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관련 제재 조치를 감독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6년 북한의 핵실험 이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이후 추가 결의를 통해 제재 범위가 확대되었다. 위원회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모든 회원국 대표로 구성되며, 제재 위반 혐의 검토, 면제 요청 검토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2009년에는 전문가 패널이 설치되어 위원회의 업무를 지원했으나, 2024년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인해 패널의 임무 연장이 무산되었다. 위원회는 북한과의 교역 금지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대북 물자에 대한 심사도 담당하며, 매년 연례 보고서를 발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 유엔 남수단 임무단
유엔 남수단 임무단(UNMISS)은 남수단 정부가 평화와 안보를 공고히 하고 개발을 위한 조건을 확립하도록 지원하며, 민간인 보호, 인권 모니터링, 인도적 지원 제공 등을 주요 임무로 수행하는 유엔 평화 유지 임무단이다.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 유엔 아이티 안정화 미션
유엔 아이티 안정화 미션(MINUSTAH)은 2004년 아이티 쿠데타 이후의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결의로 설립된 평화 유지 활동으로, 치안 유지, 공공질서 회복, 선거 지원, 인권 보호 등의 임무를 수행했으나, 콜레라 유행 원인 제공 및 평화유지군의 성적 학대 문제 등으로 논란 속에 2017년 국제 연합 아이티 사법 지원 미션(MINUJUSTH)으로 전환되며 종료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제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산 석탄 대한민국 반입 사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산 석탄 대한민국 반입 사건은 2017년 4월부터 10월까지 일부 수입업자들이 북한산 석탄을 러시아산으로 위장하여 대한민국에 반입한 사건으로, 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를 위반하며 대한민국 정부 묵인 의혹과 미국의 세컨더리 보이콧 가능성 등 논란을 야기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제재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087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087호는 2013년 북한의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발사를 규탄하며 채택된 결의로, 기존 대북 제재 강화, 금융 거래 감시 강화, 화물 검사 및 처분 방법 명확화 등을 통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을 억제하려 했으나, 효과에 대한 비판과 인도적 상황 악화 우려가 있다. - 북핵문제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으로, 공동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에 대한 이견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미해결 과제를 남겼다. - 북핵문제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 |
---|---|
개요 | |
명칭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1718호에 따라 설립된 제재 위원회 (2006) |
원어 명칭 | Security Council Committee Established Pursuant to Resolution 1718 (2006) |
![]() | |
약칭 | 1718 위원회 |
설립 | 2006년, 북한의 첫 번째 핵 실험 및 지속적인 핵 확산 노력에 대응하여 설립됨. |
설립 주체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1718호 |
목적 | 북한 관련 제재 조치 감독 |
위치 | 미국 뉴욕 |
대상 지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분야 | 경제 제재 |
회원 | 모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 |
상위 기구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
산하 기구 | 전문가 패널 (2009-2024)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관련 정보 | |
관련 항목 |
2. 역사
대북제재위원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핵실험과 그 역사를 함께한다. 북한이 핵실험을 할 때마다 대북제재위원회는 새로운 제재안을 제출했다.[11] 대북제재위원회는 북한과의 교역 금지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대북 물자에 대한 심사도 담당한다.[12]
- 2006년 10월 9일, 북한의 1차 핵실험 발생.[13]
- 2006년 10월 14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가 15개국 만장일치로 통과되면서 "1718 제재위원회" 설립이 결의됨.[14]
- 2009년 5월 25일, 북한의 2차 핵실험 발생.[15]
- 2009년 6월 12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74호가 15개국 만장일치로 채택되어 대북제재위원회를 보좌하는 전문가 패널이 설치됨.[16][17]
- 2019년 1월, 로이터 통신은 한국이 2018년에 석유제품 약 343톤을 북한에 보내면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에 통보하지 않았다고 보도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산 석탄 대한민국 반입 사건 논란이 재점화됨.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97호에 따라 회원국들은 매 30일마다 북한에 판매되거나 보내진 정제된 석유제품 규모를 제재위에 보고해야 한다.[18][19]
- 2019년 3월 12일,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연례보고서에서 한 회원국이 2018년 11월 "북한이 북쪽 국경지대 근처에 ICBM 기지를 건설하고 있다"고 통보했다고 밝힘. 보고서는 회정리 미사일 기지 위성사진을 공개함.[21][22]
- 2023년, 유엔 대북제재위원회는 북한이 가상화폐를 통해 대략 20억달러 이상의 금융 자산을 탈취했다고 발표.[27]
2. 1. 위원회 설립
결의안 1718 (2006)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PRK)과 관련된 제재 조치를 감독하기 위해 위원회가 설립되었다.결의 1718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일련의 경제 제재를 가했고, 위원회를 설치하여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제재를 구체화하며, 이를 감시하고, 권고안을 발표하였다. 이후의 결의들은 무기 금수, 사치품 금지, 금융 제재, 광산 자원 수출 제한 등의 제재를 확대하고 강화하면서 위원회의 책임 범위가 넓어졌다.[7][8]
2009년에 설립된 전문가 패널(Panel of Experts, PoE)은 전문가 분석을 통해 위원회의 업무를 지원하며, 특히 미준수 사례를 평가한다. 위원회가 제재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집행할 것인지에 대해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지만(예를 들어 어떤 주체가 대상이 될 것인지 명명함으로써), PoE는 그러한 결정을 지지하는 정보 제공 및 자문 역할만 가진다.[9][10]
1874 (2009), 2087 (2013), 2094 (2013), 2270 (2016), 그리고 2321 (2016)에 의해 위원회에 추가적인 기능이 위임되었다. 2017년, 위원회는 회원국의 DPRK 석탄 조달을 추적하기 시작했다. 위원회는 모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UNSC) 회원국의 대표로 구성된다.
2. 2. 전문가 패널 설립 및 활동
결의 1718호는 북한에 대한 경제 제재를 구체화하고 감시하며, 권고안을 발표하기 위해 위원회를 설치했다. 이후 결의들은 무기 금수, 사치품 금지, 금융 제재, 광산 자원 수출 제한 등 제재를 확대하면서 위원회의 책임 범위도 넓어졌다.[7][8]2009년, 결의 1874호에 따라 전문가 패널(Panel of Experts, PoE)이 설립되어 위원회의 업무를 지원하게 되었다. 전문가 패널은 미준수 사례를 평가하는 등 전문적인 분석을 제공한다. 위원회는 제재 집행에 대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지만, 전문가 패널은 이러한 결정을 뒷받침하는 정보 제공 및 자문 역할만 수행한다.[9][10]
전문가 패널은 위원회의 권한 수행을 지원하고, 조치 이행에 관한 정보를 수집, 검토, 분석하며, 부과된 조치의 이행을 개선하기 위한 권고 및 보고서 발행을 담당한다. 전문가 패널은 8명의 전문가로 구성되며, 미국 뉴욕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임기는 다음 결의를 통해 매년 연장되었다.
- 2010년 1928호
- 2011년 1985호
- 2012년 2050호
- 2013년 2094호
- 2014년 2141호
- 2015년 2207호
- 2016년 2276호
- 2017년 2345호
- 2018년 2407호
- 2019년 2464호
- 2020년 2515호
- 2021년 2569호
- 2022년 2627호
위원회의 지시에 따라 활동하는 전문가 패널 위원들은 유엔 사무총장이 위원회와 협의하여 임명한다. 이들은 핵 문제, 기타 대량살상무기 및 재래식 무기, 세관 및 수출 통제, 대량살상무기 및 비확산 정책, 금융, 해상 운송 및 미사일 기술 등의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
2024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전문가 패널의 임무 연장에 대한 투표를 진행했으나,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인해 임무 연장이 무산되었다. 15개 이사국 중 13개국이 찬성, 중국은 기권, 러시아는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로써 전문가 패널의 임무는 2024년 4월 30일에 만료되었다.[1][2][3]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가 긴밀해지면서, 특히 북한이 러시아의 군수 물자 주요 공급국이 된 상황에서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는 주목할 만하다.[4] 이번 투표는 제재 자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감시 활동에만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5]
2. 3. 전문가 패널 활동 중단
2009년부터 2024년까지 위원회는 1874 결의에 의해 설립된 전문가 패널(PoE)의 지원을 받아 위원회의 임무를 수행했다. 이 패널은 국가로부터 정보를 수집, 검토 및 분석하고, 권고안을 제시하며, 보고서를 발간하는 역할을 했다.전문가 패널은 8명의 전문가로 구성되었으며 뉴욕시에 본부를 두었다. 이 패널의 임무는 1928 (2010), 1985 (2011), 2050 (2012), 2094 (2013), 2141 (2014), 2207 (2015), 2276 (2016), 2345 (2017), 2407 (2018), 2464 (2019), 2515 (2020), 2569 (2021), 2627 (2022), 2680 (2023)와 같은 결의안을 통해 매년 연장되었다.
2024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전문가 패널의 임무를 연장하지 않았으며, 해당 임무는 그 해 4월 30일에 만료되었다.[1][2][3]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15개 이사국 중 13개국이 임무 연장에 찬성했고, 중국은 기권했으며, 러시아는 거부권을 행사했다. 러시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특히 지난 2년 동안 두 국가의 관계가 부활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러시아의 중요한 군수 물자 공급국이 되면서 관계가 돈독해졌다.[4] 이번 투표는 제재 자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감시 활동에만 영향을 미쳤다.[5] 일부 이사국들은 전문가 패널이 해임권을 행사한 당사자의 제재 위반 행위를 최근 조사해 왔다고 언급했다.[6]
패널은 위원회의 지시에 따라 활동했으며, 그 구성원은 위원회와 협의하여 유엔 사무총장이 임명했다. 이들은 핵 문제, 대량 살상 무기 및 재래식 무기, 관세 및 수출 통제, 대량 살상 무기 통제 및 비확산 정책, 금융, 해상 운송 및 미사일 기술 등 전문 분야의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3. 대북 제재
대북제재위원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핵실험과 역사를 같이한다. 북한이 핵실험을 할 때마다 대북제재위원회는 새로운 제재안을 제출하였다.[11] 대북제재위원회는 북한과의 교역 금지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대북 물자 심사도 담당하고 있다.[12]
1차 북한 핵실험(2006년 10월 9일) 직후인 2006년 10월 14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15개국은 만장일치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를 통과시켰다. 이 결의에서 "1718 제재위원회" 설립을 결의했다.[13][14]
2차 북한 핵실험(2009년 5월 25일) 직후인 2009년 6월 12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15개국은 만장일치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74호를 채택하였다. 이 결의에 따라 대북제재위원회를 보좌하기 위한 전문가 패널이 설치되었다.[15][16][17]
2019년 3월 12일,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는 연례보고서에서 "북한이 북쪽 국경지대 근처에 ICBM 기지를 건설하고 있다"고 통보한 회원국이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CNN이 ICBM 기지로 지목한 양강도 회정리 미사일 기지 위성사진을 공개했다.[21][22]
이 위원회는 결의안 1718 (2006)에 따라 북한 관련 제재 조치를 감독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874 (2009), 2087 (2013), 2094 (2013), 2270 (2016), 2321 (2016)에 의해 위원회에 추가 기능이 위임되었다. 2017년부터 위원회는 회원국의 북한 석탄 조달을 추적하기 시작했다. 위원회는 모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UNSC) 회원국의 대표로 구성된다.
3. 1. 주요 제재 내용
대북제재위원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핵실험에 대응하여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안보리) 결의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북한의 핵실험이 있을 때마다 새로운 제재안을 제출하였다.[11]결의안 1718 (2006)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DPRK)과 관련된 관련 제재 조치를 감독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06년 10월 14일, 북한의 1차 핵실험 직후 안보리 15개국 만장일치로 채택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718호에서 "1718 제재위원회" 설립이 결의되었다.[14] 이 결의는 북한에 대한 무기 및 관련 물품의 공급, 판매, 이전을 금지하고, 핵 및 미사일 프로그램 관련 자산을 동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2009년 6월 12일, 북한의 2차 핵실험 이후 채택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74호에서는 대북제재위원회를 보좌하기 위한 전문가 패널이 설치되었다.[16][17] 이 결의는 북한에 대한 무기 수출 금지를 확대하고, 북한을 드나드는 화물 검색을 강화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 2017년에 채택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97호에 따라, 회원국들은 매 30일마다 북한으로 보내졌거나 북한에 판매된 정제된 석유제품 규모를 제재위에 보고해야 한다.[18][19]
- 2023년 유엔 대북제재 위원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가상화폐를 대략 20억달러 이상의 금융자산을 탈취했다고 발표하였다.[27]
3. 2. 한국의 대북 제재 이행 노력
2019년 1월, 한국이 2018년에 석유제품 약 343톤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보내면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에 통보하지 않았다고 로이터 통신이 NK뉴스를 인용해 보도하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산 석탄 대한민국 반입 사건 논란이 재점화되었다. 2017년에 채택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97호에 따라, 회원국들은 매 30일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보내졌거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판매된 정제된 석유제품 규모를 제재위에 보고해야 한다.[18][19] 회원국들은 실제로 대북제재 이행여부를 제출하고 있다.[20]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97호 이후 미국을 위시로 한 서방 진영은 새로운 대북제재 결의안을 채택하려고 노력하였으나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결의안을 통과시키지 못하고 있다.[23][24] 이에 한국과 미국은 독자제재를 통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불법 행위에 대응하고 있다.[25][26]
3. 3. 대북 해상 제재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97호에 따라, 회원국들은 매 30일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보내졌거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판매된 정제된 석유제품 규모를 대북제재위원회에 보고해야 한다.[18][19] 회원국들은 실제로 대북제재 이행여부를 제출하고 있다.[20]2019년 1월, 한국이 2018년 석유제품 약 343톤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보내면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에 통보하지 않았다고 로이터 통신이 2018년 12월 23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문 매체 NK뉴스를 인용해 보도하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산 석탄 대한민국 반입 사건 논란이 재점화되었다.[18]
유엔 대북제재 위원회는 해상제재를 통해서 유엔 안보리가 금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해상교역을 감시, 적발, 처벌하기 위해 유엔 회원국 해군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변 공해를 감시한다.

2019년 3월 3일, 미국 해안경비대의 USCGC 버솔프 경비함이 일본 사세보에 도착했다. 해양법 전문가인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김현수 교수는 "미 해안경비대의 경비함이 대북제재를 위반하는 것으로 의심하는 선박을 공해 상에서 검색할 수 있다"며 "검색한 결과 불법 환적이 드러나면 가까운 항구로 끌고 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28]
4. 전문가 패널 (2009-2024)
2009년에 설치된 전문가 패널(Panel of Experts, PoE)은 전문가 분석을 통해 위원회의 업무를 지원하며, 특히 대북 제재 미준수 사례를 평가했다.[9][10] 위원회는 제재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집행할 것인지에 대해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지만, 전문가 패널은 그러한 결정을 지지하는 정보 제공 및 자문 역할만 수행했다.[9][10]
전문가 패널은 1874호에 따라 2009년에 설립되어 2024년까지 활동했다. 이 패널은 대북 제재 조치 이행 관련 정보를 수집, 검토, 분석하고, 제재 이행 개선을 위한 권고안을 제시하며, 보고서를 발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패널은 8명의 전문가로 구성되었으며 미국 뉴욕시에 본부를 두었다. 패널의 임무는 1928호 (2010), 1985호 (2011), 2050호 (2012), 2094호 (2013), 2141호 (2014), 2207호 (2015), 2276호 (2016), 2345호 (2017), 2407호 (2018), 2464호 (2019), 2515호 (2020), 2569호 (2021), 2627호 (2022), 2680호 (2023)을 통해 매년 연장되었다.
패널은 위원회의 지시에 따라 활동했으며, 위원들은 유엔 사무총장이 위원회와 협의하여 임명했다. 이들은 핵 문제, 대량 살상 무기 및 재래식 무기, 관세 및 수출 통제, 대량 살상 무기 통제 및 비확산 정책, 금융, 해상 운송 및 미사일 기술 등 전문 분야의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2024년, 러시아가 전문가 패널 임무 연장에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패널의 임무는 2024년 4월 30일에 만료되었다.[1][2][3]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15개 이사국 중 13개국이 임무 연장에 찬성했고, 중국은 기권했으며, 러시아는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는 최근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가 긴밀해지면서, 북한이 러시아의 중요한 군수 물자 공급국이 된 상황과 관련이 있다.[4] 이번 투표는 제재 자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제재 감시 활동에만 영향을 미쳤다.[5]
5. 문건
대북제재위원회는 활동과 관련하여 위원회 연례 보고서와 전문가 패널 보고서 등 다양한 문건을 발행한다.
2019년 3월 12일,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연례보고서에는 한 회원국이 2018년 1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북쪽 국경지대 근처에 ICBM 기지를 건설하고 있다"고 통보했다는 내용이 담겼다.[21] 이 보고서는 CNN이 ICBM 기지로 지목한 양강도 회정리 미사일 기지 위성사진을 공개했다.[22]
2023년 유엔 대북제재위원회는 연례보고서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약 20억달러 이상의 가상화폐 금융자산을 탈취했다고 발표하였다.[27]
5. 1. 위원회 연례 보고서
대북제재위원회는 매년 연례 보고서를 제출한다. 다음은 연례 보고서 목록이다.연도 | 보고서 |
---|---|
2023 | [https://www.undocs.org/S/2023/1021 S/2023/1021] |
2022 | [https://www.undocs.org/S/2022/1001 S/2022/1001] |
2021 | [https://www.undocs.org/S/2021/1053 S/2021/1053] |
2020 | [https://www.undocs.org/S/2020/1259 S/2020/1259] |
2019 | [https://www.undocs.org/S/2019/971 S/2019/971] |
2018 | [https://www.undocs.org/S/2018/1148 S/2018/1148] |
2017 | [https://www.un.org/ga/search/view_doc.asp?symbol=S/2017/1129 S/2017/1129] |
2016 | [https://www.un.org/ga/search/view_doc.asp?symbol=S/2016/1094 S/2016/1094] |
2015 | [https://www.un.org/ga/search/view_doc.asp?symbol=S/2015/987 S/2015/987] |
2014 | [https://www.un.org/ga/search/view_doc.asp?symbol=S/2014/920 S/2014/920] |
2013 | [https://www.un.org/ga/search/view_doc.asp?symbol=S/2013/756 S/2013/756] |
2012 | [https://www.un.org/ga/search/view_doc.asp?symbol=S/2012/982 S/2012/982] |
2011 | [https://www.undocs.org/S/2012/17 S/2012/17] |
2010 | [https://www.un.org/ga/search/view_doc.asp?symbol=S/2011/84 S/2011/84] |
2009 | [https://www.un.org/ga/search/view_doc.asp?symbol=S/2010/28 S/2010/28] |
2008 | [https://www.un.org/ga/search/view_doc.asp?symbol=S/2008/830 S/2008/830] |
2007 | [https://www.un.org/ga/search/view_doc.asp?symbol=S/2007/778/Corr.1 S/2007/778/Corr.1] |
2019년 3월 12일,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연례보고서에는 한 회원국이 2018년 1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북쪽 국경지대 근처에 ICBM 기지를 건설하고 있다"고 통보했다는 내용이 담겼다.[21] 이 보고서는 CNN이 ICBM 기지로 지목한 양강도 회정리 미사일 기지 위성사진을 공개했다.[22]
2023년 유엔 대북제재위원회는 연례보고서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약 20억달러 이상의 가상화폐 금융자산을 탈취했다고 발표하였다.[27]
5. 2. 전문가 패널 보고서
대북제재위원회는 2009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874호에 따라 설치된 전문가 패널(Panel of Experts, PoE)의 지원을 받아 임무를 수행한다.[16][17] 전문가 패널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교역 금지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대북 물자 심사를 담당한다.[12]전문가 패널은 위원회의 지시에 따라 활동하며, 유엔 사무총장이 위원회와 협의하여 임명한다. 8명의 전문가로 구성되며, 뉴욕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전문가들은 핵 문제, 대량살상무기 및 재래식 무기, 관세 및 수출 통제, 대량살상무기 통제 및 비확산 정책, 금융, 해상 운송 및 미사일 기술 등 전문 분야의 배경을 가지고 있다.
전문가 패널의 임무는 매년 연장되었으나, 2024년 4월 30일에 임무가 만료되었다. 이는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 때문이었다.[1][2][3]
전문가 패널은 다음과 같은 보고서를 발행했다.
연도 | 보고서 |
---|---|
2010 | 결의안 1874호(2009) (S/2010/571)에 따라 제출된 전문가 패널 최종 보고서 |
2012 | 결의안 1985호(2011) (S/2012/422)에 따라 제출된 전문가 패널 최종 보고서 |
2013 | 결의안 2050호(2012) (S/2013/337)에 따라 제출된 전문가 패널 최종 보고서 |
2014 | 결의안 2094호(2013) (S/2014/147)에 따라 제출된 전문가 패널 최종 보고서 |
2015 | 결의안 2141호(2014) (S/2015/131)에 따라 제출된 전문가 패널 최종 보고서 |
2016 | 결의안 2207호(2015) (S/2016/157)에 따라 제출된 전문가 패널 최종 보고서 |
2017 | 결의안 2276호(2016) (S/2017/150)에 따라 제출된 전문가 패널 최종 보고서 |
2018 | 결의안 2345호(2017) (S/2018/171)에 따라 제출된 전문가 패널 최종 보고서 |
2019 | 결의안 2407호(2018) (S/2019/171)에 따라 제출된 전문가 패널 최종 보고서 |
2020 | 결의안 2464호(2019) (S/2020/151)에 따라 제출된 전문가 패널 최종 보고서 |
2021 | 결의안 2515호(2020) (S/2021/211)에 따라 제출된 전문가 패널 최종 보고서 |
2022 | 결의안 2569호(2021) (S/2022/132)에 따라 제출된 전문가 패널 최종 보고서 |
2023 | 결의안 2627호(2023) (S/2023/171)에 따라 제출된 전문가 패널 최종 보고서 |
2024 | 결의안 2680호(2024) (S/2024/215)에 따라 제출된 전문가 패널 최종 보고서 |
2019년 3월 12일,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연례보고서는 한 회원국이 2018년 1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북쪽 국경지대 근처에 ICBM 기지를 건설하고 있다"고 통보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CNN이 ICBM 기지로 지목한 양강도 회정리 미사일 기지 위성사진을 공개했다.[21][22]
2023년 유엔 대북제재위원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가상화폐를 대략 20억달러 이상의 금융자산을 탈취했다고 발표하였다.[27]
참조
[1]
뉴스
Russia criticised for using veto to end UN monitoring of North Korea sanction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4-03-28
[2]
뉴스
Russia shuts down UN watchdog tracking North Korea sanctions
https://www.bbc.com/[...]
BBC
2024-03-29
[3]
뉴스
Security Council Fails to Extend Mandate for Expert Panel Assisting Sanctions Committee 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Meetings Coverage and Press Releases
https://press.un.org[...]
[4]
뉴스
After veto, Russia says big powers need to stop 'strangling' North Korea
https://www.reuters.[...]
Reuters
2024-03-29
[5]
뉴스
Russian veto brings an end to the UN panel that monitors North Korea nuclear sanctions
https://apnews.com/a[...]
2024-03-28
[6]
뉴스
Russia shuts down UN watchdog tracking North Korea sanctions
https://ca.news.yaho[...]
[7]
웹인용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on North Korea {{!}} Arms Control Association
https://www.armscont[...]
2023-10-28
[8]
웹인용
Security Council Committee established pursuant to resolution 1718 (2006) {{!}}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https://www.un.org/s[...]
2023-10-28
[9]
웹인용
UN Documents for DPRK (North Korea)
https://www.security[...]
2023-10-28
[10]
웹인용
UN Documents for DPRK (North Korea): Sanctions Committee Documents
https://www.security[...]
2023-10-28
[11]
웹인용
통일부 공식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
2023-10-28
[12]
웹인용
송영길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
2023-10-28
[13]
웹인용
"[北핵실험] 북핵관련 주요일지"
https://www.joongang[...]
2023-10-28
[14]
웹인용
유엔 안보리 결의 1718호, 1695호와 어떻게 다른가
https://news.kbs.co.[...]
2023-10-28
[15]
저널
The 2nd nuclear test of North Korea and hidden intention of nuclear development
https://www.kci.go.k[...]
2010
[16]
웹인용
안보리 대북제재 결안 1874호 요약
https://www.hani.co.[...]
2023-10-28
[17]
웹인용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안 1874호 전문 {{!}} DailyNK"
https://www.dailynk.[...]
2023-10-28
[18]
웹인용
"[그래픽] 유엔 안보리 새 대북제재 결의안 2397호 채택(종합)"
https://www.yna.co.k[...]
2023-10-28
[19]
웹인용
대북제재 온라인 지원도구
http://www.yestrade.[...]
2023-10-28
[20]
웹인용
국회도서관 원문뷰어
https://docviewer.na[...]
2023-10-28
[21]
웹인용
'[인터뷰: 슈멀러 연구원] “새 미사일 기지, 전략적 벨트에 위치…기존 시설과 닮은 점 많아”'
https://www.voakorea[...]
2023-10-28
[22]
뉴스
"'북한 국경 인근에 ICBM 미사일 기지 운용'... 미 CSIS 위성사진 공개"
https://www.bbc.com/[...]
2023-10-28
[23]
웹인용
유엔 안보리, 대북 추가제재 불발…중·러 거부권 행사(종합)
https://www.yna.co.k[...]
2023-10-28
[24]
웹인용
유엔 안보리, 대북 추가 제재안 부결…중·러 거부권 행사
https://m.khan.co.kr[...]
2023-10-28
[25]
웹인용
윤 정부 출범 이후 북한 독자제재, 한국 8회, 미국 10회
http://www.snkpress.[...]
2023-10-28
[26]
웹인용
대북 독자제재 {{!}} 외교부
https://www.mofa.go.[...]
2023-10-28
[27]
웹인용
“북한, 지난해 2조원 넘는 ‘가상화폐’ 훔쳤다”
https://m.hankookilb[...]
2023-10-28
[28]
웹인용
"[단독] 美해안경비대 日파견···이젠 대북제재 감시 나섰다"
https://www.joongang[...]
2023-10-28
[29]
웹인용
"(재)세종연구소"
https://www.sejong.o[...]
2024-07-13
[30]
웹인용
"UN 안보리 대북 제재위 전문가 패널, 러 반대로 15년 만에 해산"
https://biz.chosun.c[...]
2024-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