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장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장선은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로 비판받는 윤치호의 아들로, 1920년 개성에서 태어났다. 그는 외무부 서기관, 주미한국대사관 부영사 및 총영사를 역임하며 외교관으로 활동했고, 1974년에는 무역회사 이사로 일했다. 2000년에는 아버지 윤치호의 일기 후반부를 국사편찬위원회에 기증했으며, 1998년에는 좌옹윤치호기념사업회 이사 및 부회장을 맡았다. 2004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외교관 - 김규현
    김규현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관료로, 외무고시 합격 후 외교통상부 북미1과장, 주미국 대사관 참사관 등을 거쳐 박근혜 정부에서 외교부 제1차관, 국가안보실 제1차장 등을 역임했고 윤석열 정부에서 국가정보원장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했다.
  • 대한민국의 외교관 - 심우정 (법조인)
    심우정은 휘문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검사로 임용되어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장, 법무부 차관 등을 역임하고 2024년 9월 16일 제46대 검찰총장이 되었다.
  • 개성시 출신 - 마해송
    마해송은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이자 언론인으로, 방정환 등과 색동회를 조직하여 아동문학 운동을 전개했으며, 광복 후에는 작품을 통해 사회상을 비판하는 등 대한민국 아동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개성시 출신 - 오자복
    오자복은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대장으로 예편하기까지 36년간 복무했으며, 국방부 장관, 대한방직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 해평 윤씨 - 윤치영
    윤치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활동하며 이승만, 박정희 정부에서 요직을 역임하고 제헌 국회의원, 초대 내무부 장관, 주프랑스 공사, 서울특별시장, 국회의장 등을 지냈으나, 친일 의혹과 독재 정권 옹호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해평 윤씨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윤장선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윤장선
한자 표기尹璋善
로마자 표기Washington Yoon
출생일1920년 1월 27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경기도 개성군 송도면 고려정
사망일2004년 3월 25일
사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 개신교병원
종교개신교
본관해평
국적대한민국 국적
미국 영구거주권
직업외교관
공무원
기업가
경력前 중앙무역주식회사 이사장
부모부: 윤치호
모: 백매려
배우자기세선
자녀윤원구 (아들)
윤인경 (딸)
윤효진 (딸)
형제윤길용 (이복 숙부)
윤치왕 (이복 숙부)
윤치창 (이복 숙부)
윤영선 (이복 형)
윤봉성 (이복 형)
윤광선 (이복 형)
윤봉희 (이복 누나)
윤용희 (이복 누나)
윤문희 (동복 누나)
정광현 (동복 자형)
윤무희 (동복 누나)
윤은희 (동복 누나)
윤명희 (동복 누나)
윤기선 (동복 남동생)
윤봉희 (동복 누이동생)
윤영희 (동복 누이동생)
의원 선수
정당무소속
학력경성제1고등보통학교 졸업

2. 생애

1920년 경기도 개성 고려정에서 좌옹 윤치호와 그의 부인 백매려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복 형은 정치인 윤영선이고, 친동생은 피아니스트 윤기선이었다. 경성제1고등보통학교(지금의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했다.

2. 1. 외교관 활동

1948년 8월 15일 외무부 관료로 임용되어 외무부 서기관을 역임했다. 6.25 전쟁 무렵 주일대표부 서기관을 거쳐, 1952년 주미한국대사관 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 부영사 및 총영사를 역임했다.[1]

2. 2. 윤치호 일기 기증

6.25 전쟁이 발생하자 형 윤영선은 아버지 윤치호가 쓴 윤치호 일기 중 1916년부터 1945년까지의 일기를 윤장선에게 택배로 보냈다. 이 중 1944년, 1945년분 일기는 배송 도중 유실되었다. 윤장선은 미국의 집에 아버지 윤치호의 일기를 보관하고 있다가 2000년 자신이 소장하고 있던 윤치호 일기 후반부를 국사편찬위원회에 기증하였다.

2. 3. 기업 및 사회 활동

1974년 1월 무역회사인 주식회사 중앙무역의 이사가 되었고[1], 이후 미국에 건너가 생활하였다. 1984년 재미한인올림픽후원회 사무국장을 지냈다.[2]

1998년 4월 3일 좌옹 윤치호 기념사업회 이사로 참여하고, 윤치호기념사업회 부회장에 선출되었다.

2. 4. 사망

2004년 3월 25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의 한 개신교 병원에서 사망했다.[3] 부인 기세순은 아나운서를 역임하였다.

3. 가족 관계

윤장선은 복잡한 가족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복 형제와 누이들이 많았다. 특히 아버지 윤치호는 여러 명의 부인을 두었는데, 이는 당시 사회상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4] 할아버지는 윤웅렬이며, 어머니 백매려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윤치호의 본부인 마애방에게서 얻은 아들 윤영선윤광선 외에도 여러 명의 아들이 있었다. 마애방은 윤치호가 청나라 체류 중 만난 중국인 여성이었다. 서모 김정순에게서도 이복 동생들이 태어났다.

백매려에게서는 3남 4녀가 태어났는데, 모두 윤장선의 친 형제들이었다.

관계이름출생사망
이복 형윤영선1896년 12월 25일1988년 2월 6일
이복 형윤광선1898년 11월 17일?
이복 누나윤봉희1894년 12월 31일?
이복 누나윤용희1903년?
이복 삼촌윤치왕1895년 2월 17일1982년 12월 21일
이복 삼촌윤치창1899년 3월 5일1973년 10월 1일



윤영선의 첫 부인은 민연희였고, 윤광선남궁억의 사위였다.[4]

윤치호의 서모 김정순에게서는 이복 삼촌 윤치왕윤치창이 태어났다. 윤치왕의 부인은 독립운동가 손정도의 딸 손진실이었다.

3. 1. 직계



배우자자녀
정광현(법의학자, 호는 설송(雪松), 1902년 - 1980년 12월 7일)
누나 윤문희(별칭은 마리(Mary), 1907년 9월 18일 - ?)
배우자자녀
정봉섭(1912년 - ?, 의학박사, 산부인과 의사)
누나 윤은희(1917년 11월 11일 - ?)
배우자자녀
조인호(趙麟鎬, ? - ?)
누나 윤명희(1918년 2월 8일 - 2013년 10월 30일) 미국 버지니아주에서 사망 (장지: Fairfax Memorial Park, Section 6, Garden of Serenity)
배우자자녀
현영학(1921년 - 2004년 1월 14일)
여동생 윤보희(1923년 10월 19일 - , 음악가, 이화여자대학교 음대 교수)
배우자자녀
휘스넌트(Whisnant, 미국인)
여동생 윤영희(尹瑛姬, 1926년 3월 5일 - , 미국 거주)
윤기선(1921년 10월 22일 ~ 2013년 7월 27일) 미국에서 피아니스트 활동, 슬하 2녀) (제수: 이순복[4])
윤정선(요셉[5] 1928년 5월 24일 - 2008년 3월 4일 ) (제수: 김영주[4], 이승만 대통령의 주치의 김승현(金承鉉)의 둘째 딸[6])
윤정희
윤무희(1912년 - 1914년)



배우자자녀
기세순([4] 奇世順, 1922년 9월 17일 - 2007년 9월 28일[7]), 본관은 행주, 기정섭(奇正燮)의 딸


3. 2. 방계

윤치호의 아들이자 윤웅렬의 손자였다.[4] 어머니는 백매려이다.

구 분내용
아버지윤치호(1864년 12월 26일 - 1945년 12월 9일)
어머니백매려(1890년 8월 1일 - 1943년 4월 10일)
전처 어머니마애방(1871년 2월 19일 - 1905년 2월 14일)
서조모김정순(1879년 3월 15일 - 1959년 11월 16일)
부인기세순(1922년 9월 17일 - 2007년 9월 28일), 기정섭의 딸[4][7]
후처김오현(1926년 3월 1일 - )



윤치호에게는 본부인 마애방에게서 얻은 아들 윤영선, 윤광선 외에도 여러 명의 아들이 있었다. 마애방은 윤치호가 청나라 체류 중 만난 중국인 여성이었다. 서모 김정순에게서도 이복 동생들이 태어났다.

구 분내용
이복 형윤영선(1896년 12월 25일 - 1988년 2월 6일)
이복 형윤광선(1898년 11월 17일 - ?)
이복 누나윤봉희(1894년 12월 31일 - ?)
이복 누나윤용희(1903년 - ?)
이복 삼촌윤치왕(1895년 2월 17일 ~ 1982년 12월 21일)
이복 삼촌윤치창(1899년 3월 5일 - 1973년 10월 1일)



백매려에게서는 3남 4녀가 태어났는데, 모두 윤장선의 친 형제들이었다.

구 분내용
누나윤문희(1907년 9월 18일 - ?)
누나윤무희(1912년 - 1914년)
누나윤은희(1917년 11월 11일 - ?)
누나윤명희(1918년 2월 8일 - 2013년 10월 30일)
여동생윤보희(1923년 10월 19일 - )
여동생윤영희(1926년 3월 5일 - )
여동생윤정희
동생윤기선(1921년 10월 22일 ~ 2013년 7월 27일)
동생윤정선(1928년 5월 24일 - 2008년 3월 4일)



윤장선에게는 4녀 2남이 있었다.

구 분내용
윤은경
윤희경
윤인경
윤미경
아들윤원구(1954년 ~ )
윤효진(1958년 3월 6일 - )
아들윤호구(1963년 ~ )


참조

[1] 뉴스 매일경제 1974년 1월 24일자 4면, 경제면 매일경제 1974-01-24
[2] 뉴스 초읽기 올림픽 개막 앞으로 4일, 교민들 "하나로 뭉칠 좋은 기회" 동아일보 1984-07-25
[3] 뉴스 "[부음] 張善暎 예비역육군중령 별세 外"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4] 서적 윤치호 일기:1916-1943 역사비평사 2001
[5] 서적 윤치호 일기:1916-1943 역사비평사 2001
[6] 서적 성공하나 아픔은 아홉 금토 1996
[7] 문서 미국 캘리포니아 LA에서 사망
[8] 뉴스 "[부고] 金世容 전 안성상공회의소 회장 별세 外"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4-03-29
[9] 문서 서울대학교 음대 제1회 졸업생
[10] 서적 북한 향토사학자가 쓴 개성이야기 푸른숲 2000
[11] 웹인용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https://web.archive.[...] 2012-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