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28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28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련 이전 안보리 결의들을 상기하고, 2차 핵실험 이후 채택된 제1874호에 따른 무역 금수 조치 기간을 연장했다. 또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의 활동 임기를 연장하여 대북 제재 이행 감시 및 효과 증대를 도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핵확산 관련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는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시험 발사를 규탄하고 탄도 미사일 관련 활동 중단 및 대량살상무기 관련 물품 이전을 금지하는 결의안으로, 채택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거부하며 반발했다.
  • 핵확산 관련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는 2006년 북한의 핵실험에 대응하여 북한의 핵 프로그램 포기를 요구하며 경제 및 군사 제재를 규정한 결의안이다.
  • 201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조선로동당 제3차 대표자회
    조선로동당 제3차 대표자회는 2010년 평양에서 개최되어 김정일을 총비서로 재추대하고 당 규약을 개정했으며, 당 중앙지도기관 선거를 진행했다.
  • 2010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태풍 곤파스 (2010년)
    태풍 곤파스는 2010년 8월 말에 발생하여 한반도를 관통하고 동해상으로 빠져나갔으며, 중심 부근에 매우 강한 바람을 동반하여 대한민국을 비롯한 주변 지역에 큰 피해를 입힌 태풍이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28호
결의 정보
결의 번호1928
기관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날짜2010년 6월 7일
회의6,333회
코드S/RES/1928
문서S/RES/1928(2010)
찬성15
기권0
반대0
주제핵확산 방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결과채택
영변 핵 과학 연구소의 원자로
영변 핵 과학 연구소의 원자로
관련 정보
관련 내용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문제

2. 상세

이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상황에 대한 관련 안보리 결의들을 모두 상기시켰다. 이들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25호(1993),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540호(2004),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2006),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2006),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74호(2009),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87호(2009)이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25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선언에 대응하여 채택되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540호대량살상무기(WMD) 및 운반 수단의 확산 방지를 목표로 한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발사 시험에 대응하여 채택되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1차 핵실험에 대응하여 채택되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74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2차 핵실험에 대응하여 채택되었으며, 무역 금수 조치를 포함한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87호는 핵무기 비확산 및 군축을 목표로 한다.

유엔안보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2차 핵실험 직후 통과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74호에 따른 무역 금수조치의 기간을 연장했다. 그리고 유엔 안보리 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의 전문가 패널의 활동 임기를 연장하는데 합의하였다.

2. 1. 관련 안보리 결의

이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상황에 대한 관련 안보리 결의들을 모두 상기시켰다. 이들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25호(1993),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540호(2004),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2006),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2006),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74호(2009),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87호(2009)이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25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선언에 대응하여 채택되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540호대량살상무기(WMD) 및 운반 수단의 확산 방지를 목표로 한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발사 시험에 대응하여 채택되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1차 핵실험에 대응하여 채택되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74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2차 핵실험에 대응하여 채택되었으며, 무역 금수 조치를 포함한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87호는 핵무기 비확산 및 군축을 목표로 한다.

유엔안보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2차 핵실험 직후 통과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74호에 따른 무역 금수조치의 기간을 연장했다. 그리고 유엔 안보리 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의 전문가 패널의 활동 임기를 연장하는데 합의하였다.

2. 2. 제재 조치 강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74호(2009)에 따른 대북 무역 금수 조치의 기간을 연장했다. 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및 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자금 및 물자 조달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이다. 또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의 활동 임기를 연장하는데 합의하였다.

2. 3. 전문가 패널 임기 연장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825호(1993),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540호(2004),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2006),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2006),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74호(2009),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87호(2009) 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상황에 대한 이전 결의들을 모두 상기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2차 핵실험 직후 통과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74호(2009)에 따른 무역 금수조치 기간을 연장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의 활동 임기를 연장하여, 대북 제재 이행 상황을 감시하고, 위반 사례를 보고하며, 제재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3. 대한민국의 입장

참조

[1] 뉴스 Security Council extends mandate of expert panel monitoring sanctions against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until 12 June 2011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2010-06-07
[2] 뉴스 Security Council extends mandate of UN body dealing with DPR Korea sanctions https://www.un.org/a[...] 2010-06-07
[3] 뉴스 Security Council extends mandate of expert panel monitoring sanctions against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until 12 June 2011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2017-08-26
[4] 뉴스 Security Council extends mandate of UN body dealing with DPR Korea sanctions https://www.un.org/a[...] 2017-08-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