만들기 방송에서 음악 평론가 데이비드 나이스는 《파르지팔》 녹음을 조사하여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지휘: 라파엘 쿠벨릭)의 녹음을 최고의 선택으로 추천했다.[44]

11. 6. 영화화

다니엘 만그라네는 1951년에, 한스-위르겐 지버베르크는 1982년에 《파르지팔》을 영화로 각색하였다.[45] 토니 팔머 감독의 1998년 다큐멘터리 영화 《파르지팔 – 성배를 찾아서》는 마린스키 극장, 시에나의 라벨로 페스티벌, 바이로이트 페스티벌 등 여러 유럽 극장에서 촬영되었다.[45] 이 영화에는 플라시도 도밍고, 비올레타 우르마나, 마티 살미넨, Николай Георгиевич Путилин|니콜라이 푸틸린ru, 안나 네트렙코가 출연한 팔머의 《파르지팔》 무대 공연 장면과 도밍고, 볼프강 바그너, 작가 로버트 굴트만, 캐런 암스트롱의 인터뷰가 포함되어 있다.[45] 영화는 도밍고가 공식 승인한 116분 완전판과 독일 배급사가 '정치적', '불편', '무관'하다고 판단한 부분을 삭제한 88분 버전으로 존재한다.[45]

12. 참고 문헌

참조

[1] 서적 Einleitung https://archive.org/[...] Mohr und Zimmer 1813
[2] 서적 Das braune Buch. Tagebuchaufzeichnungen 1865 bis 1882 Atlantis Verlag 1975
[3] 서적 Das Mittelalter Richard Wagners Königshausen & Neumann 2007
[4] 학술지 The Persian Origins of 'Parsifal' and 'Tristan' 1932-08-01
[5] 웹사이트 Parsifal Synopsis http://seattleopera.[...] 2014-01-11
[6] 위키소스 On the Will in Nature s:On the Will in Nat[...]
[7] 웹사이트 Prose Sketch for ''Die Sieger'' http://www.monsalvat[...] 2010-02-18
[8] 웹사이트 Mein Leben vol II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2010-02-18
[9] 서적 Cosima Wagner's Diaries Collins 1980
[10] 서적
[11] 웹사이트 Wandeldekoration http://filmlexikon.u[...] 2012
[12] 학술지 La Wandeldekoration https://sht.asso.fr/[...] 1987
[13] 서적
[14] 웹사이트 Pondering the Mysteries of ''Parsifal'' https://www.wqxr.org[...] 2013-03-02
[15] 비디오 Wagner: Parsifal Teldec 1992
[16] 웹사이트 Martha Mödl http://www.allmusic.[...] 2016-02-24
[17] Almanacco Parsifal 1882-07-26
[18] 웹사이트 Parsifal http://archives.meto[...] 1903-12-24
[19] 서적
[20] 서적 Igor Stravinsky Phaidon Press 1995
[21] 웹사이트 Religion and Art http://users.belgaco[...] The Wagner Library 2007-10-08
[22] 서적 Dokumente zur Entstehung und ersten Aufführung des Bühnenweihfestspiels Parsifal 1972-06
[23] 웹사이트 Nietzsche contra Wagner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2010-02-18
[24] 위키소스 Nietzsche To Peter Gast – January, 1887 Wikisource:Selected [...]
[25] 서적 Drama and the World of Richard Wagn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3
[26] 웹사이트 Parsifal and race http://www.monsalvat[...] 2010-02-18
[27] 서적
[28] 서적 In Search of Wagner Verso 1952
[29] 서적 Western Music and R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0] 서적 Thematic Guide Through the Music of Parsifal: with a preface upon the legendary material of the Wagnerian drama Schirmer 1904
[31] 서적 A Study of Wagner Dobell 1899
[32] 서적
[33] 서적 Of Gods and Demons https://books.google[...] Baskerville Publishers
[34] 웹사이트 The 1939 Ban on ''Parsifal'' http://www.monsalvat[...] 2010-02-18
[35] 서적
[36] 웹사이트 Aufführungen sortiert nach Inszenierungen https://archive.toda[...] 2017-04-02
[37]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Music of Parsifal https://web.archive.[...] 2010-02-18
[38] 서적 Cosima Wagner's Diaries Collins 1980
[39] 웹사이트 Parsifal http://www.dlib.indi[...] Schirmer 2010-02-18
[40] 일기 Cosima Wagner's diary 1881-08-01
[41] 논문 Amfortas' Prayer to Titurel and the Role of D in Parsifal: The Tonal Spaces of the Drama and the Enharmonic Cb/B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42] 서적 Opera on Record Harper and Row 1982
[43] 서적 Opera on CD Kyle Cathie Ltd 1992
[44] 웹사이트 Wagner 200 Building a Library: Parsifal http://www.bbc.co.uk[...] BBC Radio 3 2013-12-26
[45] 웹사이트 Parsifal – The Search for the Grail https://web.archive.[...] Presto Classical Limited 2012-07-13
[46] 서적 オペラ対訳シリーズ(11) 音楽之友社 1967
[47] 웹사이트 公演情報 - 二期会創立15周年記念公演《パルジファル:聖祓劇》 http://opera.tosei-s[...]
[48] 웹사이트 Albrecht (Dichter des „Jüngeren Titurel“) :de:Albrecht (Dichte[...]
[49] 서적 Lohengrin, ein altteutsches Gedicht, nach der Abschrift des Vaticanischen Manuscriptes von Ferdinand Gloekle 1813
[50] 서적 Wolfram von Eschenbach. Dichter der ritterlichen Welt. Leben, Werke, Nachruhm Schwabe 2019
[51] 서적 パルチヴァール 郁文堂 1974
[52] 서적 Wolfram von Eschenbach. Dichter der ritterlichen Welt. Leben, Werke, Nachruhm Schwabe 2019
[53] 서적 Wolfram von Eschenbach. Ein Handbuch De Gruyter 2011
[54] 서적 パルチヴァール 郁文堂 1974
[55] 서적 Lohengrin, ein altteutsches Gedicht, nach der Abschrift des Vaticanischen Manuscriptes von Ferdinand Gloekle 1813
[56] 서적 Wolfram von Eschenbach. Dichter der ritterlichen Welt. Leben, Werke, Nachruhm Schwabe 2019
[57] 서적 アーサー王神話大事典 原書房 2018
[58] 웹사이트 Parsifal - Musik überragend, Inszenierung Geschmackssache http://www.festspiel[...] 2017-08-22
[59] 뉴스 Bayreuther Festspiele 2016: Tipps zum Parsifal-Smalltalk https://www.welt.de/[...] 2016-07-25
[60] 논문 ジュリアン・グラックの『アルゴールの城にて』と『漁夫王』 中央大学出版部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