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율리우스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율리우스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는 로마 원로원 계층의 일원으로, 4세기 로마 제국에서 활동한 작가이다. 그는 로마 점성술에 대한 가장 방대한 저작인 《수학에 대한 여덟 서》를 334년에서 337년 사이에 저술했으며, 시칠리아 출신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또한, 그는 이교 신앙을 비판하고 기독교를 옹호하는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를 346년경에 저술했다. 그의 저작은 점성술과 기독교의 관계, 저작의 진정성 논란 등 다양한 학문적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쉬라쿠사이인 - 루치아
    루치아는 로마 제국 시대 시칠리아 시라쿠사 출신의 기독교 성인이자 순교자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박해 시기에 순교했으며, 가톨릭교회 등에서 성인으로 추앙받고, 시각 장애인과 안과 질환자들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
  • 쉬라쿠사이인 - 케팔로스
    케팔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영웅으로, 프로크리스와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와 에오스와의 인연, 암피트리온 원정 참여 등 다양한 신화적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문학과 오페라에서 재해석되어 현대 사회의 문제들을 반영하는 상징으로도 해석된다.
  • 고대 로마의 점성술사 - 마르쿠스 마닐리우스
    마르쿠스 마닐리우스는 《아스트로노미카》를 저술한 로마의 시인이자 점성가로, 그의 생애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의 저서는 천문학과 점성술에 대한 고대 지식을 담고 있으며 후대 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 고대 로마의 점성술사 - 파울루스 알렉산드리누스
    파울루스 알렉산드리누스는 로마 제국 후기 알렉산드리아 출신의 점성술사로, 헬레니즘 점성술의 주요 개념을 다룬 《입문》을 저술하여 후대 점성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4세기 사망 - 아상가
    아상가는 4세기경 인도의 불교 승려이자 유식학파 창시자로, 설일체유부에서 대승불교로 전향하여 유식 사상을 발전시키고 미륵보살에게 유가행유식학파의 교의를 배워 《유가사지론》 등 주요 논서를 저술했다.
  • 4세기 사망 - 호르미즈드 2세
    호르미즈드 2세는 303년부터 309년까지 사산 제국을 통치한 왕으로, 쿠샨 왕조와 연관된 통치를 하였고, 가산 왕조와의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암살당했으며, 그의 아들 샤푸르 2세가 왕위를 이었다.
율리우스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
기본 정보
율리우스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의 초상
율리우스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의 초상
본명율리우스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
출생3세기 시라쿠사
사망4세기
국적로마
직업작가, 점성가
활동 시기4세기
저서
점성술Matheseos libri VIII (8권으로 된 점성술서)
종교De errore profanarum religionum (세속 종교의 오류에 대하여)

2. 생애와 업적

율리우스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는 V C(비르 클라리스시무스)라는 칭호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원로원 계층의 일원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로마의 점성술에 대한 가장 광범위한 문헌인 《수학에 대한 여덟 서(Matheseos libri octo)》(334~337년 작성)[16]와 346년경에 저술한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De errore profanarum religionum)》[22]를 저술하였다.

《수학에 대한 여덟 서》는 시칠리아의 ''루니오르''이자 ''시쿨루스''라고도 불렸다.[17] 이 책은 12세기에 아랍어 문헌들이 출간되기 이전에 서양에 전파되었던 "과학적" 점성술에 대한 가장 마지막의 광범위한 편람들 가운데 하나였다.[18][19]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는 콘스탄티누스 2세콘스탄티누스 1세의 아들 콘스탄스에게 헌정되었고,[22] 현재까지 남아있다. 그는 이 책에서 이교의 신앙과 관행을 경멸하며, 황제에게 옛 종교들을 근절하는 것이 신성한 의무이며 하느님께 보상받을 것이라고 주장한다.[23]

19세기 동안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의 독자들은 피르미쿠스의 점성술에 대한 저서(일반적으로 《마테세오소》라고 불리는)와 내용이 매우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며, 두 저서가 다른 작가에 의해 쓰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897년에 클리퍼드 허셜 무어는 에두아르트 뷜플린 지도 하의 학위 논문에서, 특이한 어휘 선택과 구문론을 들어 두 저서가 동일 저자의 것임을 밝혔다.[25]

2. 1. 초기 생애와 점성술 저술

V C(비르 클라리스시무스)라는 칭호로 보아 율리우스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는 원로원 계층의 일원임을 알 수 있다. 그는 로마의 점성술에 대한 가장 광범위한 문헌인 《수학에 대한 여덟 서(Matheseos libri octo)》(334~337년 작성)를 저술했다.[16] 이 문헌은 그를 시칠리아의 ''루니오르''이자 ''시쿨루스''라고도 부른다.[17] 달의 충돌구 피르미쿠스는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마테세오소(Matheseoso)》(수학)는 캄파니아의 총독 롤리아누스 마보르티우스에게 헌정되었는데, 롤리아누스 마보르티우스는 피르미쿠스가 이 분야에 대한 편람을 저술하는 동안 격려와 지지를 보냈다. 이 편람은 12세기에 아랍어 문헌들이 출간되기 전까지 서양에 전파되었던 "과학적" 점성술에 대한 가장 마지막의 광범위한 편람들 가운데 하나였다.[18][19]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4세기 중엽 어린 시절에 점성술을 접했는데,[20] 행성을 신격화하는 점성가들의 견해와 직업이 다른 쌍둥이와 같은 합리적 동기를 들어 점성술을 비난했다.[21] 1501년, 알두스 마누티우스에 의해 신플라톤주의 점성술 저서가 최초로 출판되었고, 이후로 종종 재출판되고 있다.

테오도어 몸젠은 《마테시스(Mathesis)》가 이전에 알려진 354년이 아니라 336년에 편찬되었으며,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보다 먼저 만들어졌음을 밝혔다.[26] 현대의 독자들은 점성술과 초기 기독교가 양립할 수 없음을 인식하고, 피르미쿠스가 그리스도교로 개종하기 이전에 이 책을 썼다고 주장한다.[27]

2. 2. 기독교 개종과 변증 활동

346년경, 그는 《데 에로레 프로파나룸 렐리지오눔(이교의 오류에 대하여)》을 편찬하였으며, 이 책은 콘스탄티누스 2세콘스탄티누스 1세의 아들 콘스탄스에게 헌정되었고,[22] 현재까지 남아있다. 그는 이 책에서 이교의 신앙과 관행을 경멸하며, 황제에게 옛 종교들을 근절하는 것이 신성한 의무이며 하느님께 보상받을 것이라고 주장한다.[23] 책의 첫 부분(제1~17장)에서는 동양의 비교(秘敎)들에 나타나는 거짓 우상들을 비난하고, 두 번째 부분(제18~29장)에서는 동성애와 관련된 신비적 종교들의 의식과 형식을 비판한다.[24]

19세기에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를 읽은 사람들은 피르미쿠스의 점성술 저서(일반적으로 《마테세오소》라고 불림)와 내용이 현저하게 대조된다는 점을 지적하며, 두 저서의 저자가 다르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897년 클리퍼드 허셜 무어는 에두아르트 뷜플린의 지도 하에 작성된 학위 논문에서, 특이한 어휘 선택과 구문론을 근거로 두 저서가 동일인의 저작임을 밝혔다.[25] 테오도어 몸젠은 《''마테시스''(Mathesis)》가 이전에 알려진 354년이 아니라 336년에 편찬되었으므로,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보다 먼저 쓰였다고 밝혔다.[26] 점성술초기 기독교가 양립할 수 없음을 인식한 현대의 독자들은 피르미쿠스가 기독교로 개종하기 전에 《마테시스》를 저술했다고 주장한다.[27]

기독교에 관한 저서는 비블리오테카 팔라티나에서부터 현재 바티칸 도서관에 단일본으로 보존되어오고 있다. 1562년 스트라스부르에서 처음 출판되었고, 미누키우스 펠릭스와 키프리아누스 혹은 아노비우스의 논쟁적 저서들이 첨부되어 여러 번 재출판되었다.[28]

2. 3. 저작 논란과 학계의 평가

19세기 동안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의 독자들은 피르미쿠스의 점성술에 대한 저서 (일반적으로 《마테세오소》라고 불리는)와 현저한 대조를 지적했는데, 이는 두 저서가 일반적으로 다른 작가에 기인한다는 점이었다. 그러나 1897년에 클리퍼드 허셜 무어는 에두아르트 뷜플린 지도 하의 한 학위 논문에서, 기이한 어휘 선택과 구문론을 들어 그 두 저서는 단일 저자의 것임이 확실하다고 했다.[25] 테오도어 몸젠은 《''마테시스''(Mathesis)》가 이전에 알려진 연도인 354년이 아니라 336년에 편찬되었고, 따라서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보다 먼저 만들어졌음을 밝혔다.[26] 점성술과 초기 기독교와의 비양립성을 인식한 현대의 독자들은 《마테시스》가 피르미쿠스가 그리스도교로 개종하기 이전에 저술되었다고 주장한다.[27]

기독교에 관한 저서는 비블리오테카 팔라티나에서부터 현재 바티칸 도서관에 단일본으로 보존되어 오고 있다. 1562년에 스트라스부르에서 처음 출판되었고, 미누키우스 펠릭스와 키프리아누스 혹은 아노비우스와의 논쟁적 저서들이 첨부되었으며, 이들과 별개로도 여러 번에 걸쳐 재출판되었다.[28]

3. 저서

율리우스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는 《수학에 대한 여덟 서(Matheseos libri octo)》와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De errore profanarum religionum)》라는 두 권의 책을 저술했다.

《수학에 대한 여덟 서》는 334~337년에 작성된 로마 점성술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이다.[16] 캄파니아의 총독 롤리아누스 마보르티우스에게 헌정되었으며, 12세기 이전에 서양에 전파되었던 "과학적" 점성술에 대한 마지막 편람들 가운데 하나이다.[18][19] 테오도어 몸젠은 이 책이 336년에 편찬되었다고 밝혔다.[26]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는 346년경에 콘스탄티누스 2세콘스탄스 황제에게 헌정한 책이다.[22] 마테르누스는 이 책에서 이교 신앙과 관행을 경멸하며, 황제에게 옛 종교들을 근절할 것을 촉구한다.[23] 19세기에 이 책을 읽은 사람들은 점성술에 대한 저서와 내용이 대조된다는 점을 들어 다른 작가의 작품이라고 주장했지만, 1897년에 클리퍼드 허셜 무어가 단일 저자의 작품임을 밝혔다.[25]

3. 1. 《수학에 대한 여덟 서 (Matheseos libri octo)》

《수학에 대한 여덟 서(Matheseos libri octo)》는 334~337년에 작성된 로마 점성술에 대한 가장 광범위한 문헌이다.[16] 이 문헌은 저자를 시칠리아의 ''루니오르''이자 ''시쿨루스''라고도 부른다.[17] 달의 충돌구 피르미쿠스는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마테세오소(Matheseoso)》(수학)는 캄파니아의 총독 롤리아누스 마보르티우스에게 헌정되었는데, 그는 피르미쿠스가 이 편람을 저술하는 동안 격려와 지지를 보냈다. 이 편람은 12세기에 아랍어 문헌들이 출간되기 이전에 서양에 전파되었던 "과학적" 점성술에 대한 가장 마지막의 광범위한 편람들 가운데 하나이다.[18][19]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4세기 중엽 어린 시절에 점성술을 접했는데,[20] 부분적으로는 행성을 신격화하는 점성가들의 견해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직업이 다른 쌍둥이와 같은 합리적 동기에 기초하여 그 과목의 불경함에 대하여 비난을 퍼부었다.[21] 1501년에 알두스 마누티우스에 의해 신플라톤주의 점성술 저서가 최초로 출판되었고, 이후로 종종 재출판되고 있다.

테오도어 몸젠은 《마테시스(Mathesis)》가 이전에 알려진 연도인 354년이 아니라 336년에 편찬되었고, 따라서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보다 먼저 만들어졌음을 밝혔다.[26] 점성술과 초기 기독교의 비양립성을 인식한 현대의 독자들은 이 책이 피르미쿠스가 기독교로 개종하기 이전에 저술되었다고 주장한다.[27]

3. 2.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 (De errore profanarum religionum)》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De errore profanarum religionum)》는 346년경에 율리우스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가 콘스탄티누스 2세콘스탄스 황제에게 헌정한 책이다.[22] 이 책에서 그는 이교 신앙과 관행을 경멸하며, 황제에게 옛 종교들을 근절하는 것이 신성한 의무이며 하느님께 보상을 받을 것이라고 간청한다.[23]

책의 첫 부분(제1~17장)에서는 동양의 비교(秘敎)들에 있는 거짓 우상들을 비난하고, 두 번째 부분(제18~29장)에서는 동성애에 대한 특별한 관심과 의도를 가지고 신비 종교들의 여러 의식과 형식을 비판한다.[24]

19세기에 이 책을 읽은 사람들은 피르미쿠스의 점성술에 대한 저서(일반적으로 《마테세오소》라고 불림)와 내용이 현저하게 대조된다는 점을 지적하며, 두 저서가 다른 작가에 의해 쓰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클리퍼드 허셜 무어는 1897년에 두 저서에서 나타나는 특이한 어휘 선택과 구문론을 근거로 단일 저자의 작품임을 밝혔다.[25] 테오도어 몸젠은 《마테시스(Mathesis)》가 336년에 편찬되어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보다 먼저 만들어졌음을 밝혔다.[26] 현대의 독자들은 점성술과 초기 기독교가 양립할 수 없다는 점을 들어 《마테시스》가 피르미쿠스가 기독교로 개종하기 전에 저술되었다고 주장한다.[27]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는 비블리오테카 팔라티나에서부터 현재 바티칸 도서관에 단일본으로 보존되어오고 있다. 1562년 스트라스부르에서 처음 출판되었고, 미누키우스 펠릭스와 키프리아누스 혹은 아노비우스의 논쟁적 저서들이 첨부되거나 별개로 여러 번 재출판되었다.[28]

참조

[1] 서적 Firmicus Maternus: The Error of the Pagan Religions, Issue 37
[2] 문서 Internal evidence summarized
[3] 문서 Firmicus states explicitly that he was of Sicilian birth
[4] 문서 The text by Paulus Alexandrinus of 378 is an introduction to the subject.
[5] 문서
[6] 문서 Confessions
[7] 문서 Confessions
[8] 문서 There is a clear reference to Constans' expedition in Britain in 343.
[9] 웹사이트 Firmicus Maternus http://www.newadvent[...] 1909
[10] 서적 Homosexuality and Civiliz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Firmicus Maternus: The Error of the Pagan Religions, Issue 37
[12] 논문 Firmicus Maternus
[13] 문서 This theory of course supposes that the author wrote one work before, the other after, his conversion. Catholic Encyclopedia
[14] 문서 Editions by Conrad Bursian (1856), and by Karl Felix Halm, in his Minucius Felix (Corpus Scriptorum Ecclesiasticorum Latinorum ii, 1867)
[15] 서적 Firmicus Maternus: The Error of the Pagan Religions, Issue 37
[16] 문서 Internal evidence summarized
[17] 문서 Firmicus states explicitly that he was of Syracusan birth
[18] 문서 The text by Paulus Alexandrinus of 378 is an introduction to the subject.
[19] 문서
[20] 문서 Confessions
[21] 문서 Confessions
[22] 문서 There is a clear reference to Constans' expedition in Britain in 343.
[23] 웹사이트 Firmicus Maternus http://www.newadvent[...] 1909
[24] 서적 Homosexuality and Civiliz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Firmicus Maternus: The Error of the Pagan Religions, Issue 37
[26] 논문 Firmicus Maternus
[27] 문서 This theory of course supposes that the author wrote one work before, the other after, his conversion. Catholic Encyclopedia
[28] 문서 편집: Conrad Bursian (1856), Karl Felix Halm, 《Minucius Felix》 (《Corpus Scrip. Eccles, Lat.》 ii, 186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