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빙은 추운 지방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 주로 시베리아, 알래스카, 북대서양, 남극 등에서 발생한다. 한반도에도 유빙이 형성되거나 떠내려오며, 특히 겨울철 서해안과 동해안에서 관찰된다.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해는 유빙으로 유명하며, 유빙 초일, 유빙 접안 초일, 유빙 종일 등의 용어가 사용된다. 오호츠크해의 유빙은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며, 쇄빙선 관광, 유빙 위 걷기, 스쿠버 다이빙 등의 액티비티가 제공된다. 북아메리카 오대호와 세인트로렌스 강에서도 유빙이 관찰되며, 유빙을 소재로 한 다양한 작품들이 존재한다.

2. 유빙의 발생과 이동

유빙은 주로 시베리아 전역 해안, 알래스카 연안, 북대서양, 북태평양 극북, 남극, 영국본섬 및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노르웨이 서부 북동부 해안, 일본열도 극북 등 추운 지방이라면 나타나는 흔한 현상이다.

유빙 / 유빙


위성 사진으로 본 브랑겔 섬 주변 북극해의 유빙

3. 한반도의 유빙

한반도에도 유빙이 형성되거나 흘러 들어온다. 강원도를 제외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부분과 대한민국 서해 일부 해안이 유빙형성대에 속한다. 겨울철 중 기온이 낮아지면 동해안에는 시베리아에서 결집된 유빙이 떠내려 오기도 하며, 서해안은 극심한 저온으로 인해 서한만 바닷물이 급속 결빙되어 갈라지면 서해 일대엔 거대한 유빙층이 형성된다. 대한민국 서해안 또한 연안 결빙으로 인한 유빙이 나타난다.

3. 1. 형성 지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부분과 대한민국 서해 일부 해안이 유빙형성대에 있다. 강원도는 유빙형성대에서 제외된다. 겨울철 중 기온이 낮아지면 동해안에는 시베리아에서 결집된 유빙이 떠내려 오기도 하며, 서해안은 극심한 저온으로 인해 서한만 바닷물이 급속 결빙되어 갈라지면 서해 일대엔 거대한 유빙층이 형성된다. 대한민국 서해안 또한 연안 결빙으로 인한 유빙이 나타난다.

유빙형성대는 다음과 같다.

지역유빙형성대
서해압록강 북-중 국경부부터 충청남도 태안반도까지
동해북-러 두만강 국경부부터 동한만이 있는 원산까지


3. 2. 특징

한반도에도 유빙이 형성되거나 흘러 들어온다. 강원도를 제외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부분과 대한민국 서해 일부 해안이 유빙형성대에 있다. 겨울철 중 기온이 낮아지면 동해안에는 시베리아에서 결집된 유빙이 떠내려 오기도 하며, 서해안은 극심한 저온으로 인해 서한만 바닷물이 급속 결빙되어 갈라지면 서해 일대엔 거대한 유빙층이 형성된다.[1] 대한민국 서해안 또한 연안 결빙으로 인한 유빙이 나타난다.[1] 서해는 압록강 북-중 국경부부터 충청남도 태안반도까지 유빙형성대이며, 동해는 북-러 두만강 국경부부터 동한만이 있는 원산까지 유빙형성대이다.[1]

4. 오호츠크해의 유빙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북동부에 위치한 오호츠크해의 유빙이 유명하다. 일본인에게 오호츠크해는 북쪽 끝의 땅이라는 인상이 강하다. 그러나 아바시리시가 위치한 북위 44도에는 모나코코트다쥐르지중해 연안의 온난한 휴양지가 있듯이, 오호츠크해 연안 등 홋카이도 주변 해역은 세계에서 가장 저위도에서 유빙을 볼 수 있는 곳이다.

4. 1. 자연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북동부에 위치한 오호츠크해의 유빙이 유명하다. 홋카이도립 오호츠크 유빙 과학 센터(몬베츠시)에 따르면, 오호츠크해 북쪽 해안 부근에서 찬 바람에 의해 해수가 얼었다 녹기를 반복하며, 동사할린 해류를 타고 홋카이도로 남하해 온다. 오호츠크해는 북반구에서의 유빙의 남쪽 한계이다[11]

홋카이도 연안에서 유빙이 확인된 그 시즌의 첫날을 "유빙 초일"이라고 한다. 일본에서의 유빙 초일은 평년에는 홋카이도의 오호츠크해 연안에서 1월 중순부터 하순경이며, 그 후 1월 하순부터 2월 상순경에 걸쳐 접안한다. 접안한 첫날을 "유빙 접안 초일"이라고 한다. 그 전에 해상자위대 하치노헤 항공 기지(아오모리현)에 소속된 초계기가 하늘에서 유빙을 발견·관측하고, 보도되는 것이 1960년부터 연례가 되었다[12]

풍향에 따라 유빙은 더욱 남하를 계속하여 태평양 측에 위치한 구시로시에 접안하는 경우도 있다. 봄이 다가오고, 연안에서 바라볼 수 있는 해역에 차지하는 유빙의 비율이 5할 이하가 되고, 또한 선박의 항행이 가능하게 되면 "바다 열림"이 선언된다. 또한, 연안에서 마지막으로 유빙이 보인 날을 "유빙 종일"이라고 한다.

오호츠크해의 바다표범 중에는 천적이 적은 유빙 위에서 육아를 하는 것도 있다. 흰꼬리수리 등의 조류, 북방여우 등도 유빙을 타고 시베리아에서 홋카이도 동부까지 온다.

유빙에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부착되어 있다. 봄이 되면 식물성 플랑크톤은 일시에 증식하고, 이것을 먹이로 동물성 플랑크톤도 늘어나 오호츠크해의 어장을 풍요롭게 한다. 또한, 유빙 아래에는 나비고둥(클리오네) 등의 플랑크톤을 포식하는 생물도 많다.

도토의 유빙은 관광 자원인 동시에, 접안하고 있는 동계에 거대 지진 등으로 인한 쓰나미가 밀려오면 건물 등에 부딪혀 피해를 증대시킬 우려가 있으며, 도카치 해역 지진(1952년)에서 실례가 있다[13]

4. 2. 유빙 관측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북동쪽에 위치한 오호츠크해의 유빙이 유명하다. 홋카이도립 오호츠크 유빙 과학 센터(몬베츠시)에 따르면, 오호츠크해 북쪽 해안 부근에서 찬 바람에 의해 해수가 얼었다 녹기를 반복하며, 동사할린 해류를 타고 홋카이도로 남하해 온다. 오호츠크해는 북반구에서의 유빙의 남쪽 한계이다.[11]

홋카이도 연안에서 유빙이 확인된 그 시즌의 첫날을 "유빙 초일"이라고 한다. 일본에서의 유빙 초일은 평년에는 홋카이도의 오호츠크해 연안에서 1월 중순부터 하순경이며, 그 후 1월 하순부터 2월 상순경에 걸쳐 접안한다. 접안한 첫날을 "유빙 접안 초일"이라고 한다. 그 전에 해상자위대 하치노헤 항공 기지(아오모리현)에 소속된 초계기가 하늘에서 유빙을 발견·관측하고 보도되는 것이 1960년부터 연례가 되었다.[12]

풍향에 따라 유빙은 더욱 남하를 계속하여 태평양 쪽에 위치한 구시로시에 접안하는 경우도 있다. 봄이 다가오고, 연안에서 바라볼 수 있는 해역에 차지하는 유빙의 비율이 5할 이하가 되고, 또한 선박의 항행이 가능하게 되면 "바다 열림"이 선언된다. 연안에서 마지막으로 유빙이 보인 날을 "유빙 종일"이라고 한다.

오호츠크해의 바다표범 중에는 천적이 적은 유빙 위에서 육아를 하는 것도 있다. 흰꼬리수리 등의 조류, 북방여우 등도 유빙을 타고 시베리아에서 홋카이도 동부까지 온다. 유빙에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부착되어 있다. 봄이 되면 식물성 플랑크톤은 일시에 증식하고, 이것을 먹이로 동물성 플랑크톤도 늘어나 오호츠크해의 어장을 풍요롭게 한다. 또한, 유빙 아래에는 나비고둥(클리오네) 등의 플랑크톤을 포식하는 생물도 많다.

도토의 유빙은 관광 자원인 동시에, 접안하고 있는 동계에 거대 지진 등으로 인한 쓰나미가 밀려오면 건물 등에 부딪혀 피해를 증대시킬 우려가 있으며, 도카치 해역 지진(1952년)에서 실례가 있다.[13]

4. 3. 관광

일본인에게 오호츠크 해는 북쪽 끝의 땅이라는 인상이 강하다. 그러나 아바시리시가 위치한 북위 44도에는 모나코코트다쥐르지중해 연안의 온난한 휴양지가 있다. 오호츠크 해 연안 등 홋카이도 주변 해역은 세계에서 가장 저위도에서 유빙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유빙은 일본 오호츠크 해 연안의 관광 자원이다. 홋카이도 아바시리시의 유빙 관광 쇄빙선(도토 관광 개발의 "오로라")과 홋카이도 몬베츠시의 유빙 쇄빙선 "가린코호 II"가 관광 자원으로 활용된다. 운항은 주로 유빙이 오는 1월 중순부터 3월 말까지이며, 날씨에 따라 유빙이 연안에 없을 때에는 항내 운항을 하거나, 유빙이 있는 먼바다까지 가기도 한다. 아바시리의 오로라는 491톤, 정원 450명이고, 오로라 2는 489톤, 정원 450명으로, 유빙 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패키지 투어객을 중심으로 관광 시기에 붐빈다. 몬베츠의 가린코호는 2007년 시점에서는 "가린코호 II"가 취항하고 있으며, 아바시리보다 작지만 인기를 얻고 있다.

JR 홋카이도 센모 본선에서는 유빙을 감상하는 열차로 아바시리 - 시레토코샤리 사이에 유빙 노롯코호라는 트로코 열차를 운행했다. 이 열차는 센모 본선의 오호츠크 해안 구간에서 열차에서 천천히 유빙을 감상하고 혹한 체험도 할 수 있는 것이었다. 과거에는 바람이 통하는 전망 차량을 설치했었다. 2017년부터는 후속 열차로 유빙 이야기호가 운행되고 있으며, 오호츠크 해를 바라보는 전망대가 있는 기타하마역 (홋카이도)과, 길의 역이 병설된 하마코시미즈역에서 장시간 정차하기 때문에 하차하여 관광을 즐길 수 있다.

액티비티로는 홋카이도 샤리정을 비롯한 오호츠크 해 연안에서 민간 회사 등에 의해 유빙 위를 걷거나, 드라이 수트를 입고 유빙의 바다에 떠다니는 투어가 기획되어 있다. 유빙 아래의 해중에 잠수하는 스쿠버 다이빙도 실시되고 있다.

4. 4. 주의 사항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북동부에 위치한 오호츠크해의 유빙이 유명하다. 홋카이도 연안에서 유빙이 확인된 그 시즌의 첫날을 "유빙 초일"이라고 하며, 일본에서의 유빙 초일은 평년에는 홋카이도의 오호츠크해 연안에서 1월 중순부터 하순경이며, 그 후 1월 하순부터 2월 상순경에 걸쳐 접안한다. 접안한 첫날을 "유빙 접안 초일"이라고 한다.[12] 풍향에 따라 유빙은 더욱 남하를 계속하여 태평양 측에 위치한 구시로시에 접안하는 경우도 있다. 봄이 다가오고, 연안에서 바라볼 수 있는 해역에 차지하는 유빙의 비율이 5할 이하가 되고, 또한 선박의 항행이 가능하게 되면 "바다 열림"이 선언된다. 연안에서 마지막으로 유빙이 보인 날을 "유빙 종일"이라고 한다.

도토의 유빙은 관광 자원인 동시에, 접안하고 있는 동계에 거대 지진 등으로 인한 쓰나미가 밀려오면 건물 등에 부딪혀 피해를 증대시킬 우려가 있으며, 도카치 해역 지진(1952년)에서 실례가 있다.[13]

5. 북아메리카 오대호의 유빙

북아메리카 대륙의 오대호대서양을 잇는 세인트로렌스 강에도 유빙이 떠내려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5. 1. 아이스 카누 레이스

북아메리카 대륙의 오대호대서양을 잇는 세인트로렌스 강도 유빙이 떠내려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캐나다 퀘벡 시티에서는 매년 겨울 아이스 카누 레이스(Ice Canoe Race)가 개최되는데, 이는 카누로 유빙을 헤치며 강 건너편을 목표로 하는 경주로 겨울의 풍물시가 되고 있다.[16]

6. 유빙을 소재로 한 작품


  • 조노우치 사나에의 노래 〈유빙의 편지〉 (아키모토 야스시 작사, 고토 쓰기토시 작곡)
  • 와타리 테츠야의 노래 〈유빙의 거리〉 (오구라 케이 작사/작곡)
  • 이시카와 사유리의 노래 〈유빙〉 (아쿠 유 작사, 나카무라 타이시 작곡)
  • 하이파이 세트의 노래 〈황량〉 (마츠토야 유미 작사/작곡)
  • 아키바 토요와 알로 나이츠의 노래 〈유빙〉 (마츠오카 하지메 작사, 세이카와 유 작곡)

7. 갤러리



경고 간판

참조

[1] 서적 On Sea I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aska Press
[2] 문서 The Drift of Sea Ice Springer-Verlag
[3] 문서 WMO Sea-Ice Nomenclature
[4] 문서 NSIDC All About Sea Ice
[5] 문서 Environment Canada Ice Glossary
[6] 뉴스 A Port's Ice Is Thinning, and So Is Its Tourist Trad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6-03-14
[7] 논문 Honda, Meiji, Koji Yamazaki, Hisashi Nakamura, Kensuke Takeuchi, 1999: Dynamic and Thermodynamic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Response to Anomalous Sea-Ice Extent in the Sea of Okhotsk. J. Climate, '''12''', 3347–3358 Journals.ametsoc.org
[8] 서적 学術用語集 地理学編 http://sciterm.nii.a[...] 日本学術振興会
[9] 서적 学術用語集 気象学編 http://sciterm.nii.a[...] 日本学術振興会
[10] 웹사이트 流氷ってなに?-10の質問- http://giza-ryuhyo.c[...] 2018-03-06
[11] 웹사이트 わかるかな?流氷Q&A http://giza-ryuhyo.c[...] 2018-03-06
[12] 뉴스 【防衛最前線】(21)哨戒機P3C 職人芸で敵潜水艦を追い詰める「世界一いやらしい部隊」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5-03-20
[13] 뉴스 【津波が来る!】沿岸 流氷伴う被害懸念/千島海溝地震想定「全壊最大5千棟増」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1-12-23
[14] 웹사이트 流氷物語号|JR北海道- Hokkaido Railway Company https://www.jrhokkai[...] 2019-12-18
[15] 웹사이트 知床ダイビング企画 http://www.aurens.or[...] 2018-03-06
[16] 뉴스 「流氷かき分け進む究極のカヌーレース、カナダ・ケベックの冬の風物詩」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AFP 2017-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