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투란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투란드는 1810년대에 설립된 술탄국으로, 현재 케냐에 위치해 있었다. 위투는 잔지바르의 노예 무역으로 인해 노예들의 피난처가 되었고, 1885년 독일의 보호령이 되었다. 이후 1890년 헬골란드-잔지바르 조약에 따라 영국령이 되었고, 1923년 마지막 술탄이 사망하면서 위투는 소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령 동아프리카 - 보호부대 사령관
    보호부대 사령관은 독일 제국 식민지 보호부대의 지휘관으로서, 군사적 지휘와 식민 통치에 관여했으며 때로는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 케냐의 역사 - 케냐 식민지
    케냐 식민지는 1920년 영국이 동아프리카 보호령을 병합하며 설립되었고, 유럽 이주민에게 토지를 할당하는 정책, 인도인의 권리 요구, 마우마우 반란 등의 갈등을 겪은 후 1963년 독립하여 조모 케냐타가 초대 총리가 되었다.
  • 케냐의 역사 - 우간다 철도
    우간다 철도는 1896년 몸바사에서 시작하여 키수무까지 건설된 철도로, 영국 식민 정책의 일환으로 건설되었으며, 인도인 노동자들이 동원되었고, 현재는 노선이 확장되어 중국의 지원으로 표준궤 철도가 건설되었다.
  • 독일의 옛 식민지 - 독일령 뉴기니
    독일령 뉴기니는 1884년부터 1919년까지 독일 제국의 식민지였으며, 독일의 식민 정책과 강제 노동, 선교 활동을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패배 후 호주, 일본, 미국 등에 분할되었다.
  • 독일의 옛 식민지 - 독일령 카메룬
    독일령 카메룬은 1884년 아프리카 분할 과정에서 독일이 설립한 식민지로, 독일 기업의 경제적 진출과 열강의 아프리카 진출에 대한 우려 속에 성립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군에 점령당해 영국과 프랑스의 위임통치령이 되었고, 경제적 이익 추구와 원주민 착취, 억압으로 특징지어지는 시대였다.
위투란드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유 명칭위투 술탄국
일반 명칭위투랜드
존속 기간1810년경 – 1905년/1923년
위치인도양 연안
수도위투
공용어스와힐리어 · 아랍어
종교이슬람교
술탄 푸모바카리의 국기 (1890년)
술탄 푸모바카리의 국기 (1890년)
영국 보호령 시대의 국기 (1893–1920년)
영국 보호령 시대의 국기 (1893–1920년)
인도양 연안 위투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인도양 연안 위투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역대 통치자부와나 마타카 (1810년대 - 1848년)
푸모 우마르 이븐 아흐메드 (1895년 7월 – 1923년)
작위마풀메
역사
주요 사건1810년경: 건국
1885년–1890년: 독일 보호령
1890년–1905년/1923년: 영국 보호령
소멸1905년/1923년: 케냐 식민지에 합병
면적
면적3000km²
기타
현재케냐

2. 역사

19세기 중반, 위투란드는 파테 섬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술탄국을 형성하려 했으나, 당시 영국의 보호 아래 있던 잔지바르 술탄국노예 무역 관련 침략에 시달렸다. 이러한 상황에서 위투 술탄은 독일 제국에 보호를 요청하게 된다.

1885년, 독일인 탐험가 클레멘스 덴하데트와 구스타브 덴하테브 형제가 당시 술탄 아마드 이븐 후모 바카리와 조약을 체결하면서 위투는 독일 제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독일의 통치 아래 위투는 도망친 노예들에게 중요한 피난처 역할을 하기도 했다. 독일 보호령 시기인 1889년에는 잠시 우표를 발행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890년, 영국독일 제국 사이에 체결된 헬골란드-잔지바르 조약에 따라 독일은 위투에 대한 보호권을 포기하고 영국에 넘겨주었다. 위투 주민들은 이에 반발했으나, 결국 영국령 동아프리카에 편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부 독일 상인이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고, 영국은 이에 대한 처벌을 명분으로 군대를 파견하여 진압하였다.

1905년, 위투에 대한 관리 감독 권한은 영국 외무부에서 식민지부로 이관되었고, 이후 케냐 해안 보호령의 타나구에 속하게 되었다. 1923년 마지막 술탄으로 여겨지는 우마리 빈 하미드가 사망하면서 위투 술탄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 1. 위투 술탄국의 성립 (1810년대~1885년)

위투 술탄국은 1810년대에 건국되었다. 여러 차례 본토로 이주하려는 시도가 실패한 후, 1858년에는 명목상 파테 섬의 술탄 통치로부터 완전히 독립하였다. 위투는 잔지바르노예 무역을 피해 도망친 노예들의 중요한 안식처였기에, 영국의 보호 아래 있던 잔지바르 술탄국(오만 왕조의 분가 통치)의 공격 대상이 되었다.[2][13] 잔지바르 술탄국의 노예 습격이 빈번해지자, 위투 술탄은 "잔지바르 전사들의 공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독일에 공식적으로 보호를 요청했다.[3][14]

한편, 위투 술탄국은 남부 소말리아의 강 사이 지역을 기반으로 주바 강과 셰벨리 강 유역을 장악했던 강력한 소말리아 국가인 겔레디 술탄국과 강한 유대 관계를 맺었다. 이는 두 나라가 잔지바르 술탄국에 대해 서로 적대적이었고, 주바 강을 통한 상아 무역 등 상업적 이익을 공유했기 때문이다.[15] 1820년대 시유 섬에서 위투 술탄 부와나 마타카가 반란으로 폐위되자, 반란 세력은 오만(잔지바르)의 개입을 요청했다. 이때 겔레디 술탄국의 술탄 유수프 마하무드 이브라힘이 개입하여 위투가 승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후에도 양국은 지역의 주요 수입원이었던 상아 무역을 통해 협력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시유에서의 승리 이후 위투 술탄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유수프 술탄은 1848년 아다디 술레이만 전투에서 오만과 동맹을 맺은 비마알족에게 패배했다.[15][12]

1885년, 독일인 탐험가 형제인 클레멘스 덴하데트와 구스타브 덴하테브가 당시 위투 술탄 아마드 이븐 후모 바카리와 조약을 체결했다. 1885년 4월 8일에 체결된 이 조약에 따라, 약 64.75km2에 달하는 위투의 영토가 두 형제가 소유한 타나 회사의 소유가 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1885년 5월 27일, 독일 제국은 위투를 자국의 보호령으로 선포하였다.

2. 2. 독일 보호령 시기 (1885년~1890년)

1885년, 독일의 형제인 클레멘스 덴하르트와 구스타프 덴하르트는 위투의 첫 번째 음팔메(스와힐리어술탄 또는 을 의미)인 아흐메드 이븐 푸모 바카리와 조약을 체결했다. 1885년 4월 8일 체결된 이 조약에 따라 약 64.75km2의 영토가 형제가 운영하는 "타나 회사"에 할양되었으며,[2][13] 위투란드의 나머지 지역은 1885년 5월 27일 독일 보호령인 위투란트(Deutsch-Witu|도이치-비투de)가 되었다.

독일 제국은 독일인 레지던트 구스타프 덴하르트(1856년–1917년, 재임 1885년 4월 8일 – 1890년 7월 1일)와 그의 부관 클레멘스 안드레아스 덴하르트(1852년–1928년)를 파견하여 위투란트를 관리했다. 독일의 통치는 비교적 온건했으며, 이 지역은 노예제를 피해 도망친 노예들의 피난처로 계속 이용되었다.[3][14]

1889년, 독일 보호령 하의 위투란드는 여러 종류의 우표를 발행했지만, 이 우표들이 실제로 우편에 사용되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1890년, 영국독일 제국 사이에 체결된 헬골란드-잔지바르 조약에 따라 독일은 위투란드에 대한 보호권을 포기하고 영국에 이양했다.

2. 3. 영국 식민 통치와 위투 원정 (1890년~1923년)

1890년 헬골란트-잔지바르 조약에 따라 영국은 6월 18일 위투를 보호령으로 선포했고, 7월 1일 독일 제국은 보호령 지위를 포기하고 위투랜드를 영국에 넘겨 영국령 동아프리카의 일부가 되었다. 하지만 위투 주민들은 독일의 보호를 선호하며 이에 광범위하게 항의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독일 상인 몇 명이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자,[7][17] 영국과 잔지바르 연합군은 처벌을 위한 원정대를 파견했다. 1890년 10월 26일, 원정대는 위투에 상륙하여 진격했다. 여러 차례의 교전 끝에 술탄 ''푸모 바카리 이븐 아흐마드''는 약 3,000명의 남은 병력과 함께 도시에서 도망쳤다. 그는 영국에 의해 폐위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8][18]

''부와나 셰이크 이븐 아흐마드''가 잠시 통치한 후, 통치권은 ''푸모 우마르 이븐 아흐마드''에게 넘어갔다. 위투는 이제 잔지바르 술탄국의 봉신인 셰이크령으로 지위가 축소되었다. 1891년 3월에는 위투에서 노예제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고, 새로운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인도 경찰이 투입되었다.

그러나 폐위된 술탄 푸모 바카리의 형제인 ''푸모 오만''은 새로운 정권에 저항했다. 그는 위투 북동쪽 종게니 마을 주변의 다른 마을과 농장을 상대로 점점 더 폭력적인 습격을 감행했다. 외교적 해결 시도가 실패하자, 영국과 잔지바르 정부는 1891년 7월 두 번째 해군 원정대를 준비했다.

소규모 원정대가 위투에 상륙하여 푸모 오만에게 다시 협상을 제안했지만 거부당했다. 이에 영국 해병대는 반군이 장악한 주요 마을로 진격했다. 마을은 두꺼운 숲과 위장된 구덩이, 날카로운 말뚝 등으로 강력하게 요새화되어 있었고, 반군은 방어 진지에서 격렬하게 저항했다. 하지만 치열한 교전 끝에 해병대는 마을들을 점령하고 요새를 파괴했다.[9][19] 푸모 오만은 도주했고, ''푸모 우마리 빈 하미드''가 다시 통치자로 복위되었다.

푸모 우마리 빈 하미드는 수도를 종게니로 옮겼지만, 영국의 힘이 강해지고 잔지바르의 지역적 중요성이 커지면서 위투의 지위와 영향력은 점차 약화되었다.[10][20] 1905년 위투에 대한 감독권은 영국 외무부에서 식민지부로 이관되었고, 이후 위투는 케냐 해안 보호령의 타나구에 속하게 되었다. 1923년 우마리 빈 하미드가 사망하면서 위투 술탄국의 실체는 사실상 막을 내렸다.

2. 4. 위투의 종말 (1923년)

1905년 위투에 대한 관리 감독 권한이 외무부에서 식민지부로 이관되었다. 이후 위투는 케냐 보호령의 타나 지역의 일부로 편입되어 행정적으로 관리되었다. 1923년 술탄 우마리 빈 하미드가 사망하면서, 위투를 별개의 독립체로 간주할지에 대한 논의는 최종적으로 종결되었다.

3. 통치자 목록

위투란드를 통치한 술탄(스와힐리어로 mfalume|음팔루메swa라고 불림) 목록은 다음과 같다.

재위 기간통치자 (mfalume|음팔루메swa)비고
1810년대 ~ 1848년부와나 마타카
1848년 ~ 1858년모하메드 셰이크부와나 마타카의 아들[11]
1858년 ~ 1888년아흐마드 이븐 푸모 바카리
1888년 ~ 1890년푸모 바카리 이븐 아흐마드
1890년 ~ 1891년부와나 셰이크 이븐 아흐마드
1891년 ~ 1893년푸모 우마르 이븐 아흐마드1차
1893년 ~ 1895년 7월 7일공석
1895년 7월 7일 ~ 1923년푸모 우마르 이븐 아흐마드2차


참조

[1] 논문 THE IVORY TRADE IN THE LAMU AREA, 1600–1870 https://www.jstor.or[...] 1982
[2] 논문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Witu Sultanate 1978
[3] 웹사이트 German Wituland, a colonial rarity https://web.archive.[...]
[4] 논문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Witu Sultanate https://www.jstor.or[...] 1978
[5] 논문 THE IVORY TRADE IN THE LAMU AREA, 1600–1870 https://www.jstor.or[...] 1982
[6] 서적 German Memories in Asia https://books.google[...] Author House 2015-02-16
[7] 웹사이트 Witu 1890, A punitive expedition on the East African coast http://www.kaiserscr[...]
[8] 서적 The Land of Zinj: Being an Account of British East Africa, Its Ancient History and Present Inhabitant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9] 웹사이트 The Royal Navy and the East Coast of Africa 1890-1899 http://www.victorian[...] 2017-05-21
[10] 문서 "Introduction" to The Pate Chronicle Michigan State University
[11] 논문 THE IVORY TRADE IN THE LAMU AREA, 1600–1870 https://www.jstor.or[...] 1982
[12] 논문 THE IVORY TRADE IN THE LAMU AREA, 1600–1870 https://www.jstor.or[...] 1982
[13] 논문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Witu Sultanate 1978
[14] 웹사이트 German Wituland, a colonial rarity https://web.archive.[...]
[15] 논문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Witu Sultanate https://www.jstor.or[...] 1978
[16] 서적 German Memories in Asia https://books.google[...] Author House 2015-02-16
[17] 웹사이트 Witu 1890, A punitive expedition on the East African coast http://www.kaiserscr[...]
[18] 서적 The Land of Zinj: Being an Account of British East Africa, Its Ancient History and Present Inhabitant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 웹사이트 The Royal Navy and the East Coast of Africa 1890-1899 http://www.victorian[...] 2017-05-21
[20] 문서 "Introduction" to The Pate Chronicle Michigan State University
[21] 논문 THE IVORY TRADE IN THE LAMU AREA, 1600–1870 https://www.jstor.or[...] 1982
[22] 논문 THE IVORY TRADE IN THE LAMU AREA, 1600–1870 https://www.jstor.or[...] 19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