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화민국 행정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민국 행정원은 중화민국의 최고 행정 기관으로, 1928년 국민정부 수립 이후 설치되었다. 행정원장은 총통의 지명과 입법원의 동의를 거쳐 임명되며, 부원장, 각 부처 장관, 위원회 위원장 등으로 구성된다. 행정원 회의는 최고 정책 결정 기구로, 입법원에 대한 정책 및 행정 책임을 지며, 입법원과의 관계에서 정책 결정에 대한 상호 작용을 한다. 현재 14부, 8위원회, 2처, 1행, 1원, 3독립기관 등의 조직을 갖추고 있으며, 청사는 타이베이시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의 중앙정부기구 - 중화민국 총통부
    중화민국 총통부는 국가원수인 총통의 직무 수행 기관으로, 1912년 쑨원의 임시 정부에서 기원하여 국공 내전 후 타이완으로 이전했으며, 조직법에 따라 다양한 부서와 고문단으로 구성되어 대외 관계 및 내부 정치적 과제에 직면해 있다.
  • 중화민국의 중앙정부기구 - 중화민국 고시원
    중화민국 고시원은 공무원 임용 시험 주관 및 인사 제도 관리 등을 담당하는 행정원 산하 헌법 기관으로, 1928년 설립되어 타이완으로 이전 후 민주화 과정을 거쳤으며, 존폐 논쟁이 있었고, 위원회 형태로 운영된다.
  • 대만 정치와 정부 - 범록연맹
    범록연맹은 대만 독립을 목표로 하는 정치 연합체이며, 민주진보당을 중심으로 개혁과 대만 토착화를 추진하지만, 부패 스캔들과 세대교체로 인해 영향력이 약화되었다.
  • 대만 정치와 정부 - 신당 (대만)
    신당은 1993년 중국국민당에서 분당되어 이등휘 주석의 정책에 반대하는 의원들이 결성한 정당으로, 초기에는 대통령 직선제와 중국 본토와의 경제 협력을 주장했으나, 2000년대 이후 친중 성향 강화와 일국양제 지지로 정치적 영향력을 상실하고 우익 또는 극우 정당으로 분류된다.
  • 1947년 설립된 단체 - 국제 표준화 기구
    국제 표준화 기구(ISO)는 167개국 국가 표준 기구를 회원으로 둔 비정부 기구로서, 상품 및 서비스 관련 국제 표준을 제정하며,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와 협력하고 대한민국은 기술표준원을 통해 정회원으로 활동한다.
  • 1947년 설립된 단체 - 미국 국방부
    미국 국방부는 미국의 군정 및 군령을 총괄하는 행정 기관으로,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우주군을 산하에 두고 합동참모본부와 통합전투사령부를 통해 군사 작전을 지휘하며 버지니아주 알링턴의 펜타곤에 본부를 두고 있다.
중화민국 행정원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행정원 로고
로고
관할중화민국 정부
위치타이베이 중정, 중화민국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개요
유형행정 기관
설립일1928년 10월 25일 (중국 본토)
1950년 3월 10일 (타이베이)
전신중화민국 국무원
타이완 총독부
해산일1949년 10월 1일 (중국 본토)
현황자유 지구에서 활동 중, 중국 대륙에서는 기능 정지
직원 수737명
예산12.12억 타이완 달러 (2015년)
조직
원장: 줘룽타이
부원장: 정리쥔
비서장: 궁밍신
부비서장: 허페이산, 리궈신
하위 기관본부: 17처, 2실, 1회
소속 기관 (성/부): 12부, 8회, 2총처, 2서, 3독립 기관, 3위원회, 2직속 기구
명칭 (언어별)
한자 (정체)行政院
한어 병음Xíngzhèng Yuàn
웨이드-자일스Hsing²-cheng⁴ Yüan⁴
통용 병음Síngjhèng Yuàn
MPS2Shíngjèng Yuàn
국어 로마자Shynjenq Yuann
민난어 (POJ)Hêng-chèng Īⁿ
민난어 (TL)Hîng-tsìng Īnn
하카어Hàng-chṳn Yen
기타
주요 문서중화민국 헌법, 행정원 조직법

2. 역사

타이베이시 소재 중화민국 행정원 청사


행정원의 설립은 쑨원의 삼민주의 헌법 이론에 기반하지만, 중화민국의 역사적 상황과 중화민국 헌법의 변화에 따라 실제 운영 방식은 여러 차례 조정되었다.

1928년 국민혁명군이 북벌을 완료하고 장학량이 난징 국민정부 지지를 선언한 후, 같은 해 10월 3일 "중화민국 국민정부 조직법"이 제정되었다. 이에 따라 10월 8일 탄옌카이가 초대 행정원장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행정원은 내정, 외교, 군정, 재정, 농광, 공상, 교육, 교통, 철도, 위생의 10개 부서를 관할했다.

1947년 중화민국 헌법이 공포되면서 행정원은 "중화민국 최고 행정 기관"으로 명시되었고, 같은 해 3월 31일 공포된 "행정원 조직법"에 따라 조직이 정비되었다. 헌법 초안 작성에 참여한 중국민주사회당의 장쥔마이 등의 영향으로 초기에는 내각제적 요소가 반영되었다. 행정원장은 총통이 지명한 후 입법원의 동의를 얻어 임명되었으며, 총통의 명령에 대한 부서권을 가지는 등 내각 총리와 유사한 권한을 지녔다. 그러나 국공 내전을 거쳐 계엄령 체제가 실시되고 동원감란시기임시조항에 의해 총통의 권한이 강화되면서, 헌법상의 내각제적 요소는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

민주화가 진행된 리덩후이 총통 시기에 이르러 여러 차례의 헌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행정원장의 총통 명령에 대한 부서권과 임명에 대한 입법원의 동의권이 폐지되면서 대통령제적 성격이 강화되었으며, 행정원은 총통의 보좌 기관으로서의 위치가 더욱 확고해졌다.[4]

역대 행정원장에 대한 정보는 행정원장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3. 구성

중화민국의 행정원은 원장, 부원장, 비서장, 부비서장, 정무위원, 각 부처의 장(장관), 위원회의 주임위원 등으로 구성된다. 행정원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는 행정원 회의이다.

2010년 행정원 조직법 개정에 따라 2012년부터 순차적으로 조직 개편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종적으로 기존 39개 조직(8부·2회·2국·1처·3서·21위원회)에서 14부·8위원회·2처·1행·1원·3독립기관의 총 29개 조직으로 재편될 예정이다. 여기서 '부(部)'는 한국의 부처에 해당하며, '부장(部長)'은 장관에 해당한다. '위원회(委員會)'는 위원회에, '주임위원(主任委員)'은 위원장에 해당한다.

현재 행정원의 주요 조직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부 (部)
  • 내정부
  • 외교부
  • 국방부
  • 재정부
  • 교육부
  • 법무부
  • 경제부
  • 교통부
  • 환경부 (2023년 행정원 환경보호서에서 승격)
  • 농업부 (2023년 행정원 농업위원회에서 승격)
  • 위생복리부 (2013년 행정원 위생서에서 승격)
  • 문화부
  • 노동부 (2014년 행정원 노동위원회에서 승격)
  • 디지털개발부 (2022년 신설)

  • 위원회 (委員會)
  • 해외화교위원회
  • 객가위원회
  • 금융감독관리위원회
  • 국가발전위원회
  • 국군퇴역군인보도위원회
  • 원주민위원회
  • 해양위원회
  • 대륙위원회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4년 행정원 국가과학위원회에서 개편)

  • 처 (處)
  • 주계총처
  • 인사행정총처

  • 독립기관 (2급)
  • 중앙선거위원회
  • 공정거래위원회
  • 국가통신전파위원회
  • 촉진전형정의위원회 (2022년 해산[15])

  • 독립기관 (3급)
  • 국가운수안전조사위원회 (구 비항안전조사위원회)
  • 부당당산처리위원회

3. 1. 행정원 회의

중화민국 정부의 최고 정책 결정 기관으로, 일반적으로 ''으로 불리며 한국의 국무회의에 해당한다.
행정원 회의는 행정원장이 주재하며, 행정원부원장, 각 부처의 장(장관), 그리고 5~7명의 정무위원(무임소 장관에 해당)으로 구성된다. 과거에는 몽골·티베트 위원회와 화교위원회 위원장도 구성원에 포함되었다. 행정원 비서장과 부비서장도 회의에 참석하며, 초청에 따라 다른 행정원 산하 기관의 장들도 참석할 수 있으나 이들에게는 의결권이 없다. 또한 직할시의 시장인 타이베이 시장, 신베이 시장, 타오위안 시장, 타이중 시장, 타이난 시장, 가오슝 시장도 회의에 출석할 수 있지만, 의결권은 가지지 않는다.

중화민국 헌법 제58조는 행정원 회의가 계엄령, 사면, 선전포고, 평화 조약 체결 등에 관한 법률안과 예산안, 그리고 기타 중요한 사안을 입법원에 제출하기 전에 심의할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3. 2. 원 본부

행정원 본부의 주요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사진
원장줘룽타이 (민주진보당)
줘룽타이 행정원장
부원장정리쥔 (민주진보당)
정리쥔 행정원 부원장
비서장궁밍신 (무소속)
궁밍신 행정원 비서장
정무위원천스중 (민주진보당)
천스중 정무위원
스저 (민주진보당)
스저 정무위원
천진더 (민주진보당)
천진더 정무위원
양전니 (무소속)
양전니 정무위원
린민신 (무소속)
린민신 정무위원
지리엔청 (무소속)
지리엔청 정무위원
류진칭 (무소속)
류진칭 정무위원
우청원 (무소속)
우청원 정무위원
발언인 (대변인)미셸 리 (민주진보당)
미셸 리 행정원 발언인



기타 행정원 본부의 조직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부비서장 (2명, 특임)
  • 행정원 부발언인 (1명, 특임)
  • 고문 (11명, 간임)
  • 주임위원 (1명)
  • 참사 (8명)
  • 처장 (14명)
  • 주임 (2명)
  • 부처장 (14명)
  • 부주임 (2명)
  • 참의 (79명)
  • 고등분석사 (1명)
  • 과장 (70명, 천임)
  • 비서 (35명)
  • 소비자보호관 (9명)
  • 자의 (125명)
  • 분석사 (6명)
  • 과원 (145명, 위임)
  • 조리설계사 (5명, 위임)
  • 조리원 (26명, 위임) (13명은 천임)
  • 서기 (8명, 위임)
  • 행정원 회의

3. 3. 업무 부서


  • 신문전파처
  • 소비자보호처
  • 종합업무처
  • 내정위복노동처
  • 외교부 방법무처
  • 교통환경자원처
  • 재정주계금융처
  • 경제능원농무처
  • 교육과학문화처
  • 국토안전판공원
  • 법규회
  • 성별평등처
  • 재해방구판공실
  • 인권전형정의처


명칭중국어정당장관사진
내정부內政部민주진보당류스팡
류스팡 내정부장
외교부外交部민주진보당린자룽
린자룽 외교부장
국방부國防部민주진보당구리슝
구리슝 국방부장
재정부財政部무소속좡추이윈
좡추이윈 재정부장
교육부教育部무소속정잉야오
정잉야오 교육부장
법무부法務部무소속정밍첸
정밍첸 법무부장
경제부經濟部무소속궈즈후이
궈즈후이 경제부장
교통부交通部민주진보당천스카이
천스카이 교통부장
노동부勞動部민주진보당훙선한
훙선한 노동부장
위생복리부衛生福利部민주진보당추타이위안
추타이위안 위생복리부장
문화부文化部무소속리위안
리위안 문화부장
디지털개발부數位發展部무소속황옌눈
황옌눈 디지털개발부장
농업부農業部무소속천쥔지
천쥔지 농업부장
환경부環境部무소속펑치밍
펑치밍 환경부장


3. 4. 막료 단위


  • 공공관계처
  • 버서처
  • 인사처
  • 정풍처
  • 주계처
  • 정보처

4. 조직



행정원은 원장 1명과 부원장 1명을 수장으로 하며, 다수의 부처 장관, 위원회 위원장, 그리고 5명에서 9명 사이의 무임소 정무위원으로 구성된다. 부원장, 각 부처의 장관, 위원회의 위원장은 행정원장의 추천을 받아 총통이 임명한다.[4]

행정원의 설립은 쑨원의 삼민주의 헌법 이론에 기반하지만, 중화민국의 실제 상황에 맞춰 법률 및 중화민국 헌법 개정을 통해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행정원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는 '''행정원 회의'''(국무회의에 해당)이다. 이 회의는 원장, 부원장, 정·부 비서장, 각 부처의 장(장관), 5~7명의 정무위원(무임소 장관에 해당)으로 구성된다. 그 외 행정 조직의 장이나 직할시의 시장(타이베이 시장, 신베이 시장, 타오위안 시장, 타이중 시장, 타이난 시장, 가오슝 시장) 등도 회의에 출석할 수 있으나, 의결권은 없다.

2010년 행정원 조직법 개정에 따라 2012년부터 조직 개편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이 개편을 통해 기존의 39개 조직은 최종적으로 '''14부(部)·8위원회(會)·2처(處)·1행(行)·1원(院)·3독립기관''' 등 총 29개 조직으로 정비될 예정이다. 여기서 '부(部)'는 한국의 '부'에, '부장(部長)'은 '장관'에 해당하며, '위원회(委員會)'는 '위원회'에, '주임위원(主任委員)'은 '위원장'에 해당한다. 주요 부처, 위원회, 독립기관 및 기타 직속 기관들이 행정원 산하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과거 존재했던 몽장위원회는 2017년에 폐지되었고, 독립기관이었던 촉진전형정의위원회는 2022년에 해산되었다.[15]

4. 1. 중앙 2급기관

(2014년 행정원 노동위원회에서 승격)勞動部훙선한농업부
(2023년 행정원 농업위원회에서 승격)農業部천쥔지위생복리부
(2013년 행정원 위생서에서 승격)衛生福利部추타이위안문화부文化部리위안디지털발전부
(2022년 신설)數位發展部황옌눈환경부
(2023년 행정원 환경보호서에서 승격)環境部펑치밍



=== 회(會) ===

행정원 산하에는 위원회(會)가 있다. 위원회(委員會)는 한국의 위원회에 해당하며, 주임위원(主任委員)은 위원장에 해당한다.

명칭중국어 명칭현임 주임위원(위원장)사진
국가발전위원회國家發展委員會류진칭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4년 행정원 국가과학위원회에서 개편)
國家科學及技術委員會우청원
대륙위원회大陸委員會추이추이청
추이추이청
금융감독관리위원회金融監督管理委員會펑진룽
펑진룽
해양위원회海洋委員會관비링
관비링
해외화교위원회僑務委員會쉬자칭
쉬자칭
퇴역군인위원회國軍退除役官兵輔導委員會옌더파
옌더파
원주민위원회原住民族委員會쩡즈융
쩡즈융
객가위원회客家委員會구슈페이
구슈페이
공공건설위원회公共工程委員會데렉 천



=== 독립기관 ===

행정원 산하 독립기관은 행정원장의 교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명칭중국어 명칭현임 주석/총재사진
중앙선거위원회中央選舉委員會리진융
리진융
공정거래위원회公平交易委員會리 메이
리 메이
국가통신전파위원회國家通訊傳播委員會천야오샹
천야오샹



=== 총처(總處) ===

명칭중국어 명칭현임 주계장/인사장사진
주계총처主計總處천슈즈
천슈즈
인사행정총처人事行政總處수춘룽
수춘룽



=== 기타 기관 ===

명칭중국어 명칭현임 총재/원장사진
중앙은행中央銀行양진롱
양진롱
국립고궁박물원國立故宮博物院샤오쭝황
샤오쭝황


4. 2. 중앙 3급기관

5. 입법원과의 관계

행정원입법원에 매년 정책 방향과 행정 성과를 담은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입법원행정원의 각 부처 위원들을 소환하여 정책이나 행정에 대해 질의할 수 있다.

입법원행정원 간에 정책에 대한 의견 충돌이 발생할 경우, 입법원은 결의안을 통해 해당 정책의 수정을 행정원에 요구할 수 있다. 행정원은 이에 대해 입법원에 재고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입법원이 재고 요청 후에도 기존 결의안을 유지하기로 결정하면, 행정원장은 해당 결의안을 수용하거나 사임해야 한다.

또한, 행정원입법원이 통과시킨 법안이 현실적으로 집행하기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해당 법안을 대체할 수 있는 예산안을 입법원에 제출할 권한을 가진다.

6. 청사

행정원 청사는 타이베이시 중정구 충샤오둥로 1단 1호에 위치하고 있다. 이 건물은 일본 통치 시대인 1940년에 화산 초등학교 부지에 타이베이 시청으로 건설되었다.[9] 당시 대만총독부 영선과장이었던 이데 가오루가 설계를 맡았고, 대만의 한인계 기업인 '협지상회'가 시공하여 1940년(쇼와 15년)에 준공되었다. 시공 당시 일본은 중일 전쟁 등으로 물자가 부족했기 때문에 화려한 장식을 생략하고 지어졌지만, 이는 결과적으로 일본 통치 시대 말기의 모더니즘 건축을 대표하는 건축물 중 하나가 되었다.

1945년 대만이 중화민국에 반환된 후, 타이베이 시청은 젠청 초등학교의 옛 부지로 이전하였다.[10] 기존 시청 건물은 대만 성 정부 청사로 사용되었다. 한편, 1949년 중화민국 정부가 대만으로 이전했을 당시 행정원은 총통부 건물 내에 위치해 있었다. 이후 1957년부터 현재의 건물로 이전하여 행정원 청사로 사용하기 시작했다.[11]

현재 행정원 청사는 '''국가고적'''(국정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2003년부터 일반에게 공개되고 있다.[12][13] 타이베이역에서 동쪽으로 걸어갈 수 있는 거리에 있으며, 타이베이 첩운 산다오사역에서는 서쪽으로 도보 거리에 위치한다.

7. 폐지 또는 개편된 조직

총통부 단지 (1928–1937)의 행정원 옛 청사


난징시 구러우 구 (1946–1949)의 행정원 옛 청사


행정원 산하에 있다가 폐지되거나 다른 기관으로 통합 또는 개편된 조직은 다음과 같다.[5]

조직명변경 내용변경일
국가 재난 방지 및 보호 위원회실행 부서로 개편 (재난 관리실로 명칭 변경)2010년 2월 1일[7][8]
소비자 보호 위원회소비자 보호처로 개편2012년 1월 1일[5]
항공 안전 위원회독립 기관화 후 대만 운송 안전 위원회로 명칭 변경2012년 5월 20일[6]
행정원 신문국 Government Information Office영어폐지2012년 5월 20일[4]
국가 청년 위원회중화민국 교육부 산하 청년 개발청으로 이관2013년 1월 1일
체육 위원회중화민국 교육부 산하 체육청으로 이관2013년 1월 1일
경제건설위원회 Council for Economic Planning and Development영어폐지2014년 1월 21일
연구개발평가위원회 Research, Development and Evaluation Commission영어폐지2014년 1월 21일
몽장위원회 Mongolian and Tibetan Affairs Commission영어폐지2017년 9월 15일
해안 경비대해양위원회 산하로 이관2018년 4월 28일
원자력 위원회핵 안전 위원회로 개편2023년 9월 27일


참조

[1] 웹사이트 Mao Chi-kuo named as premier (update) http://focustaiwan.t[...] 2014-12-03
[2] 웹사이트 Taiwan retains most Cabinet members in reshuffle http://focustaiwan.t[...] 2014-12-05
[3] 웹사이트 總統制、半總統制、內閣制?台灣到底需要什麼樣的憲政框架? https://whogovernstw[...] 2015-02-21
[4] 웹사이트 Structure and Functions https://english.ey.g[...] 2011-12-01
[5] 웹사이트 Executive Yuan, R.O.C. (Taiwan)-Ministries and Agencies https://www.ey.gov.t[...] Ey.gov.tw 2006-06-15
[6] 웹사이트 Aviation Safety Council-About ASC-Organizations http://www.asc.gov.t[...]
[7] 웹사이트 行政院災害防救委員會 -- 首頁 http://www.ndppc.nat[...]
[8] 웹사이트 行政院全球資訊網 https://english.ey.g[...] 2011-12-01
[9] 웹사이트 Architecture - Design and Construction https://history.ey.g[...]
[10] 웹사이트 About MoCA https://www.mocataip[...]
[11] 웹사이트 Architecture - Building Usage History https://history.ey.g[...]
[12] 뉴스 Take a glimpse into the government's living room https://www.taipeiti[...] 2003-02-04
[13] 웹사이트 Appoitnment https://history.ey.g[...]
[14] 웹사이트 行政院 https://nchdb.boch.g[...]
[15] 웹사이트 促轉會5月底解散移交各部會,立委、學者都對轉型正義前景感到「悲觀」 https://www.thenews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