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베인브리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베인브리지는 1774년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태어난 미국의 해군 제독이다. 14세에 선원이 되어 상선에서 경력을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영국과 프랑스 순양함의 간섭을 피해 무역 활동을 했다. 미 해군에 입대한 후, 유사 전쟁과 제1차 바르바리 전쟁에 참전했으며, USS 필라델피아 호의 좌초와 포로 생활을 겪었다. 미영 전쟁에서 USS 컨스티튜션 호를 지휘하여 HMS 게리에르와 자바를 격파하는 등 혁혁한 공을 세웠고, 제2차 바르바리 전쟁에도 참여했다. 그는 뛰어난 지휘 능력과 용맹함으로 미국 해군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이름을 딴 여러 함선과 지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미영 전쟁 관련자 - 제임스 먼로
제임스 먼로는 미국 독립 전쟁 참전 용사이자 버지니아 주지사, 국무장관, 주영 미국 대사를 거쳐 제5대 대통령(1817년-1825년)을 지냈으며, 그의 재임 기간은 "좋은 감정의 시대"로 불리며 정치적 안정, 영토 확장, 그리고 유럽 열강의 미주 대륙 간섭을 반대하는 미국의 외교 정책인 먼로 독트린 발표로 특징지어진다. - 미국의 미영 전쟁 관련자 - 헨리 디어본
헨리 디어본은 미국 독립 전쟁, 1812년 전쟁에 참전하고 정치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토머스 제퍼슨 행정부의 전쟁 장관을 역임하고 포르투갈 주재 미국 대사를 지냈다. - 18세기 미국 사람 - 존 애덤스
존 애덤스는 미국의 제2대 대통령이자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미국 독립 혁명 시기 독립 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독립 후에는 외교관,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프랑스와의 준전쟁 해결, 해군 창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8세기 미국 사람 - 제임스 뷰캐넌
제임스 뷰캐넌은 1791년에 태어나 1857년부터 1861년까지 제15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노예제 문제와 경제 공황을 겪었고 남부의 탈퇴 시도에 미온적으로 대처하여 비판을 받았다. - 1774년 출생 - 매슈 플린더스
매슈 플린더스는 영국의 해군이자 지도 제작자로, 오스트레일리아 해안선 탐험과 지도 제작에 기여했으며, 특히 오스트레일리아 일주 항해와 '오스트레일리아' 명칭을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1774년 출생 -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는 독일 낭만주의 풍경화의 대표 화가로, 자연에 대한 깊은 관조와 상징적 표현을 통해 숭고미를 추구하며 종교적, 정신적 의미를 풍경화로 전달하고자 했다.
윌리엄 베인브리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774년 5월 7일 |
출생지 | 뉴저지주 프린스턴 |
사망일 | 1833년 7월 27일 |
사망지 |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
안장지 | 크라이스트 처치 매장지,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 |
![]() | |
군 복무 | |
소속 | 미국 해군 |
복무 기간 | 1798–1833 |
최종 계급 | 준장 |
지휘 | USS 리탤리에이션 USS 노퍽 USS 조지 워싱턴 USS 필라델피아 USS 프레지던트 USS 컨스티튜션 USS 콜럼버스 |
참전 | 유사 전쟁 제1차 바르바리 전쟁 미영 전쟁 제2차 바르바리 전쟁 |
수상 | 의회 황금 훈장 |
2. 생애
윌리엄 베인브리지는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태어나[42] 어린 시절 외가에서 자랐다.[43][44] 14세에 선원이 되어 상선을 지휘했으며, 영국 및 프랑스와의 해상 충돌을 겪었다. 1798년 신생 미국 해군에 장교로 임관하여 스쿠너 레털리에이션(USS Retaliation)의 함장이 되었으나, 프랑스 프리깃함에 의해 나포되는 경험을 했다. 이후 브리그 노퍽(USS Norfolk)을 지휘하며 프랑스에 맞섰다.
1800년, 제1차 바르바리 전쟁 직전, 베인브리지는 슬루프 조지 워싱턴(USS George Washington)을 지휘하여 알제의 데이에게 공물을 전달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나, 데이의 강압에 못 이겨 이스탄불까지 사절단을 수송하는 굴욕을 겪기도 했다.[39] 전쟁 발발 후에는 프리깃함 필라델피아(USS Philadelphia)를 지휘하여 트리폴리 봉쇄 작전에 참여했으나, 1803년 10월 21일 튀니지 해안에서 좌초되어 함선과 함께 포로가 되었다. 이 사건은 스티븐 디케이터 중위가 1804년 2월 16일 트리폴리 항에 야습하여 필라델피아 호를 파괴하는 계기가 되었으며,[40][41] 윌리엄 이튼 장군의 데르나 원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베인브리지는 19개월간의 포로 생활 끝에 1806년 6월 3일 석방되었다.
미영 전쟁이 발발하자 베인브리지는 프리깃함 컨스티튜션(USS Constitution)의 함장으로 임명되었다. 1812년 12월 29일, 그는 영국 프리깃함 자바(HMS Java)를 격파하는 큰 전과를 올렸고, 이 공로로 의회 금메달을 받았다. 전쟁 중 두 차례 부상을 입었음에도 지휘를 계속했으며, 이때 노획한 자바 호의 조타륜을 컨스티튜션 호에 장착하기도 했다.
전쟁 후에는 제2차 바르바리 전쟁에 참전하여 지중해 함대를 지휘했으며, 1820년에는 스티븐 디케이터와 제임스 배런 사이의 결투에서 배런의 보조인 역할을 맡았다. 1824년부터 1827년까지는 해군 평의회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1833년 필라델피아에서 사망하여 크라이스트 처치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윌리엄 베인브리지는 1774년 5월 7일[42]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앱살롬 베인브리지 박사와 메리 테일러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42] 그의 아버지 앱살롬 베인브리지는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왕당파로서 영국군 외과 의사로 복무했으며, 이로 인해 뉴저지주로부터 대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기도 했다.[1] 윌리엄에게는 해군 대위가 된 두 남동생 조셉과 존 T., 그리고 여동생 메리가 있었다.[42][1] 1783년 아버지가 영국으로 떠나고 어머니는 건강 문제로 미국에 남았기 때문에, 베인브리지는 뉴저지 미들턴에서 외할아버지인 존 테일러 에스콰이어의 손에서 자랐다.[43][44][2][3] (아버지는 이후 미국으로 돌아와 1807년 뉴욕에서 사망했다.[43][44][2])
십 대 시절 베인브리지는 이미 건장한 체격을 갖추고 활동적이며 모험심이 강했다. 그는 당시 항해 기술을 배우기에 최고로 여겨졌던 델라웨어 강에서 배 타는 훈련을 받았다.[4] 14세에 선원이 되어[43] 어린 나이에 스쿠너를 지휘하게 되었다.[42] 당시 미합중국의 무역선은 항해 조례에 의해 영국령 서인도 제도와의 교역이 제한될 위기에 있었으나, 농장주들의 위장 지원 아래 많은 선박이 사실상 밀수 거래에 관여하기도 했다.
전쟁의 여파로 중립적인 입장에서 무역을 하기는 어려웠다. 베인브리지는 영국과 프랑스 순양함의 잦은 간섭을 피하거나 때로는 맞서 싸워야 했다. 그는 보르도에서 세인트토머스섬으로 항해하던 중 영국 스쿠너(아마도 사략선)의 공격을 받았으나 이를 격퇴했으며, 상대의 화물을 빼앗지는 않았다고 전해진다. 또한, 에드워드 펠류 경이 지휘하던 프리깃 HMS 인디퍼티거블이 미국인 선원을 강제로 징용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영국 배에서 선원을 데리고 나오기도 했다.
1792년에는 소규모 상선 '캔터'호에서 복무했으며,[5] 1796년 브라질에서 돌아온 후에는 140톤급 상선 '호프'호에서 일했다. 이 배는 9파운드 포 4문을 갖추고 있었다. 보르도의 가론 강 항구에 정박해 네 번째 항해를 준비하던 중, 근처 배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해당 선장의 도움 요청을 받았다. 베인브리지는 자신을 포함한 7명의 선원만으로 수적으로 열세였고 폭발하는 화약에 심하게 다쳤음에도 불구하고 반란을 진압하는 데 성공했다. 그의 용기와 항해술을 인정받아 1796년, 19세의 나이로 '호프'호의 사령관이 되었다.[6]
그해 프랑스를 떠나 카리브해로 항해했다. 앤티가 바부다의 세인트존스 항구에 정박해 있을 때, '호프'호는 영국 상선 스쿠너로부터 정선 신호를 받았으나 따르지 않았다. 영국 스쿠너가 포격을 가하자 베인브리지와 선원들은 신속하게 대응하여 단 두 문의 포로 응사했고, 영국 스쿠너에 상당한 피해를 입혀 항복을 받아냈다.[6][7][8]
1798년 미국 해군이 창설되자 베인브리지는 해군 장교로 임관하여 스쿠너 USS 리탤리에이션의 함장으로 임명되었다.
2. 2. 초기 해군 복무 (유사 전쟁)
1798년 미국 해군이 창설되자 베인브리지는 해군 장교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9월 스쿠너 USS 리탤리에이션(USS ''Retaliation'')의 지휘 소위(lieutenant commanding)를 맡게 되었다.[9] 그는 USS 노퍽(USS ''Norfolk'')의 윌리엄스 함장과 함께 프리깃함 USS ''몬테주마''의 머레이 함장 지휘 아래 서인도 제도 해역을 순찰하라는 명령을 받았다.[9]
1798년 11월 20일, 서인도 제도 순찰 중 베인브리지는 프랑스 프리깃 2척, 44문 포의 ''Volontier''와 40문 포의 ''l'Insurgente''를 만났다. 그는 이들을 영국 군함으로 오인하고 신원 확인 없이 접근했다가 저항 없이 ''Retaliation''을 항복시키고 말았다.[10] ''Retaliation''은 신생 미국 해군에서 처음으로 적에게 항복한 함선이 되었다. 베인브리지와 그의 선원들은 ''Volontier''에 포로로 잡혔다. 추격 과정에서 베인브리지는 ''L' Insurgente''의 프랑스 사령관 생로랑 함장에게 다른 미국 함선들의 힘에 대해 경고하여 추격을 늦추도록 설득하는 기지를 발휘하기도 했다.[11] 이 사건에 대해 베인브리지는 군법회의에 회부되거나 처벌받지 않았다.
1799년 3월, 베인브리지는 18문 포를 장착한 브리그 USS 노퍽(USS ''Norfolk'')의 함장(Master Commandant)으로 임명되어, 당시 영국과 마찬가지로 미국 상선에 대해 공격적이었던 프랑스 함선에 맞서 순항하라는 임무를 받았다.[12][13]
2. 3. 제1차 바르바리 전쟁

1800년, 제1차 바르바리 전쟁 발발 몇 달 전, 미국은 알제의 데이에게 공물을 바치며 지중해에서 미국 상선을 공격하지 않도록 요청하는 상황이었다. 당시 24문 포 슬루프 USS ''조지 워싱턴''의 함장이었던 베인브리지는 이 공물을 전달하는 임무를 맡았다.[14] 그는 알제 항구에 도착했을 때, 항구를 내려다보는 요새의 포문 바로 아래에 배를 정박시키는 실수를 저질렀다. 이를 이용해 데이는 베인브리지에게 알제 대사와 공물을 콘스탄티노플로 수송하고, 항해 중에는 알제 깃발을 게양하라고 요구했다. 거부하면 즉시 함선을 파괴하겠다고 위협하자, 베인브리지는 굴욕감을 느끼면서도 알제 깃발을 달고 데이의 요구를 따를 수밖에 없었다.[15][16][39] 1801년 5월 4일 미국으로 돌아온 그는 지휘권을 내려놓았고, 이후 USS ''에식스''의 지휘를 맡았다.[17]
제퍼슨 대통령 행정부는 바르바리 국가에 공물을 바치는 정책이 효과가 없다고 판단하고 무력 사용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베인브리지는 알제와 튀니스에 대한 공격 작전에 참여하게 되었다. 1803년 5월 21일, 그는 USS ''필라델피아''의 함장으로 임명되어 트리폴리 봉쇄 임무를 맡았다.

그러나 1803년 10월 21일 (일부 자료에서는 11월 29일 언급), 베인브리지는 트리폴리 해안에서 해도에 표시되지 않은 암초에 함선을 좌초시키는 실수를 저질렀다. 그는 주변 수심을 제대로 확인하기 전에 모든 돛을 올려 배를 빼내려 시도했으나, 오히려 배가 더 깊이 박히는 결과를 초래했다. 트리폴리 해안포가 5시간 동안 부정확한 포격을 가했지만 함선은 별다른 피해를 입지 않았고, 배를 다시 띄우려는 모든 노력은 실패했다. 결국 베인브리지는 항복을 결정했다. 항복 직전, 그는 모든 소형 무기를 바다에 버리고 화약고를 침수시키며 해군 신호서를 파괴하라고 명령했다.[18] 하지만 배는 곧 조수가 차오르자 암초에서 벗어났고, 손상되지 않은 채 트리폴리의 파샤에게 나포되었다. 베인브리지와 그의 승무원들은 트리폴리에서 19개월 동안 포로로 잡혀 있었다.[19]
1804년 2월 16일, USS ''인트리피드''를 지휘하던 스티븐 디케이터 중위는 트리폴리 항구에 야습을 감행하여 나포된 ''필라델피아'' 호를 성공적으로 파괴했다. 이 대담한 작전은 당시 영국 해군의 영웅이었던 호레이쇼 넬슨 제독으로부터 "시대의 가장 대담하고 과감한 행위"라는 극찬을 받았다고 전해진다.[20][21][22][40][41]
''필라델피아'' 호와 그 승무원들의 나포 사건은 제퍼슨 대통령이 정권 교체를 목표로 한 미국의 첫 비밀 작전을 승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1805년, 전직 육군 장교이자 외교관이었던 윌리엄 이튼이 300명의 미국인 인질을 구출하기 위해 트리폴리로 파견되었다. 이튼은 알렉산드리아에 상륙하여 프레슬리 오배넌이 이끄는 소수의 미국 해병대원과 약 20명의 기독교 용병, 100여 명의 이슬람교 용병으로 부대를 조직했다. 이들은 이집트에서 리비아의 데르나까지 500마일 이상을 행군했다. 아이작 헐 함장이 지휘하는 USS ''아르고스''의 해상 지원을 받으며, 이튼은 1805년 4월 27일 데르나 전투에서 승리하여 도시를 점령했다. 이 전투는 해병대 찬가의 "트리폴리 해안으로(to the shores of Tripoli)"라는 구절로 기념되고 있다. 데르나 함락과 미군의 트리폴리 진격 위협은 토비아스 리어와 존 로저스 제독이 1805년 6월 트리폴리의 파샤와 평화 협상을 타결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프레블 함대의 네 차례에 걸친 폭격 이후, 트리폴리 파샤는 결국 평화 협정에 동의했고, 베인브리지는 1806년 6월 3일 감옥에서 풀려났다.[23] 미국으로 돌아온 그는 따뜻한 환영을 받았으며, 해군 조사 법정은 그의 항복 과정에서 부적절한 행위가 없었다고 판결하여 계속 복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는 투옥 기간 동안 입은 경제적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잠시 상선 업무에 복귀했다.[14] 제1차 바르바리 전쟁이 끝나면서 미국 해군은 규모를 축소했고, 대부분의 프리깃함은 항구에 정박되었다. 하지만 베인브리지는 영국과의 전쟁 가능성을 예견하고 스튜어트 제독과 함께 제퍼슨 대통령과 의회에 해군력 강화를 강력히 건의했다. 이들의 건의는 받아들여져 1809년 초 의회는 해군력 감축 정책을 변경했다. 베인브리지는 보스턴으로 돌아와 찰스타운 해군 기지를 지휘했다.[24]
1809년, 베인브리지는 프리깃함 USS ''프레지던트''의 함장으로 임명되어 그해 9월부터 대서양 연안 순찰 임무를 수행했다. 1810년 6월에는 육상 근무로 보직이 변경되었다.[25]
2. 4. 미영 전쟁
미국과 영국 사이에 미영 전쟁이 발발하자, 윌리엄 베인브리지는 1812년 9월 15일 아이작 헐의 후임으로 44문 포를 장착한 프리깃함 USS 컨스티튜션(USS ''Constitution'')의 함장으로 임명되었다.[26] 컨스티튜션 호는 24파운더 포를 갖춘 1533ton급의 대형 프리깃함으로, 이미 HMS 게리에르(HMS ''Guerriere'')를 나포하는 등 뛰어난 전과를 올린 상태였다. 베인브리지의 지휘 아래 컨스티튜션 호는 남부 대서양 순찰 임무를 맡게 되었다.[14][27]
1812년 12월 29일, 베인브리지는 브라질 해안에서 38문 포를 장착한 영국 해군 프리깃함 HMS ''자바''(HMS ''Java'')와 마주쳤다.[28][29] ''자바''는 본래 프랑스 프리깃함 ''레노메''(Renommée)였으며, 18파운더 포를 갖춘 1083ton급 함선이었다. 당시 ''자바''는 새로 임명된 봄베이 총독 토머스 히슬롭 중장과 그의 참모진을 태우고 동인도 제도로 향하던 중이었다.[31] ''자바''의 승무원 다수는 경험이 부족했고, 제대로 훈련받은 선원은 소수였으며 포술 훈련은 단 하루만 받은 상태였다.[14] 반면, 미국 해군은 포술 훈련을 중시하여 컨스티튜션 호의 승무원들은 숙련도가 높았기에 전투의 향방은 비교적 빠르게 결정되었다.
약 3시간에 걸친 격전 끝에[32] ''자바''는 돛대가 부러지고 선체가 크게 파손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고 항복했다. 컨스티튜션 호 역시 조타륜이 포탄에 맞아 파괴되는 등 약간의 피해를 입었으나, 상대적으로 경미했다.[32] 전투 중 베인브리지는 두 차례 부상을 당했지만 끝까지 지휘를 계속했다. ''자바''는 손상이 너무 심각하여 수리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었고, 미국 해안과의 거리도 멀었기 때문에 베인브리지는 나포한 ''자바''를 불태우기로 결정했다.[32] 다만 침몰시키기 전에 ''자바''의 조타 장치를 제거하여 컨스티튜션 호에 설치했는데, 이 조타 장치는 현재까지도 보스턴 항구에 정박 중인 컨스티튜션 호에 그대로 남아 있다.
이 승리로 베인브리지는 큰 명성을 얻었으며, 1813년 3월 3일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은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의회 금메달을 수여했다.[33]
2. 5. 제2차 바르바리 전쟁
미영 전쟁이 끝난 후, 미국은 1815년 제2차 바르바리 전쟁(일명 '알제리 전쟁')에 참전했다. 이 전쟁은 미국과 오스만 제국의 북아프리카 속령인 트리폴리, 튀니스, 알제리 사이에서 벌어진 두 차례의 전쟁 중 두 번째였다. 이 지역 국가들은 통칭 바르바리 국가라고 불렸다. 1815년 3월 3일, 미국 의회는 알제리 정권에 대한 해군력 투입을 승인했고, 두 개의 함대가 구성되어 전쟁을 준비했다.베인브리지는 이 전쟁에 참전하여 바르바리 해적과 싸웠다. 그는 알제리로 파견된 미국 함대의 사령관으로 복무하며 봉쇄를 실행하고 미국의 해군력과 결의를 보여주었다. 이는 스티븐 데케이터와 윌리엄 셰일러가 확립한 중립과 평화를 강제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전쟁은 1815년 미국의 승리로 끝났다.
2. 6. 말년
미영 전쟁이 끝난 후, 베인브리지는 제2차 바르바리 전쟁에 참전하여 바르바리 해적과 싸웠다.1820년, 베인브리지는 스티븐 디케이터와 제임스 배런 사이의 결투에서 배런의 보조 역할을 맡았다. 이 결투로 디케이터는 목숨을 잃었다. 일부에서는 베인브리지가 평소 디케이터에게 오랜 질투심과 원한을 품고 있었으며, 결투가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지도록 의도적으로 계획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는 디케이터의 아내를 비롯한 일부 역사가들의 주장이었다.
1824년부터 1827년까지 그는 해군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36]
베인브리지는 1833년 7월 필라델피아에서 사망했으며, 그곳의 크라이스트 처치 묘지에 안장되었다.

3. 유산 및 평가
베인브리지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여러 척의 미국 해군 함정이 그의 이름을 따 USS ''베인브리지''로 명명되었다.
함선 종류 | 함선명 | 비고 |
---|---|---|
브릭 | 베인브리지 | 1842년 취역 |
구축함 | USS 베인브리지 (DD-1) | 미국 해군 최초의 구축함 |
클렘슨급 구축함 | USS 베인브리지 (DD-246) | |
원자력 순양함 | USS 베인브리지 (CGN-25) | |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 USS 베인브리지 (DDG-96) | 2009년 MV Maersk Alabama 구조 |
또한 그의 명예를 기려 명명된 지명이나 시설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명칭 | 위치 | 비고 |
---|---|---|---|
섬 | 베인브리지 아일랜드 | 워싱턴주 | |
타운십 | 베인브리지 타운십 | 오하이오주 지오가 카운티 | |
도시 | 베인브리지 | 조지아주 데카터 카운티 | 카운티청 소재지 |
타운 | 베인브리지 | 인디애나주 | [38] |
타운 | 베인브리지 | 뉴욕주 | |
거리 | 베인브리지 스트리트 |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 |
거리 | 베인브리지 거리 | 버지니아주 리치몬드 | |
도로 | 올드 베인브리지 로드 | 플로리다주 탤러해시 | |
거리 | 베인브리지 애비뉴 | 뉴욕 브롱크스 | |
거리 | 베인브리지 거리 | 앨라배마주 몽고메리 | 주 의사당 건물이 위치 |
요새 | 포트 베인브리지 | 앨라배마주 터스키기 근처 | 크릭 전쟁 중 건설 |
훈련소 | 베인브리지 해군 훈련 센터 | 메릴랜드주 세실 카운티 포트 데포짓 | 현재 폐지 |
베인브리지는 필라델피아에서 사망했으며, 필라델피아의 크라이스트 처치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는 아들 윌리엄 주니어와 네 딸(메리 테일러 베인브리지 자우돈, 수잔 파커 헤이즈, 루이자 알렉시나 베인브리지, 루시 앤 베인브리지)을 유족으로 남겼다.[37]
참조
[1]
서적
Harris, 1837
[2]
서적
The Jerseyman
[3]
서적
The Loyalists of New Jersey
[4]
서적
Cooper, 1846
[5]
서적
Barnes, 1897
[6]
서적
Barnes, 1896
[7]
서적
Barnes, 1897
[8]
서적
Harris, 1837
[9]
서적
Harris, 1837
[10]
서적
Barnes, 1897
[11]
서적
Cooper, 1846
[12]
서적
Barnes, 1897
[13]
서적
Harris, 1837
[14]
백과사전
Bainbridge, William
[15]
서적
The Savage Wars of Peace
Basic Books
[16]
서적
Tucker, 2004
[17]
웹사이트
Naval Documents related to the United States Wars with the Barbary Powers Volume I Part 3 of 4 1785 through 1801
https://ibiblio.org/[...]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24-10-17
[18]
서적
Allen, 1905
[19]
서적
Barnes, 1896
[20]
학술지
Old Ironsides
http://external.oneo[...]
1853-05
[21]
서적
Abbot 1896
[22]
뉴스
Searching for Nelson's Quote
https://news.usni.or[...]
USNI News
2013-02-05
[23]
서적
Barnes, 1896
[24]
서적
Barnes, 1896
[25]
서적
Harris, 1837
[26]
서적
Cooper, 1846
[27]
서적
Roosevelt, 1883
[28]
서적
Barnes, 1896
[29]
서적
Hickey, 1989
[30]
서적
Barnes, 1896
[31]
서적
Harris, 1837
[32]
서적
Harris, 1837
[33]
서적
Harris, 1837
[34]
서적
Harris, 1837
[35]
학술지
Canova's Statue of Washington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1902
[36]
서적
Cooper, 1846
[37]
웹사이트
Duncan v. Jaudon, 82 U.S. 165 (1872)
https://supreme.just[...]
[38]
서적
Best Hikes Near Indianapolis
https://books.google[...]
FalconGuides
2012-04-03
[39]
서적
The Savage Wars of Peace
Basic Books
2003
[40]
논문
Old Ironsides
http://external.oneo[...]
2009-10-20
[41]
서적
Abbot 1896
[42]
서적
Harris, 1837
[43]
서적
The Jerseyman
1904
[44]
서적
The Loyalists of New Jersey
19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