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윈난성 (중화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윈난성은 중화민국 시대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윈난성, 쓰촨성 일부, 미얀마 북부 지역을 포함했다. 1911년 신해혁명 이후 운남대한군정부가 수립되었으며, 이후 군벌 통치와 중일 전쟁을 겪었다. 중일 전쟁 중에는 플라잉 타이거스의 본부 기지 역할을 했으며, 버마 로드를 통해 물자 수송이 이루어졌다. 국공 내전에서 국민당이 패배하면서 중화민국은 윈난성에 대한 실효 지배력을 상실했다. 윈난성은 1929년 즈볜두뱐서, 1940년 행정독찰구 제도를 시행했으며, 쿤밍을 성도로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윈난성의 역사 - 차마고도
    차마고도는 약 1000년 전부터 중국 윈난성에서 티베트를 거쳐 중국 중부로 이어진 무역로로, 차와 티베트 말을 교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중국 차 문화 확산에 기여했고 현재 일부 유적이 보존되고 있다.
  • 윈난성의 역사 - 남월
    남월은 기원전 203년부터 기원전 111년까지 중국 남부와 베트남 북부에 존재했던 조타가 건국한 고대 국가로, 한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었으나 한무제의 공격으로 멸망하고 한족과 월족 문화가 융합된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
  • 중화민국 대륙 시기의 성 - 저장성 (중화민국)
    저장성은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이 1955년 대천도 철수까지 현재의 저장성 대부분을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국공 내전 패배 후 타이완으로 철수하여 도서 지역을 관할하다 폐지되었으며, 청나라 절강성의 행정 구역을 계승하여 도제와 행정독찰제도를 시행했다.
  • 중화민국 대륙 시기의 성 - 광시성
    광시성은 중화민국 시기에 존재했던 성으로, 청나라 광서성의 관할 구역을 계승하여 현재의 광시 좡족 자치구 대부분과 광둥성 화이지현을 관할했으며, 신해혁명 이후 독립을 선언하고 국공내전 결과 중국 공산당에 점령되어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권을 상실했다.
  •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 타오위안시
    타오위안시는 타이완 북서부에 위치한 직할시로, 평포족 거주지에서 객가인 이주와 복숭아나무 재배를 거쳐 발전, 2014년 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는 대만 북부의 주요 산업 및 교통 중심지이다.
  •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 저장성 (중화민국)
    저장성은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이 1955년 대천도 철수까지 현재의 저장성 대부분을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국공 내전 패배 후 타이완으로 철수하여 도서 지역을 관할하다 폐지되었으며, 청나라 절강성의 행정 구역을 계승하여 도제와 행정독찰제도를 시행했다.
윈난성 (중화민국)
기본 정보
일반 명칭윈난
국가중국
상태중화민국의 성 (1912–1951)
수도쿤밍 (1912–1949)
망명 수도태국방콕 (1950–1951)
오늘날중화인민공화국
미얀마
지도
중화민국이 주장하는 윈난성의 위치 (빨간색)
중화민국이 주장하는 윈난성의 위치 (빨간색)
통계
면적420,465
인구9,066,000 (1947년)
역사
건립1912년
소멸1951년
주요 사건윈난 성 정부의 전향 (1949년 12월 9일)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 완전 장악
이전윈구이 총독
이후윈난성
행정 구역
주소쿤밍현 (1912-1935)
쿤밍시 (1935-1949)
방콕 태국 (1950-1951)
기타
약칭윈난

2. 역사

1911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한 후, 윈난성은 외딴 위치 덕분에 현지 군벌의 통치를 받으며 상당한 자치권을 누렸다. 이들은 아편 수확과 거래를 통해 정권을 유지했다.[1]

중화민국 시대 윈난성의 1939년 상세 지도. 장신포 (왼쪽 상단 노란색), 남완 (왼쪽 중앙 주황색 및 돌출), 코캉 (왼쪽 하단 빨간색)이 표시되어 있다.


이후 윈난성은 룽윈이 군벌을 장악(1927년)하기 전까지 윈난 군벌의 통치가 지속되었으며, 중일 전쟁국공 내전을 거치면서 중화민국 통치는 점차 종식되었다.

2. 1. 신해혁명과 윈난 군벌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무너지자, 윈난성은 외딴 위치 덕분에 현지 군벌의 통치를 받으며 상당한 자치권을 누렸다.[1]

차이 어는 1915년 량치차오의 요청으로 위안스카이의 제국에 반대하는 윈난성의 입장을 선언하며 윈난 군벌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차이 어는 호국전쟁에서 승리한 직후 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부관이었던 탕지야오가 윈난성을 장악하고 국민회의 복원을 요구했다. 윈난성은 중앙 정부와 재통합되었지만, 베이양 군벌이 베이징 정치를 장악하면서 윈난 군벌은 독자적인 군대를 유지했다.[1]

1911년 신해혁명이 일어나자, 뎬군(滇軍)은 청나라 관리를 몰아내고 '''운남대한군정부'''를 수립했으며, 혁명군 사령관 차이 어가 도독에 취임했다.

1913년 '획일령'에 따라 중화민국은 성 민정 장관을 설치했고, 1914년에는 민정 장관을 순안사로 개칭했다. 같은 해 탕지야오가 윈난 독립을 선언하면서 순안사서는 민정청으로 개칭되어 도독부의 관할이 되기도 했다.

1916년 순안사는 성장으로 개칭되었고, 1927년에는 국민당 중앙정치회의가 윈난성 정무위원회를 설치하여 광저우 국민정부, 이후 난징 국민정부에 귀속되었다.

2. 2. 룽윈의 통치와 중일전쟁

1927년 룽윈이 윈난 군벌을 장악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탕지야오가 사망했다. 룽윈은 이후 윈난성을 난징의 국민정부에 재편성했지만, 윈난성의 자치는 엄격히 지켜졌다.[1]

중일 전쟁 동안 윈난성은 플라잉 타이거스의 본부 기지 역할을 했다. 버마 로드가 건설되어 이 길을 따라 물자가 윈난성으로 들어와 중국 본토로 운송되었다. 1942년 중국 원정군은 일본의 침략에 맞서 영국과 함께 싸우기 위해 버마에 진입하여 결국 누강을 넘어 2년간 교착 상태로 싸웠다.

윈난성은 또한 피난민, 특히 대학교수와 학생들의 피난처였다. 이들은 원래 창사로 후퇴했지만, 일본군이 더 많은 영토를 확보함에 따라 1938년 2월 창사를 폭격했다. 남은 800명의 교직원과 학생들은 도망쳐 쿤밍까지 1,000마일의 여정을 떠나야 했다. 이곳에서 국립 서남 연합 대학교(일반적으로 '''롄다''')가 설립되었다.

이러한 특별한 전시 상황에서 8년 동안 교직원, 교수, 학생들은 일본의 산발적인 폭격 캠페인의 대상이 되는 임시 거처에서 생존하고 생활해야 했다. 음식, 장비, 책, 의류 및 기타 필수품이 심각하게 부족했지만, 현대적인 대학교를 운영하는 데 성공했다. 전쟁 8년(1937–1945) 동안 롄다는 중국의 가장 유명한 학자, 과학자 및 지식인 중 다수가 아니더라도 대부분을 배출하고 보유한 것으로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중국의 유일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2명 모두 롄다에서 공부했다.

2. 3. 국공내전과 중화민국 통치의 종식

국공 내전 동안 국민당 군대는 쓰촨, 시캉, 윈난의 남서부로 후퇴했다. 1949년 12월 9일, 성 정부 주석 루한은 공산당에 투항했고, 국민당 군대의 대부분은 윈난성에서 패배했다.[2] 리미가 이끄는 국민당 잔당은 몽삿을 기지로 삼아 공산당에 대항하여 게릴라전을 벌였고, 잠시 윈난 영토의 일부를 점령하기도 했다. 1951년 망명 성 정부가 해산되었고, 1954년 리미의 남은 군대는 대만으로 철수했다.[2]

1949년 12월 19일, 공산당 세력에 의해 윈난성의 대부분이 '해방'되었고, 중화민국은 실효 지배권을 상실했지만, 미얀마, 라오스 국경 지대에서는 윈난 반공 구국군이 계속해서 게릴라전을 벌였다. 윈난 반공 구국군은 1951년 5월에 창위안, 겅마, 란창, 솽장의 4개 현에서 대규모 공세를 펼쳤지만, 인민해방군의 반격으로 7월까지 미얀마와 태국 북부로 탈출했다. 그 후, 유엔 결의에 따라 윈난 반공 구국군의 병사들은 무장 해제 후 대만으로 퇴거하기로 결정했고, 1954년까지 6,986명이 대만으로 퇴거했다. 그러나 일부 병사는 현지에 잔류하여 윈난 인민 반공 지원군을 결성하여, 1960년까지 게릴라전을 벌였다.

3. 행정 구역

윈난성은 시캉, 쓰촨, 구이저우, 광시와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인도와 인접해 있었으며, 청나라 시대의 경계를 이어받았다. 윈난성은 오늘날의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 전역, 쓰촨 성 판즈화 시 일부 및 미얀마 북부 산악부를 포함하는 범위를 관할했다.

1911년 신해혁명으로 '''운남대한군정부'''가 성립되었고, 차이 어가 도독에 취임했다. 1914년 민정 장관을 순안사로 개칭하고 탕지야오의 윈난 독립 선언으로 순안사서가 민정청으로 개칭되기도 했다. 1916년 순안사는 성장으로 개칭되었고, 1927년에는 윈난성 정무위원회가 설치되어 광저우 국민정부와 난징 국민정부에 귀속되었다.

1949년 중국 공산당에 의해 윈난성 대부분이 점령되었으나, 미얀마, 라오스 국경 지대에서 윈난 반공 구국군이 게릴라전을 벌였다. 이들은 1951년 대규모 공세를 펼쳤지만 인민해방군의 반격으로 미얀마태국 북부로 탈출했다. 유엔 결의에 따라 1954년까지 6,986명이 대만으로 퇴거했지만, 일부는 잔류하여 1960년까지 게릴라전을 계속했다.

1929년 11월, 윈난성은 국경 방위와 외교 교섭을 위해 제1 (뎬시) 및 제2 (뎬난) 즈볜두뱐서(殖辺督弁署)를 설치했다. 이는 성과 현의 중간 기관으로, 1938년에 폐지되었다. 1940년에는 행정독찰구 제도가 시작되어 1942년 7개 구, 1945년 13개 구로 재편되었다.

3. 1. 성도

1935년(민국 24년) 3월까지는 쿤밍 현이, 그 이후에는 쿤밍 시가 성도였다.

3. 2. 도제(道制)

1914년(민국 3년) 6월 24일, 북경 정부가 발포한 『획일령(劃一令)』에 의해 각 관찰사에 뎬수도(滇水道), 멍쯔도(蒙自道), 푸얼도(普洱道), 텅웨도(騰越道)가 설치되었다. 1927년(민국 16년) 북벌 결과, 도제(道制)는 폐지되었다.

  • 뎬수도
  • 멍쯔도
  • 푸얼도
  • 텅웨도

3. 3. 현급 행정 구역

설치국
쿤밍 시


3. 4. 즈볜두뱐서(殖辺督弁署)

1929년 11월, 윈난성은 인도 및 버마, 인도차이나와 인접한 정치 지형으로 인해 국경 방위와 외교 교섭을 현지에서 수행할 필요성이 있어, 독자적인 판단으로 제1 (뎬시) 즈볜두뱐서(殖辺督弁署) 및 제2 (뎬난) 즈볜두뱐서(殖辺督弁署)를 설치했다.

즈볜두뱐서 설치는 성 정부가 내정부를 경유하여 행정원에 보고했으며, 국민당 중앙 정치 회의는 성과 현의 중간에 위치하며 식산, 국경 경비, 변경 지역의 교통, 교육 등을 담당하는 행정 기관으로 잠정 설치를 인가했다. 또한, 긴급 사태에 대한 행정 지휘권 부여도 인정되었으며, 1938년에 폐지되었다.

3. 5. 행정독찰구(行政督察区)

1940년(민국 29년) 5월, 윈난성 행정독찰구 제도는 구 푸스 변구 관할 지역에 제1행정독찰구가 설치되면서 시작되었다. 1942년(민국 31년) 3월에는 윈난성 전체가 7개 행정독찰구로 재편되었고, 1945년(민국 34년)에는 13개 구로 다시 재편되었다.

4. 역대 성장

중화민국 윈난성 성장
초상이름
(출생–사망)
재임 기간정당
1--룽윈
(1884–1962)
1928년 1월 17일1945년 10월 2일중국 국민당
윈난 파벌
이족 출신. 해임됨.
--리쭝황
(1888–1978)
1945년 10월 2일1945년 12월 1일중국 국민당
2--루한
(1896–1974)
1945년 12월 1일1949년 12월 9일중국 국민당
이족 출신. 공산당으로 전향.
3--리미
(1902–1973)
1945년 12월 21일[4]1954년중국 국민당
직위 폐지.



성명취임일퇴임일
1차이어1912년 3월-
2탕지야오1913년 12월-
3구핀전1921년 2월-
4탕지야오1922년 4월-
5후루오1927년 3월-
6룽윈1928년 1월-
7리쭝황1945년 10월-
8루한1945년 11월-


5. 인구

중화민국 시기 윈난성 인구[3]
연도가구 수인구남성여성가구당 평균 인원성비
1912년1,904,0009,468,0004,976,0004,492,0004.97110.70
1928년자료 없음13,821,000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
1936년~1937년2,390,00012,042,0006,226,0005,816,0005.04107.04
1947년1,715,0009,066,0004,552,0004,513,0005.27100.82


6. 같이 보기

참조

[1] 뉴스 中共雲南地方組織創始人李鑫:被捕後寧死不屈 http://big5.chinanew[...] 雲南日報 2011-06-10
[2] 간행물 抗戰勝利後的「驅龍」事件 文史春秋 2013-03
[3] 웹사이트 民国人口:研究史の整理と展望 http://www.ier.hit-u[...]
[4] 뉴스 《總統府公報》第貳肆伍號 1949-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