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프리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프리드는 7세기 잉글랜드의 종교 지도자이다. 그는 633년경 노섬브리아에서 태어나 린디스판 수도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로마를 순례하고 프랑스 리옹에서 유학했다. 그는 위트비 시노드에서 로마 가톨릭 교회의 입장을 대변했고, 노섬브리아 주교로 임명되었으나, 주교직 분쟁과 추방을 겪었다. 이후 서섹스에서 선교 활동을 펼치고 여러 수도원을 설립했으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윌프리드는 베네딕토회 규칙을 잉글랜드에 도입하고, 교회 건축과 예술을 후원했으며, 사후 숭배를 받았다. 그는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며, 당대의 중요한 인물들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섬벌랜드주의 역사 - 앵글인
    앵글인은 1세기경 게르마니아에 처음 등장한 게르만족의 일파로, 엘베 강 근처에 거주하다 5세기경 브리튼 섬으로 이주하여 잉글랜드와 잉글랜드인의 어원이 되었으며, 현재 독일 북부 앙겔른 반도에 흔적이 남아있다.
  • 노섬벌랜드주의 역사 - 린디스판
    린디스판은 잉글랜드 북동부의 조수 섬으로, 793년 바이킹의 습격을 받아 수도원이 파괴되었지만, 635년 잉글랜드 북부 기독교 확산의 중심지였고 린디스판 복음서가 제작되었으며, 현재는 관광 명소로 알려져 있다.
  • 잉글랜드의 로마 가톨릭 성인 - 토머스 모어
    토머스 모어는 잉글랜드의 법률가, 사상가, 정치가이자 인문주의자로 헨리 8세 시대에 대법관을 지냈으나 종교 개혁과 이혼에 반대하여 처형되었고, 《유토피아》를 통해 이상 사회를 묘사하여 '유토피아 사회주의'의 시조로 여겨지며 가톨릭과 성공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된다.
  • 잉글랜드의 로마 가톨릭 성인 - 토머스 베켓
    12세기 잉글랜드의 성직자이자 캔터베리 대주교였던 토머스 베켓은 헨리 2세의 총애를 받아 대법관까지 지냈으나, 대주교 임명 후 교회의 권리 옹호로 왕과 대립, 암살당해 순교자로 시성되어 숭배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의 삶과 죽음은 후대 예술과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캔터베리 대주교 - 매슈 파커
    매슈 파커는 1504년에 태어나 1575년에 사망한 잉글랜드의 종교 지도자이며, 앤 불린의 사제로서 1559년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되어 잉글리칸 교회의 발전에 기여하고 학문적 업적과 사본 수집으로 알려져 있다.
  • 캔터베리 대주교 - 윌리엄 템플
    윌리엄 템플은 사회 정의, 교회 일치 운동, 교육 개혁에 헌신한 영국 성공회의 성직자이자 신학자로서, 캔터베리 대주교를 지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교회들을 이끌고 전후 사회 재건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여 복지 국가 설계에 영향을 미쳤다.
윌프리드
성인 정보
존경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성공회
축일10월 12일 또는 4월 24일
수호미들즈브러 로마 가톨릭교구
리즈 로마 가톨릭교구
리폰
성지리폰, 솜팅 (서식스), 프리지아 (뢰더)
속성세례, 설교, 배에서 내려 왕에게 영접받음; 또는 지팡이를 옆에 두고 설교대 앞에서 신학 논쟁에 참여
기본 정보
이름윌프리드
로마자 표기Wilfrid
원래 이름윌프리스
출생633년경
출생지노섬브리아
사망709년 또는 710년
사망지온들, 노샘프턴셔
직책
임명664년
임기 종료678년
이전체드
후임보사
서임664년
주교요크의 주교

2. 생애

윌프리드는 노섬브리아 왕국 왕족으로 태어나 십 대 때 성직 생활을 시작했고, 린디스판 섬, 캔터베리, 갈리아, 로마 등지에서 공부했다. 660년경 노섬브리아로 돌아와 리펀 시에 새로 생긴 수도원의 수도원장이 되었다. 664년 위트비 시노드에서 로마 가톨릭 교회의 대변인으로 활약하여 부활절 날짜를 계산하는 로마식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유명해졌다.[6] 그 결과 노섬브리아의 주교로 임명되었으나, 당시 영국에 축성된 주교가 부족하다고 생각하여 갈리아에서 주교 서임을 받았다.[6] 윌프리드가 자리를 비운 사이, 알프리드가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실패했고, 그 결과 윌프리드가 주교로 착좌하는 데 문제가 생겼다. 결국 셰다가 이미 주교로 임명되어 윌프리드는 노섬브리아로 돌아오기 전에 몇 년간 리펀에 머물러야 했다.[6]

윌프리드가 살았던 시대의 브리튼과 아일랜드는 여러 작은 왕국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7세기 후반, 험버 강 남쪽에는 웨섹스, 이스트앵글리아, 머시아, 켄트 왕국 등이 있었다. 험버 강과 포스 사이에는 데이라와 버니시아라는 두 개의 주요 왕국이 있었는데, 이들은 종종 노섬브리아 왕국으로 통합되었다.[10]

당시 기독교는 일부 왕국에 최근에 전파되었다.[17] 남부 브리튼에는 597년 켄트에 도착한 그레고리오 선교단이, 노섬브리아와 인근 왕국에는 하이베르노-스코틀랜드 선교단이 기독교를 전파했다.[18]

2. 1. 초기 생애와 교육 (633년 ~ 664년)

7세기 후반 앵글로색슨 왕국


윌프리드는 633년경 노섬브리아 왕국에서 태어났다.[34] 데이라 출신 귀족 가문으로 추정되며,[35] 14세 무렵 계모와의 불화로 집을 떠났다.[36] 왕실과 교류가 잦은 집안 환경 덕분에, 윌프리드는 왕실에 어울리는 복장과 수행원을 갖추고 있었다.[182]

에안플레드 왕비의 후원을 받아 오스위 왕의 궁정에 들어갔다.[36] 이후 왕비의 주선으로 아이단이 세운 린디스판 섬의 수도원으로 보내져, 648년경 그곳에서 수도 생활을 하던 쿠다의 가르침을 받았다.[37] 린디스판에서 윌프리드는 시편 전체를 암송하고 여러 책을 읽으며 공부했다.[38]

652년, 윌프리드는 에안플레드 왕비의 친척이 있는 캔터베리로 가서 에어켄베르트 왕의 보호를 받았다.[37] 캔트에서 1년 정도 머물며, 훗날 켄트 왕이 되는 흘로테르와 베네딕트 비스콥 등 여러 성직자들과 교류했다.[39][40][41]

2. 2. 위트비 시노드와 주교 서임 (664년)

위트비 회의에서 로마 가톨릭 교회의 대변인으로 활동하면서, 부활절 날짜를 계산하는 로마식 방법을 채택해야 하는 이유를 주장하는 명연설을 통해 유명해졌다.[6] 그 결과, 당시 왕의 아들인 알프리드가 그를 노섬브리아의 주교로 임명했다. 윌프리드는 그 당시 영국에서 축성된 주교가 부족하다고 생각해서 갈리아에서 주교 서임을 받았다.[6] 윌프리드가 자리를 비운 사이, 알프리드는 그의 아버지인 오스위우의 왕위를 찬탈하려는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그 결과 윌프리드가 주교로 착좌하는 데 문제가 생겼으며, 셰다가 이미 주교로 임명되어 윌프리드는 노섬브리아로 돌아오기 전에 몇 년간 리펀에 머물러야 했다.[6]

2. 3. 주교직 분쟁과 추방 (665년 ~ 686년)

665년부터 668년까지 윌프리드는 리폰 수도원장으로 재직하면서, 머시아와 켄트에서 주교직을 수행하기도 했다.[42] 669년 요크 주교좌에 임명되었으나,[42] 노섬브리아 왕국의 왕 에그프리트와의 갈등으로 677년[111] 또는 678년에 주교직에서 파면되었다.[37]

노섬브리아 지도. 서해안의 휘던 주교구, 북해안의 아버콘, 북동해안의 린디스펀, 남쪽의 요크를 보여줍니다. 헥섬 주교구는 중앙에 있습니다. 리폰 수도원은 요크와 헥섬 사이에 있으며, 휘트비는 린디스펀 남쪽 해안에 있습니다.
670년경 노섬브리아의 수도원과 주교구


윌프리드의 파면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했다. 휘트비의 힐다는 윌프리드를 싫어하는 노섬브리아 교회의 파벌 지도자였고, 캔터베리 대주교 테오도르와의 긴밀한 관계는 윌프리드의 입지를 약화시켰다.[42] 윌프리드가 에델드리트의 수녀원 입회를 장려한 것도 파면에 영향을 주었다.[100] 그는 에델드리트가 엘리 수도원에 은퇴하면서 수녀원에 입회하는 의식에서 직접 베일을 씌워주었다.[151] 에델드리트는 윌프리드가 헥섬 수도원을 세우는 데 사용한 토지를 기증했는데, 이는 왕비의 지참금 토지의 일부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에크프리트가 재혼했을 때 그의 새 왕비가 되찾고 싶어했던 토지였다.[112] 윌프리드가 머시아 왕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은 것도 에크프리트와의 문제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201]

테오도르는 이 상황을 이용하여 큰 교구를 나누는 것에 관한 공의회의 법령을 시행했다.[81] 테오도르는 윌프리드의 교구에서 요크, 헥섬, 린디스펀, 린지 지역에 새로운 주교구를 설립했다.[113] 이들 주교구에 임명된 주교들은 모두 휘트비에서 "켈트"파를 지지했거나 그들에게 훈련받은 사람들이었다.[86] 윌프리드는 새로운 주교들이 부활절 날짜 계산에 대한 "켈트"식 방법을 지지했기 때문에 진정한 교회 구성원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그들과 함께 섬길 수 없다고 주장했다.[86]

686년, 윌프리드는 피크트족과의 전투에서 에그프리트가 사망한 후 노섬브리아로 소환되었다.[69][140] 에그프리트 사후 테오도르는 노섬브리아의 새 왕 알드프리트와 메르시아의 왕 에셀레드, 휘트비 수도원장 엘플레드에게 편지를 써서 윌프리드의 노섬브리아 귀환을 허용하는 협정을 맺을 것을 제안했다. 알드프리트가 동의하자 윌프리드는 북쪽으로 돌아왔다.[37] 그러나 윌프리드는 헥삼과 린디스펀이 별개의 주교구로 남아 있었기 때문에 이전 주교직 전체를 회복하지 못했다.[37] 윌프리드는 리폰에 거주했던 것으로 보이며, 687년 컷베르트 사후 한동안 린디스펀 주교직을 관리했다.[140]

2. 4. 노섬브리아 복귀와 말년 (686년 ~ 709/710년)

686년 윌프리드는 픽트족과의 전투에서 에그프리트가 사망한 후 노섬브리아로 돌아왔다.[69][140] 에그프리트 사후 테오도르는 노섬브리아의 새 왕 알드프리트, 메르시아의 왕 에셀레드, 휘트비 수도원의 수녀원장 엘플레드에게 편지를 써서 윌프리드의 노섬브리아 복귀를 위한 협정을 제안했다. 알드프리트가 동의하여 윌프리드는 북쪽으로 돌아왔으나, 헥섬과 린디스판이 별개의 주교구로 남아 있었기 때문에 이전 주교직 전체를 회복하지는 못했다.[37] 윌프리드는 리펀에 거주하며 687년 컷베르트 사후 한동안 린디스판 주교직을 관리했다.[140]

691년 토지에 대한 알드프리트 왕과의 다툼과 함께 주교구 분할 문제가 다시 발생했고,[37] 윌프리드가 모든 토지를 포기하거나 리펀에 머물도록 하는 시도가 있었다.[139] 리펀을 주교구로 만드는 제안도 분쟁의 원인이 되었다. 타협이 불가능해지자 윌프리드는 노섬브리아를 떠나 메르시아로 갔고, 보사는 요크로 돌아왔다.[37]

말즈베리의 윌리엄이 『앵글로색슨 주교 연대기(Gesta pontificum Anglorum)』에서 불완전하게 인용한 라틴어 편지에 따르면, 알드헬름은 윌프리드의 수도원장들에게 "여러분을 아버지의 사랑으로 양육하고, 가르치고, 책망한" 망명 중인 주교를 기억하라고 요청하며, 충성심이라는 세속 귀족 이상에 호소하며 그들의 상급자를 버리지 말 것을 촉구했다.[142][143] 이 편지는 690년대 알드프리트 치하에서 윌프리드가 망명했던 시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144]

머시아에 머무는 동안 윌프리드는 에텔레드 왕의 동의하에 주교직을 수행했다.[145] 그는 일반적으로 약 706년 헥섬으로 옮겨지기 전까지 레스터 주교였던 것으로 여겨진다.[147] 윌프리드는 프리지아 선교 활동에 참여했는데, 이는 그가 678년 프리지아에 머무는 동안 시작한 것이었다. 윌프리드는 윌리브로르드의 선교 활동을 도왔다.[148] 윌리브로르드는 리펀의 수도승이자 노섬브리아 출신이었다.[149]

윌프리드는 695년 엘리 수도원에서 에텔드리스 여왕의 시신 발굴에 참석했다. 그는 670년대에 그녀의 영적 조언자였으며, 남편인 노섬브리아의 에크프리트 왕의 뜻에 반하여 여왕이 수녀가 되도록 도왔다. 695년 의식에서 그녀의 시신은 부패하지 않은 채 발견되었고, 이는 그녀가 성녀로 선포되는 계기가 되었다.[150] 에텔드리스의 성품과 순결에 대한 윌프리드의 증언은 베다에 의해 기록되었다.[151]

700년경, 윌프리드는 요크에서의 축출에 대해 세르기우스 1세 교황에게 다시 항소했고, 교황은 이 문제를 영국의 공의회로 되돌렸다. 702년 알드프리트 왕은 오스터필드에서 공의회를 열어 윌프리드의 축출을 옹호했고, 윌프리드는 다시 교황에게 항소하기 위해 로마로 갔다.[153] 이 공의회는 새로운 캔터베리 대주교인 베르트왈드가 주재했으며, 공의회의 결정은 윌프리드가 리펀을 제외한 모든 수도원에서 박탈되고 주교직을 수행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윌프리드가 교황청에 계속 항소하자 그의 반대자들은 그와 그의 지지자들을 파문했다.[37]

로마로 가는 길에 윌프리드는 프리지아에서 윌리브로르드를 방문했다.[120] 로마에 도착한 후 요한 6세는 공의회를 열었고, 그 공의회는 노섬브리아 왕이 윌프리드를 그의 주교좌로 복귀시키는 이전 교황령을 따라야 한다고 선언했다.[153] 윌프리드는 교황청에서 그리스어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고 당황했고, 그의 전기 작가는 교황이 윌프리드가 이해할 수 없는 언어로 고문들과 항소에 대해 논의했을 때 윌프리드가 불쾌해했다고 적었다.[203] 교황은 또한 이 문제를 결정하기 위해 영국에서 또 다른 공의회를 소집하고 보사, 버트월드, 윌프리드의 참석을 명령했다. 영국으로 돌아가는 여정에서 윌프리드는 모에서 발작을 일으켰지만 705년까지 켄트로 돌아왔다.[37]

윌프리드가 영국으로 돌아온 직후 알드프리트가 사망했다. 새로운 왕인 에이드울프는 윌프리드의 친구 중 한 명으로 여겨졌지만 즉위 후 윌프리드에게 노섬브리아에 머물지 말라고 명령했다. 에이드울프의 통치는 몇 달 만에 끝났고, 알드프리트의 아들 오스레드를 위해 물러나게 되었다.[37] 윌프리드는 오스레드의 영적 조언자 역할을 했다.[42] 윌프리드는 휘트비 수도원의 수녀원장인 오스위우의 딸 엘플레드[154]와 귀족 베온해스[155]와 함께 오스레드의 주요 지지자 중 한 명이었을 것이다. 오스레드가 왕위를 굳건히 한 후 윌프리드는 706년에 리펀과 헥섬으로 복귀했다. 요크의 보사가 죽었을 때, 윌프리드는 존 오브 베벌리를 요크에 임명하는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이 임명은 존 오브 베벌리가 헥섬에서 옮겨오는 것을 의미했고, 윌프리드는 사망할 때까지 헥섬에서 주교직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37] [156]

노섬브리아로 마지막 귀환 후 윌프리드는 리펀의 수도원에서 은퇴하여 생을 마감할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그는 온들을 방문하던 중 7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74] 그의 사망은 709년[174] 또는 710년[175]으로 추정된다. 사망하기 조금 전, 윌프리드는 뇌졸중이나 발작을 겪었고, 이로 인해 수도원과 재산을 처분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그는 리펀에 있는 그의 교회 제단 근처에 매장되었다.[37] 헥섬에서는 703년 로마에 그와 동행했던 그의 후원자 아카가 윌프리드의 뒤를 이었다.[176][177]

3. 윌프리드의 유산과 영향

윌프리드는 7세기 후반 잉글랜드의 여러 왕국과 유럽 대륙에 걸쳐 폭넓은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그는 교회 건축, 수도원 설립, 선교 활동뿐만 아니라 정치, 외교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윌프리드는 노섬브리아 왕국 왕족 출신으로, 린디스판 섬, 캔터버리, 갈리아, 로마 등에서 공부하며 국제적인 경험을 쌓았다.[6] 리펀 시 수도원장, 위트비 시노드 대변인, 요크 주교 등을 역임하며 교회 내에서 중요한 직책을 맡았다. 특히 위트비 시노드에서는 부활절 계산 방식에 대한 로마 교회의 입장을 옹호하며 명성을 얻었다.[57]

노섬브리아의 왕 오스위우와 그의 아들 알프리드와의 관계에서 알 수 있듯이 정치적으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알프리드는 윌프리드에게 리펀의 수도원을 기증했지만,[42][67] 이후 아버지에게 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하면서 윌프리드의 주교직 수행에 어려움을 초래하기도 했다.[68][77] 웨섹스 왕 켄왈과 아길베르트 주교 사이의 협상을 중재하고,[80] 메로빙거 왕조 왕자 다고베르트 2세의 협상에 참여하는 등 외교적인 역할도 수행했다.[96]

여러 왕국에 걸쳐 수도원을 설립하고,[160] 교회 건축과 자금 조달에 힘쓰며, 왕족과 귀족들의 후원을 받는 등 폭넓은 영향력을 행사했다.[164] 특히 에안플레드 여왕, 에델드리드 여왕, 엘플레드 등 여성들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165][166][167]

노섬브리아 왕실과의 갈등으로 인해 여러 차례 추방당하고 복귀하는 과정을 겪었다. 에그프리트 왕과의 갈등,[86] 알드프리트 왕과의 토지 및 주교구 분할 문제[37] 등이 그 예이다. 교황 요한 6세의 지지를 얻어 영국으로 돌아왔고,[37] 오스레드 왕의 영적 조언자 역할을 하며[42] 생애 마지막까지 영향력을 유지했다.

성 오스왈드 추종을 장려하고 홍보했으며,[157] 그의 제자 윌리브로르트는 프리지아 선교에 나서기도 했다.[159]

3. 1. 교회 건축과 예술 후원

윌프리드는 하드리아누스 장벽에서 가져온 돌을 사용하여 헥섬에 2,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교회를 건설했다.[163] 12세기 리보의 에일레드는 그의 가족이 헥섬 복원에 도움을 주었는데, 윌프리드를 아름다운 그림과 조각으로 장식된 교회의 설계자로 칭찬했다.[168][169] 헥섬과 리폰의 교회는 대륙에서 흔했던 회랑이 있는 바실리카 양식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리폰 교회는 켄트의 교회들과 유사한 포르티쿠스를 통합한 노섬브리아 최초의 교회였다.[170] 12세기 순례자들의 기록에 따르면 헥스햄 교회는 로마의 교회들과 견줄 만했다고 한다.[37] 리폰과 헥섬의 지하 묘소는 특이하며, 윌프리드가 여행 중에 보았던 로마 카타콤을 모방하려는 의도였을 것이다.[37] 지상의 윌프리드 교회 건물은 후대의 구조물로 대체되었지만, 지하 묘소는 여전히 남아 있다. 교회는 대륙에서 온 유리 세공사들이 만든 유리창으로 마감되었다.[171]

윌프리드는 건축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금실로 짠 비단 제단보와 금박 글씨를 쓴 자주색 양피지 복음서를 포함하여 교회를 장식하기 위한 작품들을 의뢰했다. 복음서는 보석이 박힌 금으로 만든 책 표지에 보관되었다. 그가 리폰에 건설한 교회가 봉헌되었을 때, 3일간의 축제가 의식과 함께 열렸다.[182]

3. 2. 베네딕토회 규칙 도입

윌프리드는 자신이 세운 수도원에 베네딕도 수도규칙을 도입했다.[37] 그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캔터베리 수도원이 수도규칙을 따랐다는 증거가 없기 때문에, 영국에 베네딕트 수도규칙을 도입한 최초의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201]

3. 3. 선교 활동

윌프리드는 프리지아 왕 알드기슬(Aldgisl)의 궁정에 머무르며 당시 이교도였던 프리지아인들을 개종시키려 노력했다.[120] 비록 그의 전기 작가는 대부분의 귀족들이 개종했다고 주장하지만,[120] 그 성공은 오래가지 못했다.[148]

이후 5년 동안 윌프리드는 서섹스(남색슨족)의 이교도 주민들을 전도하고 개종시키는 데 힘썼다. 에델왈흐 왕이 윌프리드에게 준 셀시 근처의 영지에 셀시 수도원[42]을 세웠다.[130] 베다는 윌프리드가 남색슨족에게 어업 기술을 가르쳐 주었기 때문에 이들을 개종시킬 수 있었다고 설명한다.[131] 또한 베다는 윌프리드가 도착하기 전 3년 동안 서섹스 지역에 가뭄이 들었지만, 윌프리드가 도착하여 개종자들에게 세례를 주기 시작하자 기적적으로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고 전한다.[132] 윌프리드는 파검 항구 입구 근처에 자신의 대성당을 건설했는데, 현재 처치 너튼으로 여겨진다.[134]

윌프리드는 웨섹스의 케드왈라에 의해 아직 이교도였던 와이트 섬으로 보내져 주민들을 개종시키려 했다.[81] 케드왈라 왕은 섬의 땅 4분의 1을 윌프리드에게 선물로 주었다.[136]

3. 4. 정치적 영향력

윌프리드는 여러 왕국의 왕과 왕비, 귀족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특히, 노섬브리아 왕국 왕실과의 갈등은 당시 잉글랜드 정치와 종교적 상황의 복잡성을 보여준다.[6] 윌프리드는 왕족 출신으로 십 대 때 성직 생활을 시작하여 린디스판 섬, 캔터버리, 갈리아, 로마 등지에서 공부했다.[67] 그는 리펀 시의 수도원장, 위트비 시노드의 로마 가톨릭 교회 대변인, 노섬브리아 주교 등을 역임하며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

윌프리드는 노섬브리아의 왕 오스위우의 아들 알프리드와 긴밀한 관계였다. 664년 이전, 알프리드는 윌프리드에게 리펀에 새로 세운 수도원을 주었다.[42][67] 그러나 윌프리드가 주교 서품을 위해 갈리아에 간 사이, 알프리드는 아버지 오스위우에게 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했다.[68][77] 이 사건은 윌프리드가 노섬브리아로 돌아와 주교직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 원인 중 하나로 추정된다.

윌프리드는 웨섹스의 왕 켄왈을 설득하여 아길베르트가 주교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협상하는 등 외교적 활동에도 참여했다.[80] 또한, 메로빙거 왕자 다고베르트 2세의 협상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기도 했다.[96]

686년, 윌프리드는 피크트족과의 전투에서 에그프리트 왕이 사망한 후 노섬브리아로 돌아왔다.[69][140] 테오도르 대주교는 노섬브리아의 새 왕 알드프리트와 메르시아의 왕 에셀레드에게 편지를 보내 윌프리드의 복귀를 중재했다.[37] 그러나 윌프리드는 헥섬과 린디스펀이 별도의 주교구로 남아있었기 때문에 이전의 주교직 전체를 회복하지는 못했다.[37] 691년, 토지 문제와 주교구 분할 문제로 알드프리트 왕과 다시 갈등을 빚었고, 결국 윌프리드는 노섬브리아를 떠나 메르시아로 갔다.[37]

705년, 윌프리드는 요한 6세의 지지를 받아 영국으로 돌아왔다.[37] 알드프리트 왕이 사망한 후, 새 왕 에이드울프는 윌프리드에게 노섬브리아에 머물지 말라고 명령했지만, 곧 오스레드로 왕위가 교체되었다.[37] 윌프리드는 오스레드의 영적 조언자 역할을 했으며,[42] 706년에 리폰과 헥스햄으로 복귀했다.[37]

윌프리드는 여러 왕국에 걸쳐 수도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160] 교회 건축, 자금 조달, 왕족 및 귀족과의 교류 등을 통해 폭넓은 영향력을 행사했다. 특히 여성들의 강력한 지지를 받았는데, 에안플레드 여왕, 에델드리드 여왕, 엘플레드 등이 그를 후원했다.[165][166][167]

4. 평가

윌프리드는 잉글랜드 기독교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잉글랜드에 로마 가톨릭 교회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베네딕토회 규칙을 도입했으며, 여러 교회를 건축하여 잉글랜드 종교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198] 윌프리드는 성인의 유물을 로마에서 가져온 최초의 주교 중 한 명이었다.[195] 그는 베네딕토회 수도원 제도를 적극적으로 지지했으며,[46] "스코틀랜드인이 심은 독초를 뿌리 뽑는" 데 앞장섰다고 평가받는다.[196]

664년 위트비 시노드에서 로마 가톨릭 교회의 대변인으로 활동하며 부활절 일자 계산의 로마식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유명해졌다.[57] 그는 리펀 시에 새로 생긴 수도원의 수도원장이 되었고, 노섬브리아의 주교로 임명되기도 했다.[57]

윌프리드는 픽트족 왕국에서도 일부 교회직을 수행하려고 했으며,[91] 679년 로마에서는 "앵글로색슨과 브리튼인, 게일인과 픽트족이 거주하는 브리튼 북부, 아일랜드, 그리고 섬 전체"에 대한 권한을 주장하기도 했다.[93] 그는 교회 의식에서 음악 사용을 옹호했고, 화답송과 응답으로 노래하는 이중 합창단을 포함한 로마식 교회 음악을 가르치도록 했다.[37] 또한 베네딕트 수도규칙을 도입하고,[37] 학교를 설립했으며, 노섬브리아의 왕비 에델드리드의 종교 고문이 되기도 했다.[99]

윌프리드는 리폰과 헥섬에 웅장한 교회들을 건축했고, 화려한 생활 방식을 유지했다.[51] 그는 여러 차례 유배를 겪으면서도 영국 제도 전역에 수도원 공동체를 설립하고, 죽을 때까지 그 공동체들을 관리했다.[197] 헥섬과 같은 수도원들은 노섬벌랜드에서 게일계와 로마계 기독교 전통이 융합되는 데 기여했고, 이는 학문과 선교 활동의 발전을 이끌었다. 베다와 알퀸은 윌프리드의 영향을 받은 노섬벌랜드 수도원 출신의 대표적인 학자들이다.[198]

그러나 윌프리드는 권위적이고 사치를 추구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왕족에 걸맞는 옷을 입고 전사들을 수행원으로 데리고 다녔으며,[108] 약속을 어긴 어린 소년을 납치하기도 했다.[109] 노섬브리아 왕실과의 지속적인 갈등은 그의 정치적 판단력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특히 에델드리드가 수녀가 되도록 도운 일은 왕실과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요인이었다.[100]

4. 1. 긍정적 평가

윌프리드는 잉글랜드 기독교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잉글랜드에 로마 가톨릭 교회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윌프리드는 활발한 선교 활동을 펼치고, 베네딕토회 규칙을 도입했으며, 여러 교회를 건축하여 잉글랜드 종교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198]

윌프리드는 성인의 유물을 로마에서 가져온 최초의 주교 중 한 명이었다.[195] 그는 베네딕토회 수도원 제도를 적극적으로 지지했으며,[46] "스코틀랜드인이 심은 독초를 뿌리 뽑는" 데 앞장섰다고 평가받는다.[196] 윌프리드는 리폰과 헥섬에 웅장한 교회들을 건축했고, 화려한 생활 방식을 유지했다.[51] 그는 여러 차례 유배를 겪으면서도 영국 제도 전역에 수도원 공동체를 설립하고, 죽을 때까지 그 공동체들을 관리했다.[197]

특히 헥섬과 같은 수도원들은 노섬벌랜드에서 게일계와 로마계 기독교 전통이 융합되는 데 기여했고, 이는 학문과 선교 활동의 발전을 이끌었다. 베다와 알퀸은 윌프리드의 영향을 받은 노섬벌랜드 수도원 출신의 대표적인 학자들이다. 윌프리드의 선교 활동은 잉글랜드를 넘어 대륙까지 이어졌으며, 그의 영향을 받은 선교사들은 독일 등지에서 이교도들을 개종시키는 데 힘썼다.[198]

윌프리드는 당대의 거의 모든 주요 세속 및 교회 인물들과 갈등을 빚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199] 앵글로색슨족 역사가 힌들리는 "윌프리드는 기독교 미덕인 겸손을 통해 성인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평가했다.[36] 역사가 바바라 요크는 "윌프리드의 성격은 그가 동등한 정도로 매력을 끌고 격분시킬 수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197] 윌프리드의 동시대인이자 부활절의 로마식 날짜 지정을 지지했던 베다는 윌프리드를 다소 불안하게 여기며, 그의 성직자와 주교로서의 처신에 대해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200]

역사가 에릭 존은 윌프리드가 수도원 제도를 통해 교회를 개선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그의 로마에 대한 잦은 호소는 개인적인 이익보다는 수도원 제국을 유지하려는 목적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았다. 또한 윌프리드의 화려함에 대한 비판에 대해, 당시 가장 빠른 이동 수단이 말을 타는 것이었음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201]

역사가 피터 헌터 블레어는 윌프리드가 7세기 영국 교회의 성격에 독특한 발자취를 남겼다고 평가하면서도, 그가 겸손하거나 학문에 큰 관심이 있었던 인물은 아니었다고 말한다. 또한 윌프리드가 갈로-로마 주교단의 일원이었다면, 그의 부와 국가 문제 개입이 덜 문제가 되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202] 또 다른 역사가인 R. W. 서던은 윌프리드를 "그 세기의 가장 위대한 교황 열성가"라고 평가했다.[203] 앵글로색슨 시대를 전문으로 하는 역사가 제임스 캠벨은 윌프리드가 금욕적인 삶을 살았고, 성 베네딕트 규칙에 따라 여러 수도원을 설립했으며, 서섹스에 기독교를 확립하고 프리지아에서도 선교 활동을 펼친, 당대 가장 위대한 교회 인물 중 한 명이었다고 평가했다.[204]

4. 2. 부정적 평가

윌프리드는 권위적이고 사치를 추구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왕족에 걸맞는 옷을 입고 전사들을 수행원으로 데리고 다녔으며, 심지어 약속을 어긴 어린 소년을 납치하기도 했다.[108][109] 이러한 행동은 기독교적 미덕인 겸손과는 거리가 멀다는 평가를 받았다.[36]

노섬브리아 왕실과의 지속적인 갈등은 그의 정치적 판단력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특히 에델드리드가 수녀가 되도록 도운 일은 왕실과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요인이었다.[100]

그의 행적은 때때로 성인으로서의 면모와 상반되는 모습을 보였다. 앵글로색슨 역사가 힌들리는 "윌프리드는 기독교 미덕인 겸손을 통해 성인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평가했다.[36]

4. 3.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평가

윌프리드는 중세 초기 잉글랜드의 종교 지도자로서, 그의 활동은 당시 사회의 변화와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윌프리드의 선교 활동은 앵글로색슨족과 브리튼 원주민, 게일족 등 다양한 민족 간의 갈등을 완화하고 사회 통합에 기여했다.[92] 특히, 664년 휘트비 회의에서 로마식 부활절 계산법을 지지하여 잉글랜드 교회의 통일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57]

윌프리드는 베네딕도회 규칙을 잉글랜드에 도입하여 수도원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에도 크게 기여했다.[51] 리폰과 헥섬 등지에 수도원을 설립하고,[99] 베네딕토회 규칙을 따르는 수도원 공동체를 육성하여 학문과 선교 활동의 중심지로 만들었다.[198] 이러한 수도원들은 훗날 베다와 알퀸과 같은 뛰어난 학자들을 배출하는 기반이 되었다.[198]

그러나 윌프리드는 권위주의적 성향과 사치스러운 생활 방식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108] 그는 왕족에 버금가는 화려한 행렬을 이끌고 다녔으며,[108] 자신의 권위에 도전하는 이들에게는 가혹하게 대응했다.[199] 또한, 노섬브리아 왕실과의 갈등은 권력과 종교의 관계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제기한다.[112] 특히, 에크프리트 왕과의 불화는 윌프리드가 주교직에서 쫓겨나는 결과를 낳았다.[37]

그럼에도 불구하고, 윌프리드는 잉글랜드 교회 발전에 헌신한 인물이었다. 그는 교구 내에서 사목 활동에 힘썼고,[105] 이교도 지역에 교회를 세우는 등 선교 활동에도 적극적이었다.[103] 그의 노력은 잉글랜드 교회가 로마 가톨릭 교회와 긴밀한 관계를 맺는 데 기여했으며,[104] 잉글랜드의 종교적, 문화적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5.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Orthodox Saints
[2] 웹사이트 About the Diocese http://middlesbrough[...] Roman Catholic Diocese of Middlesbrough 2022-02-01
[3] 웹사이트 St. Wilfrid https://www.dioceseo[...] Roman Catholic Diocese of Leeds 2019-02-16
[4] 웹사이트 History http://riponcathedra[...] Ripon Cathedral
[5] 서적 From Caledonia to Pictland
[6] 서적 Blackwell Encyclopedia of Anglo-Saxon England
[7] 서적 Earliest English Kings
[8] 서적 Kings and Kingdoms
[9] 서적 Conversion of Britain
[10] 서적 Kings and Kingdoms
[11] 서적 Conversion of Britain
[12] 서적 Kings and Kingdoms
[13] 서적 Seanchas
[14] 서적 Scottish Historical Review
[15] 서적 Mercia
[16] 서적 Conversion of Britain
[17] 서적 Earliest English Kings
[18] 서적 Conversion of Britain
[19] 서적 Conversion of Britain
[20] 서적 Conversion of Britain
[21] 서적 World of Bede
[22] 서적 Narrators of Barbarian History
[23] 서적 Dictionary of Medieval Terms and Phrases
[24] 서적 Early Medieval Europe
[25] 서적 From Caledonia to Pictland
[26] 서적 Introduction to Anglo-Saxon England
[27] 서적 Sacred Biography
[28] 서적 (Re-)reading Bede
[29] 서적 Renascence
[30] 서적 Narrators of Barbarian History
[31] 서적 Anglo-Saxon Chronicle
[32] 서적 Anglo-Saxon Chronicle
[33] 서적 (Re-)reading Bede
[34] 서적 Coming of Christianity
[35] 서적 Caledonia to Pictland
[36]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Anglo-Saxons
[37]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38] 서적 Conversion of Britain
[39] 서적 Kings and Kingdoms
[40] 서적 Earliest English Kings
[41] 서적 World of Bede
[42] 서적 Encyclopedia of Anglo-Saxon England
[43] 서적 Formation of Christendom
[44] 서적 Renascence
[45] 서적 England and the Continent
[46] 간행물 Clergy in Early Anglo-Saxon England
[47] 서적 Age of Bede
[48] 간행물 Construction of Episcopal Sanctity
[49] 간행물 Ceolfrid
[50] 서적 Convert Kings
[51] 서적 Medieval Monasticism
[52] 서적 World of Bede
[53] 서적 World of Bede
[54] 서적 World of Bede
[55] 간행물 Ceolfrid
[56] 서적 Land, Church and People
[57] 서적 Making of Early England
[58] 간행물 Council of Whitby
[59] 서적 Reassessing Anglo-Saxon England
[60] 간행물 Council of Whitby
[61] 서적 Introduction to Anglo-Saxon England
[62] 서적 Barbarian Conversion
[63] 서적 World of Bede
[64] 서적 Anglo-Saxon England
[65] 서적 Conversion of Britain
[66] 서적 Rise of Western Christendom
[67] 서적 Earliest English Kings
[68] 서적 Reassessing Anglo-Saxon England
[69] 서적 Handbook of British Chronology
[70] 서적 Encyclopedia of Anglo-Saxon England
[71] 서적 Caledonia to Pictland
[72] 서적 Caledonia to Pictland
[73] 서적 Land, Church, and People
[74] 간행물 Council of Whitby
[75] 서적 Coming of Christianity
[76] 서적 Western Church
[77] 간행물 Council of Whitby
[78] 서적 Age of Bede
[79] 서적 Holy Men and Holy Women
[80] 간행물 Decrees of Agatho
[81] 서적 Reassessing Anglo-Saxon England
[82] 서적 Earliest English Kings
[83] 서적 Church in Anglo-Saxon Society
[84] 서적 Encyclopedia of Anglo-Saxon England
[85] 서적 Introduction to Anglo-Saxon England
[86] 서적 Earliest English Kings
[87] 서적 Rise of Western Christendom
[88] 서적 Caledonia to Pictland
[89] 서적 Earliest English Kings
[90] 서적 Earliest English Kings
[91] 서적 Kings and Kingdoms
[92] 서적 Earliest English Kings
[93] 서적 Caledonia to Pictland
[94] 서적 Anglo-Saxon England
[95] 서적 Introduction to Anglo-Saxon England
[96] 서적 Making of Early England
[97] 서적 Long-haired Kings
[98] 간행물 Bede
[99] 서적 Church in Anglo-Saxon Society
[100] 서적 Anglo-Saxon England
[101] 서적 Introduction to Anglo-Saxon England
[102] 서적 Conversion of Britain
[103] 서적 Church in Anglo-Saxon Society
[104] 서적 Rise of Western Christendom
[105] 서적 Church in Anglo-Saxon Society
[106] 서적 Age of Bede
[107] 서적 Essays in Anglo-Saxon History
[108] 서적 Anglo-Saxon Art
[109] 서적 Caledonia to Pictland
[110] 서적 Caledonia to Pictland
[111] 서적 Anglo-Saxon England
[112] 서적 Kingdom of Northumbria
[113] 서적 Making of Early England
[114] 서적 Church in Anglo-Saxon Society
[115] 서적 Speculum
[116] 서적 Caledonia to Pictland
[117]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Anglo-Saxons
[118] 서적 Western Society
[119] 서적 Introduction to Anglo-Saxon England
[120] 서적 England and the Continent
[121] 서적 England and the Continent
[122] 서적 Speculum
[123] 서적 Archbishop Theodore
[124] 서적 Anglo-Saxon Governance
[125] 서적 England and the Continent
[126] 서적 Age of Bede
[127] 서적 Constitutional and Legal History
[128] 서적 Coming of Christianity
[129] 서적 Anglo-Saxon England
[130] 서적 History
[131] 서적 History
[132] 서적 Barbarian Conversion
[133] 서적 Kings and Kingdoms
[134] 서적 History of Selsey
[135] 서적 Church in Anglo-Saxon Society
[136] 서적 Kings and Kingdoms
[137] 서적 Making of Early England
[138] 서적 Earliest English Kings
[139] 서적 Church in Anglo-Saxon Society
[140] 서적 Anglo-Saxon England
[141] 간행물 Wilfrid's "Usurping Bishops"
[142] 간행물 Aldhelmi Opera
[143] 간행물 English Historical Documents
[144] 간행물 Images of Sanctity
[145] 간행물 Earliest English Kings
[146] 간행물 Bede
[147] 간행물 Handbook of British Chronology
[148] 간행물 Brief History of the Anglo-Saxons
[149] 간행물 Barbarian Conversion
[150] 간행물 Narrators
[151] 간행물 Narrators
[152] 간행물 Narrators
[153] 간행물 Anglo-Saxon England
[154] 간행물 Kings and Kingdoms
[155] 간행물 Kings and Kingdoms
[156] 간행물 Narrators
[157] 간행물 Oswald
[158] 간행물 Adaptation of the Anglo-Saxon Royal Courts
[159] 간행물 Reassessing Anglo-Saxon England
[160] 간행물 Anglo-Saxon State
[161] 간행물 Introduction
[162] 간행물 Rise of Western Christendom
[163] 간행물 Rise of Western Christendom
[164] 간행물 Church in Anglo-Saxon Society
[165] 간행물 Reluctant Kings
[166] 간행물 Anglo-Saxon Double Monasteries
[167] 간행물 Ælfflæd
[168] 간행물 Anglo-Saxon Art
[169] 간행물 Saint Wilfrid's Church at Hexam
[170] 간행물 Saint Wilfrid
[171] 간행물 Making of Early England
[172] 간행물 World of Bede
[173] 간행물 Making of Early England
[174] 간행물 Brief History of the Anglo-Saxons
[175] 간행물 Bede
[176] 서적 World of Bede
[177] 서적 England and the Continent
[178] 서적 Wilfrid
[179] 서적 Age of Bede
[180] 서적 St Wilfrid of Ripon
[181] 서적 Saint Wilfrid at Hexham
[182] 서적 Barbarian Conversion
[183] 서적 Earliest English Kings
[184] 서적 Kings and Kingdoms
[185] 서적 New Dictionary of Saints
[186] 서적 Church in Anglo-Saxon Society
[187] 서적 Medieval Art and Architecture at Canterbury Before 1220
[188] 서적 Early History of the Church of Canterbury
[189] 서적 St Oswald of Worcester
[190] 서적 Medieval State
[191] 서적 Cathedral Shrines
[192] 서적 Folklore
[193] 서적 Oxford Book of Days
[194] 서적 Oxford Dictionary of Saints
[195] 서적 English Church and the Papacy
[196] 서적 Medieval Monasticism
[197] 서적 Conversion of Britain
[198] 서적 Kingdom of Northumbria
[199] 서적 Brief History of the Anglo-Saxons
[200] 서적 Rise of Western Christendom
[201] 서적 Reassessing Anglo-Saxon England
[202] 서적 World of Bede
[203] 서적 Western Society
[204] 서적 Essays in Anglo-Saxon History
[205] 서적 From Caledonia to Pictla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