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양 (양평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양(양평왕)은 전한 시대의 제후왕이다. 양효왕의 술항아리를 둘러싼 사건과 유안반의 폭로로 인해 한 무제에게 책벌을 받았으며, 임왕후는 처형되었다. 결국 양평왕은 작위를 유지했으나, 영토 일부를 잃었다. 그는 양평왕 39년에 사망했으며, 아들 유무상이 작위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97년 사망 - 유수 (하간경왕)
- 기원전 97년 사망 - 유순 (공구이후)
유순은 기원전 126년에 공구후에 봉해진 공구이후로, 30년간 재위하다 기원전 97년에 사망하여 시호는 이이며, 그의 작위는 아들 유치가 이었다. - 전한의 제후왕 - 전한 무제
전한의 제7대 황제인 전한 무제는 54년간 재위하며 유교 기반 중앙집권 강화, 흉노 정벌을 통한 영토 확장, 소금과 철의 전매제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여 전한의 최전성기를 이끌었으나, 과도한 군사 지출, 사치스러운 생활, 무고의 난 등 부정적인 면모도 보였다. - 전한의 제후왕 - 유굉 (광릉왕)
- 기원전 2세기 중국 사람 - 신도가
신도가는 전한 시대의 무관 출신으로, 항우와의 싸움과 영포의 난에 참여하고 혜제 때 회양태수를 거쳐 승상에 올랐으며, 청렴한 성품으로 황제의 총애를 받던 등통을 처벌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조조와의 갈등 끝에 죽음을 맞이하여 절후의 시호를 받았다. - 기원전 2세기 중국 사람 - 사마천
사마천은 중국 전한 시대의 역사가, 천문학자, 역법가로서 중국 최초의 통사로 평가받는 『사기』를 저술하여 기전체를 확립하고 역사 서술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이릉 변호 사건으로 궁형을 받는 고난을 겪었으며 태초력 제정에도 참여하는 등 천문학과 역법에도 업적을 남겼다.
유양 (양평왕)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유양(劉襄) |
시호 | 평왕(平王) |
작위 | 양평왕(梁平王) |
성씨 | 유(劉) |
생몰년도 | 기원전 202년 ~ 기원전 179년 |
시대 | 전한(前漢) |
출생지 | 패현 (沛縣) |
사망지 | 양국 (梁國) |
아버지 | 유비(劉肥) |
어머니 | 시녀 기첩(侍女 紀妾) |
형제 | 유참 유강 (제도혜왕) 유흥거 유안 유지 |
자녀 | 유무상 |
관직 | |
전한의 제후왕 | 양왕(梁王) |
기타 정보 | |
능묘 | 양국 (梁國) |
2. 사적
2. 1. 양효왕의 술항아리
양효왕 때부터 전해 내려온 술항아리[2]가 있었는데, 값어치가 천 금이나 되었다. 이 술항아리는 양효왕의 유언으로 왕실에서 보관하고 있었는데, 임왕후가 이를 가지고 싶어 하니 양평왕의 할머니 이태후가 단호히 저지하였다. 그러나 끝내 임왕후는 술항아리를 탐냈고, 결국 양평왕은 이를 임왕후에게 주었다. 이태후는 크게 노하였다.[2]한나라의 사자가 왔을 때, 이태후는 양평왕이 임왕후에게 술항아리를 준 사실을 말하려 하였다. 그러나 양평왕과 임왕후가 문을 걸어잠가 나가지 못하게 하였고, 이태후는 문을 열려다가 손가락이 끼여 결국 사자를 만나지 못하였다.[2]
이태후는 예전에 식관장(食官長) 및 낭중(郞中) 윤패와 간통한 적이 있었는데, 양평왕과 임왕후는 이 사실을 알고 사람을 시켜 이태후가 술항아리 이야기를 하지 못하게끔 하였고 이태후 또한 자신의 잘못을 알았기 때문에 곧 그만두었다. 이태후는 훗날 병으로 죽었는데, 병들었을 때 임왕후는 한 번도 문병을 가지 않았고, 죽었을 때에도 복상하지 않았다.[2]
2. 2. 유안반의 폭로
원삭 연간에 수양 땅에 유안반이라는 자가 있었는데, 회양 태수의 빈객이 그의 아버지를 모욕하였다. 이에 유안반은 빈객과 함께 같은 수레에 탔다가, 빈객이 내리는 순간 수레에서 빈객을 죽이고 달아났다. 회양태수는 노하여 양나라의 이천석들을 꾸짖었고, 이천석 이하의 관리들은 급히 유안반을 잡으려고 그의 친척들을 잡아들였다.[3]양나라의 비밀을 알고 있었던 유안반은 한나라 조정에 양나라의 비밀과, 이태후와 임왕후가 술항아리로 싸운 일을 아뢰었다. 조정의 승상 이하의 관원들은 이 사실을 알고 양나라의 관리들을 벌하려 하였고, 무제에게 글을 올렸다.[3]
무제가 관리들을 잡아들여 심문하니, 과연 사실임이 밝혀졌다. 공경들은 양평왕을 폐위하여 서인으로 만들 것을 주청하였으나, 무제는 허락하지 않고 양나라 땅의 성 여덟 개를 거두는 것으로 끝냈다. 또 임왕후의 목을 베어 저잣거리에 효수하고, 양나라의 성 열 개를 남긴 채로 양평왕에게 지위를 유지하게 하였다.[3]
이때 잃은 8현의 목록은 알 수 없으나, 패군 서북의 5현인 차(융청시 서), 초(보저우시), 망(융청시 북), 경구(융청시 북서), 건평(위청시 남동) 일대로 추측한다.[3]
2. 3. 중앙 정부의 개입과 몰락
원삭 연간에 수양 땅에 유안반이라는 자가 있었는데, 진군 회양태수의 빈객이 그의 아버지를 모욕하였다. 유안반은 빈객과 함께 같은 수레에 탔다가, 빈객이 내리는 순간 수레에서 빈객을 죽이고 달아났다. 회양태수는 노하여 양나라의 이천석들을 꾸짖었고, 이천석 이하의 관리들은 급히 유안반을 잡으려고 그의 친척들을 잡아들였다.[3]양나라의 비밀을 알고 있었던 유안반은 한나라 조정에 양나라의 비밀과, 이태후와 임왕후가 술항아리로 싸운 일을 아뢰었다. 조정의 승상 이하의 관원들은 이 사실을 알고 양나라의 관리들을 벌하려 하였고, 전한 무제에게 글을 올렸다.[3]
무제가 관리들을 잡아들여 심문하니, 과연 사실임이 밝혀졌다. 공경들은 양평왕을 폐위하여 서인으로 만들 것을 주청하였으나, 무제는 허락하지 않고 양나라 땅의 성 여덟 개를 거두는 것으로 끝냈다. 또 임왕후의 목을 베어 저잣거리에 효수하고, 양나라의 성 열 개를 남긴 채로 양평왕에게 지위를 유지하게 하였다.[3]
이때 잃은 8현의 목록은 알 수 없으나, 패군 서북의 5현인 차(융청시 서)·초(보저우시)·망(융청시 북)·경구(융청시 북서)·건평(위청시 남동) 일대로 추측한다.[3]
2. 4. 죽음
양평왕 39년(기원전 97년)에 죽으니 시호를 평이라 하였고, 아들 유무상이 작위를 이었다.3. 가계
4. 평가
5. 출전
참조
[1]
서적
The Huainanzi and Liu An's Claim to Moral Authorit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New York)
2013-11-30
[2]
문서
한서 원문의 표기는 𦉩.
[3]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4]
문서
여나라가 도중에 제천나라로 이름이 바뀐 것으로, [[유명 (제천왕)|유명]]이 봉해진 [[진류군|제천나라]]와는 연관이 없다.
[5]
문서
작위만 추증된 것으로, 봉지는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