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로칸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로칸산은 히스티딘으로부터 생성되는 물질로, 자외선 차단 및 면역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히스티딘 암모니아-분해효소에 의해 히스티딘으로부터 생성되며, 간에서 4-이미다졸론-5-프로피온산으로 전환된 후 글루탐산으로 대사된다. 유로카나제 결핍은 유로칸산뇨증을 유발하며, 피부의 필라그린은 유로칸산의 전구체로서 아토피 피부염 및 천식과 관련이 있다. 또한, 분선충의 유인 물질로 작용하며, UVB에 노출 시 트랜스-유로칸산은 시스-유로칸산으로 전환되어 조절 T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유로칸산은 1874년 막스 야페에 의해 개 소변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자외선 차단제, 광보호제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미다졸 - 히스티딘
    히스티딘은 이미다졸 곁사슬을 가진 필수 아미노산으로, 효소 촉매 반응, 금속 이온과의 결합, 다른 생물학적 활성 아민으로의 전환 등 다양한 생물학적 역할을 수행하며, 성인의 경우 체중 1kg당 14mg이 권장된다.
  • 이미다졸 - 온단세트론
    온단세트론은 선택적 세로토닌 5-HT3 수용체 길항제로서 화학요법이나 수술 후 메스꺼움과 구토를 예방하고, 임신 중 입덧, 위장염 관련 구토 완화, 설사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 증상 개선에 사용되지만, 두통, 변비, 설사 등의 흔한 부작용과 QT 연장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다.
  • 알켄 유도체 - 테스토스테론
    테스토스테론은 남성의 고환에서 분비되는 안드로겐 호르몬으로, 단백질 합성 및 조직 성장을 촉진하고 근육량, 골밀도 증가, 2차 성징 발현, 성욕 증진 등에 관여하며,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치료 등에 사용된다.
  • 알켄 유도체 - 리날룰
    리날룰은 여러 식물의 정유에서 발견되는 테르페노이드로, 두 개의 거울상이성질체를 가지며 향료 및 향수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다양한 화학적 유도체 생성에 이용된다.
  • 카복실산 - 올레산
    올레산은 동물성 및 식물성 기름에 널리 분포하는 오메가-9 지방산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LDL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 카복실산 - 아세트산
    아세트산(CH₃COOH)은 식초의 주성분인 카르복실산으로, 다양한 화학적 합성법과 발효법으로 대량 생산되며, 산업 및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고농도에서는 부식성이 강해 주의해야 한다.
유로칸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우로칸산
트랜스형 우로칸산
IUPAC 이름(2E)-3-(1H-이미다졸-4-일)프로프-2-엔산
다른 이름(E)-3-(1H-이미다졸-4-일)아크릴산
다른 이름(E)-3-(3H-이미다졸-4-일)-2-프로펜산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104-98-3
UNIIG8D26XJJ3B
펍켐 아이디1178
ChEBI30817
메쉬 이름우로칸산
켐스파이더 아이디643824
SMILESc1c(nc[nH]1)/C=C/C(=O)O
인치1/C6H6N2O2/c9-6(10)2-1-5-3-7-4-8-5/h1-4H,(H,7,8)(H,9,10)/b2-1+
인치키LOIYMIARKYCTBW-OWOJBTEDBA
표준 인치1S/C6H6N2O2/c9-6(10)2-1-5-3-7-4-8-5/h1-4H,(H,7,8)(H,9,10)/b2-1+
표준 인치키LOIYMIARKYCTBW-OWOJBTEDSA-N
KEGGC00785
일본 화학 물질 사전 번호J5.039C
일본 화학 물질 사전 번호 (시스/Z형)J168.823E
속성
화학식C6H6N2O2
몰 질량138.124 g/mol
외형알 수 없음
밀도알 수 없음
녹는점225°C
끓는점알 수 없음
용해도알 수 없음
위험성
주된 위험알 수 없음
인화점알 수 없음
자연 발화점알 수 없음

2. 물질대사

유로칸산은 히스티딘 암모니아-분해효소(히스티디네이스라고도 함)의 작용을 통해 L-히스티딘으로부터 암모늄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에서 유로칸산은 유로카네이스(유로칸산 수화효소라고도 함)에 의해 4-이미다졸론-5-프로피온산으로 전환되고, 이어서 글루탐산으로 전환된다.

3. 임상적 중요성

유로카네이스 결핍은 유로칸산뇨증으로 알려진 질환으로, 소변 내 유로칸산 수치를 증가시킨다.[12][13] 필라그린은 아토피 피부염천식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로칸산의 피부 전구체이다.[1][2]

유로칸산은 분선충 기생충의 중요한 유인 물질로 여겨진다.[3] 이는 발바닥 표면에 유로칸산 수치가 비교적 높기 때문이며, 분선충은 주로 이 부위를 통해 신체에 침투한다. 유로카네이스 유전적 결손으로 유로칸산 대사가 지연되면 체내에 유로칸산이 축적되고 혈중 농도도 높아진다. 그 결과, 소변에 유로칸산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섞여 배설되는데, 이 증상을 유로칸산뇨증이라 한다.

4. 기능

유로칸산은 동물의 땀과 피부에서 발견되며, UVB를 흡수하여 DNA 손상을 막는 작용을 한다. 유로칸산의 대부분은 피부의 각질층에 존재하며, 주로 필라그린(히스티딘 풍부 단백질)의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VB에 노출되면 트랜스-유로칸산은 ''생체 외'' 및 ''생체 내''에서 시스-유로칸산으로 전환된다.[4]

유로칸산의 양은 사람마다 다르며, 개인차가 나타난다. 자외선에 대한 내성은 유로칸산뿐만 아니라 다른 요인에 의해서도 결정되지만, 유로칸산의 양은 자외선 내성을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4. 1. 자외선 차단 및 광보호

유로칸산은 동물의 땀과 피부에서 검출되었는데, 다른 가능한 기능들 중에서도 UVB에 의해 유발된 DNA 손상에 대한 내인성 자외선 차단제나 광보호제로 작용한다. 유로칸산은 주로 피부의 각질층에서 발견되며, 대부분은 필라그린(히스티딘이 풍부한 단백질)의 이화 대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UVB에 노출되면, 트랜스-유로칸산은 생체 외 및 생체 내에서 시스-유로칸산으로 전환된다.[14] 시스-유로칸산은 조절 T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일부 연구에서는 필라그린이 히스티딘을 형성하는 분해 메커니즘을 통해 피부 표면을 약산성으로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어서 트랜스-유로칸산을 생성한다고 한다.[16] 그러나 다른 연구들은 필라그린–히스티딘–유로칸산 캐스케이드가 피부의 산성화에 필수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7]

4. 2. 면역 조절

유로카네이스 유전자 결핍은 유로칸산뇨증으로 알려진 상태에서 소변 내 유로칸산 수치를 증가시킨다.

아토피 피부염천식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유로칸산의 피부 전구체인 필라그린이다.[12][13] 유로칸산은 동물의 땀과 피부에서 검출되었는데, 다른 가능한 기능들 중에서도 UVB에 의해 유발된 DNA 손상에 대한 내인성 자외선 차단제나 광보호제로 작용한다. 유로칸산은 주로 피부의 각질층에서 발견되며, 대부분은 필라그린(히스티딘이 풍부한 단백질)의 이화 대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UVB에 노출되면, 트랜스-유로칸산은 생체 외 및 생체 내에서 시스-유로칸산으로 전환된다.[14] 시스-유로칸산은 조절 T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일부 연구에서는 필라그린이 히스티딘을 형성하는 분해 메커니즘을 통해 피부 표면을 약산성으로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어서 트랜스-유로칸산을 생성한다고 한다.[16] 그러나 다른 연구들은 필라그린–히스티딘–유로칸산 캐스케이드가 피부 산성화에 필수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7]

시스 형태는 조절 T 세포를 활성화하며,[5] 면역 능력이 저하된다.[10] 또한, 같은 시스체는 프로스타글란딘 E2 합성을 유도하므로 피부에서 염증이 유발된다.

4. 3. 피부 산성화

일부 연구에서는 필라그린이 히스티딘을 형성하고, 그 다음 트랜스-유로칸산을 형성하는 분해 메커니즘을 통해 피부 표면을 약간 산성으로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했지만,[16] 다른 연구에서는 필라그린-히스티딘-유로칸산 연쇄 반응이 피부 산성화에 필수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7]

4. 4. 기타

유로칸산은 동물의 땀과 피부에서 발견되며, UVB를 흡수하여 DNA 손상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유로칸산의 대부분은 피부의 각질층에 존재하며, 그 대부분이 필라그린(히스티딘 풍부 단백질) 이화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진다. UVB를 조사했을 때 트랜스-유로칸산은 생체 외 및 생체 내에서 시스-유로칸산으로 변화한다.[14] 시스-유로칸산은 조절 T 세포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일부 연구에서는 필라그린이 히스티딘을 형성하는 분해 메커니즘을 통해 피부 표면을 약산성으로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어서 트랜스-유로칸산을 생성한다고 한다.[16] 그러나 다른 연구들은 필라그린–히스티딘–유로칸산 캐스케이드가 피부의 산성화에 필수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7]

유로카나제 결핍증은 소변 내 유로칸산 수치 증가를 유발하며, 이는 유로칸산뇨증으로 알려진 질환이다.

아토피 피부염천식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필라그린은 유로칸산의 피부 전구체이다.[1][2]

유로칸산은 분선충 기생충의 중요한 유인 물질로 여겨지는데,[3] 이는 발바닥 표면에 유로칸산 수치가 비교적 높기 때문이며, 분선충은 이 부위를 통해 신체에 침투하는 경우가 많다.

시스-유로칸산은 억제 T 세포를 활성화하여 면역 능력이 저하되며, 프로스타글란딘 E2의 합성을 유도하므로 피부에서 염증이 유발된다.

유로칸산의 양은 개인차가 있으며, 자외선에 대한 내성을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5. 역사

유로칸산은 1874년에 독일의 화학자 막스 야페에 의해 개의 소변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으며,[12][18][19] 그 이름은 라틴어로 "소변"을 의미하는 "urina"와 "개"를 의미하는 "canis"에서 유래되었다.[8][9][11]

참조

[1] 논문 The Pathogenetic Effect of Natural and Bacterial Toxins on Atopic Dermatitis 2016-12
[2] 논문 Filaggrin mutations associated with skin and allergic diseases 2011-10
[3] 논문 Urocanic acid is a major chemoattractant for the skin-penetrating parasitic nematode Strongyloides stercoralis
[4] 논문 The evaluation of the amount of cis- and trans-urocanic acid in the stratum corneum by Raman spectroscopy 2010-05
[5] 논문 Mechanisms of UV-induced immunosuppression http://www.kjm.keio.[...] 2005-12
[6] 논문 Stratum corneum lipids, skin barrier function and filaggrin mutations in patients with atopic eczema 2010-07
[7] 논문 Is the filaggrin-histidine-urocanic acid pathway essential for stratum corneum acidification? 2010-08
[8] 논문 Ueber die Urocaninsäure https://zenodo.org/r[...] 1875
[9] 논문 Ueber einen neuen Bestandtheil des Hundeharns https://zenodo.org/r[...] 1874
[10] 문서
[11] 문서
[12] 논문 The Pathogenetic Effect of Natural and Bacterial Toxins on Atopic Dermatitis 2016-12
[13] 논문 Filaggrin mutations associated with skin and allergic diseases 2011-10
[14] 논문 The evaluation of the amount of cis- and trans-urocanic acid in the stratum corneum by Raman spectroscopy 2010-05
[15] 논문 Mechanisms of UV-induced immunosuppression http://www.kjm.keio.[...] 2005-12
[16] 논문 Stratum corneum lipids, skin barrier function and filaggrin mutations in patients with atopic eczema 2010-07
[17] 논문 Is the filaggrin-histidine-urocanic acid pathway essential for stratum corneum acidification? 2010-08
[18] 논문 Ueber einen neuen Bestandtheil des Hundeharns https://zenodo.org/r[...] 1874
[19] 논문 Ueber die Urocaninsäure https://zenodo.org/r[...] 187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