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는 2006년 7월 4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시험 발사를 규탄하며, 탄도 미사일 계획과 관련된 모든 활동의 중단을 요구하는 결의안이다. 일본이 주도하여 작성되었으며, 미국, 프랑스 등은 강력한 제재를, 중국과 러시아는 완화된 제재를 지지하는 가운데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 이 결의안은 북한에 미사일 및 대량 살상 무기 관련 물품, 기술, 자금의 거래 금지, 6자 회담 복귀, 핵실험 자제를 촉구했다. 북한은 결의안 채택 45분 만에 거부 의사를 표명하며, 자위적 전쟁 억지력 강화를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는 2006년 북한의 핵실험에 대응하여 북한의 핵 프로그램 포기를 요구하며 경제 및 군사 제재를 규정한 결의안이다. - 핵확산 관련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는 2006년 북한의 핵실험에 대응하여 북한의 핵 프로그램 포기를 요구하며 경제 및 군사 제재를 규정한 결의안이다. - 핵확산 관련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28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928호는 2010년 북한의 핵무기 개발 및 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제재를 연장하고, 금융 거래 감시 조항을 포함하며, 6자 회담 복귀를 촉구하고, 대북 제재위원회의 전문가 패널 임기를 연장하여 제재 이행을 감시하도록 한 결의안이다. -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태풍 에위니아 (2006년)
태풍 에위니아 (2006년)는 2006년 7월에 발생하여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피해를 주고 전라남도 진도군 해안에 상륙하여 강원도 홍천군 부근에서 소멸했으며, 대한민국에서 40명이 사망하고 1조 8344억 원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 태풍이다. -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2006년 10월 9일 북한은 풍계리 핵 실험장에서 지하 핵 실험을 실시하여 성공을 발표했으나 국제 사회의 비난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를 초래하며 동북아시아 안보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 | |
---|---|
결의 정보 | |
번호 | 1695 |
기관 | 안보리 |
연도 | 2006 |
날짜 | 7월 15일 |
회의 | 5,490 |
코드 | S/RES/1695 |
문서 | 문서 링크 |
찬성 | 15 |
기권 | 0 |
반대 | 0 |
주제 | 북한 관련 상황 비확산 |
결과 | 채택 |
![]() | |
내용 | |
주요 내용 | 북한의 미사일 발사 규탄 탄도 미사일 계획 활동 중단 요구 6자 회담에 무조건 복귀 요구 |
2. 결의안 채택 및 주요 내용
미국, 프랑스, 영국, 일본은 북한에 대한 강력한 제재에 합의한 반면, 중국과 러시아는 상대적으로 약한 제재를 주장했다. 결의안 발표 직후, 북한은 47분 만에 박길연 대사의 성명을 통해 결의안을 비판했다.[4]
2. 1. 채택 과정
2006년 7월 4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실시한 미사일 시험 발사를 규탄하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는, 강력한 성명과 제재를 선호하는 미국, 일본, 프랑스와 덜 강력한 성명을 선호하는 중화인민공화국과 러시아 사이의 절충안이었다. 중국과 러시아의 요청에 따라 유엔 헌장 제7장을 발동하지 않았다.[2] 이 결의안은 일본이 제출하고 미국이 후원했다.[3]결의안은 모든 유엔 회원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미사일 또는 대량 살상 무기 관련 물질이나 기술을 판매하거나, 평양으로부터 미사일, 금지된 무기 또는 기술을 구매하는 것을 금지한다. 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6자 회담 복귀 및 추가적인 미사일 및 핵실험 자제를 촉구했다. 대한민국 외교부 관계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국제사회가 미사일 및 핵 활동을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현실을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4]
유엔 안보리 결의 1695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 발사 실험에 대한 결의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발사를 비난하고 탄도 미사일 계획과 관련된 모든 활동 중단을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 발사에 대한 유엔 비난 결의"라고도 불리며, 일본이 비상임 이사국 지위를 활용하여 처음으로 주도적으로 작성, 제안, 성립시킨 결의이다.
당초 "제재"를 언급한 유엔 헌장 제7장 포함을 제안했으나,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 시사와 미국의 중국 접근으로 결국 포함되지 않았다. 최종 결의는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
1993년 미사일 발사 실험에서는 유엔 안보리가 소집되지 않았고, 1998년 미사일 발사 실험에서는 안보리의 보도 발표(언론 성명)만 이루어졌다.
결의 채택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 | 사건 |
---|---|
2006년 7월 5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 발사 실험 실행 |
2006년 7월 15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 발사에 대한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본 결의) 만장일치 채택 |
2006년 7월 16일 | 결의 채택 45분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의 결의안 거부 표명 |
2. 2. 주요 내용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는 2006년 7월 4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시험 발사를 규탄한다.[2] 이 결의안은 일본이 제출하고 미국이 후원했다.[3]이 결의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06년 7월 5일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를 비난
- 북한에 탄도 미사일 계획과 관련된 모든 활동의 중단을 요구
- 모든 회원국에 국내법 및 국제법의 틀 내에서 탄도 미사일과 핵무기 등의 대량살상무기와 관련된 모든 물품, 기술, 자금의 북한으로의 이전을 방지하고, 이와 관련된 북한으로부터의 물품, 기술, 자금 조달을 방지할 것을 요구
- 북한에 6자 회담 조속한 무조건 복귀, IAEA 조속한 복귀, 모든 핵 계획의 포기를 강력히 요청
이 결의안은 모든 유엔 회원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미사일 또는 대량 살상 무기에 대한 물질 또는 기술을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고, 평양으로부터 미사일, 금지된 무기 또는 기술을 수수하는 것을 금지한다. 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6자 회담에 복귀하고 추가적인 미사일 및 핵실험을 자제할 것을 촉구했다. 대한민국 외교부 관계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국제사회가 미사일 및 핵 활동을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현실을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4]
일반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 발사에 대한 유엔 비난 결의"라고 불리며, 일본이 비상임 이사국의 입장을 활용하여 처음으로 주도적으로 작성, 제안, 성립시킨 결의이다. 당초에는 "제재"에 언급한 유엔 헌장 제7장을 포함할 것을 제안했으나, 중국과 러시아는 거부권을 행사할 것을 명시했고, 미국도 중국에 접근하는 모습을 보여 결국 포함되지 않았다. 최종 결의는 만장 일치로 채택되었다.
2. 3. 유엔 헌장 제7장 미발동
이 결의안은 중화인민공화국과 러시아의 요청에 따라 유엔 헌장 제7장을 발동하지 않았다.[2] 당초 일본과 미국은 "제재"를 언급한 유엔 헌장 제7장을 포함할 것을 제안하고 마지막까지 주장을 계속했지만, 중국과 러시아가 거부권을 행사할 것을 명시했고, 미국도 중국에 접근하는 모습을 보여 결국 포함되지 않았다. 최종 결의는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3. 국제 사회의 반응
미국, 프랑스, 영국, 일본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강력한 제재에 합의한 반면, 중화인민공화국과 러시아는 느슨한 제재에 의견을 모았다.[1] 결의안 발표 직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47분 만에 박길연 대사의 성명을 통해 결의안을 비판하였다.
3. 1. 미국, 일본, 프랑스, 영국
미국과 프랑스, 영국과 일본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부과하는 데 사전에 합의하였으며, 반대로 중화인민공화국과 러시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느슨한 제재를 부과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1]3. 2. 중국과 러시아
미국, 프랑스, 영국, 일본은 북한에 대한 강력한 제재를 부과하는 데 사전에 합의한 반면,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에 대한 느슨한 제재를 부과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1]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반응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 채택에 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반응은 즉각적이고 강경했다. 미국과 일본 등이 대북 제재에 합의한 반면, 중국과 러시아는 느슨한 제재를 선호했다는 점에서 북한의 반발은 예상된 결과였다.
결의안 발표 직후, 북한은 박길연 대사의 성명을 통해 "미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해 적대적인 정책을 펼친 결과"라며 격렬히 비판했다.[5] 또한, "일부 국가가 안전 보장 이사회를 오용하려는 시도"라고 주장하며, 특히 일본이 북한의 선의를 악용하고 적대적인 정책을 추구했다고 비판했다.[6]
북한은 "정글의 법칙"을 언급하며 자위적 전쟁 억지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선언하고, "선군 정치"를 통해 체제를 굳건히 지켜낼 것이라고 강조했다.[5]
날짜 | 사건 |
---|---|
2006년 7월 5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 발사 실험 실행 |
2006년 7월 15일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 결의안 만장일치 채택 |
2006년 7월 16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결의안 거부 표명 |
4. 1. 결의안 거부
결의안 발표 직후, 북한은 47분 만에 박길연 대사의 성명을 통해서 결의안에 대한 비판을 하였다.[5] 미국 유엔 대사 존 볼턴에 따르면, 해당 결의안은 북한에 의해 기록적인 47분 만에 거부되었다. 북한 관영 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이 결의안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적대적인 외교 정책"의 산물이며, 이는 "한반도에 극도로 위험한 상황"을 초래했다고 밝혔다.[5]유엔 주재 북한 대사 박길연은 북한이 "일본이 북한과의 관계를 정상화하고 과거를 청산한다는 전제하에, 선언의 정신에 따라 2003년 이후에도 미사일 발사 유예를 연장할 의사를 표명했으나...[일본이] 북한의 선의를 악용하고 적대적인 정책을 추구했다."고 말했다.[6] 북한은 이 결의안이 "일부 국가가 안전 보장 이사회를 오용하려는 시도"라고 말했다.[6]
2006년 7월 16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은 해당 결의 채택 45분 후 이 결의안을 거부할 것을 표명했다.
4. 2. 자위적 억지력 강화 주장
미국 유엔 대사 존 볼턴에 따르면, 해당 결의안은 북한에 의해 기록적인 47분 만에 거부되었다. 북한 관영 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이 결의안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적대적인 외교 정책"의 산물이며, 이는 "한반도에 극도로 위험한 상황"을 초래했다고 주장했다.[5]북한은 성명에서 "정글의 법칙이 지배하는 오늘날 세상에서 강자만이 정의를 수호할 수 있다. 유엔이나 그 누구도 우리를 보호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우리 공화국은 미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해 적대적인 정책을 펼친 결과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을 격렬히 규탄하고 전면적으로 반박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이에 구속되지 않을 것이다. 우리 공화국은 미국의 극도로 적대적인 행위로 인해 상황이 최악의 국면에 이르렀으므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자위적 전쟁 억지력을 강화할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백성이 선택한 이념과 체제를, 존경받는 검인 선군 정치에 충실히 따르며 굳건히 지켜낼 것이다"라고 덧붙였다.[5]
북한은 이 결의안이 "일부 국가가 안전 보장 이사회를 오용하려는 시도"라고 말했다.[6] 유엔 주재 북한 대사 박길연은 "일본이 북한과의 관계를 정상화하고 과거를 청산한다는 전제하에, 선언의 정신에 따라 2003년 이후에도 미사일 발사 유예를 연장할 의사를 표명했으나...[일본이] 북한의 선의를 악용하고 적대적인 정책을 추구했다"고 주장했다.[6]
4. 3. 일본에 대한 비판
미국 유엔 대사 존 볼턴에 따르면, 해당 결의안은 북한에 의해 기록적인 47분 만에 거부되었다. 북한 관영 매체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이 결의안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적대적인 외교 정책"의 산물이며, 이는 "한반도에 극도로 위험한 상황"을 초래했다.[5]북한은 성명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정글의 법칙이 지배하는 오늘날 세상에서 강자만이 정의를 수호할 수 있다. 유엔이나 그 누구도 우리를 보호할 수 없다. ...첫째, 우리 공화국은 미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해 적대적인 정책을 펼친 결과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을 격렬히 규탄하고 전면적으로 반박하며, 어떠한 경우에도 이에 구속되지 않을 것이다. 둘째, 우리 공화국은 미국의 극도로 적대적인 행위로 인해 상황이 최악의 국면에 이르렀으므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자위적 전쟁 억지력을 강화할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백성이 선택한 이념과 체제를, 존경받는 검인 선군 정치에 충실히 따르며 굳건히 지켜낼 것이다."[5]
북한은 이 결의안이 "일부 국가가 안전 보장 이사회를 오용하려는 시도"라고 말했다.[6] 유엔 주재 북한 대사 박길연은 "일본이 북한과의 관계를 정상화하고 과거를 청산한다는 전제하에, 선언의 정신에 따라 2003년 이후에도 미사일 발사 유예를 연장할 의사를 표명했으나...[일본이] 북한의 선의를 악용하고 적대적인 정책을 추구했다."고 말했다.[6]
참조
[1]
뉴스
Security Council condemns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s missile launches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2006-07-15
[2]
BBC News Online
UN votes for N Korean sanctions
http://news.bbc.co.u[...]
2006-07-15
[3]
Christian Science Monitor
UN resolution boosts coordination on N. Korea
http://www.csmonitor[...]
2006-07-18
[4]
The Hankyoreh
Seoul hails U.N. resolution against N.K. missile launches
http://english.hani.[...]
2006-07-16
[5]
Korean Central News Agency
DPRK Foreign Ministry Refutes "Resolution of UN Security Council"
http://www.kcna.co.j[...]
2006-07-16
[6]
간행물
North Korea: Unilateral and Multilateral Economic Sanctions and U.S. Department of Treasury Actions 1955-April 2009
http://www.ncnk.org/[...]
The National Committee on North Korea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