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해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해송은 일제강점기 및 해방 이후 아동문학가, 소설가, 언론인으로 활동한 인물이다. 1905년 개성에서 태어나 일본 유학 중 폐병으로 중퇴하고, 귀국 후 아동문학 작품을 발표하며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동화 《바위나리와 아기별》, 우화 《토끼와 원숭이》, 《호랑이와 곶감》 등을 발표했으며, 잡지 《모던닛폰》의 사장으로도 활동했다. 해방 후에는 《떡배 단배》, 《모래알 고금》 등을 발표하며 사회의 혼란을 비판했다. 말년에는 천주교 신자가 되어 유괴된 어린이를 소재로 한 작품을 쓰기도 했다. 1959년 자유문학상, 1964년 한국문학상을 수상했으며, 1966년 사망 후 문학과지성사에서 마해송문학상을 제정하여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천 마씨 - 마광수
    마광수는 대한민국의 국문학자이자 작가, 대학교수로, 시인과 소설가로 활동하며 성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문학관으로 기성 문단과 갈등을 빚었고, 소설 《즐거운 사라》로 외설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 목천 마씨 - 마종기
    마종기는 1939년 도쿄에서 태어난 한국의 시인이자 의사로, 의사로서의 경험과 이민 생활에서 비롯된 인간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하며 한국 문단의 주목을 받았고, 은퇴 후에도 강의와 집필 활동을 지속하며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 일제강점기의 아동문학 작가 - 이원수 (작가)
    이원수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1926년 동시 〈고향의 봄〉으로 등단하여 동요, 동시, 동화, 소년소설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한국아동문학가협회 초대 회장을 역임하며 아동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친일 작품으로 논란이 있다.
  • 일제강점기의 아동문학 작가 - 윤석중
    윤석중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아동문학 운동을 이끌고 수많은 동요와 동시집을 발표하며 한국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중앙고등보통학교 동문 - 김상만 (언론인)
    김상만은 동아일보 창립자의 장남으로, 동아일보 사장, 회장, 명예회장을 역임하며 동아방송 개국, 잡지 재발간 등 사세 확장에 기여했고, 자유언론실천운동을 전개하여 국제신문발행인협회 '자유의 금펜상'을 수상하기도 했으며, 언론, 교육, 국제 교류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했다.
  • 중앙고등보통학교 동문 - 채만식
    채만식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의 사회상을 풍자적으로 그린 소설가이며, 친일 행적에도 불구하고 《탁류》와 같은 걸작을 남겨 문학사 연구자들에게 꾸준히 연구된다.
마해송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해송 작가
마해송 작가
이름마해송
원어 이름馬海松
한글 이름마해송
한자 이름馬海松
히라가나 이름ま かいしょう
가타카나 이름マ ヘソン
본명마상규
아명마창록
해송
출생일1905년 1월 8일
출생지대한민국 경기도 개성부
사망일1966년 11월 6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종교천주교 (세례명: 프란치스코)
배우자해주 김씨 부인(사별), 박외선(재혼)
자녀마종기(아들), 마주해(딸)
부모마응휘(부)
학력 및 직업
학력일본 니혼 대학교 예술학과 중퇴
직업아동문학가
동화 작가
연극 배우
시인
언론인
수필가
어린이 운동가
아동문화운동가
경력
경력대한소년단 이사장
활동
활동 기간1923년 ~ 1966년
언어한국어

2. 생애

연도사건
1905년 1월 8일경기도 개성시 대화동에서 출생
1912년개성 제일 공립 보통학교 입학
1916년개성학당 입학
1917년문여와 결혼
1919년중앙고등보통학교 동맹 휴학
1920년보성고등보통학교 동맹 휴학, 일본 니혼 대학교 예술학과 입학
1921년일본 유학 중 ‘동우회’ 조직, 귀국하여 녹파회 활동
1922년니혼 대학교 휴학
1923년《샛별》에 동화 《바위나리와 아기별》 기고
1924년색동회 창설 참여, 분게이슌주(文藝春秋)사 입사
1927년폐질환
1928년니혼 대학교 예술학과 중퇴
1929년건강 회복 후 《분게이슌주(文藝春秋)》사 초대 편집장
1930년《모던닛폰》 사장 역임
1931년《어린이》에 항일 우화 《토끼와 원숭이》 연재 (일본 탄압으로 중단)
1933년호랑이와 곶감》 발표
1937년박외선과 결혼
1939년장남 종기 출생
1941년차남 종늠 출생
1944년장녀 주해 출생
1945년귀국, 송도학술연구회 위원장 역임
1947년서울 종로구 명륜동으로 이사
1948년《자유신문》에 우화 《떡배 단배》 연재
1950년국방부 한국문화연구소 소장, 국방부 정훈국 편집국 고문, 《승리일보》 고문 역임
1951년공군 문인단 단장 역임
1953년어린이 헌장 발표
1957년 ~ 1958년장편동화 《모래알 고금》 발표
1959년자유문학상 수상, 창경원에 어린이 헌장 비석 건립
1963년문예춘추사의 초청으로 일본 방문
1964년한국문학상 수상
1966년 3월성북구 정릉동으로 이사
1966년 11월 6일뇌출혈로 사망, 경기도 양주의 천주교 묘지에 안장


2. 1. 유년 시절 및 교육

마해송|馬海松일본어은 1905년 1월 8일 경기도 개성시(현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대화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목천 마씨 마응휘(馬應輝), 어머니는 밀양 박씨 박광옥(朴光玉)이며, 7남매 중 여섯째였다. 어린 시절 이름은 창록(昌錄)이었다. 6세부터 서당에서 한문을 배웠고, 1912년 7세에 개성 제일 공립 보통학교에 입학하여 1916년에 졸업했다. 이후 일본인이 설립한 불교 계열의 개성학당에 진학했다. 1917년 12세 때 집안의 결정으로 문여(文女)와 결혼했지만, 마해송은 이러한 조혼 관습에 반발하여 부부 생활은 하지 않았다.

개성학당을 졸업한 후, 잠시 다른 서당에 다니다가 상경하여 중앙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그러나 곧 동맹휴학에 참여하게 되어 개성으로 돌아왔다. 1920년 다시 상경하여 보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또다시 동맹휴학이 일어나 학업이 중단되었다. 같은 해 12월, 일본으로 건너가 니혼 대학교 예술학과에 입학했다.[1] 1921년 대학을 휴학했다.[5] 1922년에는 개성의 청년들이 중심이 된 "녹파회(綠波會)"에 참가하여 공진항(孔鎭恒), 이기세(李基世), 김영규(金泳奎), 고한승, 진장섭 등과 활동했다.

1924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니혼 대학교에 재학하면서 기쿠치 칸의 추천으로 분게이슌주(文藝春秋)사에 입사하였다.[1] 1928년 폐병 발병으로 일본 니혼 대학교 예술학과를 중퇴하였다.[5]

2. 2. 문학 활동 및 사회 참여

1920년 일본 니혼 대학교 예술학과 재학 중에 홍난파 등과 유학생극단 ‘동우회’를 조직하였고, 방정환 등과 함께 ‘색동회’ 동인으로서 활동하였다.[5] 1921년 대학을 휴학하였다가 1928년 폐병 발병으로 니혼 대학교 예술학과를 중퇴하였다.[5] 1929년 건강을 회복한 후 《분게이슌주(文藝春秋)》사 초대 편집장을 거쳐 1930년 《모던닛폰》을 창간하기도 했다.[5]

1923년 동화 《바위나리와 아기별》을 《샛별》에 기고하였다. 1924년 방정환, 윤극영 등과 함께 색동회 창설에 참여하였다. 1931년 항일우화 《토끼와 원숭이》를 《어린이》에 연재했다가 일본의 탄압으로 연재가 중단되기도 하였다. 1933년 설화를 각색한 《호랑이와 곶감》을 발표하였다.

1945년 한국에 돌아온 후, 1948년 우화 《떡배 단배》를 《자유신문》에 연재하였다. 1957년-1958년 장편동화 《모래알 고금》을 발표하여 사회의 혼란과 부조리를 비판하였다.

말년에는 프로테스탄트를 이탈 후 독실한 천주교 신자가 되어, 유괴된 어린이들이 천사들의 보호를 받아 구출되는 이야기를 쓰기도 했다. 금성문화사에서 출판한 창작동화집에 창작동화가 실렸다.

1951년 공군종군문인단(창공클럽)을 결성하고 단장이 되었다. 전쟁 중에도 글쓰기를 멈추지 않았지만, 이 시기에는 동화보다는 수필을 많이 썼다. 1957년 방기환, 강소천, 이종환 등과 함께 "어린이 헌장"을 기초·발표하고, 1959년 창경원에 헌장 전문을 새긴 비석을 세웠다.

그의 사후 문학과지성사는 한국 근현대 아동문학사에 큰 획을 그은[6] 그의 업적을 기리는 마해송문학상을 제정하였다.

2. 3. 종교 활동 및 말년

1920년 일본 니혼 대학교 예술학과 재학 중에 홍난파 등과 유학생극단 ‘동우회’를 조직하였고, 방정환 등과 함께 ‘색동회’ 동인으로서 활동하였다. 1921년 대학을 휴학하였다가 1928년 폐병 발병으로 일본 니혼 대학교 예술학과를 중퇴하였다. 1929년 건강을 회복한 후 《분게이슌주(文藝春秋)》사 초대 편집장을 거쳐 1930년 《모던닛폰》을 창간하기도 했다.[5]

말년에는 프로테스탄트에서 천주교로 개종하여 독실한 신자가 되었으며, 유괴된 어린이들이 천사들의 보호를 받아 구출되는 이야기를 쓰기도 했다. 금성문화사에서 출판한 창작동화집에 창작동화가 실렸다.

1966년 뇌일혈로 별세하여 경기도 양주의 천주교 묘지에 안장되었다.

3. 학력

4. 수상

2023년 9월 9일 창원대학교 명예 졸업장을 받았다.

5. 주요 작품 목록


  • 바위나리와 아기별
  • 《토끼와 원숭이》
  • 《앙그리께》
  • 《떡배 단배》
  • 1934년, 『해송동화집』(개벽사)
  • 1941년, 『역군은』
  • 1947년, 『토끼와 원승이』(신구문화사)
  • 1948년 3월, 『편편상』(신문화사)
  • 1953년, 『전진의 인생』(세문사)
  • 1953년, 『떡배 단배』(학원사)
  • 1953년, 『사회와 인생』(세문사)
  • 1958년, 『사립고금』
  • 1958년, 『요설록』(신태양사)
  • 1959년, 『앙그리께』
  • 1961년, 『아름다운 새벽』(민중서관)
  • 1962년, 『마해송동화집』(민중서관)
  • 1962년, 『마해송아동문학독본』(을유문화사)
  • 1962년, 『오후의 좌석』(어문각)

참조

[1] 서적 其心記 建設社 1946
[2] 웹사이트 마해송 http://preview.brita[...] 2014-08-16
[3] 뉴스 마해송 전집에 담긴 비판적 지식인의 면모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5-26
[4] 뉴스 시인 마종기 아버지 ‘마해송 전집’ 출간 “죄책감 씻어”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5-05-26
[5] 백과사전 마해송 글로벌 세계 대백과
[6] 뉴스 아동문학가 마해송 전집 출간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5-05-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