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쿠스 마닐리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쿠스 마닐리우스는 로마 시대의 시인으로, 그의 주요 저서인 《아스트로노미카》는 총 5권으로 구성된 미완성 시집이다. 이 시는 고대 천문학 및 점성술에 대한 지식을 담고 있으며, 인간사와 황도대를 연관 짓는 점성학적 하우스 체계를 최초로 체계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아스트로노미카》는 오랫동안 잊혔다가 15세기에 재발견되었으며, 현대까지 다양한 연구와 번역을 통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점성술사 - 율리우스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
    율리우스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는 4세기 로마 제국에서 활동한 작가로, 로마 점성술에 대한 《수학에 대한 여덟 서》와 기독교를 옹호하는 《이교의 오류에 대하여》를 저술했다.
  • 고대 로마의 점성술사 - 파울루스 알렉산드리누스
    파울루스 알렉산드리누스는 로마 제국 후기 알렉산드리아 출신의 점성술사로, 헬레니즘 점성술의 주요 개념을 다룬 《입문》을 저술하여 후대 점성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세기 시인 - 호라티우스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는 노예 출신 아버지 밑에서 교육받고 전투 경험을 쌓은 후 마이케나스의 후원을 받아 사비나 농장에서 시 창작에 전념하며 풍자시, 서정시, 서간시, 시론 등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작품들을 남겼고, 그의 작품은 고대 로마 문학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하여 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1세기 시인 -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는 히스파니아 출신의 로마 제국 정치가이자 스토아 학파 철학자로서, 네로 황제의 고문으로 활동했으나 피소 음모에 연루되어 자결했으며, 윤리적 에세이, 서간집, 비극 등 다양한 저작을 남겼다.
  • 고대 로마의 시인 - 호라티우스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는 노예 출신 아버지 밑에서 교육받고 전투 경험을 쌓은 후 마이케나스의 후원을 받아 사비나 농장에서 시 창작에 전념하며 풍자시, 서정시, 서간시, 시론 등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작품들을 남겼고, 그의 작품은 고대 로마 문학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하여 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고대 로마의 시인 - 베르길리우스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이스》, 《농경시》, 《목가》 등의 작품으로 유명한 고대 로마의 시인으로,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후원을 받았으며, 그의 작품은 후대 서구 문학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르쿠스 마닐리우스
기본 정보
출생기원전 1세기
사망기원후 1세기
직업점성술사, 시인
국적고대 로마
활동 시기기원후 1세기 초
분야점성술
언어라틴어
작품
대표작아스트로노미카

2. 저서 《아스트로노미카(Astronomica)》

《'''아스트로노미카(Astronomica)'''》는 마르쿠스 마닐리우스의 주요 저서로, 총 5권으로 구성된 미완성 시집이다.[3] 저자는 고대의 어떤 작가에 의해서도 인용되거나 언급되지 않았으며, 이름조차 불확실하지만 마르쿠스 마닐리우스로 추정된다.[3] 초기 서적들에서는 저자가 익명으로 나타나지만, 후기 서적들에서는 마닐리우스, 마늘리우스, 말리우스 등의 이름이 나타난다.[3]

이 시는 저자가 아우구스투스티베리우스 통치 하에 살았으며, 로마의 시민이고 로마에 거주했다는 암시를 담고 있다.[3] 18세기 초 고전학자 리처드 벤틀리는 그를 아시아계 그리스인으로, 19세기 고전학자 프리데리쿠스 야코브는 아프리카인으로 추정했다.[3] 《아스트로노미카》는 고대인들의 천문학(또는 점성술)에 대한 가장 진보된 견해들을 묘사하며, 그 분야에 있어서 박학한 지식을 보여준다.[3]

마닐리우스는 루크레티우스를 모방한 것으로 평가되는데, 주로 주제에 대한 진지함과 독창성, 그리고 활력있는 필력이 유사하다.[3] 그의 어휘 선택은 다소 기이하지만, 문체는 운율적으로 적절하다.[3]

《아스트로노미카》는 인간사와 황도대를 연관짓는 점성학적 하우스 체계를 최초로 체계화한 작품으로,[3] 마닐리우스는 하우스를 '템플라'로 칭했다.[3] 해석을 위해 하우스를 사용한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최초의 천궁도는 기원전 20년경보다 조금 이전의 것이다.[3]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는 그의 점성술 저서 《테트라비블로스》에서 하우스 체계를 거의 전적으로 무시했다.[3]

2. 1. 내용 및 특징

2. 2. 원문의 역사와 전승

《아스트로노미카》는 오랫동안 잊혔다가 15세기 초 포지오 브라치올리니에 의해 재발견되었다.[7] 10세기와 11세기에 만들어진 《아스트로노미콘》의 두 개의 원고 중 하나는 브뤼셀에 있는 브라방 주의 장블루에 있는 수도원에, 다른 하나는 라이프치히에 있는 수도원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었다.[7] 포지오 브라치올리니는 1416년 혹은 1417년에 콘스탄츠 공의회의 중지기간 동안에 콘스탄츠로부터 그리 멀지 않은 곳에서 또 다른 원고를 재발견했다.[7]

천문학자 레기오몬타누스는 매우 부패된 원고를 사용하여 《아스트로노미콘의 편집본(editio princeps of Astronomicon)》을 만들어 1473년 경에 뉘른베르크에서 출판했다.[7] 그 문헌은 조제프 쥐스트 스칼리제르에 의해 비평적으로 편집되었고, 그의 편집본은 1579년에 파리에서 출판되었고 그것의 제2판은 1600년에 레이덴에서 개정된 다른 원고들과 대조되었다.[7] 1739년에는 리처드 벤틀리에 의해 매우 개정된 편집본이 출판되었다.[7]

1903년부터 1930년까지 A. E. 하우스먼의 편집본이 다섯 권으로 출판되었는데, 그것이 가장 권위있는 것으로 여겨진다.[7] 몇몇 독자들에 의해서는 러브 고전 문고(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1977)를 통해서 찾을 수 있는 보다 덜 비평적인 G. P. 굴드의 편집본이 그러하다고 여겨진다.[7] 2009년에 영어로 된 마닐리우스에 대한 장편의 전공논문이 출간되었다.[8]

2. 3. 비평과 현대적 평가

《'''아스트로노미카''》(Astronomica)는 고대 작가에 의해 인용되거나 언급되지 않았으며, 불분명한 이름으로 인해 저자가 마르쿠스 마닐리우스라는 추정만 있을 뿐이다. 초기 서적들에서 저자는 익명이며, 후기 서적들에서 마닐리우스와 마늘리우스 그리고 말리우스라는 이름이 나타난다. 시에는 작가가 아우구스투스티베리우스 통치 하에 살았으며, 로마 시민이고 거기서 거주했다는 암시가 있다. 1700년대 초반의 고전학자 리처드 벤틀리는 그를 아시아계 그리스인이라 추정했고, 19세기의 고전학자 프리데리쿠스 야코브는 아프리카인이라고 추정했다. 이 저서는 고대인들의 천문학(또는 점성술)에 대한 가장 진보된 견해들을 묘사하며, 그 분야에 있어서 박학하다.

마닐리우스는 빈번히 루크레티우스를 모방하는데, 주로 그의 주제에 대한 진지함과 독창성 그리고 고골에 활기를 불어넣는 듯한 필력이 유사하다고 평가된다. 그의 어휘 선택은 다소 기이하지만, 문체는 운율적으로 적절하다.

《아스트로노미콘》(Astronomicon)에서 인간사와 황도대의 원을 연관짓는 점성학적 하우스 체계가 최초로 체계화되었다. 마닐리우스는 하우스를 ''템플라''로 칭했다. 해석을 위해 하우스를 사용한 시일 추정 가능한 잔존하는 최초의 천궁도는 기원전 약 20년보다 조금 이전의 것이다. 고전 점성술의 아버지라 불리는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는 그의 점성술 저서 《테트라비블로스》(Tetrabiblos)에서 하우스 체계를 거의 전적으로 무시한다.

3. 후세에 미친 영향

마닐리우스가 제시한 황도 십이궁과 각 별자리를 다스리는 신들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신과 별자리의 대응은 15세기 프란체스코 델 코사와 코스메 투라의 스키파노이아 궁전 프레스코화에 영향을 주었다.

마닐리우스의 저서는 아리타 타다오와 타케시타 테츠후미에 의해 번역되어, 서양 점성술의 기원과 발전을 이해하려는 독자들에게 중요한 자료로 제공되고 있다.

4. 현대의 연구 및 번역


  • 헤르만 M., 《Metaforyka astralna w poezji rzymskiej》 (크라쿠프, 2007).
  • 하비넥 T., "Probing the Entrails of the Universe: Astrology as bodily knowledge in Manilius' Astronomica," 제이슨 쾨니히 및 팀 휘트마쉬 (еds), 《Ordering Knowledge in the Roman Empire》 (케임브리지, 2007), 229-240.
  • 카소 B., "Firmicus Maternus: Un astrologue converti au christianisme ou la rhétorique du rejet sans appel," D. 톨레 (ed), 《La religion que j'ai quittée》 (파리, 2007), 39-63.
  • 폴크 K., 《Manilius and his Intellectual Background'' (옥스퍼드, 2009).
  • 스티븐 J. 그린, 카타리나 폴크 (ed.), 《Forgotten Stars: Rediscovering Manilius' Astronomica》 (옥스퍼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11).
  • 아비 바르부르크 저, 진도 히데키 역, 《이교적 르네상스》, 지쿠마 서방 〈지쿠마 학예 문고〉, 2004년. ISBN 4-480-08814-8
  • 타케시타 테츠후미, 《시 속의 우주: 마르쿠스 마닐리우스 『아스트로노미카』의 세계》, 교토 대학 학술 출판회 〈프리미어 컬렉션〉, 2021년. ISBN 9784814003150
  • 아리타 타다오가 번역한 『점성술 또는 천상의 성스러운 학문』은 하쿠스이샤의 헤르메스 총서에서 1993년에 출판되었으며, ISBN은 4-560-02288-7이다.
  • 타케시타 테츠후미가 번역한 『아스트로노미카』는 코단샤의 코단샤 학술 문고에서 2024년에 출판되었으며, ISBN은 978-4065377949이다.

4. 1. 한국어 번역

wikitext

아리타 타다오가 번역한 『점성술 또는 천상의 성스러운 학문』은 하쿠스이샤의 헤르메스 총서에서 1993년에 출판되었으며, ISBN은 4-560-02288-7이다. 타케시타 테츠후미가 번역한 『아스트로노미카』는 코단샤의 코단샤 학술 문고에서 2024년에 출판되었으며, ISBN은 978-4065377949이다.

4. 2. 연구서


  • 헤르만 M., 《Metaforyka astralna w poezji rzymskiej》 (크라쿠프, 2007).
  • 하비넥 T., "Probing the Entrails of the Universe: Astrology as bodily knowledge in Manilius' Astronomica," 제이슨 쾨니히 및 팀 휘트마쉬 (еds), 《Ordering Knowledge in the Roman Empire》 (케임브리지, 2007), 229-240.
  • 카소 B., "Firmicus Maternus: Un astrologue converti au christianisme ou la rhétorique du rejet sans appel," D. 톨레 (ed), 《La religion que j'ai quittée》 (파리, 2007), 39-63.
  • 폴크 K., 《Manilius and his Intellectual Background'' (옥스퍼드, 2009).
  • 스티븐 J. 그린, 카타리나 폴크 (ed.), 《Forgotten Stars: Rediscovering Manilius' Astronomica》 (옥스퍼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11).
  • 아비 바르부르크 저, 진도 히데키 역, 《이교적 르네상스》, 지쿠마 서방 〈지쿠마 학예 문고〉, 2004년. ISBN 4-480-08814-8
  • 타케시타 테츠후미, 《시 속의 우주: 마르쿠스 마닐리우스 『아스트로노미카』의 세계》, 교토 대학 학술 출판회 〈프리미어 컬렉션〉, 2021년. ISBN 9784814003150

참조

[1] 웹사이트 [TCP] The sphere of Marcus Manilius made an English poem with annotations and an astronomical appendix / by Edward Sherburne, Esquire. — Astronomicon. Liber 1. English https://ota.bodleian[...] 2023-12-09
[2] 웹사이트 マニリウス 『占星術』 {{!}} 慶應義塾大学メディアセンター 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Digital Collections of Keio University Libraries https://dcollections[...] 2023-12-09
[3] 백과사전 Manilius
[4] 학술지 Nothing for Ever and Ever https://www.lrb.co.u[...] 2007-07-05
[5] 서적 Edmund Wilson: Literary Essays and Reviews of the 1930s & 1940s Library of America
[6] 서적 Horace and me: life lessons from an ancient poet Farrar, Straus and Giroux
[7] 문서 벤틀리는 찰스 2세에게 헌정하는 하나의 폴리오로써 1675년에 런던에서 출판된 《영어로 된 주석과 천문 부록이 첨부된 마르쿠스 마닐리우스의 천구》의 저자인 에드워드 셔번에게 많은 서신을 받았다. 상술된 그것의 부록은 특히 "고대와 현대의 천문학자 목록"을 포함하는데, 동시대의 작가들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것이다. 그 저서는 「철학 회보」 110호(에서 찬사와 함께 알려졌다. 1699년, 토머스 크리치에 의해 운을 가진 시절들로 된 한 영어 번역본이 출판되었다.
[8] 서적 Manilius and his Intellectual Background Oxford University Press
[9] 문서 Aesthetica in Nu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