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페란토 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페란토 문학은 에스페란토로 창작되거나 번역된 문학 작품을 포괄하며, 초기에는 에스페란토의 문학적 적합성에 대한 실험적 성격이 강했다.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의 시 "나의 생각"은 에스페란토 문학의 주요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앙리 발리엔의 소설 《프렐롱의 성》과 《그는?》은 최초의 장편 소설로 여겨진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컬로처이 칼만, 버기 줄러, 레몽 슈바르츠 등의 작가가 등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포스트고답파, 부다페스트 유파, 스코틀랜드 유파 등의 문학 유파가 나타났다. 1960년대부터는 일본의 에스페란토 문학이 발달했고, 호르헤 카마초의 단편소설집 《선 위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 시기의 시작을 알렸다.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시인들로 구성된 이베리아 유파도 활동했으며, 한국에서는 김억, 홍형의 등이 에스페란토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페란토 문학 - 안토니 그라보프스키
폴란드의 화학 공학자이자 초기 에스페란토 운동가인 안토니 그라보프스키는 화학 분야에서의 업적과 에스페란토 번역 및 창작 활동을 통해 "에스페란토 문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에스페란토 발전과 확산에 기여했다. - 에스페란토 문학 - 버기 줄러
헝가리의 에스페란티스토 작가, 시인, 번역가인 버기 줄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시베리아 포로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평화와 인류애를 강조하는 에스페란토 문학 작품을 창작했으며, 특히 시인으로서 두각을 나타내며 에스페란토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에스페란토 문학 | |
---|---|
에스페란토 문학 | |
![]() | |
일반 정보 | |
언어 | 에스페란토 |
시기 | 1887년 ~ 현재 |
시작 | 루드비크 자멘호프의 제1서 |
주요 작가 | |
초기 작가 | 루드비크 자멘호프 안톤 그라보프스키 카지미에시 베인 |
현대 작가 | 스텐 요한손 미겔 페르난데스 (언어학자) 리벤 데크 에드빈 드 코크 마오 지푸 |
특징 | |
번역 | 다른 언어의 작품이 많이 번역됨 |
창작 문학 | 다양한 장르의 창작 작품 존재 |
정기 간행물 | 벨레트라 알마나코 등 문학 정기 간행물 발간 |
문학사 | 제프리 서튼의 "Concise Encyclopedia of the Original Literature of Esperanto, 1887–2007"가 주요 참고 자료 |
2. 역사
초기 에스페란토 문학에는 창작물보다는 번역물이 더 많았고, 이 시기의 문학 작품은 대체로 에스페란토가 과연 문학에 적합한지에 대한 실험적인 성격을 띠었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이들 작품 가운데 상당수는 기법 및 문법·어휘에 있어 매끄럽지 않은 점들이 많다.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는 《제1서》(Unua libroeo, 1887년)에서 "나의 생각"과 "오, 나의 심장이여!" 두 편의 시를 수록하였고, 이는 에스페란토로 씌여진 최초의 창작 문학이다. 이 가운데 "나의 생각"은 오늘날까지도 에스페란토 문학의 주요 작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에스페란토로 쓰여진 최초의 장편소설은 프랑스의 앙리 발리엔(Henri Vallienneeo)이 쓴 《프렐롱(Prélong)의 성》(Kastelo de Prelongoeo, 1907년)과 《그는?》(Ĉu li?eo, 1908년)으로 여겨진다.
제1차 세계 대전 도중에는 에스페란토 문학이 거의 멈추었지만, 곧 전후 다시 에스페란토 문학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 등장한 문학가로는 러시아의 사회주의 시인 예브게니 미할스키가 있다. 미할스키는 문예지 《신시대》(La nova epokoeo) 및 시집 《프롤로그》(La prologoeo)에서 계급 투쟁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 시대에는 두 명의 유명한 헝가리 시인 컬로처이 칼만과 버기 줄러가 등장하였다. 낭만주의 시기는 보통 컬로처이의 1921년 시집 《세상과 마음》(Mondo kaj koroeo)의 등장으로부터 시작된다고 간주하는데, 이는 이 시집이 에스페란토 문학에 가져온 엄청난 영향을 보여준다. 이 짧은 시집은 컬로처이의 첫 시집이었지만 새로운 에스페란토 시적 기법을 선보였다. 이후 《당겨진 끈》(Streĉita kordoeo, 1931년) 등의 시집을 통해 컬로처이는 에스페란토주의와 사랑, 자연, 슬픔 따위의 소재를 고급의 시적 기법으로 노래하였다.
반면, 버기 줄러는 "대중의 시인"으로, 일상생활에서의 슬픔과 서정을 동정적으로 노래하여 오늘날에도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버기의 주요 시집으로는 《삶을 넘어서》(Preter la vivoeo, 1923년)와 《순례자》(Pilgrimoeo, 1926년)가 있다. 버기의 첫 소설 《희생자들》(viktimojeo)은 버기가 제1차 세계 대전 중 시베리아에서 보낸 경험을 바탕으로 씌여졌고, 이는 마치 영문학에서 찰스 디킨스와 마찬가지로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다.
프랑스의 극작가·시인 레몽 슈바르츠는 수많은 풍자시 및 풍자소설을 발표하였다. 슈바르츠의 첫 풍자 시집 《녹색 고양이의 성경》(Verdkata testamentoeo, 1926년)은 현실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프랑스적인 스토아주의를 풍긴다. 이 밖에도 슈바르츠의 주요 작품으로는 《이상한 상점》(La stranga butiko)와 소설 《아니와 몽마르트》(Anni kaj Montmartre)가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에스페란토 문학은 또다시 갑자기 중단되었다. 전후의 에스페란토 문학은 이전 시기의 문학과 상당히 다른 성격을 보이는데, 이를 '''포스트고답파'''(Postparnasismoeo)라고 한다.
'''부다페스트 유파'''(Budapeŝta skoloeo)는 부다페스트를 중심으로 한 소설가들의 유파이다. 주요 회원으로는 실라지 페렌츠(Szilágyi Ferenchu), 서트마리 샨도르(Szathmári Sándorhu), 버러녀이 임레(Baranyai Imrehu)가 있다.
'''스코틀랜드 유파'''(Skota skoloeo)는 스코틀랜드를 중심으로 한 시인과 소설가들의 유파이다. 주요 회원으로는 존 딘우디(John Dinwoodie영어), 레토 로세티, 존 이슬레이 프랜시스(John Islay Francis), 윌리엄 올드, 마저리 볼턴(Marjorie Boulton영어) 등이 있다. 딘우디, 로세티, 프랜시스, 올드는 공동 시집 《4인조》(Kvaropoeo, 1952)를 출판하였다. 이 가운데 특히 윌리엄 올드는 장편시 《유년의 종(種)》(La infana rasoeo, 1958)로 유명하다. 이 장편시는 인류의 여정을 총 15장의 시로 서사하고 있다.
프랑스의 작가 장 포르주(Jean Forge프랑스어)는 소설집 《녹색 로켓》(La verda raketoeo, 1961) 및 《나의 녹색의 성무일과서》(Mia verta brevieroeo, 1974)로 유명해졌다. 포르주의 작품들은 에스페란토주의와 에스페란토 운동을 풍자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노르웨이의 작가 요한 로스바크(Johan Hammond Rosbach)의 문학은 극적이면서도 이성과 감정을 동시에 묘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1960년대부터 일본의 에스페란토 문학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의 일본의 주요 작가로는 미야모토 마사오, 고니시 가쿠(小西 岳), 우에야마 마사오(上山 政夫) 등이 있다.
호르헤 카마초의 단편소설집 《선 위에서》(Sur la linioeo, 1991년)는 현대 에스페란토 문학, 특히 포스트모더니즘 시기의 시작을 알린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베리아 유파'''(Ibera skoloeo)는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시인들로 구성된 유파이다. 호르헤 카마초, 미겔 페르난데스(Miguel Fernández), 미겔 구티에레스 아두리스(Miguel Gutiérrez Adúrizes), 아벨 몬타구트(Abel Montagutca), 곤살루 네베스(Gonçalo Nevespt)가 주요 구성원이며, 《이베리아로 자유롭게》(Ibere libere, 1993년)가 대표작이다.
이 밖에도, 중국의 시인 마오찌푸(), 헝가리의 에르틀 이스트반(Ertl Istvánhu) 등이 주요 시인으로 활동했다. 독일의 울리히 베커(Ulrich Becker)와 레나 카르푸니나(Lena Karpunina), 스웨덴의 스텐 요한손(Sten Johanssonsv), 토고의 그베글로 코피(Gbeglo Koffi) 등은 주요 소설가로 꼽힌다. 영국의 폴 거빈스(Paul Gubbins영어)는 주요 극작가이다.
2. 1. 1887년~1920년: 문어(文語)로의 정착
초기 에스페란토 문학에는 창작물보다는 번역물이 더 많았고, 이 시기의 문학 작품은 대체로 에스페란토가 과연 문학에 적합한지에 대한 실험적인 성격을 띠었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이들 작품 가운데 상당수는 기법 및 문법·어휘에 있어 매끄럽지 않은 점들이 많다.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는 《제1서》(Unua libroeo, 1887년)에서 "나의 생각"과 "오, 나의 심장이여!" 두 편의 시를 수록하였고, 이는 에스페란토로 씌여진 최초의 창작 문학이다. 이 가운데 "나의 생각"은 오늘날까지도 에스페란토 문학의 주요 작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에스페란토로 쓰여진 최초의 장편소설은 프랑스의 앙리 발리엔(Henri Vallienneeo)이 쓴 《프렐롱(Prélong)의 성》(Kastelo de Prelongoeo, 1907년)과 《그는?》(Ĉu li?eo, 1908년)으로 여겨진다.
2. 2. 1921년~1951년: 낭만주의
제1차 세계 대전 도중에는 에스페란토 문학이 거의 멈추었지만, 곧 전후 다시 에스페란토 문학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 등장한 문학가로는 러시아의 사회주의 시인 예브게니 미할스키가 있다. 미할스키는 문예지 《신시대》(La nova epokoeo) 및 시집 《프롤로그》(La prologoeo)에서 계급 투쟁에 대하여 기술하였다.이 시대에는 두 명의 유명한 헝가리 시인 컬로처이 칼만과 버기 줄러가 등장하였다. 낭만주의 시기는 보통 컬로처이의 1921년 시집 《세상과 마음》(Mondo kaj koroeo)의 등장으로부터 시작된다고 간주하는데, 이는 이 시집이 에스페란토 문학에 가져온 엄청난 영향을 보여준다. 이 짧은 시집은 컬로처이의 첫 시집이었지만 새로운 에스페란토 시적 기법을 선보였다. 이후 《당겨진 끈》(Streĉita kordoeo, 1931년) 등의 시집을 통해 컬로처이는 에스페란토주의와 사랑, 자연, 슬픔 따위의 소재를 고급의 시적 기법으로 노래하였다.
반면, 버기 줄러는 "대중의 시인"으로, 일상생활에서의 슬픔과 서정을 동정적으로 노래하여 오늘날에도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버기의 주요 시집으로는 《삶을 넘어서》(Preter la vivoeo, 1923년)와 《순례자》(Pilgrimoeo, 1926년)가 있다. 버기의 첫 소설 《희생자들》(viktimojeo)은 버기가 제1차 세계 대전 중 시베리아에서 보낸 경험을 바탕으로 씌여졌고, 이는 마치 영문학에서 찰스 디킨스와 마찬가지로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다.
프랑스의 극작가·시인 레몽 슈바르츠는 수많은 풍자시 및 풍자소설을 발표하였다. 슈바르츠의 첫 풍자 시집 《녹색 고양이의 성경》(Verdkata testamentoeo, 1926년)은 현실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프랑스적인 스토아주의를 풍긴다. 이 밖에도 슈바르츠의 주요 작품으로는 《이상한 상점》(La stranga butiko)와 소설 《아니와 몽마르트》(Anni kaj Montmartre)가 있다.
2. 3. 1952년~1991년: 모더니즘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에스페란토 문학은 또다시 갑자기 중단되었다. 전후의 에스페란토 문학은 이전 시기의 문학과 상당히 다른 성격을 보이는데, 이를 '''포스트고답파'''(Postparnasismoeo)라고 한다.'''부다페스트 유파'''(Budapeŝta skoloeo)는 부다페스트를 중심으로 한 소설가들의 유파이다. 주요 회원으로는 실라지 페렌츠(Szilágyi Ferenchu), 서트마리 샨도르(Szathmári Sándorhu), 버러녀이 임레(Baranyai Imrehu)가 있다.
'''스코틀랜드 유파'''(Skota skoloeo)는 스코틀랜드를 중심으로 한 시인과 소설가들의 유파이다. 주요 회원으로는 존 딘우디(John Dinwoodie영어), 레토 로세티, 존 이슬레이 프랜시스(John Islay Francis), 윌리엄 올드, 마저리 볼턴(Marjorie Boulton영어) 등이 있다. 딘우디, 로세티, 프랜시스, 올드는 공동 시집 《4인조》(Kvaropoeo, 1952)를 출판하였다. 이 가운데 특히 윌리엄 올드는 장편시 《유년의 종(種)》(La infana rasoeo, 1958)로 유명하다. 이 장편시는 인류의 여정을 총 15장의 시로 서사하고 있다.
프랑스의 작가 장 포르주(Jean Forge프랑스어)는 소설집 《녹색 로켓》(La verda raketoeo, 1961) 및 《나의 녹색의 성무일과서》(Mia verta brevieroeo, 1974)로 유명해졌다. 포르주의 작품들은 에스페란토주의와 에스페란토 운동을 풍자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노르웨이의 작가 요한 로스바크(Johan Hammond Rosbach)의 문학은 극적이면서도 이성과 감정을 동시에 묘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1960년대부터 일본의 에스페란토 문학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의 일본의 주요 작가로는 미야모토 마사오, 고니시 가쿠(小西 岳), 우에야마 마사오(上山 政夫) 등이 있다.
2. 4. 1991년~현재: 포스트모더니즘
호르헤 카마초의 단편소설집 《선 위에서》(Sur la linioeo, 1991년)는 현대 에스페란토 문학, 특히 포스트모더니즘 시기의 시작을 알린 작품으로 평가받는다.'''이베리아 유파'''(Ibera skoloeo)는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시인들로 구성된 유파이다. 호르헤 카마초, 미겔 페르난데스(Miguel Fernández), 미겔 구티에레스 아두리스(Miguel Gutiérrez Adúrizes), 아벨 몬타구트(Abel Montagutca), 곤살루 네베스(Gonçalo Nevespt)가 주요 구성원이며, 《이베리아로 자유롭게》(Ibere libere, 1993년)가 대표작이다.
이 밖에도, 중국의 시인 마오찌푸(), 헝가리의 에르틀 이스트반(Ertl Istvánhu) 등이 주요 시인으로 활동했다. 독일의 울리히 베커(Ulrich Becker)와 레나 카르푸니나(Lena Karpunina), 스웨덴의 스텐 요한손(Sten Johanssonsv), 토고의 그베글로 코피(Gbeglo Koffi) 등은 주요 소설가로 꼽힌다. 영국의 폴 거빈스(Paul Gubbins영어)는 주요 극작가이다.
3. 한국의 에스페란토 문학
1920년 김억은 《폐허》 창간호에 《La Ruino》(폐허)라는 에스페란토 창작 시를 발표하였고, 1922년에는 《개벽》에 《에쓰페란토 자습실》을 발표하는 등 자신의 문학 활동과 에스페란토를 보급하고자 많은 심혈을 기울였다.[3] 1937년에는 조선에스페란토문화사 사장이었던 아나키스트 홍형의에 의해 순(純) 에스페란토 잡지인 《Korea Esperantisto》가 창간되었으나 일제의 방해로 곧 폐간되었다.[3] 홍형의는 또한 한국 최초의 에스페란토 소설 《마을의 선구자》(La Pioniroj en Vilaĝoeo)을 창작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3]
김억과 홍형의 이후에도, 안우생·이재현 등에 의하여 한국 문학의 에스페란토 번역 작업이 진행되었다.[3] 1999년 말에는 《한국 단편 문학 선집》(Korea Antologio de Novelojeo)이 에스페란토로 출간되었다.[3]
4. 주요 작가
에스페란토 문학에 기여한 주요 작가들은 다음과 같다.
- 에디스 앨리네 시노트(Edith Alleyne Sinnotte)
- 마조리 볼턴(Marjorie Boulton)
- 윌리엄 올드(William Auld)
- 훌리오 바기(Julio Baghy)
- 카지미에시 베인(Kazimierz Bein) (주로 번역)
- 호르헤 카마초(Jorge Camacho (writer))
- 바실리 에로셴코(Vasili Eroshenko)
- 안토니 그라보프스키(Antoni Grabowski) (주로 번역)
- 스텐 요한손/Sten Johanssoneo
- 칼만 칼로차이(Kálmán Kalocsay)
- 니콜라이 블라디미로비치 네크라소프(Nikolai Vladimirovich Nekrasov)
- 마우로 네르비(Mauro Nervi)
- 클로드 피롱(Claude Piron)
- 프레데릭 푸줄라 이 발레스(Frederic Pujulà i Vallès)
- 발두르 라그나르손(Baldur Ragnarsson)
- 레이몽 슈바르츠(Raymond Schwartz)
- 트레버 스틸(Trevor Steele)
- 블라디미르 바란킨(Vladimir Varankin)
- 이토 칸지(ルドヴィキート)
- 미야모토 마사오(宮本正男)
참조
[1]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the Original Literature of Esperanto, 1887–2007
https://books.google[...]
Mondial
2008
[2]
간행물
Current trends in literary production in Esperanto
https://tuhat.halvi.[...]
[3]
웹인용
한국문학과 에스페란토
http://iws.inha.ac.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