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재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재신은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2008년 우리 히어로즈에서 데뷔하여 넥센 히어로즈, KIA 타이거즈에서 활동했다. 주로 빠른 발을 이용한 대주자나 백업 수비수로 활약했으며, 2016년 외야수로 전향하여 93경기에 출전하기도 했다. 2017년 KIA 타이거즈로 이적하여 한국시리즈 우승을 경험했으며, 2020년 은퇴 후 두산 베어스와 롯데 자이언츠에서 코치로 활동했다. 통산 10시즌 동안 516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58, 1홈런, 40타점, 62도루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직초등학교 (부산) 동문 - 임정은
    임정은은 대한민국의 배우로서,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2008년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 2012년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여자 조연상을 수상했다.
  • 사직초등학교 (부산) 동문 - 이재곤 (야구 선수)
    이재곤은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07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경찰 야구단에서 군 복무 후 2010년 복귀, 2018년 kt 위즈와 질롱 코리아에서 활동한 전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 kt 위즈의 투수이다.
  • 사직중학교 동문 - 권오원
    권오원은 삼성 라이온즈 소속 야구 선수로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트레이닝 코치로도 활동했고, 뛰어난 투구 실력으로 '쌍권총', '권 트리오'라는 별칭으로 불렸다.
  • 사직중학교 동문 - 이재곤 (야구 선수)
    이재곤은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07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경찰 야구단에서 군 복무 후 2010년 복귀, 2018년 kt 위즈와 질롱 코리아에서 활동한 전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 kt 위즈의 투수이다.
  • 대한민국의 야구 코치 - 최동원
    경상남도 남해군 출신 프로 야구 투수 최동원은 1984년 한국시리즈에서 4승을 거두며 롯데 자이언츠의 첫 우승을 이끌었고, '무쇠팔'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선동열과 함께 한국 프로 야구 초창기를 대표하는 투수였으나 선수협 파동 이후 은퇴, 지도자 및 해설가로 활동하다 대장암으로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야구 코치 - 김진수 (야구인)
    김진수는 1998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 두산 베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으며 은퇴 후에는 배터리 코치로 활동한 전 KBO 리그 포수 출신 야구 선수이다.
유재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선수명유재신
원어명Ryu Jae-Sin
출생지부산광역시
신장179
체중74
利き腕 (利き腕)
타석
수비 위치내야수 유틸리티, 외야수 유틸리티
등번호70
소속 구단롯데 자이언츠
役職 (役職)외야수비/1루코치
선수 경력
선수현대 유니콘스 (2006년 ~ 2007년)
우리 히어로즈/히어로즈 (2008년 ~ 2017년)
경찰 야구단 (2010년 ~ 2011년)
KIA 타이거즈 (2017년 ~ 2020년)
코치 경력
코치두산 베어스 2군 외야/작전코치 (2021년)
두산 베어스 1루 주루코치 (2022년)
두산 베어스 2군 작전/주루코치 (2023년)
롯데 자이언츠 외야수비/1루코치 (2024년 ~)
계약 정보
프로 입단 연도2006년
드래프트 순위2006년 2차 7라운드 (현대 유니콘스)
계약금3,000만원
첫 출장KBO / 2008년 4월 1일 목동 대 한화
마지막 경기KBO / 2019년 9월 28일 광주 대 LG전

2. 선수 시절

2006년 현대 유니콘스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지만, 팀 해체 전까지 1군 경기에 출전하지는 못했다. 2008년 우리 히어로즈로 팀을 옮겨 그해 1군 무대에 데뷔했다. 2010년부터 2011년까지 경찰 야구단에서 군 복무를 마쳤다. 제대 후 복귀한 넥센 히어로즈에서는 빠른 발을 이용한 대주자 역할과 내야수, 외야수를 모두 소화하는 수비 백업으로 주로 활동했다. 2017년 시즌 중반 KIA 타이거즈로 트레이드되었고,[1][3] 그해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하며 아버지 박철우에 이어 KBO 리그 역사상 두 번째 부자(父子) 우승 기록을 세웠다. 2018년에는 데뷔 첫 홈런을 만루 홈런으로 장식하기도 했다.[1] 2020년 시즌 종료 후 팀에서 방출되었고,[4] 이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2. 1. 현대 유니콘스 시절

2006년 현대 유니콘스와 계약하며 입단했으나, 팀이 해체될 때까지 1군 경기에 한 번도 출장하지 못했다.

2. 2. 우리 히어로즈 시절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된 후 2008년 신생 구단 우리 히어로즈로 이적했다. 같은 해 4월 1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이 경기에서 1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2008년 시즌에는 총 54경기에 출전했다. 2009년 시즌이 끝난 후 입대했다.

2. 3. 경찰 야구단 시절

2010년에 경찰 야구단에 입단하여 복무했고, 2011년에 제대했다.

2. 4. 넥센 히어로즈 시절

타격은 약한 편이었지만 발이 빨라 대주자로 많이 출전했다. 수비 능력이 좋고 내야수외야수 수비가 모두 가능하여 수비 백업으로 자주 기용되었다.

2. 5. KIA 타이거즈 시절

2017년 넥센 히어로즈에서 박정음, 임병욱 등과의 주전 경쟁에서 밀리면서 입지를 잃었고, 2017년 7월 31일 김세현과 함께 KIA 타이거즈의 손동욱, 이승호와 2:2 트레이드를 통해 이적했다.[1][3] KIA 이적 후에는 주로 내야와 외야를 가리지 않는 백업 수비 요원으로 출전했다. 그해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포함되어 팀의 우승에 기여했으며, 아버지 박철우에 이어 KBO 리그 역사상 두 번째로 부자(父子)가 우승을 경험하는 기록을 세웠다. 2018년 10월 14일 SK 와이번스전에서 김광현을 상대로 데뷔 첫 홈런을 만루 홈런으로 기록했다.[1] 2020년에는 1군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고, 시즌 종료 후 10월 30일 웨이버 공시되어 방출되었다.[4] 이후 11월 6일 자유 계약 선수로 공시되면서 현역에서 은퇴했다.

3. 야구선수 은퇴 후

2021년부터 두산 베어스의 2군 외야/작전코치로 활동했다.[2] 2024년부터는 아버지인 유두열이 현역 시절에 소속했던 롯데 자이언츠의 코치가 되었다.

4. 통산 기록

선수 시절 KBO 리그에서 기록한 주요 타격 기록은 아래와 같다.

4. 1. 타격 기록

연도팀명타율경기타수득점안타2루타3루타홈런루타타점도루도실볼넷사구삼진병살실책
2008우리0.2585493192421028772111925
2009히어로즈0.0009420000000000101
2012넥센0.2355885142022026752602003
20130.2007520224000427821912
20140.00023280000006200000
20150.259622721720093101301021
20160.258936220160001661671001202
2017KIA0.222251844000413110602
20180.4244633191431122840701001
20190.2557151171321017643601211
통산10시즌0.258516395146102115112640622636299618


참조

[1] 뉴스 김세현 유재신 KIA 영입…이승호 손동욱과 트레이드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 웹사이트 https://www.doosanbe[...]
[3] 뉴스 김세현 유재신 KIA 영입…이승호 손동욱과 트레이드 http://www.seoul.co.[...] 서울신문
[4] 뉴스 KIA, 유재신·임기준·고장혁 등 5명 웨이버 공시 https://www.news1.kr[...] 뉴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