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명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명숙은 대한민국의 사회학자이다. 도쿄외국어대학을 졸업하고 히토쓰바시 대학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연구의 권위자로, 《조선인 군위안부와 일본군 위안소제도》를 저술했으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 조사관, 충남대학교 국가전략연구소 주임연구원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 외국어대학 동문 - 오선화
오선화는 대한민국 출신으로 일본으로 귀화한 평론가이자 작가, 대학교수로, 호스티스 경험을 바탕으로 작가 데뷔 후 한일 관계와 한국 사회, 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했다. - 도쿄 외국어대학 동문 - 스즈키 료헤이
스즈키 료헤이는 1983년 효고현 출생의 일본 배우이자 성우로, 2006년 데뷔 후 다수의 작품에서 주연을 맡으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고, 역할에 따른 체중 조절, 수상 경력, 저서 출판 등으로도 유명하다. - 대한민국의 사회학자 - 강준만
강준만은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한 대한민국의 대학교수이자 언론인이자 저술가이다. - 대한민국의 사회학자 - 이정옥 (사회학자)
이정옥은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와 사회과학연구소장, 사회과학대학장을 역임하고 국방부 양성평등위원회 민간위원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사회학자이자 정무직 공무원으로, 여성가족부 장관과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조직위원회 공동조직위원장을 역임했다. - 히토쓰바시 대학 동문 - 오히라 마사요시
오히라 마사요시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제68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외무대신 시절 한일 및 중일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총리 재임 중 환태평양 연대 구상을 제시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총선 직전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 히토쓰바시 대학 동문 - 백두진
백두진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정치인, 금융인으로, 조선은행 이사장, 한국은행 이사장, 재무부 장관, 국무총리를 역임하고 국회의장, 유신정우회 의장 등을 지냈다.
윤명숙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윤명숙 |
출생일 | 1927년 11월 9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
모교 | 도쿄 외국어대학, 히토쓰바시 대학 |
학위 | 사회학 박사 |
경력 | |
직장 | 다카사키 경제대학, 히토쓰바시 대학, 충남대학교 |
활동 분야 | 동양사(일한 근대사) |
2. 생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에서 태어났다.[1] 1985년 일본으로 건너가 1991년 도쿄외국어대학 외국어학부를 졸업하고, 히토쓰바시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2] 가스야 겐이치, 요시다 유타카, 사카모토 히로코, 나카노 사토시의 심사로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2][3]
이후 일본군 위안부 연구 권위자로 인정받았다.
2. 1. 학업 및 연구 활동
윤명숙은 1985년 일본에 건너가 1987년 도쿄 외국어대학에 입학했다. 도쿄 외국어대학 일본어학과를 졸업하고 1991년 재일동포 역사학자 강덕상 교수가 재직하던 히토쓰바시 대학 석사과정에 진학했다. 1991년 8월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이 공개되자, 윤명숙은 큰 영향을 받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로 연구 주제를 변경했다.[11][12][13][14] 1994년 히토쓰바시 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2000년에는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문을 수정하여 2003년 일본에서 《조선인 군위안부와 일본군 위안소제도》를 출간했으며, 이 책은 위안부 문제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11][12][13][14]주요 논문으로는 〈日中戰爭期の朝鮮人軍隊慰安婦の形成〉(1994년), 〈조선인 군대위안부와 일본의 국가책임〉(1997년), 〈中國人軍隊慰安婦問題に關する硏究ノ一ト〉(2000년), 〈일본군‘위안부’문제에 대한 일본사회의 인식―1990년대를 중심으로〉(2004년)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共同硏究 日本軍慰安婦》(공저, 1995년), 《패전 전후의 일본의 마이너리티와 냉전》(공저, 2006년), 《한국과 일본의 역사인식》(공저, 2008년) 등이 있다.[15]
2. 2. 경력
다카사키 경제 대학 경제학부 비상근 강사를 거쳐 2001년 히토쓰바시 대학 대학원 사회학연구과 조수로 채용되었다.[3] 2002년부터 도쿄 외국어대학 외국어학부 비상근 강사로 활동했다.[3]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 조사관, 충남대학교 국가전략연구소 주임연구원, 중국 위안부 문제 연구센터 객원연구원 등을 역임했다.[4] [5] [6][7]3. 주요 연구 및 저서
윤명숙은 1994년 석사학위, 2000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히토쓰바시 대학 대학원 사회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2003년 박사학위 논문을 약간 손질해 《조선인 군위안부와 일본군 위안소제도》를 일본에서 출간하였고 이 책은 위안부 문제 연구의 방향을 가른 책이라고 평가받을 정도로 주목받았다.[11][12][13][14] 《共同硏究 日本軍慰安婦》(공저, 1995년), 《패전 전후의 일본의 마이너리티와 냉전》(공저, 2006년), 《한국과 일본의 역사인식》(공저, 2008년) 등이 있다.[15]
3. 1. 주요 연구
日中戰爭期の朝鮮人軍隊慰安婦の形成일본어 (1994년), 〈조선인 군대위안부와 일본의 국가책임〉 (1997년), 中國人軍隊慰安婦問題に關する硏究ノ一ト일본어 (2000년), 〈일본군‘위안부’문제에 대한 일본사회의 인식―1990년대를 중심으로〉 (2004년) 등이 있다.[15]3. 2. 저서
- 日本軍の慰安所制度と朝鮮人軍慰安婦일본어 (명석서점)
- 조선인 군 위안부와 일본군 위안소 제도한국어 (윤명숙 저, 최민순 역, 이학사)
참조
[1]
웹사이트
奨学生名簿
http://www.newlong.c[...]
財団法人 清和国際留学生奨学会
[2]
학위논문
日本の軍隊慰安所制度及び朝鮮人軍隊慰安婦形成に関する研究
https://doi.org/10.1[...]
[3]
서적
日本の軍隊慰安所制度と朝鮮人軍隊慰安婦
https://www.kinokuni[...]
紀伊國屋書店
[4]
뉴스
논어로 맹자를 읽다 외
http://news.naver.co[...]
주간조선
2015-03-09
[5]
뉴스
조선인 軍위안부·위안소제도 연구, 논문에 집대성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5-02-24
[6]
뉴스
"위안부는 식민지 지배 책임의 문제… 日 우익에 말려들어선 안돼"
http://news.naver.co[...]
한국일보
2015-03-15
[7]
뉴스
[インタビュー]「上海の『韓中平和の少女像』も日本の圧力によって撤去の危機」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6-11-25
[8]
뉴스
논어로 맹자를 읽다 외
http://news.naver.co[...]
주간조선
2015-03-09
[9]
뉴스
조선인 軍위안부·위안소제도 연구, 논문에 집대성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5-02-24
[10]
뉴스
"위안부는 식민지 지배 책임의 문제… 日 우익에 말려들어선 안돼"
http://news.naver.co[...]
한국일보
2015-03-15
[11]
뉴스
“일본군위안부 문제 ‘주범’은 일제 식민지배와 친일세력”
http://news.naver.co[...]
한겨레
2015-03-11
[12]
뉴스
“위안부 강제연행 증거 내놓으라지만 취업알선 미끼로 징모한 게 日 책임”
http://news.naver.co[...]
동아일보
2015-02-28
[13]
뉴스
박유하 논란에서 우리가 깨달아야 할 것
http://news.naver.co[...]
한겨레
2015-03-13
[14]
뉴스
일본은 왜 위안부 실체를 부정하는가
http://news.naver.co[...]
헤럴드경제
2015-02-27
[15]
뉴스
(위안부 증거 있다) “日, 국제법 위반 면하려 軍·경찰 관여 철저히 숨겼다”
http://news.naver.co[...]
서울신문
2012-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